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흐름,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허세립(XU, Shili),이인순(Li, Rensh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5 No.-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7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현시점에서 바라볼 때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학계의 일각에서는 한국어 관련 학과의 ‘과열 성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각 대학 한국어 관련 학과의 설립연도와 규모 및 발전수준 등에 입각하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흐름에 대하여 준비기, 발전기, 도약기 등 세 단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또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전문대 응용한국어학과의 현황,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현황, 대학원 교육의 현황, 한국학 연구의 현황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고 재학생 규모, 정원 충원율, 취업률 등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핵심부분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을 시도하였으며, 앞으로 한국어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특성화’, ‘포괄적인 우리 의식 강화’, ‘학과운영능력 강화’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흐름 및 발전 현황, 발전 대안에 대한 거시적인 파악과 더불어 한국어 관련 학과의 기획․운영에 있어서 일정한 참고가치가 있을 것이다.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history of over 70 years and has gained remarkable achievements. Some experts and scholars used to show their concerns or even question about the “extraordinary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founding time of majors relating to Korean and the development scale and level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elaborates the three stages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ncluding the preparation period, development period and soar period. Based on some existing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an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pplied Korean education in technical institute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ajors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in postgraduate education, and that of Korean studies. Using the data of scale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nd their admission and employment rate, this paper measures and judges the “health status” of majors relating to Korean education. This paper also bring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enhancing the regional features, strengthening the sense of professional community and reinforcing the managing and operating capability of Korean major as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e research outcomes of this paper will macroscopicall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history, status and strategy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Korean studies.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reference for planning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nd related majors.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런샤오리(任曉禮)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은 한?중 수교를 계기로 불과 20년의 짧은 기간 동안 급성장하여 눈부신 성과를 얻었으나, 양적 팽창에 따른 교수진의 전문성 부족과 현실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하여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 논문은 중국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실을 살핌으로써 문제점을 진단하며,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 중국 대학에서 실시하는 4년제 한국어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실질적인 자료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교육의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경제 교류와 한류 열풍 등 측면에서 발전 동인을 찾아내며, 실제 운영, 교육 모델과 교육 내용에 입각하여 한국어교육 현황을 고찰하고, 지역적 분포, 교육과정 개설, 교수진 개발 등 방면에서의 문제점들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양적 팽창 억제’, ‘인재 배양 모델의 다양화’, ‘문화교육을 중시하는 차원 높은 한국어교육’ 등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Owing to the established Korean-Chinese diplomacy, Korean teaching in the Chinese universities has developed very fast and made outstanding achievement in the past 20 years. Nevertheless, some problems also arise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This thesis explores Korean teaching for the undergraduates in the Chinese universities. Looking back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in China, this thesis reveals its motivation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 interaction and Korean popularity, and investigates the teaching conditions in terms of practical management and teaching modes. In addition, some problems are illust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t regions, curriculum establishment, talent training and teaching staff. Meanwhile, some solutions are put forward, such as the varying training models, weighing cultural education, etc., in an attempt to objectively evaluate the Korean teaching in China and serve to further promote the Korean teaching in Chinese universitie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

        조현용(Cho Hyun-Yong)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4 No.-

        한국어 교육 정책의 역사는 매우 짧고 경제적, 정치적, 외교적 상황과도 관련이 된다. 재외동포, 다문화사회, 유학생, 외국인 노동자의 문제는 모두 정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더욱 체계적으로 한 국어 교육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정책 의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정부기관의 현황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선행연 구에 나타난 정책의 문제점도 살펴보았으며 대상자에 따른 정밀한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 문제점과 이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1. 한국어 능력시험의 경우 대상에 따른 다양한 시험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시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정확한 기관 평가를 통해 한국어 교 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여야 한다. 3. 한국어 교육 관련 부서의 업무 분 장을 효율화할 필요가 있다. 한쪽 기관으로 업무를 통폐합하는 것이 아니 라 성공적인 협업의 모델을 제시하여야 한다. 4. 해외에 한국어와 한국문 화를 보급할 때 상호주의적인 태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The history of educational policy o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is relatively short. Educational policies on KFL are closely related to and affected by economic, political, and diplomatic factors. Among the critical issues to consider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on KFL are heritage learners abroad, multiculturalism,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and foreign workers in Korea. To effectively address those issues, a systematic and contextualized approach should be adopted in establishing KFL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and status of educational policy on KFL and KFL related government institutions.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vealed a few shortfall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KFL policies. There is a need for more scrutinized policies to be catered to the various needs of the target group. Based on the examination of current practice in KFL policy, the following needs and suggestions are identified: (1) Various type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s appropriate to different target groups should be developed.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Korean assessments and tests for academic purpose which are intended for study abroad students in Korea. (2) Regular assessment of domestic KFL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undertaken. Through objective and accurate appraisal of KFL institutions, the educational quality and curriculum can be enhanced. (3) A more efficient labor division should be achieved among KFL-related educational departments. A model of cooperative work among related departments would be ideal rather than merging departments into one consolidated institution. (4) When disseminat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broad,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and strengthened.

      • KCI등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구려나,량빈,장람,김현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16 Chinese univers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y the way, according to the 2016 standard, all of these universities are belong to '211 universities' or '985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re mainly located in coastal areas adjacent to Korea. Seco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mainly Chinese(96.1%, 147), and 84.3% (129) of them hold doctor’s degree. Especially, 51%(78)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Korea, and 33.3%(51)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Chin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profession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is the largest, with a ratio of 33.3% (51).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Modern Literature, with a ratio of 22.2% (34). Finally,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History, Philosophy) professional professors have a 15% ratio(23). Here we have some suggestions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been proposed before. Firs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One Belt One Road’, exp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iplin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s. Secon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 should expand the education curriculum too. In particular, is necessary to improved th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objec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ina at the present stage,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previous information.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분석 대상으로 삼은 중국 대학은 2016년 기준으로 ‘211대학’(116개)과 ‘985대학’(39개)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 중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16개 대학(중국전매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들은 주로 한국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주로 중국인(96.1%, 147명)이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84.3%(129명)에 이른다. 학위취득 국가로는 한국이 51.0%(78명)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는 33.3%(51명)였다. 교수진의 전공은 국어학이 33.3%(5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문학이 22.2%(34명), 고전문학과 기타(역사, 철학 등) 전공이 각각 15.0%(23명)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으로는 ‘일대일로’라는 중국의 정책에 따른 한국어문학과의 확대 및 국제교류 활성화와 함께,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해 보았으며, 특히 개별 교수자의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중국에 개설된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한국 연구자들에게 중국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기관의 체제 구축 및 운영 방안에 대한 제언 : 전북 지역 한국어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고정은,이효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1

        In this study, 36 lecturers and administrators were survey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language institutions in Jeollabuk-do region(Jeonbuk) and to provide educational recommendations. Respondents cited the advantages of the Korean-language institutions in Jeonbuk, such as the large number of experienced teachers, the transparent and open recruitment process, and the fact that lecturers’ schedules are considered when assigning classes. However, they also identified a lack of instructor training and research meetings, insufficient training in writing syllabi, and the absence of a uniform syllabus, as well as the fact that many students are not motivated or willing to learn. Based on the respondents’ answer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language institutions in the Jeonbuk region: First, Korean-language institutions should be evaluated appropriately by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onbuk region. Second, stable employment conditions for Korean teachers, some of the most important actors in education, should be guaranteed and reflected in institutional evaluations. Thir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at reflects the Jeonbuk region, such as learner research,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tailored to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tudent management methods. Fourth, full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ducators teaching in the region. Fifth,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collaborate and discuss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