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모던시대의 한국 토착적 이머징 교회에 관한 연구

        홍승철,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시대 한국적 이머징 교회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현대는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한국에서 기독교 전래 때부터 후기모던시대까지 가장 대응을 잘하고 사회를 선도해간다는 평가를 받던 한국교회가 포스트모던 시대에 접어들면서 오히려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한국교회가 모델로 삼은 구미교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이 서로 다른데서 기인한 것이 크다. 모던시대에는 우리보다 앞선 경험을 가진 미국교회를 모델로 삼아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미국의 선교사와 유학을 다녀온 한국 교회 지도자들이 소개한 교회의 선진 문화들은 기존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최신의 문화였고, 한국사회는 한국교회를 새로운 문화의 습득창구로 삼았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시대에 넘어오면서 미국교회 모델의 답습만으로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한계가 생겼다. 특히 미국과 다른 한국의 독특한 포스트모던 구조는 이런 상황을 더 촉진 시켰다. 본 연구는 우리보다 먼저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 해체의 위기를 겪은 미국과 유럽의 이머징 교회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에 어떻게 적용할지 연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장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의 장점과 한계도 함께 고찰해보려 한다. 또한 포스트모던 문화에 대한 보편적 대안 모델로 거론되는 서구 이머징 교회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도 살펴볼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구도자 중심 예배”가 그러하였듯 변화를 요구 받고 있는 한국교회로서는 서구의 이머징 교회 모델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훌륭한 대안 중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양과 다른 한국 특성에 맞는 교회 구조를 세우기 위하여 서구 모델을 넘어 한국 토착적 적용 모델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These days, the Korean church faced crises and needs a suitable model for growth because it has been slowed down in post-modern era. The Korean church faces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the society and the church itself. For this, first, the study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global trends of postmodernism which has come to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will examine the emerging church in the Western cultures that have experienced a dismantling crisis before the Korean church faced. It also discusses background understandings of the emerging church as histor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and figures out its characteristics. With theoretical bases, this will apply them to the Korean church context as well. Four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ulture are derived as features of the emerging church: returning to the original church to restore the tradition of early church, focusing on empirical church, leading to participatory church, and getting actively acceptance of post-modern culture. Next, this study figures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ulture and its elements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Korean church. The elements of Korean postmodernism in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riginal church will be discussed. The sense of community as “one group”(uri) in Korean culture can be combined with post-modern culture to emphasize relationship in the Korean church. It is manifested in spirit of union in Korean church. Also, “gi(the energy)” in Korean can be experienced in post-modern culture in Korea. It is an autogeny and independent church. The feature of community adds up “heung” and “sinbaram” in Korean presenting as “excitement” It indicates that the church has only created a unique religious mentality. In addition, “Jeong”(Affection) in Korean can be a directional image which is combined with the post-modern church in Korea. This enables Korean church to share the pain with Korean people. Finally, this study will challenge the changes in time for the Korean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For this, the study suggests three basic features for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The first feature is the recovery of the early original Korean tradition church. Basically Korean church needs to return to being early churches in the first-century showing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also return to being early original Korean church in the 19th century. The Second feature is to breed a laity for the next generation in the Korean church. The third feature is the appearance of the church to foster better relations within the community.

      • KCI등재

        초기 한국 개신교 성인 신자들의 신앙교육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박정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2

        This study seeks solutions to the decrease in members of Korean Protestantism. The author intends to critically examine the faith of adult believers in Korean churches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That is, the study accesses the restoration of faith of Korean adult believer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early churches in Korea. The study collects the documents of early missionaries of the church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story of education. The author examines the maturity of the faith and the effect that education has had on adult believers of the church. The author also considers the biblical and evangelical faith of adult believers in the church. The early church in Korea propagated education for the continued maturity of faith. The author believes the early church had created adult members that strongly adhered to Christian doctrine and Scripture through the various educations. This historical study suggests biblical and evangelical faith education lays the foundation for the church and the mature faith of adult believers. The author found the two areas of faith education are sound and systematic doctrines in Bible studies. The author believes the present church’s depression should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hurch. For the sound doctrine of its believers, the study of all 66 books of the Bible can establish the identity and maturity of the Christian faith.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 신자들의 감소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관점에서 한국교회 성인 성도들의 신앙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접근한다. 한국 초대교회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한국교회 장년 성도들의 신앙회복과 함께 한국 개신교의 근본적 회복을 이끌어내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제한다. 논문은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한국교회의 초창기 선교사들의 문서들과 한국 기독교사에서 신앙교육 부분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였다. 그 중에서도 한국 초대교회 성인들에게 행해진 교육을 통한 신앙의 성숙과 그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한국교회 장년 성도들의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신앙회복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과정에서 필자는 한국교회의 초창기 시절 선교사들은 성인 신자들의 신앙교육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국 초대교회는 성도들의 중생과 함께 지속적 신앙성숙을 위한 신앙교육에 열심이었으며, 기독교 교리와 성경위에 기초한 건전한 성도들로 양성되었다. 본 논문을 통한 연구 성과는 초창기 교회교육을 통해 한국교회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으며 그 원동력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역사적 탐구는 시대를 초월하여 참된 교회의 성장과 성도들의 신앙성숙은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신앙교육에 있음을 시사한다. 초기 한국교회에서 신앙교육의 양대산맥은 건전하고 체계적인 교리와 성경공부였다. 그러므로 오늘날 한국교회의 침체기는 교회의 내실을 다지는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저자는 한국교회가 장년 성도들 개개인의 기독교 정체성 확립과 신앙성숙을 위해 건전한 교리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성경 66권을 힘 있게 가르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알렉산더 캠벨과 한국그리스도의교회 : 성경의 권위

        백종구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8 No.-

        본 연구는 국내 개신교 중 성경의 절대 권위를 강조하는 교단 중 하나인 한국그리스도의교회(유악기)에 주목하였다. 한국그리스도의교회는 1937년 미국그리스도의교회 선교사 존 T. 채이스(John Trawrick Chase, 1905-1987) 에 의해 시작되어 현재 350개 교회를 가진 소규모 교회로, 분열된 교회들 의 연합을 목표로 성경과 관련하여 7가지 핵심가치를 추구한다. 동 교회의 성경관은 미국그리스도의교회 지도자 알렉산더 캠벨(Alexander Campbell, 1788-1866)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2장에서 알렉 산더 캠벨의 성경관을 다루고, 3장에서 한국그리스도의교회가 주장하는 성 경의 절대 권위와 성서 권위의 신학적 근거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동 교회의 성경관이 한국 기독교에 주는 의미를 전망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그리스도의교회 지도자 알렉산더 캠벨은 17-18세기 서구의 이성주 의로 성경의 권위가 약화되고 개인주의의 영향으로 교회 분열이 가속화되 는 시기에, 교회연합에 주목하고 성경을 교회연합의 기초로 삼았다. 그는 종교개혁자 루터나 칼빈처럼 신앙과 실천의 표준으로 성경의 권위를 재확 인하고, 성경 권위의 신학적 근거를 성경의 내용(단계별 ‘인류구원사’)과 성경저자의 영감에서 찾았다. 1930년대 이후 미국그리스도의교회의 환원 정신을 계승한 한국그리스도의교회 지도자들은 한국 기독교계의 교파주의 에 반대하고, 교회연합을 위해 “성경으로 돌아갈 것(Back to the Bible)”을 호소하였다. 그리고, 알렉산더 캠벨처럼 성경 권위의 신학적 근거를 성경 에 나타난 ‘인류구원사’와 성경의 영감에서 찾았다. 한국그리스도의교회의 성경관 특히 성경 중심적 교회연합의 원칙은 한 국 기독교 연합에 큰 호소력을 갖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세속화와 개인주 의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한국 기독교 내 교파 분열이 지속되고 있는 한, 동 교회의 성경 중심적 교회연합의 원칙은 한국 기독교에 교회연합의 단초 를 제공하고 동시에 한국의 정황에 맞는 토착 기독교를 향한 해석학적 출 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ill focus on the view of the Bible by Korea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Han’guk Kuirisdo-ui Gyohoe). Because the view of the Bible by Korea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has been influenced by Alexander Campbell(1788-1866), a great leader of early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in USA, this study first will attempt to explain Campbell’s view of the Bible. Then it will deal with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emphasized by the Korea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and examine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authority of the Bible. Finally, the study will use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related to the present topic.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lexander Campbell paid attention to church unity when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weakened from Rationalism and the churches were divided under the expansion of the Individualism in USA. Campbell set forth the Bible as the basis for the church’s unity, confirmed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ew, and interpreted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 terms of contents (history of salvation of human beings) and inspiration of the Bible (inspiration of the Bible authors). From the 1930s, Korea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leaders, who had taken over the restoration spirit from the American missionaries of the America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were opposed to the denominationalism of Korean churches at that time and appealed to restore the New Testament church with the motto “back to the Bible.” Like Alexander Campbell, they based the authority of the Bible on contents (history of salvation of human beings) and inspiration of the Bible (inspiration of the Bible authors).

      • KCI등재

        분당샘물교회 아프간 사건을 통해 드러난 한국 교회의 선교적 과제

        김홍관(Kim Hong-Kwa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5

        본 연구는 전환기를 맞고 있는 한국 교회의 선교적 과제들을 살펴보는 데 있다. 오늘 한국 교회는 괄목할 만한 교회성장을 통하여 외형적으로 미국 교회 다음으로 해외에 선교사를 파송함으로써 세계선교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그러나 2007년 분당샘물교회의 23명 단기 선교팀이 아프간 탈레반에 의하여 납치되는 초유의 사건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기존의 선교방식에 대한 깊은 반성을 하게 하였다. 당시 대다수 국민들은 정국이 불안한 아프가니스탄에 대규모 단기 선교팀을 구성하여 보내야 할 긴급한 필요성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근본적인 의문을 품었다. 다양한 비판들 가운데는 그 지역의 상황과 문화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결과와 행사 중심의 선교가 지나치게 경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지적하였다. 한국 교회는 분당샘물교회의 아프간 선교 사태를 통하여 기존의 선교방식에 대한 재고와 성찰을 요구 받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 교회는 교회 중심적 선교목표를 지향하여 교회의 성장과 확장에 선교의 우선순위를 두어 왔다. 이러한 전략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구조적으로 개교회 중심주의에 빠지게 하였다. 대부분 한국 교회는 개교회의 성장을 위하여 경쟁적, 공격적, 그리고 외형적인 선교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런 선교는 한국 사회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분당샘물교회의 아프간 선교 사태는 지금까지 한국 교회의 선교 문제를 극명하게 노출시킴으로 봇물과 같은 한국 사회의 비판을 받게 된 것이다. 한국 교회는 선교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를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회 중심적 선교로부터 하나님의 나라 지향적 선교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한국 교회에 필요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earch the missional tasks of Korean churches in transition time. Korean churches are the world’s second-largest group of missionary after United States. However, since 23 Bundang Saemmul church volunteers were kidnapped by Afghanistan Taliban militants in 2007, Korean churches had being urged to rethink mission strategies from Korean society. Many Korean questioned the necessity the missionaries to visit to dangerous countries. Critics has said that missionaries can sometimes be too aggressive in their desire to spread the gospel, and show lack of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s. Others also has criticized that Korean churches are competing so intensely for church membership. The kidnaping case of Bundang Saemmul church in Afghanistan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 Korean church’s mission. During the past two decades (the 1970s and 1980s), Korean churches have grown rapidly in terms of the numbers, due to cultural, religious, and social factors. However, the Korean churches have experienced a slowing-down of the rapid rate of growth since the beginning 1990s.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being changed and secularized rapidly. Therefore, Korean churches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ng the gospel in a pluralistic era. Looking at this situation, the Korean churches have not adapted well to the Korean context; they hav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their own effectiveness and fitness in a changing socio-cultural milieu. Korean churches has a transition period from the old paradigm to the new paradigm. The Korean churches have challenged to communicate the gospel in a Korean comtemporary society.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churches is strong local church-centerednes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an issues related to church-oriented mission and kingdom-oriented mission for the Korean church’s missional paradigm shift.

      • KCI등재

        북미교회의 한국전쟁 이해: 미국장로교회와 캐나다연합교회를 중심으로 -

        탁지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2013년은 한국전쟁 휴전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부산에 있는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역인 유엔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에는 2,300명의 한국전쟁 참전 유엔군들이 묻혀있다. 누군가의 사랑하는 아들이었던 이들이 자신들의 집과 조국을 떠나 머나 먼 이국땅에 잠들어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가장 대표적인 기독교 국가들인 미국과 캐나다는 많은 군인들을 파병했고, 많은 희생자들을 냈다. 미국과 캐나다 교회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전쟁터로 파병되는 젊은 청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에게 교회는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했으며, 수많은 전사자들의 가족들과 부상자들이 겪는 고통과 아픔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과 캐나다 교회가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시기와 범위는 한국전쟁 발발(1950.6.25)로부터 휴전(1953.7.27)까지 나온 미국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와 캐나다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의 공식적인 자료들로 제한한다.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군사적·외교적 관계 차원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교회의 관점에서는,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미 양국 교회의 관계가 전쟁 원조활동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공식적인 자료들에 기초한 선행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주로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재한 선교사들을 통한 구호활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사료관이 소장 중인 일차자료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다. 캐나다연합교회 자료는 토론토 캐나다연합교회사료관(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의 일차자료들을 조사했으며, 미국연합장로교회 자료는, 필라델피아의 미국장로교사료관(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접근한 후,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원(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에 소장된 일차자료들을 조사했다. The year 2013 is the sixty-year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At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Busan, Korea, rest 2,300 UN troops who sacrificed their lives during the wa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anada sent numerous troops to Korea. We wonder how the churches of U.S.A. and Canada recognized the war, how they justified it, and how they explained the meaning of war entry to the families of the young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urche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June 25, 1950~July 27, 1953). The previous studies of the Korean War were mostly approached on the level of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relations and also church historians mainly dealt with the churches' humanitarian aids. Precious documents owned by th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전쟁을 통해 본 한국 개신교의 평화선교 과제: 죄고백, 회심, 치유, 화해

        황홍렬 한국선교신학회 2021 선교신학 Vol.61 No.-

        이 글은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규명을 바탕으로 한국 개신교 교회의 평화선교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범위는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이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 연구와 메츠(J. B. Metz)의 위험스러운 기억과 역사의 주체로서의 희생자이다. 희생자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의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가 한국전쟁으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교회 재건과 국가 재건, 개신교 교회의 구조와 성격,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 교회분열과 사이비이단 발흥 등을 다룬다.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은 한국 개신교의 특징으로 친미반공 이데올로기의 보루, 기복적 신앙, 신학적 성찰 없는 교회성장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개신교 우파의 등장과 정치참여, 신학적 영향을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의 평화선교 과제로 죄고백, 회심, 전쟁 기억 치유를 통한 민족화해,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올바른 한일관계 수립, 희년을 이루는 교회 10년, 베트남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과 사과, 평화신학과 평화선교신학 수립, 평화교육, 민족의 코이노니아, 군축과 평화체제로의 전환 등을 제시한다. The aim of the thesis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on the Protestant Church of Korea and to suggest its tasks for Peace Mission. The methodology of the thesis is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dangerous memory and the victim as the subject of history by J. B. Metz.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eace mission of the Protestant Church of Korea are: confession of sins, conversion, reconciliation between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healing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the probe of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Korean War, the Jubilee movement and the decade for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ational koinonia and the economy of God, the peace education, and the theology of peace and theology of peace mission.

      • KCI등재

        한국교회 전도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홍병수,황병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5 복음과 실천신학 Vol.37 No.-

        본 연구는 지나온 한국교회의 전도방법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전도의 주된 흐름과 현실, 미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머징 교회의 전도를 통해 얻은 통찰력 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미래 전도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는 지금까지의 한국 교회의 전도방법 변천의 과정과 두 가지로 분류된 전도패러다임의 실례들, 이 에 따른 사례교회 연구를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머징 교회 전도 패러다임의 특징과 선교적 관점을 담아 미래 한국교회가 어떤 방향에서 전도 해나가야 할 것인가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교회 내에서 활용되었던 전도방법론들과‘이머징 교회’에 관한 국내외의 자료와 문헌에 의 해 연구되었다. 또한, 사례 연구방법으로 한국교회에 전도의 틀을 이루었던 ‘개인중심의 전도’와‘교회주도형 전도’와‘이머징 교회의 전도’사례 교회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와 같이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하여“한국교회의 미 래 전도패러다임 방향성”을 세 가지(3M)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Mind(출발) 로서,“ 세상속으로들어가는성육신적자세”이다. 전도의출발점이중요한데, 그 출발점은 세상 속으로 들어가는 성육신적 자세이어야 한다. 교회가 세상과 의 눈높이를 맞추는 것에서부터 전도는 시작된다. 그것의 첫 출발점이 바로 ‘성육신적 마인드’이다. 두 번째는 전도의 목표(Mission)로서, “예수 따라 사 는 제자 되기”이다. 전도의 목표는 제자화해서 또 다른 제자를 낳는 것이다. 세상 속에서 전도자로 살아가는 것, 전도자를 삶으로 양성하는 것, 그래서 복 음의 재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이 전도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세 번째는 전도의 방법(Method)으로서,“ 복음의삶으로경험시키는전도”이다. 미래에는지금까 지의 전도방법론 위주의 전도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차원의 접근에서 전도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상대방의 마음을 얻어 그의 행동을 촉발시키고 그래서 새로운 미래 세계 - 하나님 나라 - 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 의 성과와 가치는 한국교회의 성장과 그 궤를 함께해온 실증(實證)된 전도 방 법론을 두 가지 전도패러다임으로 정리한 데에 의미가 있다. 그동안의 전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단편적(斷片的)이거나 공시적(共時的)인 연구였다. 아니면 연구자의 주관적 잣대를 가지고 전도방법론을 분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통시적(通時的)인 안목에서 전도의 큰 흐름인 개인중심의 전도와 교회 주도의 전도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한국교회의 미래 전도 방향성을 내다볼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quest for a right path that the Korean churches lead to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pastoral situation of Korea. The pastoral context and reality have changed faster than pastors expect. The ways of thinking and living of the lay people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ost-modernism. The speed of the change is too fast for pastors to catch up with the mind-set of the church members from time to time. The Korean churches have been focused on the two paradigms of evangelism in the past: individual-centered evangelism and church-centered evangelism. This study illuminates these two paradigms from the case studies and analyzes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each paradigm.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ree types for the new direction of the evangelism in the future from the analysis of the emerging churches, which become more popular in the States and Korea as well. The emerging churches need to be regarded not as a new type of church, but as the movement for the church reformation and recovery. The study of the evangelism of the emerging churches in the US and Korea enables us to shed a new light on the new direction for the evangelism.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ree different types (3M-Mind, Mission, Method) of the new evangelism paradigm for the Korean churches in the future. In the future, evangelism needs to practice with more interest in essential dimension, unlike the way it has been practiced with the more focus on the methodological interest. The essential dimension is concerned about the way of helping non-Christians to change their action and proceed toward the future,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한국교회의 위기 극복과 대사회적 신뢰성 회복방안으로서의 디아코니아 활용에 관한 소고

        최무열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한국교회는 선교의 초기부터 민족의 아픔 및 고통과 함께 하는 통전적 선교적 자세를 분명히 견지하였다. 그리하여 오늘날 한국교회는 세계 역사 가운데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990년대에 들어 한국교회는 그동안의 사회적 관심을 포함한 통전적 선교자세를 버리고 오로지 교회성장에만 열을 올림으로서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오히려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사실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오늘날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교회의 위기에 대한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이는 단적으로 한국교회가 사회적 공신력과 신뢰성을 상실한데 그 원인 있다고 본다. 그렇다면 추락할 대로 추락한 기독교의 사회적 신뢰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그 궁극적인 해답이 바로 섬기는 교회로의 페러다임의 전환 즉 교회가 종의 자세로서 사회를 섬기는 디아코니아적 교회로 전환될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디아코니아가 한국교회를 새롭게 하고 무너진 사회적 공신력과 신뢰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하더라도 여기에 대한 분명한 실천원리와 철학, 그리고 분명한 방법론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이는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교회가 이 위기의 시점에서 디아코니아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인식과 더불어 성경이 제시하는 섬김의 원리, 실천 방법들을 제시함으로서 사회적 공신력을 회복은 물론 다시 한번 한국교회의 올바른 성장과 부흥을 향하여 나아갈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Korean church has had a firm attitude of Diakonia which allowed it to sincerely participate with affirmation in the agony of the Korean people from the early days of the church. This in turn established rapid growth and public confidence that is almost unparalleled in history up to now. It is very unfortunate, however, that the Korean church, which should be the salt and light of the world, has now become a target of accusation and criticism from society as she neglected the mission of serving and sharing with society and focused solely on church growth. As a result, a call for self-examination toward the Korean church is rapidly increasing, and other voices are also being raised in various ways from different parts of society. The symptoms of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are being found elsewhere. Firstly, the reason we define the Korean church as in crisis is due to the seriousness of the rapid decrease of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It is almost a certainty that the number of Korean churches will reach an all time low within a few decades without special and innovative plans to solve this problem. The second reason we define the Korean church as in crisis is the collapse of the Korean church’s Sunday school. It is shocking that about 50% of Sunday schools disappeared in the process of decrease. Without the next generation, the church is going to die out naturally before long. Thirdly, another evidence of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is the damage on the public confidence that the Korean church heaped up for more than 100 years of church history with unspeakable endurance and endeavor. Loss of public confidence is the most dangerous and threatening factor among the three factors driving the Korean church into crisis. Unless the Korean church restores this fallen public confidence by putting in a great deal of effort, the fruits of missions of churches cannot be expected, no matter how diligently the church spreads the Gospel. If so, how can the Korean church restore the public confidence that has hit rock bottom? To answer this question plainly,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the wholistic mission of the early Korean church and missions which combined the Gospel and social sharing, and a guideline as to how the early Korean church served society and what kind of attitude the Korean church had toward society needs to be provided. Needless to say, the Korean church sustained an attitude of social orientation from the beginning, which automatically established firm public confidence, gaining the heart of the people. In this way, the only way to restore the fallen public confidence of the Korean church is by shifting the paradigm into serving the church and the society as a servant of Jesus Christ. In short, the church should not ignore the problem of the society in which the church is located, and have a desire to solve its problems to gain the heart of the community. Then, there is no doubt that the society that turned its back toward the church will warmly welcome church again, and the Korean church will stand fir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를 분별하는 한국교회의 실천적 방안

        김동환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논문은 현 시대를 첨단 테크놀로지에 의해 주도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파악 하고, 한국 교회가 이러한 시대를 분별할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 진단하는 것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과거로부터 현재를 검토해볼 때 안타깝게도 시대에 대한 분별력은 한국 교회가 지녀온 가장 취약한 능력들 중 하나였다. 그간 한국교회는 시대의 흐름 과 사회의 상황을 파악하기 보다는 교회의 양적 성장과 내적 신앙에만 집중함으로써 시대적 분별력을 지니는 데에 실패했다. 대표적으로 한국사회의 큰 변화가 있던 군부 독재 시대에도, IMF 재정 위기 시대에도,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대부분의 한국교회들 은 교회가 속해 있는 사회와 원활히 소통하지 못해왔으며, 그로 인해 그 시대를 올바 로 분별하는 능력을 소유하지 못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판적 자성을 논의의 출 발점으로 삼은 후 이처럼 안타까운 전례를 지속해온 한국교회가 작금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만큼은 이전과는 달리 시대적 분별력을 갖추어야함을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주장을 구현시키기 위해 본 논문은 한국 교회가 작금의 4차 산업혁명시대를 분별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한다. 그 방안의 첫째는 테크놀로지가 무 엇인지에 대한 본질적인 지식의 함양이고, 둘째는 첨단 테크놀로지의 발전 양상과 기 본 원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함양이며, 셋째는 시대성 있는 신학교(혹은 기독교 종합대학)의 교육 과정과 내용의 구축이며, 넷째는 시대성 있는 목회자 재교육 프로그 램의 구성이고, 다섯째는 시대성 있는 예배와 교회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이다. 이러한 방안들은 이론에 바탕을 두지만 이론의 틀을 넘어서서 구체적인 교회 목회 현장과 신 학 교육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 차원의 방안으로서 구상되어 제시된다. 이러 한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본 논문이 최종적으로 기대하는 것은 한국교회가 작금의 4 차 산업혁명시대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함으로써 앞으로는 어떠한 시대를 만나든지 그 시대를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교회가 속해 있는 실제 사회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Regarding the present age as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cutting-edge technologies, this article first examines whether Korean churches can have a sufficient ability to discern the flow of this age and the current social phenomena. Unfortunately, Korean churches have failed to have such an ability in the past age as well as in the present. In many cases, they have failed to have it by concentrating all their efforts only on their own growth. In the age of military dictatorship, IMF financial crisi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st Korean churches have not been able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As a result, they have not had the ability to properly discern the times. Based on this critical reflection, this article asserts that Korean churches should no longer fail to possess that ability in this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several practical ways to help them possess it in the field of ministry and through theological education. The first suggestion is the cultivation of essential knowledge of what technology is; the second is the cultivation of basic knowledge about the principles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and about the flow of their development; the third is the construction of the updated curriculum of seminary (or Christian university); the fourth is the constitution of contemporary pastoral re-education programs; the fifth is the composition of timely worship and church education programs. Throughout these suggestions, this article ultimately anticipate that Korean churches properly grasp the current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n, they canl possess the ability to discern any era in the future and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real society to which the church belongs.

      • 한국천주교회 설립과 그 주역들에 대한 교회법적 고찰

        최인각(Choi, Inga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1 이성과 신앙 Vol.48 No.-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조선천주교회는 1779년부터 1835년까지 56년간이나 성직자 없이 평신도들이 세웠으니, 이들이 마땅히 조선천주교회의 창립자들이라 불려야 한다.”라고 강론에서 밝혔다. 이는 한국인 스스로 신앙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가톨릭사회를 구성하고 조직하며 교황 및 그의 친교 안에 있는 주교들에 의해 통치되는 교회로 설립되었음을 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강학과 이승훈의 세례와 그 세례가 이루어지기까지의 경위, 이 과정에서 드러난 이벽의 중요한 역할, 신앙집회, 을사박해, 가성직제도, 천주교 전파, 제1차 성직자 영입운동, 제사문제, 여러 박해, 제2차 성직자 영입운동 등, 평신도에 의해서 이어지는 과정 ‘56년간’을 모두 한국천주교회의 설립 과정으로 본 것이다. 교회법에서 제시하는 교회 선교활동의 고유하고 최종적인 목표 중 하나는 교회를 세우고 심는 것이다. 이 선교활동의 대부분은 선교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런데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에 실질적인 역할을 한 이들은 선교사들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공부하고 노력하며, 심지어 박해를 거쳐 순교까지 하면서, 성직자 없이 자체적인 선교활동을 한 평신도들이다. 이런 자체적인 선교활동을 통해 눈에 보이는 교회를 완전하고 독립적으로 심은 때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836년으로 본 것이다. 이렇게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은 성령의 감도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면은 ‘하느님의 섭리’로 인한 것이고, 그 결과 ‘하느님께서 이루신 기적’으로 열매 맺었다.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자들은 그리스도와 합체되고, 교회와 합체하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그리하여 한국에 천주교회를 심는 데 목숨을 바치는 수고를 다 하였다. 이러한 원천은 그들이 간직한 신망애의 삶이었다. 그 중심에는 이벽, 이승훈, 권일신, 권철신과 동료들이, 그리고 여러 박해를 통해서 성숙한 신앙인(순교자)들이 그 길을 이어갔다. 이 모든 것의 핵심은 하느님의 섭리였다. 한국천주교회의 설립의 주역들은 평신도였고, 교회법적인 신분으로 볼 때 예비신자 전 단계에 속한 이들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세례 받은 사람이 보여주는 신앙 증거와 교회 건설의 큰 결과를 이루어내었다.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게 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신앙선서와 성사들 및 교회 통치의 유대를 갖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가를 볼 수 있다. 이는 스스로 신앙을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주교들에 의하여 통치되는 교회에 속하기를 바라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요소들이다. 이런 모든 과정과 모습은 전 세계에 유례없는 역사이며 사건이다. 이러한 역사는 보편교회와 나눌 필요가 있다고 본다. John paul II gave the following homily, “In Korea these lay people, justly considered as the ‘founders of the Church’ in Korea spread the Gospel in their homeland for 56 years, from 1779 to 1835, without the assistance of priests.” This signifies that Koreans themselves receive the faith, based on this, establish and order in Korea as a society in the catholic Church, governed by the successor of Peter and the Bishops in communion with him. John Paul II has seen the process, ‘that 56 years’ which continued to establish to found the korean Church from lay men, for example, their study(Conference) of the Science of Heaven, their practice and the transmission of their faith made the evangelization of the Korean people possible, the baptism of Yi Seung-Hoon and the circumstance of the baptism, religious congregation in Myung-rye bang, Eulsa persecution(1785), organization of the impromptu clergy, the spread of Catholic Church, the first movement of asking the clergy, the memorial issue, the various persecutions and the second of asking the clergy, ect. Missionary activity properly so called, through which the Church implants among peoples or groups where it has not yet taken root, is carried out by the Church especially by sending heralds of the Gospel, until the New Churches are fully constituted. But those who are actually a role to establish Korean Catholic Church are not missionaries but korean lay men who studied themselves, suffered martyrdom through persecutions and acted missions without clergy, through their own missions. That time is the 1836 that John paul II saw Koreans implanted completely and independently the visible Korean Church. This found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resulted by the inspirit of the Holy Spirit. The inside was made by the providence of God, the result signed as a fruit of God's miracles. The Founder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wed commitment that incorporate with Christ and Church. So they tried to implant the Church and devoted their life. This source is the life of the faith, of the hope and of the love. In this center there were Yi Byok, Lee Sueng-Hoon, Kwon Il-Shin, Kwon Cheol-Shin, Cheong Yak-Jong and their companions. And the faithful(martyrs) continued that way through the persecutions. The core of these all was the providence of the God. The protagonists of the foundation in Korean Catholic Church were lay men, their canonical identity was a preliminary believer. But they presented the evidence of the faith as a baptized people and achieved the great result of foundation of the Church. Taking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baptism of Lee Seung-Hoon in Beijing, we can see how much effort to have bond the oath of faith, of the sacraments and of the Church' government. These are elements that they received the faith themselves, in addition to hoping to belong the Church, governed by bishops in communion with him. All of this looks and the process is a unique history and event in the world. This history is necessary to share with the universal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