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교육 학습자 중심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교육의 평가 방향 고찰

        신희남,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5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를 대비하면서 우리 교육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넘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한 AI 교육의 시대로 새로운 배움의 장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 사 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의 평가 방향을 고찰해 보려 한다. 컴퓨터 교과를 포함한 비컴퓨터 교과에 학습자 중심 평가를 적용한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 중심 평가의 환경 여건 및 평가 모형 등을 모색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에 학습자 중심 평가 모형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평가가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 중심 평가는 학습 자의 학습 목표 도달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지능정보기술에 따른 디지털 환경 여건의 구축, 학습자의 평 가를 도울 수 있는 객관적 평가 시스템과 객관적 평가 모형이 고안되어질 때 인공지능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ona-19, our education is expanding a new chapter of learning to the era of AI education that incorporates software technology beyond software education.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ase of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and examine the assessment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case of applying learner-centered assessment to non-computer subjects including computer subjects, we sought the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ssessment models of learner-centered evaluation, and through the case of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model to software education, we wanted to find out what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ggests to the educational 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er's achievement goal, and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smoothly when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and objective evaluation model are designed to help the learner's assessment, building digital environment conditions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장경원,이지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1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란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다양한 학습 맥락에 참여하고 독립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실제적 학습 맥락, 학습의 경험, 협동학습, 동료학습자와의 문제해결, 그리고 학습 촉진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의 변화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교육 행정가, 실제 현장에서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현직 교사, 그리고 교직과정에 있는 예비교사들의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육행정가, 현직교사, 예비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행정가, 현직교사, 예비교사들은 모두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성으로 학습자의 역할 변화와 교수자의 역할변화를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꼽았다. 이들 모두는 학습자중심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아직 학교현장이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천하기에는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여기고 있었고, 예비교사 양성 프로그램과 현직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에 대해 충분히 교육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직과정은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의 교수자 입장과 학습자 입장을 경험해볼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충분한 학습경험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직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에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Learner-centered education become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s the attention on quality of education increases. Learner-centered education means that learning takes place, not when an instructor directly delivers her knowledge to learners, but when learners actively experience in diverse contexts and think independently. In short, the subject of learning is learners, not instructor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emphasized are the learning context, learning experience, collaboration, problem solving among peer learners, and the change of an instructor’s role to a facilitator.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differently administrators with decision power, in-service teachers practicing education in the field,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diverse issues related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tudy reveals that all the participants commonly ho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agree that learn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schools. Meanwhile, they do not seem to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the participants suggested in this study, existing pre-service teacher program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eriously reviewed in regards to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addition, sufficient and authentic experiences about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an instructor as well as a student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in-service teacher re-education program, instructional design capability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should also be emphasized.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들의 인식

        최영인 ( Young In Choi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이 연구는 바람직한 교육의 이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란 용어에 내재된 개념이나 의미 구성소에 대한 합의를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지금까지 ``학습자 중심 교육``은 당위적이며,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교육 현장에 이 용어가 도입될 때 그것의 이론적 토대나 함의에 대한 탐색보다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 혹은 ``획일화된 지식 교육``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 수용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의 모태로 두 가지 이론적 흐름을 살폈다. 하나는 구성주의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구성주의에 기반을 두고 ``학습 현상``을 보다 깊이 있게 천착한 ``학습자 중심 학습 이론``이다. 이 두 이론들에서 논의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징을 학습 주체, 학습의 선택과 책임,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및 관계, 공동체와의 관계, 학습 과정 및 방법, 성찰적 사고로 나누어 추출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능동적인 학습자의, 적극적인 지식 구성의 과정으로서의 학습을 전제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개별화 학습이 장려되고 학습 전반에 걸쳐 학습자가 자율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주체로 상정되어 있다. 현장 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개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개별화 학습 및 학습자의 자율적 의사 결정권은 배제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 개인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개념 요소에 대한 동의 여부도 크게 달랐다.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나 합의 없이,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천할 때 정책 입안자, 연구자, 현장 교사들이 서로 다른 방법을 강구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고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우리 교육의 바람직한 미래 가치로 타당한 것이라면,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들을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이 가장 실제적인 현장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어떻게 실천되어야 할지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 생산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한 근거로서 가치를 갖는다. 다만 이 연구는 제한된 인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연구라는 한계가 존재하며, 한 개인의 ``인식``을 좀더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정교하게 적용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survey on perceptions of the In-Service Korean teachers about ``Learner-Centered Education``(LCE). LCE has been divers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among the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LCE is derived from Constructivisim and was influenced from ``Learner-centered learning principles``. The author extracted common tenets of LCE concept from two theoretical flow(Constructivisim.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principles) and developed the questionnaire. In the LCE, emphasized are the students as a active agent, the decision and control of learner about what to learn and how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 learning as experience, collaboration so on. This survey found out som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perception about LCE. There were distinctive groups, One showed the tendency to minimize LCE and the other showed the tendency to maximize LCE. Some korean teachers regarded LCE as ``just a good education``. And some teacher`s perception was near similar with the theoretical and ideal origins. According to a this survey, only 9~11% percent of the respondents favored ``element of choice or control`` as learner`s right and responsibility. That means most of korean teachers don`t agree that increased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increased sense of autonomy are the essential in the LCE. This result showed a big gap of LCE concep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different they are. And this results showed that, as for LCE, the in-service korean teachers do not have understanding firmly built upon a certain theory but rather drawn from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 hence, nor integrated practices properly. From this results, we have to discuss about common traits of LCE and also decide realizable or acceptable traits of LCE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 학습자 중심교육에 기반한 전통문양의 의미이해 교육방안 모색

        문지영 한국아동미술학회 2015 아동미술교육 Vol.14 No.-

        현대사회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이다. 지식 전달중심의 교육은 넘쳐나는 정보와 지식들을 대처하기 어렵다. 오늘날 사회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지식자체의 습득보다는 지식을 조작하여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를 재구성 하는 능력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과 정보들을 조작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 한 노력은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학습자의 정보조작능력이나 문제 해결능력과 같은 고차적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적 노력으로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 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에서의 학습자 중심교육의 진정한 의미를 살펴보고 이 를 통한 우리의 전통문양의 의미를 이해해보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첫째, 자기 주 도적 학습으로서의 학습자중심교육의 의미를 검토하고, 둘째, 우리의 전통문양의 종류와 의미 등을 알아보 고, 셋째, 학습자 중심교육에 기반 하여 우리의 전통문양을 이해할 수 있고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 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제시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대되는 효과는 첫째, 학습자가 모 든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주인 의식을 가지고 흥미 있게 참여하게 된다. 둘째, 활동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어려움을 동료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생활과 관련된 주제들 을 통하여 전통미술을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표현과정에서 학생들은 전 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나와 다른 친구들의 생각을 알고 이해하고 존중하는 시간들을 가질 수 있었 다. 이러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우리 전통미술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알고 나아가 우리 문화에 자긍 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Internation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age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Nowadays, certain ways of th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cannot guarantee our students to orient themselves in the flood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Modern society requires our children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dapt certain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needed, which is also required in various fields of art education. Therefore, in the flow of art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has been attracting our attention to raise our students’ ability to solve their problem regarding how to accommodate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In my study, I focus on the tru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in art by presenting various ways of how we can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First of all, I examine the tru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Secondly, I present the result of my research of the categorie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irdly, I present certain adaptable educational program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The main expected effects through those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er can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ctively with the consciousness of master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Secondly, the learner can cooperate with the teacher and other learners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Lastly,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raditional Korean art and adapt it in their own modern way under certain subjects related to our daily lives. In the process of experimenting with their ways of expression, they certainly had a great time, understanding traditional Korean art and culture, respecting other participants’ perspective. I expect that those programs can make them know about th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art and feel proud of it through the process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 KCI등재

        학습자의 진로탐색에 있어 경험중심 무용교육의 역할과 과제

        서지연(Seo Ji Yun),박순자(Park Soon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최근 경험을 통한 교육이 강조되며 학습자의 경험에 기반을 둔 경험중심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무용교육에서도 진로와 경험에 관한 연구들이 비중 있게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학습자의 진로탐색에 있어서 경험중심 무용교육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행연구에서 진로와 경험중심 무용교육을 상관지어서는 논의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경험중심 교육의 의미 및 경험중심 무용교육의 교육적 기능, 중·고등학교의 진로교육 현황 내용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무용교육은 체육교과에 속해 직접경험이 아닌 간접경험으로 진행되어 학습자에게 감성교육으로서 진로 역량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단계적이지 못한 일회성 교육으로 이루어져 체험을 통한 역량개발과 미래를 대비하는 다양한 경험중심 무용교육이 부족한 실정으로 학습자의 진료탐색에 있어서 교육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예술교육 활성화를 통한 경험중심 무용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예술영역으로서 직접무용프로그램의 개발, 연속적인 무용교육을 위한 동아리활동 및 지역사회의 협조와 운영콘텐츠의 개발, 진로연계를 위해 전문적인 무용교수법의 연구에 대한 과제를 제시한다. 이러한 학습자의 진로탐색을 위한 경험중심 무용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보안 할 수 있는 융. 복합적 적용 방안에 관한 후속연구와 이에 대한 지속적인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 Recently,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is emphasized, and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has been in the spotlight. Accordingly, even in dance education, researches on careers and experiences have been heavily carried ou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dance education in depth and present a task to offer experience-centered dance education in learners s career exploration. For this, the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experience-centered dance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ince dance education belongs to a physical subject and is offered as an indirect experience, not a direct experience, it does not give learners career competencies as a sensibility education, and since it consists of an antiphasic one-time education, competence improvements through experiences and various experience-centered dance educations for the future are lacked, it does not play an educational role in learners career exploration. Thus, it presents a task for researching a professional teaching method of dance for direct development of a dance program as an artistic area, club activities for continuous dance education, the community s cooperation, developing operation contents and a connection with career to offer an experience-centered dance education through vitalizing school art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on an integral, complex application method to complement the roles and tasks of experience-centered dance education for learners career exploration and continuous and active discussions of this are needed.

      • KCI등재

        무라이 미노루(村井実)의 교육관에서 해석한 학습자 중심의 학교무용교육의 가치

        김보연(Kim, B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학교무용교육을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으로 구상하는 것이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이란 언제나 「선함(善さ)」을 구(求)하며 살고 있는 인간이 보다 나은 「선함(善さ)」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한 무라이 미노루(村井実)의 이론을 채용하였다. 무용은 감정과 생각 등 자신의 내면을 몸을 통해 외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근원 즉, 무라이(村井)가 말하는 내면의 「선함(善さ)의 구조」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무라이(村井)에 의하면 인간의 내면에는 본래 4가지의 요구(상호성, 효용성, 無모순성, 美(조화)에 대한 요구)가 갖추어져 있으며 그것들이 모두 만족되었을 경우 인간은 「선하다(善い)」라고 판단한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무라이(村井)의 이론을 보면, 무라이(村井)가 말하는 「보다 선하게(善く) 살기 위한」가장 이상적인 학습 조건이 학습자 중심 교과 교육이 된다. 그렇다면 학습자 중심의 학교무용교육에 있어서 4가지의 요구가 어떻게 만족되는가. 본 논문에서는 ‘탈춤’ 수업의 분석을 통해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표현은 「선함(善さ)」의 4가지 요구가 모두 만족되어 나타난 자신만의 움직임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은 학습자의 모든 표현에 대한 가치존중이 기본 전제이다. 그러므로 학습자 내면의 「선함(善さ)의 구조」를 기초로 한 무라이(村井)의 교육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학교무용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교과교육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The research aims to consider what is the value of designing school dance education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he education theory of Minoru MURAI was adopted to the paper; education helps humans who always seek for “Goodness”, which enables them to make an even better judgement of “Goodness”. Dance expresses one s inner self such as emotions and thoughts, through the body. Therefore, in order to educate i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expression, specifically where Murai states it as the inner “structure of Goodness”. According to Murai, there are four basic demands humans possess inside; interconnection, utility, non-contradictoriness, and harmony. If they are all satisfied, humans are judged to be “Good”. Looking at Murai’s theory in the perspective of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most ideal learning condition which Murai calls as a condition “to live better”, become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f so, how are the four basic demands satisfied in the curriculum of learner-centered school dance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is issue through an analysis of mask dance(Talchum) class. As a result, expressions of the learners were interpreted as their own unique movement which resulted from the satisfaction of all four demands of “Goodness”. In addition, respecting the value of all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learner is the basis of school dance education. Therefore, school dance education has a sufficient value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by introducing Murai’s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structure of goodnes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하정혜 ( Jeong Hye Ha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5 윤리교육연구 Vol.0 No.7

        7차 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교육이념은 학습자 중심의 열린 교육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선택 과목제를 도입하였고, 수준별 교육을 권장함으로써 전반적인 교육의 방향을 학습자를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그러므로 실제 교육과정의 이념을 구체화시킨 주된 자료이자,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교과서는 당연히 학습자를 중심으로 그 체제와 내용이 변화되어야 한다. 본 논의의 목적은 고등학교 심화선택 과목 중의 하나인 윤리와 사상 교과서를 학습자 중심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년간 학습자 중심 교육의 대표적인 수업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 모둠별 탐구식, 토론식 수업을 하면서 발견한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을 경험적 토대를 기초로 논의하고자 한다. 학습자 중심교육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현행 교과서는 첫째, 구체적이고 다양한 자료가 미비하며, 기초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과정(방법)은 없고 당위적 결론만 있는 교과서이다. 셋째 시대인물지역 중심의 사상사로 전개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 것으로 지적되었다.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일반적 추상적 자료에서, 이유를 담은 구체적 사례중심의 교과서로 만들어, 개론서의 역할에서 풍부한 읽기 자료로 변화시킬 것, 단편적 지식중심에서 실생활에 지침이 되는 지혜를 담을 것, 교과서의 전개체제를 인물지역 중심에서 주제중심으로 전환할 것, 설명방식에서는 규범적인 것에서 생각과 참여를 유도하는 교과서일 것, 마지막으로 탄탄한 기초 연구의 중요성 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성에서 학습자 중심성의 적용방식 분석

        김영실 ( Youngsi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정체성으로 ‘학습자 중심성’을 발견하고, 이 개념이 실제 교육과정 내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들의 미분화된 심신 발달 단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경험을 고려한 내용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결과, 교육내용을 학습자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시키는 데 내용상의 특징이 있다. 학습자 중심성이 교육과 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통합교과 관련 연구와 7차 국가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까지 통합교과 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 중심성은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었다. 둘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압력의 결과 너무 많은 범교과적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중심성의 교육과정 적용 결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가족을 학습 소재로 활용하며 종종 정상 가족 이미지를 제시한다. 넷째, 예의를 과도하게 중시한 일부 교육과정 내용은 학습자 중심성에 맞지 않는다. 이와 같은 분석에 근거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aper examines how the concept of “learner-centeredness” as a major characteristic of an integrated curriculum is applied to curriculum contents in the lower elementary grades.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characteristics that relate school knowledge to real life, and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are best fitted for integrated activities that match their developmental level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ness, I reviewed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its seventh version to its revision in 2015 and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principle of learner-centeredness contributes meaningfully to the advance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social pressure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lower grades, it includes too many social themes and issues. Third, despite som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ness to the curriculum in the lower grades, it frequently presents families that fit the stereotypical image of the “normal” family. Fourth, some curriculum contents over-emphasize politeness, which does not necessarily fit well with learner-centeredness. Based on my analysis, I suggested some changes to improve the integrated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학습자 중심 교육 수업의 운영 사례 분석 -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환경의 전략적 설계 -

        정현숙 ( Jung Hyun-sook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평생학습 시대에 부합하여 연구자가 진행했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자 중심 교육 수업의 운영 및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자는 2021년 1학기 00대학에서 21명의 4학년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5주 과정의 45시간을 진행하였다. 이 전공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의 신장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전략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평생학습 시대의 자기주도학습, 학습자 중 심 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이다. 효과적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보완적 주체임을 인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교수자는 더 이상의 권위적 지식 전달자가 아니다. 학습자 스스로 유의미한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교수자의 전략적 교육환경 설계가 시급하다. 이에 대학의 ‘교육 강의계획서’의 내용이 새롭게 인식되어야 함이다. 첫째, 해당 학기의 첫 시간인 오리엔테이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교과목에 관한 동기부여를 높이기 위한 교육 설계가 필수이다. 또한 수업교재의 참신성을 부각하여 한 학기 내내 특정한 교재의 접근을 지양했다. 수강생들의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여 시사적 가치가 있는 신문기사 텍스트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창의적 질문을 통해 신문기사 텍스트의 핵심 정보를 파악하는데 주력 했다. 그 다음은 중간고사 피드백이다. 학습자의 셀프 평가는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강력하게 만든다. 둘째, 학습자의 능동적 교육활동의 일환으로 일환으로 과제평가 비율의 상향이다. 즉 2가지 유형 과제 평가가 교육 활동 전략에 해당한다. 생산적 가치로의 프레젠테이션, 창의적 가치로의 미디어 리터러시로 융합하여 능동적 참여를 촉진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지식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지식 생산자로 육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증진을 위해 교수자는 학습자 중심 교육환 경과 평가방식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그와 동시에 학습자는 교수자의 지도 아래 적극적이고 성숙한 학업 자세가 요구된다. 미래지향적 자기주도학습 역량 실현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끝임없는 동반성장에 좌우된다. Talents required in the digital era are ‘knowledge creators’ with creative capabilities. The student selection method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has been switched to the selection of creative students with potential and self-directed learning test, instead of simply applying the uniform entrance examination. It is proven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an essential ability i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and an important capability that is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in major classes at 00 University in 2021,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role of the instructors should be transformed into learners-center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complementary actors for effective learners-centered education. Instructors are no longer authoritative knowledge transmitte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structured in terms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o that learners can produce meaningful knowledge on their own. First, reflection on the evaluation elements of class syllabus, teaching medium, and the teaching method related to the design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means re-examination of orientation, real life-related materials, mid-term exam feedback, and adjustment of evaluation ratio. Second, the establishment of classroom environment centered on activity classes. This means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through task participation strategies, contextual presentations, social cooperative learning, and active thinking skills promotion tasks. Through this, learners should focus on internal change beyond whether they can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that are already set by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help learners in reinterpreting existing knowledge in context, rather than simply acquiring and memorizing information.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provide learners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t the same time, mature and active learning attitude is required from learners. The realization of future-oriente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depends on continuous mutual growth of instructors and learners.

      • KCI등재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 탐색 - 듣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조재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4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provide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thod in an e-learning system. A web-based learning system is called an 'e-learning system', learning modes of which include transaction, multiple literacy, temporal and spatial conquest, open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elf-direc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ories of literature went through Romanticism and New-criticism stages to develop into the Reader-response theory and found out response-based learning, reading discussion, and RDE as methods of literary education to value social relations with other learners and contextual experiences and compose cooperative meanings.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has advantages that it enables literature education to meet learners' interest or needs, that it makes it easy to consider their literary level, and that it activates their expression(creation) activities. Discussion was also made to see if web-based communication could replace direct communication(listening & speaking activity), if transaction could be activated on the basis of spoken language to meet social constructivism, and how to guarantee learners' spontaneity in providi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canons to diverse voices' and to change educational methods from 'delivery to transaction ba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탐색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 체제를 ‘이러닝 체제’라고 하고, 이러닝 체제의 학습 양식으로는 상호 교섭, 다중 문식성, 시간과 공간의 극복, 지식과 정보의 개방, 자기 주도성 양식이 있다. 문학교육은 문학 이론이 낭만주의 단계, 신비평 단계, 독자 반응 이론으로 발전하였음을 알아보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사회적 관계와 문맥적 경험을 중요시하면서 협조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문학교육 방법으로 반응 중심 학습법과 독서 토론, RDE 방법 등을 탐색해 보았다.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장점은 문학교육을 학습자의 흥미나 요구에 맞게 진행할 수 있는 점, 학습자의 문학적 수준을 고려하기에 용이한 점, 학습자의 표현(창작) 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닝 체제에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을 할 때 주의점으로, 웹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이 직접적인 소통(듣기․말하기 활동)을 대신할 수 있는지, 사회적 구성주의에 알맞게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한 상호 교섭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학습자의 자발성을 어떻게 담보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은 ‘정전으로부터 다양한 목소리로’로 변해야 한다는 관점과 ‘전달에서 듣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 교섭으로’ 교육방법이 변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