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알렉산더 맥퀸 패션쇼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포스트모더니즘

        유은성 대한미용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on the hair styles of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from S/S 1995 to F/W 2010.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hair styles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are related to romantic emotion, they represent the pursuit of primitive substance, the transcendence of time, multi-factorial eclecticism, and uncertainty. The historic transcendence of time was shown in the various post-modern hair styles borrowing and changing the image of past hair styles from the Primitive era to today, which aimed at expanding the range of expression by searching for the origins of beauty in opposition to the values of modern beauty. The folk multi-factorial eclecticism was inspired by ethnic hair styles from many countries and re-created by mixing the West and the East, and alteration. The key value of post-modernism is uncertainty, which means defective human beings’ aesthetic taste such as the nature of the grotesque showing something disgusting and horrible. This shows the power of expression by hair styles and how they convey sarcasm and warning against the actual. This study predicts the expansion of hair design elemen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new hair design. 본 연구는 1995년 S/S부터 2010년 F/W까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알렉산더 맥퀸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은 낭만주의적 감정과 연결된 고리를 가지며, 인간의 감정을 중시하는 낭만주의는 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꾼 아방가르드에 영향을 주었다. 낭만주의에 반하여 인간의 감정보다는 미학적 현대성을 추구한 모더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주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새로운 실험의 성격을 띤 또 하나의 아방가르드이며, 이는 예술사조간의 경계와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종합예술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맥퀸의 작품세계는 낭만주의적 감정에서 시작된 모든 예술의 장르를 뛰어넘는 다원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으로 나타났다.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은 아프리카 원주민과 인디언들의 원시시대의 헤어스타일로, 가공되고 인위적인 현대의 헤어스타일의 미적 가치에 대한 도전으로 원초의 아름다움을 탐색하여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낭만주의 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헤어스타일을 이미지를 차용하여 새롭게 변형하거나 과거의 스타일을 그대로 재현시켜 포스트모더니즘의 폭넓은 헤어스타일에 기여하였다.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은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적인 헤어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아 이미지를 혼합, 변조하여 새로운 형태를 시도하였으며, 금발머리의 서양 모델이 동양적인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서양과 동양의 상호텍스트성, 전통스타일의 변조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적 절충주의를 표현하였다.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인 가치로 이해되며, 인간의 불완전한 미적 취향을 악마성과 혐오성이라는 그로테스크적인 특성을 도입하여 패션에서 헤어스타일이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인 표현의 힘을 보여주었다. 또한 헤어스타일을 통해 현실에 대한 풍자와 경고등의 메시지를 전달하였으며, 이는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버려진 음료수캔 등과 같은 오브제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기존의 미의 질서를 파괴하여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20세기 후기의 대표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의 시대정신이며 포괄적인 사회 현상으로 문화, 예술에 영향을 끼치며 ‘천재 디자이너’로 불렸던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도 나타남을 확인함으로써 헤어스타일이 패션이미지 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내재된 현대의 포괄적인 사회현상인 포스트모더니즘 미적 철학과 표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헤어디자인 표현 요소의 확대와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범위 및 표현 영역이 방대하여 헤어스타일에 국한하여 연구되었으며, 향후 알렉산더 맥퀸의 의복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21세기 서양미학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시론 1―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그리고 그 이후를 위하여

        김종기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포스트모더니즘이 동시대의 여러 문학 및 예술 현상을 지칭하는 가장 포괄적인 준거로서, 또한 이와 아울러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가 그 사상적·철학적 바탕으로 이해되어 온지도 오랜 시간이 지났다. 보편적 진리 및 총체적 역사 인식을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인식론과 존재론적 관점은 다원주의의 용인, 차이의 수용 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통해 더욱 확대되어가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교정하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전망을 주지 못한다. 그 결과 초국적 자본은 전 세계를 점령하였고, 전 세계에서 소수에게 더 많은 부가 독점되는 상황이 가중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 분야에서 예술이 인간 삶과 분리된 채 인간의 더 나은 삶과 미래에 대해 어떠한 전망을 제시해 주지 못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인한다 할 것이다. 이 글은 모더니즘에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현대 예술 또는 동시대의 예술 및 미학의 흐름을 개괄한 후, 우리가 찾아나가야 할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미학, 나아가 동시대의 예술의 방향을 ‘시론(試論)’의 한계 내에서 제한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과정 및 이들의 삶과 예술에 대한 관점과 전망을 되짚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의 대부분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를 전망하기 위해서 그 준비 작업으로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흐름을 간명하게 요약하여 정리하는 것에 할애되어 있다. 그리고 <결론>의 자리를 빌려 선언적 차원에서 간략하고 제한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방향성을 전망해 보고 있다.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시각이 부재한 채 진행되는 (실재와의 연관성을 상실한) 시뮬라크르의 끊임없는 반복적 재생산은 단순히 소비자본주의에 투항한 무기력한 개인들의 자기 복제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문제는 시뮬라크르 속에서 가려진 실재를 찾고자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에 대한 고민은 실재를 다시 회복하는 것과 연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이때 우리는 본질주의 및 고정된 실체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비판을 고려하면서 보편성과 진리의 문제를 다시 사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광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

        인태정(In Tae-Jeong)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8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변화가 관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관광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적인 현상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행에 관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과 특성에 관해 논의했다. 그리고 자본주의의 구조와 발전의 연속선상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과 연속적 계기 혹은 강화된 단계로서 파악하고 관광 영역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던적인 현상과 특성들을 분석했다. 관광의 경제적 변화로는 일상생활로의 자본주의의 침투 현상, 포스트 포디즘적인 생산방식으로의 변화, 관광산업의 세계화, 공간적 차별화를 위한 새로운 관광공간의 창출 등에 대해 고찰했다. 관광의 문화적 변화로는 시ㆍ공간 감각의 변화, 경계의 붕괴현상, 일상 생활의 가속화, 향수풍조, 역사의식의 소멸 현상 등을 고찰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더니즘과는 다른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관광이 내포하고 있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구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ostmodernism on Tourism through the Postmodernism theory(discussion about the general relation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social background of Postmodernism. The changes of economic area of tourism are the production method of Post-fordism, the globalization of tourism industry, the new creation of tourism space for differentiation and heterogeneity and the rapid capitalist penetration into everyday life. The changes of cultural area of tourism are the change of sense in the time and space, collapse of barriers, accentuating volatility and ephemerality and the prevalence of nostalgia, disappearance of historical conscious. In the end, this study argue about the social meaning of postmodern tourism.

      • KCI등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비교연구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3

        러시아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소비에트 시기라는 역사적 특이성 때문에 서구에서 논의하는 문예사조의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모더니즘의 특징이 하나의 통합적인 이상을 정립하려는 유토피아적 시도였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이상이 해체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측면에서는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변화 발전해야 할 기간의 중간 시기를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정치성 강한 문예사조가 지배했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그 자체로 또한 일률적인 이상향을 소비에트 국가체제 전체에 주입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소비에트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현대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억압적이고 기만적인 사회에 대한 조롱과 함께 모더니즘과 그 이전 시기의 역사적, 문학적 전통을 재발견하여 계승하는 것은 물론 모방하고 변형하여 재창조 한다. 문학적 기법은 물론 주제와 소재에서도 이러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여러 측면에서 모더니즘의 직접적인 패러디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시기를 대칭점으로 설정하고 그 이전 이 모더니즘의 시기이며 이후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라면 러시아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전의 양면이며 러시아 현대문학이라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두 축이다. 본고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성격 중에서도 모더니즘적 지향성의 패러디이자 현실의 패러디로서의 측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역사적 흐름이라는 하나의 큰 틀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In Russian literatur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resent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counterparts because of one major historica uniqueness: the Soviet period. The common feature that Russian literary trends share with their Wester counterparts is that Modernism was a rather utopian attempt to find and confirm a synthetic, unilateral ideal, while Postmodernism shows the deconstruction of such an ideal. However, in the case of Russia, the period in which Modernism should have changed and developed freely into Postmodernism was ruled by the very political and ideological Socialist Realism, which was itself an attempt to impost a unilateral utopian ideal upon the entire Soviet Union and its system. Therefore Russian Postmodernism, which began to manifest itself in the late Soviet period, shows the tendency to ridicule the oppressive and deceptive society and attempts to re-discover the previous literary and cultural traditions, succeed them, mimic, modify and re-create them. One can find these links between Postmodernism and its predecessors not only in terms of literary techniques but also in themes and subjects. In general Russian Postmodernism appears as a parody of Modernism in many respects. One may posit that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on either side of the same coin, composing a whole that is modern Russian literature, with Socialist Realist period in the middl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examine Postmodernism as a parody of the Modernist tendencies and a parody of reality and history, and ultimately to consider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s one entirety under the greater rubric of modern Russian history.

      • 21세기 서양미학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시론 1

        김종기(Kim, Chongki)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포스트모더니즘이 동시대의 여러 문학 및 예술 현상을 지칭하는 가장 포괄적인 준거로서, 또한 이와 아울러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가 그 사상적·철학적 바탕으로 이해되어 온지도 오랜 시간이 지났다. 보편적 진리 및 총체적 역사 인식을 부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인식론과 존재론적 관점은 다원주의의 용인, 차이의 수용 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통해 더욱 확대되어가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교정하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전망을 주지 못한다. 그 결과 초국적 자본은 전 세계를 점령하였고, 전 세계에서 소수에게 더 많은 부가 독점되는 상황이 가중되고 있다. 이것은 예술 분야에서 예술이 인간 삶과 분리된 채 인간의 더 나은 삶과 미래에 대해 어떠한 전망을 제시해 주지 못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인한다 할 것이다. 이 글은 모더니즘에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현대 예술 또는 동시대의 예술 및 미학의 흐름을 개괄한 후, 우리가 찾아나가야 할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미학, 나아가 동시대의 예술의 방향을 ‘시론(試論)’의 한계 내에서 제한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과정 및 이들의 삶과 예술에 대한 관점과 전망을 되짚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의 대부분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를 전망하기 위해서 그 준비 작업으로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흐름을 간명하게 요약하여 정리하는 것에 할애되어 있다. 그리고 <결론>의 자리를 빌려 선언적 차원에서 간략하고 제한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방향성을 전망해 보고 있다.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시각이 부재한 채 진행되는 (실재와의 연관성을 상실한) 시뮬라크르의 끊임없는 반복적 재생산은 단순히 소비자본주의에 투항한 무기력한 개인들의 자기 복제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문제는 시뮬라크르 속에서 가려진 실재를 찾고자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에 대한 고민은 실재를 다시 회복하는 것과 연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이때 우리는 본질주의 및 고정된 실체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및 포스트구조주의의 비판을 고려하면서 보편성과 진리의 문제를 다시 사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관 비교 연구

        배정혜(Bae Junh-hye),정석환(Chung Seok-hwa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본 연구는 현대 유아교육 사조의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포스트모더니즘이 한국과 미국에 수용된 절차와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실제에 유용한 사상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미국 유아교육에 끼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자 논의의 준거이다. 둘째,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수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유아교육사상에 끼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의 수용이 비록 개념적으로 동일한 맥락이지만,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이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보다 더욱 체계인 수용과 적용을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유아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원리를 잘 적용시켜 다양한 유아의 개별적 상황과 인종 간의 차이, 성별에 의한 차이 등을 배려하고 인정하는 하나의 교육사상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 연구들은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개념과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 연구는 혁명적 방향의 전환이 요구된다. 후속 하는 연구에서 한국 유아교육의 상황을 엄격하게 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적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nd to seek for the mean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its results. First of a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post-modernism and the ide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US. Second of a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post-modernism and the ide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outh Korea. Finally, compare the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came out as follows: a denial of meta-narrative was one of the things that South Korea and the US had in common on the recognition of the postmodernism. Consequently, it denies common purpose as well as the temperament of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eric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at the post-modernism led pract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ertain directions but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problems in practical appli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accommodate American way of applying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as a new obj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초국적 기업의 문화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신항식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9

        포스트모더니즘은 표현과 사물의 정체성을 거부하고 차이를 강조했다. 그러나 차이는 개성, 독창성, 자아가 아니라, 사전과 같은 체계를 만드는 도구에 불과한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차이를 평등하게 인정하여 표준화함으로써 최고의 차이를 지닌 소수권력이 세계를 장악하도록 유도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뿌리는 근대를 이성의 횡포라고 비난한 프랑크푸르트학파에게 있다. 비이성성을 극복할 새로운 이성을 찾는다면서 언어, 성, 의식의 질서를 파괴하고 유일신적 추상화, 메시아주의를 그 위로 덧씌웠다. 이는 기업의 마케팅인 구체적인 현실의 증권화 혹은 화폐화, 그리고 세계화를 대변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어를 장난으로 취급하여 합리적 소통을 무너뜨렸으며 남녀노소의 차이를 지워 냄으로써 자유교환의 소비사회를 대변했다. 더 나아가 인간의 신체와 정신의 비연속성을 강조함으로써 바이오-나노 공학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했다. 이데올로기의 홍보역할자로서 대학과 기업미디어는 근대의 합리성, 인권, 자유, 평등, 행복의 개념을 개인의 소비와 환상의 욕망 안에 쓸어 넣었다. 그 속에서 개인은 자질구레한 권리찾기를 일반화했다. 이는 기업적 기준에서 만들어진 욕망과 권리였다. 초국적 기업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도구삼아 인간표준화의 지평으로 달려왔던 것이다. Rejecting the identity between objects and representations, the postmodernism destroyed intentionally linguistic, sexual and human relationships in behalf of producing differences. But their philosophy of difference returned to its systemic origin of judgement and hierarchy. The origin of the postmodern culture may find in the Frankfurt School's thought which had treated the Western culture as violence of the reason. But their reaction against modernism and in particular against language, sex and conscience were based on the Judaism's doctrines: the one God and the Messiah. These can be interpreted of an capitalist abstraction of the reality and futurologic project of management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is would seem to make another thing clear at once; the postmodernism was a kind of capitalist practices. The postmodern subversive styles of linguistic and sexual representations are became normal for the generation which arrives at the gate in the 1990s. But its culture of difference fell down into more rigid and wider hierarchy of evaluation in all forms of society. Universities and the media, two major centers postmodernism, are participating to the bio-nano technological industry in 21th century, effacement of boundaries of the distinction among everything. Desire of consumption, by which postmodernisms have been fascinated for human rights, freedom, equality, happiness became today human prison house of language alongside with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던론 연구

        김현식(Hyun-Sik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2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한, 프레드릭 제임슨의 영향력은 결코 무시될 수 없다. 마치 E.H. 카아의 말, 곧 “현재와 과거의 대화”가 역사란 무엇인가의 정답으로 종종 인용되듯이,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 논리”라는 제임슨의 명제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으로 즐겨 인용된다. 그러나 후기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문화 논리란 또 무엇인가. 그리고 왜 제임슨은 이러한 명제를 주장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을까. 본 논문의 목적은 단일하다.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제임슨의 다양한 글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 대한 “지도”를 그려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제임슨의 “인식적 지도 그리기”개념의 의미와 중요성 등이 탐구될 것이며, 제임슨의 양의적인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이 중점적으로 고구될 것이다. 그리하여 인식적 지도그리기란 주체적 인간과 객관적 상황의 다양한 연관양상을 통해 특정한 시대의 굴곡과 부침(浮沈)을 세부적으로 잡아냄으로써, 그 시대의 (인식 불가능해 보이는) 윤곽과 지형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임이 입증될 것이다. 아울러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이란 후기 자본주의가 토대로서 확고히 자리 잡은 시대를 지칭하는 개념이면서, 동시에 후기 자본주의라는 물적 환경에 의해 조건 지워진 사회의 전반적인 모습을 총체적으로 규정하는 개념이기도 한 것임이 증명될 것이다. 이어 패스티쉬와 노스탤지어 등의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임슨이 생각한 포스트모던 시대의 주된 특징이 무엇인지가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리고 다국적 자본의 전 지구적 침식으로 인해 생겨난 문제점들을 그가 어떻게 해결하고자 시도했는지가 구명될 것이며, 끝으로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단점과 장점 등이 고찰될 것이다. Needless to say, Fredric James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s on today's postmodernism.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oroughly expou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redric Jameson's concept of postmodernism. In other words, critically articulating the peculiarities, the limit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Jameson's postmodernism is the main theme. For this, by examining his various works on postmodernism as well as films such as The Cultural Turn, Postmodernism, Signatures of the Visible, The Geopolitical Aesthetic, his attempt for 'cognitive mapping' of postmodernism will be deeply analyzed and criticized. And, as a result, the arguments revolving on his usage of postmodernism as a periodization concept and a cultural logic of the late capitalism, his characterization of the postmodern age as the world of pastiche, and his longings for genuine culture which can resist the logic of capital will be suggest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 공연예술 분석 -사이먼 맥버니(Simon McBurney)의 <인카운터(Encounter)>(2015)를 중심으로-

        정다은 한국드라마학회 2023 드라마연구 Vol.- No.70

        The movement of postmodernism, considered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from the 1960s, began to slow down in the 1990s. This weakening of postmodernism raises the question of what will be next after postmodernism. This study refers to such postmodernism as Beyond- Postmodernism, and confirms the characteristics of Beyond-Postmodernism through analysis of performing arts activities. In this study, this is analyzed through the work of Complicité, a representative theater company that has been active from the 80s to the present.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the culture of Beyond-Postmodernism in the 21st century expresses the tim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ways from postmodernism. Through the analysis of <Encounter>, this study finds six characteristics of Beyond-Postmodernism: 1) identity exploration, 2) truth exploration, 3) spiritualism, 4) trust, cooperation, reconstruction, 5)neo- realism, and 6)the use of computers, the Internet, and mass media. 1960년대부터 문화와 예술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으로 여겨진 포스트모더니즘 의 움직임은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주춤하기 시작한다. 이 같은 포스트모더니 즘의 약화는, 포스트모더니즘 그 다음은 무엇일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를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지칭하 며,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공연예술 활동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80년대부터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극단 컴플 리시테(Complicité)의 작품 <인카운터>를 통해 이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문화예술 분석을 통해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비욘드-포스 트모더니즘의 문화가 포스트모더니즘과 어떻게 다른 방향과 방법으로 시대를 표현해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카운터>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1) ‘정체성 탐구’, 2)‘진실탐구’, 3)‘영성주의’, 4)‘신뢰, 협력, 재구축’, 5)‘신사실주의’, 6)‘컴퓨터와 인터넷 매스미디어의 활용’이라는 6가지 비욘드-포스트모더니즘 의 특성을 발견한다.

      • KCI등재

        모더니즘 공간과 포스트모더니즘 공간을 넘어서

        박영욱(Youngwook Park)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0

        포스트모더니즘 공간은 모더니즘 공간의 획일성으로부터 벗어나 다양성과 이질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모더니즘 공간은 근대의 도시 혹은 모더니즘 건축에서 드러나듯이, 투명성을 지향하는 공간이다. 이때 투명성은 러스킨이나 르코르뷔지에가 생각하는 구조적, 기능적 투명성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치안과 위생 등의 계몽주의적 이상을 미학적 차원에서 구현하고자 한 시각적 차원에서의 투명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트 건축가들이 보기에 모더니즘 건축은 기능을 위해서 사실상 장식을 포기함으로써 획일성에 빠지게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은 장식성, 해체, 특이성, 낭비 등의 전략을 통해서 모더니즘 건축의 획일성을 탈피하려하지만 다양성과 특이성이라는 그들의 목표와 달리 도시공간의 획일화라는 모더니즘의 모순을 반복할 뿐이다. 마크 오제가 포스트모더니즘 공간을‘ 포스트’(탈) 모더니즘 공간이 아닌‘ 슈퍼’(초) 모더니즘으로 명명한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포스트모더니즘 공간은 인위적인 획일성을 벗어나 현실의 이질성과 특이성, 다양성을 재현하고자 하지만 모더니즘 공간처럼 애초에 인류학적인 차원이 배제됨으로써 오히려‘ 언캐니’한 공간을 창출할 따름이다. Post-modernist space pursues the multiplicity and heterogeneity beyond the homogeneity in the modernist space. The modernist space, as shown in the modernist architecture, is a space that pursues ‘transparency’. ‘Transparency’ means functional transparency and visual transparency simultaneously. It is revealed in Le Corbusier’s belief that the aesthetic elements correspond to their functions. But to the eyes of post-modernist architects, modernist architecture gives up on decoration as a matter of fact for its functions and bound to fall in the trap of uniformity. In opposition to the modernist architects, the post-modernist architects deliberately focuses on the disjunction, asymmetry and wasteful decorations. But ironically the post-modernist architects pursuing multiplicity and heterogeneity produce homogenous space such as post-modern cities all over the world. It is because the post-modernist architects just like the modernist architects understand the space simply as an abstract space deprived of the anthropological dimensions. As a result, post-modern space appears as an ‘uncanny’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