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증사고 완화를 통한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 패널자료 분석

        최석환,강만수,김학진,손희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is study explores which factors influence guarantee accident in the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nd ways to vitalize common people economy through shaving off bankruptcy of common people. Methodology to analyze is panel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of Korean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ndations, Statistics Korea and the Bank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basic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ausman test to select the optimal model among PLS model, fixed effects model and random effects model ,and fixed effects model is optimal in the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gross domestic savings rate and regional amount of imports and export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and house price inflation ha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promotes the real estate market is stabilized and should enable increased savings and local import and export. This study explores which factors influence guarantee accident in the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nd ways to vitalize common people economy through shaving off bankruptcy of common people. Methodology to analyze is panel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of Korean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ndations, Statistics Korea and the Bank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basic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ausman test to select the optimal model among PLS model, fixed effects model and random effects model ,and fixed effects model is optimal in the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gross domestic savings rate and regional amount of imports and export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and house price inflation ha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promotes the real estate market is stabilized and should enable increased savings and local import and export. 본 연구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서민들의 사업 부도를 낮춰 서민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중앙회, 통계청, 한국은행 등 세 기관의 자료를 패널(panel) 자료로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에 앞서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LS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최적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총 저축률과 지역별 수출입금액은 보증사고율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상승률은 보증사고율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보증사고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저축률 증대 및 지역별 수출입을 활성화시켜야한다. 본 연구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서민들의 사업 부도를 낮춰 서민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중앙회, 통계청, 한국은행 등 세 기관의 자료를 패널(panel) 자료로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에 앞서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LS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최적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총 저축률과 지역별 수출입금액은 보증사고율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상승률은 보증사고율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보증사고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저축률 증대 및 지역별 수출입을 활성화시켜야한다. 본 연구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서민들의 사업 부도를 낮춰 서민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중앙회, 통계청, 한국은행 등 세 기관의 자료를 패널(panel) 자료로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에 앞서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LS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최적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총 저축률과 지역별 수출입금액은 보증사고율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상승률은 보증사고율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보증사고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저축률 증대 및 지역별 수출입을 활성화시켜야한다.

      • 패널고정효과모형과 공간가중회귀 모형을 사용한 주택 가격 예측 모형 설계

        박진홍(Jinhong Park),최진무(Jinmu Cho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6

        이 연구는 주택가격예측의 혼합 모형을 설계하여 다양한 접근으로 공간예측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먼저 주택 가격을 설명하는 다변량 요인들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패널데이터로 자료를 수집, 구축하였고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패널 개체의 시간 불변한 요인이 설명변수에 주는 내생성을 제거하고 보다 강건하고 불편향된 효율적 추정량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가중회귀(GWR)를 사용하여 각 설명변수가 공간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잔차의 불균등항을 해결한 추정계수를 얻고자 하였다. 곧 일반선형모형이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면서 횡단면, 종단면 자료의 복합적인 특성을 여러 다변량 모형으로 주택가격을 설명하여 변수들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시간불변 설명변수가 포함된 기업재무 패널 분석

        권세훈(Se-Hoon Kwon),한상범(Sang-Buhm Hah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4

        기업재무 연구는 자료의 특성상 패널 회귀분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패널분석 방법은 설명변수가 오차항 및 개별효과와 어떤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가지는가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한편 하우스만 검정을 통과하지 못하여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는 경우, 시간불변(time invariant) 또는 시간변동성이 매우 적은(slow changing) 설명변수의 계수는 추정이 불가능하거나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재무 패널 논문들이 시간불변 설명변수에 관련된 분석을 아예 생략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우회적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시간불변 설명변수를 포함하는 패널 회귀분석시, 하우스만 검정을 통과하지 못해 확률효과 모형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시간불변 설명변수의 회귀계수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바르게 추정하는 확률효과-도구변수(RE-IV) 방법론의 일종인 하우스만-테일러 도구변수(HT-IV) 모형을 소개한다. 그리고 패널자료를 이용한 국내 기업재무 연구 중 최근 논문들을 개관하고 방법론 측면에서, 특별히 시간불변 설명변수와 관련된 분석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예시를 위해, 국내 상장회사 자본구조에 대한 패널 분석을 실시하고, 각 방법론에 따른 추정결과들을 비교 해석한다. We criticize the panel methods which are used in many Korean corporate finance researches. They usually mis-specify the correlation structure of explanatory variables, the error terms, and the unobservable individual effect terms. Especially some papers did not properly deal with the time-invariant or the effects of very slow changing explanatory variables. We review the panel methods that could be adopted to deal with these problems. Especially we suggest the Hausman-Talyor IV(instrumental variable) method could properly deal with the time-invariant variable problem. Lastly we select one paper as a case and analyze its methodology and propose an alternative methodology which is more desirable. In addition, we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alternative methods and provide the corporate financial and econometric interpretations.

      •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4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Vol.2014 No.20

        최근 나라 안팎에서는 임금 불평등을 완화하고 소득주도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최저임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최저임금의 부정적 고용효과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실증분석 결과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 중고교 교과서는 여전히 최저임금의 부정적 고용효과를 가르치고 있고, 일부 언론에서는 기회 있을 때마다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담론을 퍼뜨리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론과 실증분석 두 측면에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본 뒤, OECD 25개 회원국(1990~2012년)과 한국의 16개 시도(2000~2013년)에서 최저임금의 고용효과를 추정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회원국에서 최저임금의 고용효과를 통상적인 패널분석 모형(임의효과 모형, 고정효과 모형)으로 추정하면, 최저임금이 전체 고용과 고령자 고용에 미친 부정적 영향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청년 고용과 여성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동태적 패널분석 모형(차분 GMM 모형, 시스템 GMM 모형)으로 추정하면, 최저임금이 전체 고용과 고령자 고용, 청년 고용과 여성 고용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 발견되지 않는다. 둘째, 한국에서는 통상적인 패널분석 모형을 사용하든 동태적 패널분석 모형을 사용하든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분석대상을 전체 고용으로 하던 청년, 고령자, 여성고용으로 하던 마찬가지다. When I estimate the employment effects of minimum wages in OECD member countries by using ordinary panel analysis models(random effect model & fixed effect model),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of the whole population and the aged are not found, while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of youth and women are found. However, if I estimate them by using dynamic panel analysis models(difference GMM model, system GMM model),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 aged, youth and women are not found. When it comes to the Republic of Korea, regardless of the methodology such as ordinary panel analysis models or dynamic panel analysis model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 employment are not found. That is to say,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 employ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 aged, youth and women are not found in Korea.

      • KCI등재

        시간효과를 반영한 통행발생모형 개발

        김상록,김진희,김형진,정진혁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1

        This research introduces a trip generation model reflecting time-series effects derived from a panel analysis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household trip surveys conducted in 1996, 2002 and 2006. The existing methods are unable to reflect time-series effects from the change of socioeconomic conditions because the parameters applied to the model were basically from the base year of study - the parameter values were unchanged. This study proposes a new trip generation model developed through a panel analysis perform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last three national household trip survey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chool trips increases and that the number of shopping trips decreases as time p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ime-series effects affecting in trip generation. 우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경제 구조, 생활양식 등 여러 요소가 변하면서 사람들의 통행목적과 통행행태도변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통행발생모형은 장래 수요예측 시 기준연도에 추정된 parameter 값이 장래에도 동일하기때문에 시간과 통행행태의 변화를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간변화를반영한 통행발생모형을 개발하였다. 가구통행실태조사는 특정 시점의 통행특성을 조사한 횡단면 자료이지만 그동안의 3번의 조사를 통해 시계열적 측면이 보완되었고,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여 행정동을 기준으로 OD를 구축하기 때문에 이를 하나의 패널로 설정하여 패널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조사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및 전수화 OD, 각 기준연도의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패널분석을 통해 통행발생모형을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유의한 시간효과가 나타났다. 학원통행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인구당통행발생량이 증가하는 시간효과의 패턴이 나타났고, 쇼핑통행의 경우에는 감소하는 시간효과의 패턴이 나타났다.

      • KCI등재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사업다각화와 기업가치의 영향관계 분석

        김병곤 한국금융공학회 2004 금융공학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277개 개별기업, 5개년 시계열을 갖는 균형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사업다각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실증결과에 의하면, 첫째, 다각화수준과 기업가치간에는 비선형관계가 존재하고, 다각화수준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다각화수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베리-허핀달지수 0.3이하수준에서는 사업다각화의 진전이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0.3~0.6수준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커져서 기업가치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베리-허핀달지수 0.6이상 과도하게 다각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시 부정적인 효과가 커져서 기업가치의 하락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료가 가지고 있는 횡단면-시계열자료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분석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분석결과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LS나 확률효과 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다각화와 기업가치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다각화와 기업가치간에는 3차형 비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 있어서 횡단면-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경우 방법론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패널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아파트 가격 관련 변수의 영향력 분석

        박진홍(Jinhong Park),최진무(Jinmu Choi)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5

        한국 주택시장의 특성은 아파트 가격의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아파트 가격을 설명하는 다변량 요인은 크게 인구사회변수와 인근 입지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일부 변수의 효과에만 제한적인 관심을 두거나 특정 지역만을 한정하여 분석하고 있어서, 전국 범위의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파트 가격을 결정하는 변수들의 정확한 영향력과 관계를 밝혀내고자 전국 범위의 패널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고정효과모형(FE)을 사용하여 지역 단위 패널 개체에 대한 시간 불변의 요인이 설명변수에 주는 내생성을 배제하고 추정계수를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시화율 구분에 따라 아파트 가격을 설명하는 변수들의 효과가 상당히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도시 지역에는 인구사회 및 거주 특성과 사업체 수 변수가 유의한 효과를 보인다. 반면, 중소도시와 비도시에서는 직업유형 변수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Korean housing market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prices. Multivariate factors that explain apartment pric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nearby location variables. However, prior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the effects of some variables or analyzed only for specific regions. Therefore, comprehensive analysis at the national level is necessary. This study collected panel data across the country in order to find out the exact relationship and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that determine apartment prices, and tried to obtain an estimation coefficient excluding the endogenous factors given to explanatory variables by time-invariant factors of regional unit panel ent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evels of urbanization. Specifically,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residential, and business number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strong at metropolitan area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job type ratio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strong at sub-urban cities and rural areas.

      • KCI등재

        청소년의 봉사 활동과 공동체 의식

        김성훈(Kim, Sungh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봉사 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 코호트 2-4차 연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패널분석이다. 이 분석방법은 청소년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변화하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 곧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 활동 경험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봉사 활동 경험과 마찬가지로 봉사 활동의 형식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봉사 활동 시간은 공동체 의식의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청소년의 봉사 활동이 충분히 내실 있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다는 점을 함축한다. 둘째, 봉사 활동의 질적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봉사 활동 만족도와 봉사 활동 동기는 공동체 의식의 변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봉사 활동 만족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타적 동기로 한 봉사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비해, 성적 때문에 한 봉사 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사 활동을 실시하려 할 때는, 봉사 활동 만족도를 높이고, 이타적 동기를 강화하며, 성적을 얻으려는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봉사 활동을 준비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2nd-4th waves of the 7th grade cohort of the Korea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dataset. The method of analysis was panel data analysis using two-way fixed effects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enhances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However, the hours of volunteering, regarded as another formal aspect of volunteering, does not by itself increase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implies that the contents of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remain under-developed. Second,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and motives of volunteering, which can be related to substantive aspects of volunteering, affect their sense of community.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increases their sense of community. Altruistic volunteering increases their sense of community, however volunteering to get better grades tends to decrease their sense of community. When one tries to set up volunteering services and activities to increas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e needs to prepare volunteering services that can increase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reinforce altruistic motives, and reduce the motives of getting better grades.

      • KCI우수등재

        근로조건 없는 소득의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승주(Lee Seung Ju)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6

        기본소득제도 도입으로 인해 노동유인을 감소시키는 소득효과가 크게 발생할 경우 경제 전반의 생산성 하락으로 인한 경제 위축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 결과 재정 불안정성으로 인한 복지 축소로 도리어 사회 양극화 및 소득분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소득의 성격 중 노동공급효과와 관련이 큰 비노동급부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노동의 반대급부로 제공되는 소득이 아닌 비근로소득이 노동공급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할 것인가와 만약 영향을 준다면 그 범위와 방향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향후 기본소득제도가 도입될 경우 과연 수급자의 근로유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 1~18차 개인 및 가구자료를 활용하여 고정효과모형으로 패널데이터 분석을 시행한 결과, 비근로소득은 근로시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탄력성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그 효과가 상당히 미미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함께 기본소득제도로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향후 제도 도입 시 효율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f the income effect becomes dominant once the basic income comes into play, it will act as a disincentive to work. Subsequently, this will lead to hampering economic growth due to loss of productivity nationwide. As a result, the government cannot help cutting welfare spendings under tight budget constraints, which in turn can adversely affect social solidarity and distribution of wealth. In this ligh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basic income, one possible policy optio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for the current workfare scheme, will have an impact on work hours, and, if so, in which direction and to what extent it will influence work incentive of the recipients. Since no data related to the basic income itself is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this study rather focuses on the “non-labor required”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income, thereby substituting it with a combination of various non-labor incomes which have as similar “nolabor-strings-attached” and “continuously provided” characteristics as possible. Then using the individual and household-level merged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sets, fixed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non-labor income has a negative effect on working hours. However, the overall effect was likely to be very marginal, compared to that of labor income. Based on the study, some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nd institutionalize the basic income in Korea.

      • KCI등재

        연금보험 가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오창수 ( Changsu Ouh ),박영준 ( Youngjoon Park ) 한국보험학회 2017 保險學會誌 Vol.1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정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연금보험 미가입 집단과 가입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금보험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금보험 가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모형, 고정효과 패널로지스틱모형, 확률효과 패널로지스틱모형을 적용하였다. Hausman검정을 실시한 결과 고정효과 패널로지스틱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효과 패널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하여 연금보험 가입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중간 정도의 연령일수록, 교육기간이 증가할수록, 가구원이 적을수록, 임금근로자가 아닐수록, 소득 및 부동산자산의 증가율이 높을수록, 퇴직급여 대상일수록, 보장성보험에 가입할수록, 저축성보험에 가입하지 않을수록 연금보험미가입 대비 가입의 오즈비가 1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후준비를 위한 시간 또는 금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베이비부머 등 중고령자와 가구원이 많은 저소득층의 연금보험 가입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on- annuity-insured group and annuity-insured group and analyze empirically the factors of affecting on signing up annuity insurance using financial panel data. In this study, logistic model, fixed-effect panel logistic model, and random-effects panel logistic model were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of affecting on signing up annuity insurance. The Hausman test showed that the fixed-effects panel logistic model was suitable. This study shows that the odds ratio of annuity insurance is over 1 with higher age, longer education period, fewer household member, more non-wage worker, higher income growth rate, higher real estate asset growth rate, more retirement benefits hold, more coverage insurance hold and less savings insurance ho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support signing up annuity insurance for elderly people such as baby boomers and the individuals whose incomes are low and whose family members are many, because these people have a relative shortage of time or financial allowance in preparing for ol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