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 및 토빗회귀분석을 활용한 경기도 국공립유치원의 상대적 운영효율성 분석

        이재무,조경서 육아정책연구소 2018 육아정책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경기도 내 6개 도시 272개 국공립유치원의 상대적 운영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 및 토빗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유치원으로 13개소 국공립유치원들이 선별되었고, 고양시에 주재한 유치원들이 분석대상 유치원들 중에서는 비교적 모범적이고 높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높은 효율치를 보인 국공립유치원들은 교사 수가 많고 시설 크기나 예산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구가 많은 도시의 국공립유치원과 단설유치원의 운영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지역별 및 유치원 유형별로 상대적 효율성 수준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정을 거쳐 국공립유치원의 상대적 효율치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 수이며, 분석요인들의 조합은 안정적 상태임을 판별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ve managerial efficiency of 272 public kindergartens in 6cities in Gyeonggido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13 public kindergartens were selected as the most efficient public kindergartens.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Goyangsi showed relatively exemplary and high efficiency among the public kindergartens analyzed in this study. Public kindergartens identified as the most efficient were found to have a larger number of teachers, a smaller facility size and budget size. It was shown that the efficiency rates varied by locations and the types of public kindergartens whether they were affiliated or not affiliated with another school. For example, the efficiency of cities with high popula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ities.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teacher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relative efficiency of public kindergartens, and that the combination of analysis factors was stable.

      • KCI등재

        사립대학 경영효율성에 대한 연구- 자료포락분석과 토빗회귀분석을 중심으로-

        박영규,이영환 한국교육행정학회 2010 敎育行政學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사립대학을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DEA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경영효율성 분석 대상으로 충원, 취업, 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모두 합친 종합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원과 취업에서는 투입부분을 감소하여야 하지만 연구에서는 산출부분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과 함께 대학의 특성을 다양한 형태로 구분하여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DEA 정보를 활용한 벤치마킹의 전략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iciency of private university in korea. Using data envelop analysis method, this study provides that most university have efficient in their general efficiency. But in recruitment, job attainment and research efficiency, the university appear to be less efficient. Especially, universities have to decrease input parts in order to increase recruitment, job attainment efficiency while increase output parts to increase research efficiency. In addition DEA, this study look into efficiency according to university's characteristic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DEA 모형을 활용한 소매점포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 대형 아울렛 쇼핑몰 내 소매점포를 중심으로 -

        이욱재(Lee, UK Jae),서광채(Seo, Kwang Chae),구찬림(Koo, Chan Lim),정준호(Jeong, Jun Ho) 대한부동산학회 201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는 DEA 모형을 2016년~2018년 기간 동안의 대형 아울렛 쇼핑몰 내 소매점포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산출하고, 부동산의 입지에 따라 효율성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울렛 쇼핑몰의 토지종류에 따른 효율성과 아울렛 쇼핑몰이 소재하는 지역에 따른 효율성을 분석한다. 또한 비효율 점포에 대한 개선목표치를 제시하며, 토빗회귀분석을 통해 효 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의 입지요인을 분석한다. 효율성 산출 결과 산출지향 CCR 모형에서는 4개 점포, 산출지향 BCC 모형에서는 8개 점포가 효율적으로 나타났고 전체 점포에서 30% 점포만이 효율적인 점포임을 알 수 있었다. 토지의 종류에 따른 효율성은 공업지, 상업지, 주거지, 중심상업지, 기타 순으로 높았으며,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에 소재한 점포의 효 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토빗회귀분석을 통해 효율성의 원인 분석을 부동산의 입지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점포의 면적, 점포의 전면길이, 점포의 형태, 경쟁브랜드수 그리고 인구밀도가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pplies the DEA model to retail stores in the big outlet shopping malls for the period of 2016-2018 to calculate and analyzes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land type of outlet shopping mall and the location where the outlet shopping malls are located. It also presents the targets of improvement for inefficient stores and analyzes the locational factors of real estate that affect efficiency through a Tobit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efficiency, in the output-oriented CCR model and the BCC model, 4 stores and 8 stores were efficient respectively, and it was shown that only 30% of the stores were efficient among the whole stores. Efficiency based on the type of land is high in order of Industrial, commercial, residential, central commercial and other areas and the efficiency of the retails in non-metropolitan areas were higher than in metropolitan area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auses of efficiency through a Tobit regression analysis, elements affecting the efficiency were analyzed: the area, the full length, the type of store, and the number of competing brands, the population density.

      • KCI등재

        자전거 수단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진경(Park, Jin-Kyung),이준(Lee, J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2 No.3

        Non-motorized forms of transportation modes include bicycling and walking, low-carbon green modes, have advantages over both reducing environmental damage and improving public health. The characteristics of bicycle use are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ar and public transport use, with the former being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weather and the physical effort need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knowledge on mode choice models is not sufficient for developing bicycle policies. This paper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for influencing bicycle in order to underpin policies that encourage bicycling using Tobit regression model. The paper subdivides the determinants into four categories.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travel behavior: built environment. Second, we focus on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weather conditions and climate. Third, we consider determinants of composed of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gender, income, vehicle ownership and household structure. Forth, we discuss a few of aspects related to institutional and cultural factors. The main development of the model is described in detail.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 of bicycle infrastructure matters and potential bicycle users prefer separate bicycle lanes. Also, in contrast to motorized transport, cyclists consider rain to be most negative weather aspect. Lastly, the results show that not only the institutional will of local government to act but also perceived social norms are key factors affecting bicycle mode share.

      • KCI등재
      • KCI등재

        방송통신 관련 기업의 혁신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송통신 정책 및 규제의 영향 분석: 비모수 기법을 활용하여

        김창희 한국생산관리학회 2023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4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policy and regulatory system on the efficiency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irms using bootstrapp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tobit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innova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has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 efficiency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irms. And it is necessary to relax the regulation on autonomy of management for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irms. Furthermore, financial support is most important polic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irms.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송 통신 관련 기업들에 대한 혁신 효율성을 부트스트랩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여 측정한다. 이후 토빗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정부의 정책이나 규제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혁신 정책이 정부의 의도와는 다르게 반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영 자율성에 대한 규제의 완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정부 지원 제도 중 금융 지원이 가장 중요하며, 인력 지원과 인증 지원은 방송통신 산업의 특성에 맞추어 자생력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간선버스노선 효율성 평가

        한진석,김혜란,고승영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6

        서울시의 버스체계개편 시행 후 약 4년이 지난 현재 대중교통 이용승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의 재정부담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이에 서울시는 버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들을 수립할 계획이며, 이러한 정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버스수단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노선의 효율성 추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서울시 간선버스 노선의 자료와 DEA 모형의 하나인 BCC 모형을 이용하여 각 노선의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효율성 추정시 각 노선은 차량대수, 노선거리, 정류장개수, 배차간격, 운영비를 투입하여 승객수와 수익금을 산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투입지향 BCC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평가노선 18개 중 규모수익불변(CRS)인 노선은 총 2개이며, 나머지 16개 노선은 규모수익체증(IRS)인 노선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에 사용된 요소들이 효율성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현재 간선버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배차간격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presumes the efficiency of each route by utilizing data of Seoul’s exclusive bus routes for the 2008 and the DEA model. In the estimation,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profits of each route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buses and stops, travel distance, intervals and management cost. This study computed the efficiency scores of each bus line in Seoul based on the data for the first half of 2008 and one of the DEA models, namely the BCC model. After analysis using the input-oriented BCC model, out of a total of 18 lines of interest, there were 2 CRS lines and 16 IRS lines. Also,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that helps identify the impact of the elements used in the analysis on efficiency scores proved that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to exclusive buses is the length of intervals.

      • KCI등재

        가계 신용카드 채무의 결정요인 분석: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1

        이 연구는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가계 신용카드 채무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가계금융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종속변수는 가구원 1인당 균등화된 신용카드 채무였으며, 전체가 구와 소득계층별로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6.6%가 신용카드 채무를 보유하고 있었다. 둘째, 신용카드 채무를 보유한 소득1분위가구의 1인당 균등화된 신용카드 채무는 795만원, 2분위는 458만원, 3분위는 227만원, 4분위는 252만원, 5분위는 364만원이었으며, 참고로, 이를 소득에 반영할 경우 소득2분위에서는 34.0%, 3분위에서는 28.3%, 4분위에서는 34.5%, 5분위에서는 22.0%의 계층하락이 발생했다. 셋째, 신용카드 채무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 요인은 가구주의 연령(-), 교육수준(-), 가구규모(+), 이혼(+), 임시 일용직종 (+), 자영업종(+), 보험 대리 택배업종(+), 월세거주(+), 금융저축(-), 신용카드 이자상환비율(+)이었으며, 이들 중 일부의 영향력은 계층별로 상이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는 신용카드 채무가 저소득층의 빈곤유발 그리고 중산층 이상의 계층하락 요인임을 알려준다. 또한 향후 신용카드 채무관련 정책들이 보다 다양한 가구특성을 반영하고 계층별로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Using data collected in the 2010 Survey of Household Finance, this study conducted tobit regression analyses of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credit card debt, focusing on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ound 6.6% of the total households have credit card debts. Secondly, having any amount of credit card debts, the equivalenced credit card debt accedes 789 million won in the lowest, 458 million won in the second, 227 million won in the middle, 252 million in the fourth and 364 million won in the highest income quintile; moreover, if the credit card deb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households around 34.% from the second, 28.3% from the middle, 34.5% from the fourth and 22.0% from the highest income quintile fall down into lower income groups respectively. Thirdly, the level of credit card debt is influenced by the age(-), education level of the household head(-), the number of households(+), divorce(+), temporary or daily employee(+), self-employee(+), employees as an insurance agent, designated driver for hire or home delivery man(+), monthly rent(+), financial saving levels(-), and the level of credit card interest; however, many of these effect on credit card debts varies across income levels of househol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redit card debt is not only the determinant of poverty among the poor or low income household but also the determinant of class collapse among middle class or above.

      • KCI등재

        유해산출물을 고려한 서울시 간선버스노선의 효율성 평가

        한진석,김혜란,고승영 대한교통학회 2010 大韓交通學會誌 Vol.28 No.5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버스 서비스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선행연구에 비해 합리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유익·유해산출물을 모두 반영한 수정 BCC 모형을 이용하여 2009년 서울시 113개 간선버스노선의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보유비와 총 가동비, 중앙차로 정류장수 비율과 타노선과의 중복길이를 사용하여 유익산출물인 총 승객수와 서비스 만족도 점수, 그리고 유해산출물인 CO2 배출량을 산출하는 형태로 상정하였다. 분석결과 유해산출물을 함께 반영한 모형이 유익산출물만을 반영한 모형에 비해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간선버스노선은 총 보유비와 총 가동비, 그리고 타노선과의 중복길이를 평균적으로 약 10% 감소할 수 있으며, 중앙차로 정류장수 비율은 약 160%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보유비와 중앙차로 정류장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확보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of bus services and gain more reasonable analysis outputs, the authors evaluate the efficiency of 113 arterial bus routes in Seoul in 2009 using a modified BCC model considering not only desirable outputs but also undesirable outputs. Each Decision Making Unit (DMU) is assumed to use inputs such as possession costs, operating costs, the ratios of median bus stops overlapped route lengths to produce estimates of desirable outputs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service satisfaction score) and undesirable outputs (CO2 emis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dified BCC model considering both desirable outputs and undesirable outputs shows more appropriate results. DMUs would be more efficient on average to reduce nearly 10% of the 3 inputs (possession costs, operating costs, and overlapped route lengths) and increase by about 160% the ratios of median bus stops. Also, a Tobit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for maximum efficiency and discover that the variable of possession costs and the ratios of median bus sto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한부모의 유ㆍ무급 노동시간과 시간부족 인식이 자녀의 학습시간 및 컴퓨터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

        김현숙 ( Kim Hyeon Su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가족복지학 Vol.63 No.-

        이 연구는 한부모의 유ㆍ무급노동시간과 시간부족 인식이 자녀의 학교 밖 학습시간과 컴퓨터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생활시간조사에서 행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포함하는 전체 응답자의 행동별 평균시간과 모든 요일의 평균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량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STATA 13을 이용한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10세 이상의 아동ㆍ청소년과 부모로 구성된 한부모 504가구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의 학교 밖 학습시간의 영향요인은 한부모의 소득, 학력(대졸 이상), 직업(사무직), 가정관리시간, 자녀의 교급(중학생)이며, 이러한 요인은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 자녀의 컴퓨터이용시간의 영향요인은 한부모의 소득, 종사상 지위, 자녀 양육 시간, 한부모 자녀의 성별(남학생), 교급(중학생)이다. 한부모의 소득, 종사상 지위, 자녀 양육 시간은 부적으로, 한부모 자녀의 성별(남학생), 교급(중학생)은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 자녀의 방과후 생활시간이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aid work time, unpaid work time and perceived lack of time of single-parent on the out-of-school learning time and computer use time of the children with single-parent. This study analyzed Amount of Time Use Data(including the mean time of all respondents including the non - acted persons and the average time of all days) from the 2014 Korea Time Use Survey Data. Data were examined with Tobit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A 13. This study selected 504 single-parent families composed of children at 10 years of age or older and par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out-of-school learning time of single-parent children are income, education(College or higher), occupation(office workers), home management time of single-parent, and education(middle school) of single-parent children, thes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out-of-school learning time.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computer use time of single-parent children are income, employment status, parenting time of single-parent, and gender(boys), education(middle school) of single-parent children. The income, employment status, parenting time of single-parent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computer use time and gender(boys), education(middle school) of single-parent children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computer use time.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to make the after-school life time of children with single-parent positive in terms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