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 미국을 중심으로

        정옥희 ( Ok Hee Jeong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3 무용예술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를 거시사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1930년대 상업화된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된 이후 무용은 다양한 형식과 방법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주요 콘텐츠가 되어왔다. 텔레비전에서 무용이 재현되는 방식의 역사를 주요 전환점을 중심으로 재구성해보면 크게 상업성과 공영성의 가치가 교차적으로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텔레비전의 초기 단계부터 상업방송채널을 중심으로 춤의 오락적 가치가 소비되었다면, 1952년 미국교육방송(National Educational Television and Radio Center; NET)이 출범하고 1967년 공영방송법이 발효되어 공영방송이 활성화되면서 춤에 대한 교육적, 공영적 접근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이후 90년대 이후 케이블 TV를 중심으로 이른바 “리얼리티 TV” 프로그램들이 크게 유행하고 공영방송에서의 무용 프로그램들이 침체되면서 다시금 춤은 상업방송의 오락적 요소로 소비되는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변화의 역사는 간헐적으로 등장하는 무용 프로그램을 바라볼 수 있는 기초적 배경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무용 프로그램의 성격과 특징이 사회문화적 요인 및 제도적 변화에 따라 크게 영향받아 왔음을 일깨워준다. 국내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 편수, 다양성은 하나의 담론을 형성할 만큼 풍부하지 않다. 무용 및 다른 공연예술을 소개해온 < 예술의 광장(EBS, 1992-2004, 2007) >를 제외하고는 이렇다할 정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최근 유행하는 무용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역시 해외 프로그램의 포맷을 직수입하거나 변용시킨 것이라는 점에서 자생적 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은 본 연구가 국내 매스미디어 상의 무용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로 우선 미국의 사례를 종합하여 소개하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이 한국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역사와 다양한 포맷을 지닐 뿐 아니라 최근 한국에서도 유행하는 <댄싱 위드 더 스타>나 <갓 탈렌트> 등 무용을 주요 소재로 한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들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세계적으로 전파되었다는 점에서 미국의 사례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의 역사 속에서 무용을 비롯한 예술 장르는 텔레비전의 담론이 공영성과 상업성 중에서 어디로 치우치느냐에 영향받아 매우 다른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경우 상업성-공영성-상업성의 가치가 교차적으로 부각되는 변화를 거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러한 거시사적 틀거리는 현재 한국의 케이블 채널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리얼리티 무용 프로그램 현상에 대해 세계적, 역사적 맥락에서 위치지울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텔레비전에서의 무용 노출빈도의 증가가 무용관객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단순한 기대를 넘어 매스 미디어로서 텔레비전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무용 프로그램이 태생적으로 지닐 수 밖에 없는 딜레마에 대해 보다 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최근 리얼리티 무용 프로그램들이 텔레비전 초기 역사의 상업방송에서 무용을 재현해온 방식과 공유점이 많으면서도 차별화되는 지점을 정확히 짚어낼 때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소모적으로 반복되지 않고 풍부해질 수 있다는 점에 기초조사로서의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문학교육의 외연과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의 가능성

        류수열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이 연구는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여 텔레비전 리터러시의 교육적 의의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적 자장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의 장에서 텔레비전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락프로그램의 언어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은 주로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어적 전략의 산물이었거나 난삽한 언어 운용에 대한 규범적 교정에 치중했으나, 이제는 수용자의 능동성을 신뢰하면서 스스로 오락프로그램의 언어를 조망하면서 읽을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텔레비전의 각종 프로그램이 오락화되어 가고 있는 경향은 텔레비전 자체의 속성으로서, 오락프로그램은 그러한 전체적인 경향을 선도하고 있다. 텔레비전의 전반적인 오락화 경향으로 인해 오락프로그램의 언어가 지니는 문제점은 텔레비전 언어 일반의 차원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오락프로그램의 언어가 지닌 문화적 의미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이라는 목표의 의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셋째, 판소리나 탈춤 등 전통 장르에 대해서는 미적인 평가의 준거를 적용하면서도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윤리적 준거만을 적용하는 것은 정당하지 못한 관습의 산물이다. 국어교육에서는 오락프로그램에 대해 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넷째, 제의의 오락성에 근원을 두고 있는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의 언어가 불순하고 불손하며, 비공식적이고 선정적이며, 세련되지 못한 것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수용자들로 하여금 오락프로그램의 언어의 속성을 이해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함양을 위해 이른바 '보기' 영역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언어 활동을 표피적으로 구분하고자 하는 의도의 소산이다. '읽기' 개념을 단순한 의미 파악을 넘어서는 통찰의 수준으로 확장한다면, 미디어 리터러시의 함양도 '읽기' 영역 안에서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inquiry the significance of television literacy centering around the language of entertainment program. For this, this essay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o develop television literacy in the area of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e of conceptual field of 'literacy'. The conclusion drawn from a series of discussion is as follows : First, the education of media literacy must be directed to improve learner's sight t o see and read the significance of entertainment program language. The traditional approach to media language concentering on defensive strategy t o minimize the evil influence and abnormal uses of language needs to be sublated. Seco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media literacy can be on the ground of cultural significance of entertainment program language. Because entertainment program guide the entertainment of the other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grow learner's knowledge and sight to response aesthetically to language of entertainment program, as we approach traditional performance genre, Talchum and Pansori with aesthetic standard. Fourth, the audience of entertainment program is to understand the attribute of entertainment language. This is not pure, courteous, informal, and refined because this language aims to attack and satire the dominant language. Fifth, It is not necessary to the area of 'viewing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conception of 'reading can be widened at the degree to cover the media literacy.

      • KCI등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 대중화: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안혜리 미술사학연구회 2016 美術史學報 Vol.- No.47

        In Western modern history,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nd art museums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photo technology that allowed image duplic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art through art education. In contrast, interest in the popularization of art in Korea was expressed by artists in relation to the Proletarian Arts Movement, but these artists also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art knowledge and art appreciation. In both Korean and Western c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opularization has been inseparable from art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al aspect. In a similar context, the study has examined potentialities of television broadcasting as today’s educational medium for popularization of art. It has also reviewed the schedule and duration, the contents and forms of domestic television art programs. Finally, the study analysed the problems of television art programs and suggested three tasks in terms of popularization of art. Firstly, more television art programs should be scheduled and quality programs should be allotted to the prime time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right of choice and accessibility. Secondly, the roles of television as an art teaching medium should be revisited. The television art programs with unilateral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abandoned, while the programs with reflective thinking for visual culture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Thirdly, television art programs should include topics to embrace audience with diverse background or multitude. 서구 근대사에 있어서 미술 대중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것은 공립학교와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이었고, 이미지 복제를 가능케 한 사진영상 기술은 미술교육을 통한 미술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반면, 국내에서의 미술 대중화에 대한 관심은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과의 관련성 속에서 미술가들에 의해 표출되었으며, 이들도 미술지식과 감상안 육성을 강조하였다. 국내외 사례 모두 교육적 측면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미술 대중화와 미술교육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그와 비슷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미술 대중화를 위한 교육매체로서 텔레비전 방송의 잠재력을 확인하였고, 국내 텔레비전 미술 프로그램 사례의 편성 시간과 기간, 내용 구성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대중화의 관점에서 텔레비전 미술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미술 대중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편성 수를 늘리고 양질의 프로그램을 주시청시간대에 편성하도록 노력함으로써 미술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선택권과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일방향의 정보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미술교육 매체로서의 텔레비전의 역할에 대해 재고해야 하며, 시각문화 환경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키워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중’으로서의 시청자의 다양한 특성과 배경을 고려하여 미술 프로그램의 주제를 발굴해야 한다.

      • KCI등재

        여행 프로그램의 서사구조와 의미 전달에 관한 연구

        함현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1

        Television media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viewers. In particular, the viewer’s reaction to information gathering on television is welcoming a variety of option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e and fulfillment. Focusing on the efficiency of use and fulfillment of viewers’ information gathering via tele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levis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o pay attention to the proliferation of travel programs, which are the subject of continuous interest. The peculiarity of the television travel program is spreading through other genres, beyond the existing form of travel and explanation. Characteristics of travel programs, includes observation type reality composition and format, form a direct consensus with the audience. In addition, the format of the infotainment travel program is added to form a common consensus with viewers through information and fun factors. The phenomenon where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travel program have changed has caused the phenomenon of commercialization of the destination introduced by the attempt of the viewer’s direct travel or the introduction of the television travel programs’populari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on of diffusion of travel programs as the interaction of space, place, and human triple relationship. 텔레비전 매체는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텔레비전의 정보수집과 관련된 시청자의 반응은 이용과 충족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선택권의 다양한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정보전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활용도의 측면에서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인 여행 프로그램의 확산에 주목하고자 한다. 텔레비전 여행 프로그램의 특수성은 기존의 기행과 설명의 구성 형식을 벗어나 다양한 장르의 접목을 통해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관찰형 리얼리티 구성과 형식을 통해서 전달하고 있는 여행프로그램의 특징은 수용자의 직접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더불어, 여행 프로그램의 인포테인먼트의 형식이 가미되어 정보와 재미적 요소를 통해서 시청자의 다양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로인한 여행 프로그램의 기능과 역할이 변모된 현상은 시청자의 직접적인 여행지에 대한 체험을 시도하거나, 텔레비전 여행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장소의 상품화가 유행하고 있는 현상을 자아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행 프로그램의 확산에 따른 현상을 공간, 장소, 인간의 삼중적 관계의 상호작용의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텔레비전 탈장르 프로그램의 제작과정 특성

        김상근(Sang-Ke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최근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 추세를 볼때 ‘퓨전’ 스타일의 탈장르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탈장르 현상은 당초 딱딱한 교양물을 오락적으로 재미있게 풀어가자는 취지로 생기게 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존의 오락 프로그램들에 대해 선정성ㆍ저질성 시비로 끊임없이 문제가 일자 그에 대한 대응적 돌파구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과정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탈장르 프로그램 제작과정의 독자성에 대한 이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제작기법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장르를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해 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제작형태의 변화는 오락 프로그램의 재미 개념을 확대하여 교양 프로그램의 정보적 내용을 재미의 소재로 확충시키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Nowadays, 'fusion style' television programs are increasingly found in the production of television program. Originally such a trend has been developed with a purpose of changing tedious cultural program into entertaining style. Recently, however, it has also become as an alternative style of genre which is against from lasciviousness or lewdness of entertaining program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production and theorize a producing process of the television genre-over program As a result of various aspects of research, it is found that recent producers who make genre-over program choose any kind of genre which is thought to be needed for their program, without any limitation in terms of methods or skills for specific genre. And with this change of concept for making programs, genre-over programs are newly defined as the entertaining programs, in which its entertaining function is widen and broaden, absorbing the informative function of cultural programs.

      • KCI등재후보

        텔레비전 오디션 프로그램의 모방 스토리텔링 - <내일은 미스터 트롯>을 중심으로

        우정인 ( Woo Jeong-in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1 한국문화기술 Vol.30 No.-

        채널 TV조선의 <내일은 미스터 트롯>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사회변화를 촉발하고, 특정 연령대에 집중되던 트로트 장르를 활성화시켰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대중매체로 대표되는 텔레비전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수용자의 특성과 상호관계에 있으며 프로그램 자체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분위기나 배경과 함께 결합되어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취향의 범위와 사회적 현상은 프로그램 제작의 주요 쟁점이 된다. 한 방송의 히트는 경제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모방 프로그램을 양산시키고, 여타 프로그램에까지 영향을 끼치며 동일한 성격의 프로그램들이 만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내일은 미스터 트롯>은 오디션 프로그램 스토리텔링이 가지고 있는 서바이벌 형식을 비롯하여 목적적 연령층, 출연자의 스토리와 특기의 부각, 심사위원의 역할부여 등 동질적 요소를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다. 모방은 일차적으로 어떠한 대상을 흉내 내는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인간은 모방을 통해 배우고 세대에 거쳐 전수되는 지식의 혜택을 입는다. 그러나 텔레비전의 효과가 수용자인 사회구성원들의 직접적인 모방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맞물려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모방으로 증식된 연속성은 ‘차이소멸’을 불러일으키고 결국 문화의 동일성으로까지 확대된다. 이는 대중사회가 동일한 스토리 안으로 흡수되어 개별적 특수 가치들이 소멸되는 양상을 낳는다. 모방으로 일어나는 경쟁 또한 진정한 가치가 아닌 비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게 됨으로써 사회구성원들이 가짜 가치의 지배를 받는 부정적 요소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대중의 피로감을 유발하고 미디어와 대중의 상호성이 부정적으로 전환되어 지불의 형태가 희생양의 형태로 역전될 가능성마저 초래한다. 오디션과 트로트 관련 프로그램의 만연을 계기로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토리텔링은 사회발전을 모색한다는 차원에서 심층적인 검증을 숙고하여야 할 때다. 모방은 “옳다”, “그르다”의 문제를 떠나, 인류가 가진 사회적인 산물이며 사회적 구조에서 누구나 고민하는 문제다. 그러므로 그 자체의 평가보다는 프로그램의 해석틀을 확장함으로써 영원히 동일한 것의 재생산이라는 폐쇄된 회로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융합적 계기로 진화하는 구심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Channel TV Chosun’s “Mr. Trot” is receiving encouraging reviews for its high ratings, triggering social changes and revitalizing the trot genre, which was concentrated in a certain age group. Television, represented by mass media, has an inter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ptor and does not only affect the program itself, but also combines it with a social atmosphere or background. Thus, the scope of taste and social phenomena are major issues in program production. Storytelling, an audition program including “Mr. Trot,” can find many homogeneous elements such as survival-style structure, purposeful age groups, highlighting the cast’s stories and talents, and the role of judges. The hit of one broadcast has led to the mass production of imitation programs centered on economic interests, and even influenced other programs, showing the prevalence of programs of the same nature. Imitation is primarily an imitation of an object, but fundamentally, humans benefit from knowledge that is learned through imitation and passed down generation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ffect of television does not only stay in direct imitation of the inmates, but also affect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identity in conjunction with society. Continuity multiplied by imitation causes ‘difference annihilation’ and eventually extends to cultural identity. This allows the mass society to absorb into the same story and dissipate individual special values. The imitation competition also involves negative factors that allow members of society to pursue non-true values, not real values, which are dominated by fake values. It also causes public fatigue and negative transitions of media and public reciprocity, leading to the possibility that the form of payment will be reversed in the form of scapegoats. With the spread of trot, it is time for television program storytelling to contemplate in-depth verification in order to seek social development. Imitation is a social product of mankind, regardless of the problem of “right” and “wrong,” and it is a problem that everyone agonizes over in the social structure. Thus, rather than its own evaluation, it should be the central point of evolving into a new convergence opportunity, rather than staying in a closed circuit of reproduction of the same thing forever.

      •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시청자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최진봉(Jinbong Choi) 동서언론학회 2006 동서언론 Vol.10 No.-

        본 연구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에 대한 시청자들의 이해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 하였다. 특히, 거브너(Gerbner)가 주장했던 계발 (또는 배양) 효과 이론(Cultivation Theory)에 대한 검증을 위해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에 대한 시청자들의 이해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측정,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미네소타주에 있는 베미지 주립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동성연애자들에 대한 가치관 형성에 텔레비전프로그램이 미친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표본 집단의 텔레비전 시청 습관과 동성애 케릭터가 출연하는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시청한 시청자와 시청 하지 않은 시청자들간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동성애 케릭터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청한 시청자들의 경우에는 동성애에 대한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즉, 텔레비전 시청 시간이 많고 텔레비전을 지속적으로 시청하는 시청자일수록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에 대한 인식에도 텔레비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거브너(Gerbner)가 주장했던 계발효과 이론이 아직까지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influence of television program on viewers’ understanding of controversial issues. Specifically, to test the cultivation theory proposed by George Gerbner,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television programs on viewers’ understanding of controversial issu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elevision program on viewers’ understanding, I surveyed 100 students at Bemidji State University. Through this survey,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elevision viewers are affected by the programs they view when they have little or no experience about the subjects they are viewing. The survey contained questions asking the participants about the viewing habits of a number of selected television programs that contained homosexual characters. The survey also asked the participants questions about their acceptance of homosexuals and if they supported the rights of those individuals. According to findings, television program has an effect on viewers’ understanding of controversial issues. Specifically, heavy viewers are more affected by television programs than light viewers.

      • KCI등재

        방송 프로그램 포맷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의 한계와 그 대안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4다49180 판결을 중심으로-

        육소영(Soyoung Yook)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61 No.-

        방송 프로그램 포맷에 대한 거래가 확대되어 포맷인정 및 보호협회(the Format Recognition and Protection Associ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도 포맷 사업의 규모는 93억 유로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처럼 방송 프로그램 포맷의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한 거래를 보장하기 위한 근간으로서 방송프로그램 포맷의 법적 보호가 요구되며, 그 소유자에게 독점적 재산권이 인정될 필요가 있다.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4다49180판결에서는 리얼리티 방송 프로그램을 편집저작물의 일종으로 이해하면서 리얼리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저작권보호를 인정하였다. 이 판결은 리얼리티 방송 프로그램이 드라마와 같은 다른 장르의 방송 프로그램과는 달리 포맷을 근간으로 하고 있고 그런 점에서 방송 프로그램 포맷에 대한 저작권을 인정한 판결로 인식되어졌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약식기획으로 정의되는 방송 프로그램 포맷은 저작권보호의 출발점인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을 적용할 때 아이디어에 해당하여 보호받기 어려운 것으로 인정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법원은 방송 프로그램의 포맷을 편집저작물로 이해하고 그 구성요소들과 구성요소들의 선택과 배열에 창작성이 있다면 저작물로 보호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대법원 판결이 방송 프로그램 포맷 산업이 확대되고 안정화되기 위한 근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할지라도 법적인 관점에서는 여전히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법 이외의 대안적 방법에 의한 보호가 필요하며 이 논문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포맷을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로 이해하고 2014년 부정경쟁방지법의 개정으로 추가된 부정경쟁행위의 일반조항인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항 카목의 적용을 제안해 본다. The scale of format industry reached 9,300,000,000 Euro in 2009 according to the Format Recognition and Protection Association. As transactions on television formats are expanding, the foundation of safe transaction is required and the legal protection and recognition of property right are demanded. The Korea Supreme Court decides that a reality television program is a kind of a compilation and can be protected under Copyright Act in 2017. Contrast with other kinds of television programs, this decision is about the reality program and is understood to recognize copyright protection for television formats. However, in defining a television format as a short plan or framework for programming,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does not protect the format as an idea. Nonetheless, the Korea Supreme Court shows its position that the television format is compilation and can be protected if the originality is found from its components or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The position of the Korea Supreme Court may be useful to expand and stabilize television format industry, but its position is heavily criticized from the legal perspective. Accordingly, the alternative way for television format protection is required. This paper understands a television format as the outcome achieved by other persons’ substantial investment or efforts and proposes protection under article 2, 1(k)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s the alternative.

      • KCI등재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인지적 요인

        유경한(Kyung Han You) 문화방송 2015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4

        케이블 종합편성채널의 등장과 더불어 뉴스, 엔터테인먼트와 결합된 혼종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장르들이 최근 급격한 관심과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에서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Satire TV)과 같은 혼종 엔터테인먼트의 정치사회적 효과에 대해 논의해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정치적 효과에 지나치게 주목한 나머지, 정작 이러한 프로그램 시청에 미치는 정서적·인지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혼종 프로그램 장르가 정서적 정보(affective information)를 제공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해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즐겨 보는 수용자들이 어떠한 심리적·인지적 동기와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요인이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엔터테인먼트 욕구, 감정적 정향, 타인의 관점 취하기의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우선 엔터테인먼트 충동성 욕구와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공감능력은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호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남성), 엔터테인먼트 욕구 중 충동성,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공감능력이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호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시청자들에게 의도하지 않은 정치적 정보습득과 참여의 기회를 줄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일정 부분 지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최근 종합편성채널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혼종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둘러싼 몇 가지 주요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ese days, blended programming in the form of political entertainment (satire) TV shows has risen in popularity led by cable television networks. In response to such popularity, media scholar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itical entertainment (satire) TV shows. However, while there is tremendous research exploring the role of such programming within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who and why watch such TV shows. Thu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ndividuals" affec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watch such TV shows.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sheds light on three factors: Need for entertainment, affective orientation and perspective-taking tendency. The findings showed that people who watch political entertainment (satire) TV shows reported greater need for entertainment (especially, need for drive) and perspective-taking tendencies than those who did not watch such TV show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lso confirmed that greater need for drive, and greater perspective-taking tendencies led to greater preference on these TV shows.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male viewers were more likely to watch these shows than female viewers.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예능 프로그램 자막의 조형적 분석

        강현옥 ( Kang Hyunoc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디지털 기술은 인간이 시간과 공간을 경험하고 인식하는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해체와 분화, 또는 융합 등을 통해 다양한 사고의 표현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특히 텔레비전 매체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의하여 자막을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프로그램의 자막 사용에서 많은 변화가 있는 것이 눈에 띤다. 텔레비전 자막이 글자 중심의 자막을 벗어나 그래픽, 도표, 각종 부호, 그림, 캐릭터 등의 다양한 가시적인 기호로 확장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막은 시청자와 프로그램 사이에 소통이 잘 되도록 하고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시청자들을 더욱 즐겁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자막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자막이 그 프로그램의 전체 서술구조를 좌우하고 시청자의 자율적 사고를 제한하고 획일화된 감정적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자막이 예능 프로그램에서 영상의 보조적 기능을 넘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시각적 구성요소임을 인식하고, 텔레비전 자막의 시각적 구조 유형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나타나는 조형적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 television is an audio-visual medium that delivers messages through sound and image. These days, subtitle on a television program comes in various visual formats such as graphics, charts, symbols, pictures and characters, in addition to words. The primary role of subtitle is not found in mere combination of words and phrases anymore. A subtitle can effectively deliver a message by combining words and phrases with other elements. In particular, for an entertainment program, a subtitle helps create a more enthusiastic and lively air, and therefore, it is more liberally used than in other programs. Sometimes, a subtitle can be even more effective than the images, and it can be independent in delivering information and entertaining the viewers. A subtitle does not merely provide assistance anymore; it has established its own boundary, and can be more power than images as an independent visual element on a television. If a subtitle for a TV program is simply laid out on the screen to convey a message, the essence of the message cannot be captur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viewers perceive and process images on the screen, in order to decide effective format and contents of a subtitle. In this research, visual types of subtitle for a television program are analyzed with focus on entertainment programs.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common elements of different subtitle types, and to suggest a desirable expression method for a subtitle as a visual communication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