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태도와 지적장애인의 취업성과와의 관계

        전금숙 ( Geum Suk Jeon ),김동주 ( Dong Joo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둔 부모태도와 취업성과와의 관계와 지적장애인의 취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지적장애인과 일반 사업체에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 800부를 배포하였고, 302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부모의 직업적 태도가 지적장애인 자녀의 취업여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부모태도와 심리적 태도와의 상관관계는 .747(p<0.01), 직업적 태도와는 .622(p<0.01)로 상당히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교육적 태도와 심리적 태도와의 상관관계는 -.230(p<0.01), 직업적 태도와는 -.302(p<0.01)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취업한 자녀의 부모태도와 취업성과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직업적 태도와 심리적 태도는 .423(p<0.01)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교육적 태도는 -.502(p<0.01)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근거로 지적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및 지적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한 바람직한 부모태도 관련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of the parents who bring up intellectually retarded persons and the employment outcomes as well as to find the effect the attitudes of their parents have on the employment outcomes. This study collected randomly the parents of intellectually retarded children who u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who had jobs at general companies, distributed 800 questionnaires, constructed, and used 302 sheets for analysis, selected from them. On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subjects this study, with SPSS 19, performed t-test, F-verification, ,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Parents` vocational attitudes had a correlation with wether intellectually retarded children were employed or not.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a total of parents` attitudes and psychological attitudes was .747(p<0.01),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t and vocational attitude was .622(p<0.01), quite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attitude and mental attitude was -.230(p<0.01),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t and vocational attitude was -.302(p<0.01), negative correlation.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s of parents of employed children and employment outcomes, the correlation between vocational correlation and mental attitude was .423 (p<0.01), high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correlation between vocational attitude and educational attitude was -.502(p<0.01), negative correlation. Parents` vocational attitudes had an effect positively on wether intellectually retarded children were employed or not and how their employment types were, but their educational attitudes had an effect on children`s employments negatively.

      • KCI등재

        정당 태도갈등이 투표행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

        정한울(Han-wool Jeong)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18대, 19대 총선패널조사 데이터(KEPS 2008, 2012)를 활용하여 투표결정시기의 지연, 선거 기간 내 투표선호의 교체, 선거 간 투표선호의 교체, 분할투표 등 투표행태 변동에 정당에 대한 태도갈등이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다차원-상충성 태도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의 거대 양당에 대한 정당태도를“상극적 정당태도층”,“일극적 정당태도층”,“상충적 태도갈등층”,“전통적 태도갈등층”으로 분류하여 상관관계 및 선형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 계층에서 상극적 정당태도는 감소하고 정당태도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배경변인과 정당 지지, 이념 등의 정치적 변인을 통제한 조건에서도 투표결정시기의 지연, 선거기간 내에서의 스윙투표, 선거 간 스윙투표를 설명하는 변수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태도갈등이 분할투표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san attitude conflict” towards volatility in Korean voting behaviors in the 18th and 19th general elections. Using the “cross-dimensional ambivalence” model for measuring partisan attitude conflict, the empirical tests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attitude conflict provided some robust findings. Firstly, the partisan attitude conflict among Korean voters has been rising. Secondly, it played significant role in late-deciding voting and inconsistent voting behaviors within and between the elections, but not in split voting.

      •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희(Kim Kyung Hee)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4 인권복지연구 Vol.- No.15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부모양육태도와 개인적 특성간의 관계는 부모양육태도 유형을 애정적태도, 적대적대토, 자율적태도, 통제적태도의 네 가지 양육태도로 분류하고, 이들 유형일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태도, 자율적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결론에 도달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 친밀감과 믿음, 따뜻한 마음의 공유, 자율성과 존엄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였고, 적대적이고, 통제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게 무분별한 분노표현과 무시하는 태도, 적대적 감정 및 불신감과 권위적 태도 및 거부적인 태도는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 같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다.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개인적특성 및 삶의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 아동발달과 아동의 환경에 새로운 방향을 시사하였다고 본다.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raising attitude and children' personal character.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is divided 4 ways-devotion, hostility, autonomy and regulations. Children' personal characters are composed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order to do this study first, I Set up a hypothesis. Second, I surveyed the result from the questionnaire to verify it on the basis of the data on the 442 elementary student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who live in the Ansan-City. Third, I used the SPSS program.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hypothesis is proved as follows: The result from strong devotion and autonomy show high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but those from strong hostility and regulation show low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상황에서 소비자 의사결정 행동에 미치는 내재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의 효과 연구

        이병관(Byung K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6

        본 연구는 태도의 이중 모형(Dual Attitudes Model)을 근거로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상황에서 제품 태도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심리적 처리 과정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외현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가 모두 긍정적인 두 대안이 주어지는 상황(일치상황)에서 제품 선택은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조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선택 후 두 대안의 외현적 태도를 분석한 결과 인지부조화 조건에서는 선택대안이 비선택대안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나 대안애착 조건에서는 선택대안이 비선택대안과 유사하거나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측과 달리 인지부조화 조건과 대안애착 조건에서 비선택 대안에 대한 내재적 태도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외현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가 모두 긍정적인 대안(내재적 긍정 대안)과 외현적 태도는 긍정적이지만 내재적 태도는 부정적인 대안(내재적 부정 대안)이 주어지는 상황(불일치 상황)에서 내재적 긍정 대안의 선택은 인지부조화 조건보다 대안애착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태도는 인지부조화 조건과 대안애착 조건 모두 선택대안이 비선택대안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인지부조화 조건에서는 내재적 긍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나 내재적 부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 모두 선택하지 않은 대안에 대한 내재적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안애착 조건에서는 선택하지 않은 대안에 대한 내재적 태도가 내재적 부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가 내재적 긍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제품의 선택과 평가에 미치는 외현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의 효과에 관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Based on Dual Attitudes Mode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psychological processes and factors affecting option choice and evaluation under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It was found that under onsistency condition where both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of the two options are positiv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oice probability of the two options in both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explicit attitude of the chosen option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nonchosen option in cognitive dissonance situation but this result was found partially in option attachment situation. However, under consistency con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licit attitude(feeling toward the nonchosen option) between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Hypotheses 4, 5, 6 were tes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on option choice and evaluation under inconsistency conditions where e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of one option is positive(congruent option) but the other option is positive in explicit atutude and negative in implicit attitude(incongruent option). It was found that under inconsistency condition, choice probability of congruent o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ption ttachment than cognitive dissonance situationer ogardless of whether congruent or incongruent option was chosen or not, explicit attitude of the chosen option was always more positive than the nonchosen option in both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Implicit attitude(feeling toward nonchosen op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gruent option choice and incongruent option choice in cognitive dissonance situation but feeling toward nonchosen option was higher for ncongruent option choice than congruent option choice in option attachment situa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on product choice and evaluations.

      • KCI등재

        인생태도의 심리치료적 활용을 위한 Tony White의 확장적 관점에 관한 시사점

        이영호(Young ho, Lee),서정희(Jung Hee, Sue)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현재 교류분석이론에서 널리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사용하고 있는 F. Ernst의 네 가지 인생태도를 심리치료적 차원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Tony White가 변경, 확장한 일곱 가지 인생태도를 고찰하였다. 이는 기존 네 가지 태도 중 I+ U+, I- U+, I- U- 세 가지는 그대로, I+ U- 태도는 I- U--로 변경, I+ U?, I- U?, I++ U+ 세 가지는 추가된 태도가 그 내용들이다. Tony White는 Ernst의 ‘ok 목장’으로 설명되는 태도의 이동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감정적 표면적 수준의 태도이고, 표면적 수준의 태도 밑에 자리 잡고 있는 성격 수준의 태도를 구분하여 변경과 추가된 태도의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이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I+ U+ 태도 보다 인간적인 태도로 I++ U+ 태도의 유용성을 논의하였고, 성격장애 스펙트럼 상에서 병리를 보이는 내담자 상담에서 I+ U?, I- U? 태도와 연관된 경계선, 의존성 성격장애의 태도 특성과 이에 대한 상담 전략을 고찰, 논의하였고 이에 대한 실제 상담에서의 유용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ranklin J. Ernst theorized that there are four major classes of outcomes from social encounters. This theory has been universally recognized by the field of Transactional Analysis. In order to study its applicability from a psychotherapeutic stance, Tony White has researched and expanded the theory from four to seven outcomes. Of the original four outcomes, three remained unchanged, I+ U+, I- U+, I-U-, the outcome I+ U- was replaced by I- U-, and I+ U?, I- U?, I++ U+ were the three additional outcomes. Using Ernst’s ‘Ok Corral’, White found that the changes in outcome were explained by the changes in surface level emotions. Below this was a personality component level that explained the changes and additional classes of outcome. White compared I++ U+ as a more humanistic outcome than I+ U+. He examined the link between the outcomes I+ U and I- U. as well as the outcom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borderline and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Following this, recommendations for the therapeutic approach for these types of clien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ts usefulnes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한국의 복지태도의 정치적 역동성

        김윤태(Kim, Yun Tae),유승호(Ryu Seoung Ho),이훈희(Lee, Hun-H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이 연구는 한국사회여론조사연구소(KSOI)의 3개년 여론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복지태도를 분석한다.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성, 연령, 소득 수준, 거주 지역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복지태도와 탈계급성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소득 수준과 직업 이외에 다른 요인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첫째, 회귀 분석의 결과를 보면 소득 수준에 따른 복지 태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의 복지태도가 갖고 있는 비계급적 특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증세에 동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보육 등 복지혜택을 받는 여성의 복지지위와 일정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과거에는 노인 세대가 젊은 세대보다 복지와 증세에 관한 소극적 태도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넷째, 최근 학력에 따른 복지태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응답자의 거주 지역에 따라 복지 태도의 일정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서울 지역 응답자가 다른 지역보다 복지 확대와 증세에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보적 이념 성향을 가진 응답자가 복지와 증세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의 지지자들이 한나라당의 지지자들보다 증세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강했다. 다른 한편 무당파 유권자들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혼재된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복지태도의 변화에는 개인의 소득 수준, 복지 지위, 이념 성향의 영향도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근 한국인의 복지태도는 일정 수준 계급성을 보이고 있으면서, 소득, 성 불평등에 따른 사회적 균열을 반영하는 동시에, 정치적 기회의 변화에 따라 역동적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elfare attitudes of Korean people by analyzing the impact of gender, cohort, income, residence, political orientation. This study uses opinion poll data from three national surveys of KSOI. This evaluates the hypothesis of the end of class politics and considers other factors of political opportunities. First, research shows that income had some impact on welfare attitudes. According the 2011 data, poor population has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expansion and tax increase. It indicates that there increasing correlations between income and welfare attitudes. Second, female are more positive toward welfare and tax increase. Third, while the elderly have had more negative welfare attitudes, cohort variable has no correlation with welfare attitudes. Fourth, the area of residence has correlation with welfare attitudes. People living in Seoul have relatively positive welfare attitude than people living in other areas does. Fifth, education has no positive relations with positive welfare attitudes. Finally, people with progressive political view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and tax, while non-partisan respondents have inconsistent and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these issues. This study qualifies the hypothesis of class politics and indicates that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welfare attitude was more influenced by income and social status such as gender and the changing nature of political opportunities.

      • KCI우수등재

        기본적 귀인오류와 대응편향의 검증에서 태도귀인 패러다임의 방법론적 오류로 인한 문제점: 태도 판단의 편향된 응답과 낮은 확신

        김태익,박선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4

        The present research explored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errors in attitude attribution paradigm and its two possible consequences in examining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and correspondence bias. It is suggested that participants in the no-choice condition made attitude attributions with normatively irrelevant information due to the restriction of response options, which may have caused participants’ more extreme dispositional attribution as well as the reduced confidence in the attribution. To examine the proposed possibility, two studies were conducted among American college students (N = 236) replicating the attitude attribution paradigm with some adjustments. In the two studies,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whether the author had the freedom to choose the direction of an essay (choice vs. no-choice) and read an essay in favor or against the effectiveness of face-to-face communication (pro vs. anti). In study 1, participants answered whether they could correctly make an accurate attribution before making the attribution. In study 2, participants judged the essay's and the author's attitude separately as well as rated their confidence regarding these judgments. The findings supported both the presence of the proposed problems in the attitude attribution paradigm and the overattribution effect. In study 1, more participants in the no-choice condition than in the choice condition answered that an accurate attitude attribution is impossible and such responders did not attribute attitude in the essay to the author. However, more than half of participants still answered that an accurate attribution is possible and such responders showed dispositional attribution. Also, although participants expressed less confidence when situational constraints existed, they still made dispositional attribution. 본 연구는 기본적 귀인오류와 대응편향의 대표적인 연구방법인 태도귀인 패러다임의 방법론적 오류의 가능성과 이로 인해 이 두 현상의 검증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태도귀인 패러다임은 글에 대한 글쓴이의 선택권(선택있음 vs. 선택없음)과 글의 방향(찬성 vs. 반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글쓴이의 실제 태도를 판단하게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선행연구는 선택없음 조건에서도 참여자들이 글의 방향과 글쓴이의 실제 태도를 일치하는 방향으로 판단하는 경향을 보고했으며, 이는 기본적 귀인오류와 대응편향의 중요한 증거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선택없음 조건에서 참여자들은 제시된 정보를 통해 정확한 답변을 내릴 수 없는 응답 선택지를 바탕으로 글쓴이의 실제 태도를 판단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편향된 응답과 낮은 확신이 나타났을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태도귀인 패러다임을 약간 변형하여 두 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글쓴이가 글을 자유롭게(vs. 지시를 받아) 썼는지의 정보와 찬성(vs. 반대)의 글을 제공한 뒤, 연구 1은 참여자들에게 정확한 태도 판단의 가능 여부와 주제에 대한 글쓴이의 실제 태도를 판단하게 했다. 연구 2는 글에 나타난 태도와 글쓴이의 태도를 각각 판단하게 한 후 판단에 대한 확신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점과 과다귀인 경향성을 보여주는 결과가 모두 나타났다. 연구 1에서는 정확한 판단이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선택없음 조건에서 더 높았고 이렇게 응답한 참여자들은 글에 나타난 태도를 글쓴이에게 귀인하지 않았다. 또한 연구 2에서는 대체로 상황적 제약이 존재할 때 글쓴이의 태도 판단의 확신이 가장 낮았다. 한편 연구 1의 선택없음 조건에서 여전히 절반 이상의 참여자들이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응답했고 이들은 개인성향귀인을 보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동일한 분석을 했을 때 개인성향귀인이 나타났다. 연구 2 역시 상황의 제약이 존재할 때도 개인성향 판단이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개인성향귀인의 경향성이 태도귀인 패러다임의 방법론적 오류에 부분적으로나마 기인했을 가능성과 인간의 과다귀인 경향성 모두를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시간적 맥락에서의 복지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복지확대와 증세의 태도 불일치를 중심으로

        황동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 불일치 양상을 시간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와 증세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집단 내에서 상이한 변화양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태도 일치 및 불일치 양상을 유형화하였다. 주요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먼저,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와 증세에 대한 태도의 변화 유형이 상이한 집단이 발견되었다. 복지확대에 대해서 확대를 지지하는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집단과 변화 없이 기존의 태도를 유지하는 집단, 그리고 확대를 반대하는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증세에 대한 태도 역시 증세를 지지하는 집단과 변화 없이 기존의 태도를 유지하는 집단, 그리고 증세를 반대하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복지태도 불일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자기이해적 수준에서는 청년층이 복지비용회피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인식 수준에서는 조세가 공평하다고 여길수록 복지비용회피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보적 성향을 보일수록 조세가 불공평하다고 여길수록 복지비용지지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복지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복지태도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민호(Minho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1

        개인의 사회경제적 · 인구학적 특성을 복지태도 및 대중 균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보는 서구사회의 경험적 연구와는 달리, 국내 선행연구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이를 지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2010년대 초 · 중반을 중심으로 대중의 복지태도를 분석한 몇몇 연구에서는 한국 복지태도의 질적인 변화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국내연구의 연장선에서 한국 복지태도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복지태도의 변화 여부 및 그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복지인식 부가조사> 8차(2013년)와 14차(2019년) 자료를 각각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복지태도를 크게 복지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정부의 소득격차 해소 책임, 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 보편적 복지에 대한 태도) 및 개별 사회정책영역(국민연금, 아이를 키우는 가족 지원, 실업대책)에 대한 태도로 구분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순서형 로짓으로 분석한 결과, 2013년의 경우 두 측면 모두에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 인구학적 특성 및 복지 지위 등 다양한 복지이해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증세 및 보편적 복지에 대한 태도, 그리고 개별 사회정책영역에 대한 태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반면 2019년의 경우 복지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및 개별 사회정책영역에 대한 태도 모두에서 복지이해 변수의 영향력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념 성향의 영향은 상대적/절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복지태도가 정치 사회적 배경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한국 복지태도 계층성 강화를 주장한 연구들을 제한된 시기에 한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근래에 들어 다시 비계층성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how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have changed overtime by analysing the data from 〈Public Attitudes towards Welfare Policy〉 round 8(2013) and 14(2019). The effects of various self-interest variables and ideological inclination on welfare attitudes are examined with regard to individuals’ attitudes towards the welfare state(views on government responsibility to reduce difference in income levels, tax increase for welfare state expansion, and universal welfare provision) as well as attitudes towards three specific social policy areas(public pension, support for families with children, and support for the un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in 2013, attitudes towards both the welfare state and specific social policy areas are found to be affected by various self-interest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 attainment, marriage status, number of dependent children, household income, age, labour market status, and welfare status. Such a tendency i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relation to individuals’ views on tax increase, universal welfare provision, and individual social policy areas. In 2019, in contrast, the effects of most of self-interest variables on both dimensions of welfare attitudes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ideological inclination shows significant increases. Such a results are understood as suggesting that welfare attitude formation in Korea is easily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and that the inconsistency between welfare attitudes and self-interest measured by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ill strongly remains in Korea.

      • KCI등재

        한국사회 복지태도 유형의 변화와 영향 요인 -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에 대한 이중적 복지태도를 중심으로 -

        이상록 ( Lee Sang-rok ),김형관 ( Kim Hyeong-kwa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주요 복지이슈인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에 대한 대중 복지태도 유형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중적 복지태도가 한국 복지정치에서 논란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중적 복지태도의 변화 양상 및 이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로 2013-2019년도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를 결합한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복지태도 유형의 이행 양상 및 태도 변화에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복지태도 유형들의 태도 변화율은 50-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복지태도 유형 변화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득계층 및 정치이념 보다는 성, 연령, 학력, 거주지역 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중적 복지태도는 전체 태도 유형의 40%에 이르러 한국사회의 주요 복지태도 유형으로 파악되었지만, 두 시점(T-T+3)에서 이들 태도의 유지 비율은 30% 이하에 불과하여 이중적 복지태도의 불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중적 복지태도 변화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이해관계에 따른 태도 변화의 발생이 두드러지고, 이중적 복지태도 집단의 구성이 이질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의 복지이슈를 둘러싼 대중의 복지태도 유형이 이해 관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임을 확인하는 바로, 한국사회 복지태도 특성 파악에 이와 같은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대한 고려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아울러, 한국 복지정책 및 복지정치의 향후 전개양상은 대중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에 의해 좌우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정치적 및 정책적 관심이 제고될 필요가 있음을 환기하여 준다. In this article, we study changes of the welfare attitude types over the welfare expansion and tax-increase so as to investigate changing patterns and peculiarity of the attitude about welfare issues in Korea. Especially, we examine changes of the ambivalent attitudes because they have been the controversial and important issue in welfare politics in Korea.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13th~2019th, we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s of attitudes types and determinants of their chang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timates of the changing ratio in four attitude types are about 50~70%. This results suggest that dynamic changing of the attitudes is a peculiarity of Koreans’ welfare attitudes. Second, results of the logistic models shows tha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ie. gender, age, education, living area) are more important to change of the attitude types than political ideology, income class. This result suggests that changes of welfare attitude types a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individual or group interests in Korea. Third, from the result that ratio of maintaining ambivalent attitudes from T to T+3 are about 40%, we found that ambivalent welfare attitudes is very unstable in Korea.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dynamic changes of the welfare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issues is a peculiarity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And they imply that considerations of the volatility and multi-dimensionality of welfare attitude are necessary to advance in-depth understandings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