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호텔의 골드키즈 서비스 마케팅 사례 연구

        전미화,조재경,Jeon. Mi hwa,Cho. Jae Ky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3

        키즈 관련 시장은 경제 불황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어린이 수는 해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지만,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부모 들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더욱더 차별적이고 수월한 교육을 희구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활동 체험에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 고 있다. 골드 키즈(Gold kids)라는 신조어는 이와 같이 한 아이에게 관심과 투자가 집중되어 내 아이에게만은 아낌없이 소비하는 현상이며, 이에 관련하여 기업들은 골드키즈를 타깃으로 하는 “키즈 마케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고 특히 국내 유수의 호텔들이 기존의 시설과 시스템을 이용하 여 보다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데 부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 호텔의 키즈 마케팅 사례를 조사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있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고자 함이고 둘째로는, 과시적 소비가 아닌 건전하고 풍요로운 서비스의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함이며 셋째, 국내호텔의 키즈 마케팅을 통해 국제적인 여객수요를 확장해 나가는데 있다. 오늘날 호텔들은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발전해왔다. 하지만 다양한 호텔을 경험한 고객들은 점점 나아가 기존에 느껴보지 못한 새로운 호텔의 경험을 요구하게 되었고 호텔업계의 다양한 키즈 마케팅의 도입도 이러한 현상의 일부분으로 써 골드키즈와 골드맘을 잡기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상품들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국내호텔의 키즈 마케팅 관련된 사례들을 살펴보면 분명 어린이 소비자의 환심을 얻기 충분하다. 하지만 텔레비전 광고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난감처럼 아이들이 사달라고 조르거나 어린이 스스로 소비의 최종 선택을 할 수 있는 쉬운 상품이 아닌 것도 분명하다. 가족의 여가 시간을 보낼 호텔을 선택할 때, 국내 호텔의 키즈 관련 상품이나 프로그램들을 선택하는 것은 부모 몫이며 부모들은 내 아이를 위해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원할 것이고 그에 따른 비용에 도전받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는 바는 첫째로, 호텔에서 키즈 마케팅을 진행할 때 특화된 차별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진부한 마케팅으로 전락할 수 있고 둘째, 부모들의 과시적 소비성향으로 연결된다면 본질을 떠나 내 아이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고 셋째로, 호텔의 키즈 마케팅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국외 가족단위 관광객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기대를 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가족의 여가 시간을 이용하여 휴식과 함께 다양하고 알찬 국내호텔의 키즈 상품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사례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Kids’ relevant market is booming even in economic depression. Although the number of children is increasingly reduced, improving the standard of living makes parents desire a more straightforward discrimination education as well as invest more time and money in cultur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for their children. Gold kids is a neologism that parent’s interest and investment concentrates on their child lavishly, with respect to this, companies can actively promoting the "Kids marketing," targeting the Gold Kids in particular, the domestic leading hotels are developing a more differentiated business model using the existing facilities and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examine the various kids marketing practices of domestic hotels and contributes to creative marketing strategy and competitive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secondly to promote a healthy and abundant consumption of services rather than conspicuous consumption, thirdly to expand the international marketing of domestic passenger demand through the Kids marketing of domestic hotels. Today the hotel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our customers. However, customers who experience a wide range of hotels are increasingly demanding new experience never felt before. As an introduction of various Kids marketing is a part of this phenomenon, the hotel provides various promotion and goods for gold kids and gold moms. Looking at the Kid's marketing-related cases of domestic hotels is sufficient to obtain the favor of children consumers clearly. But like a toy that can be easily accessed from television advertising, it is clear that it not a easy product to the final choice of their own consumption. When choosing a hotel to spend your family's leisure time, choosing the Kid-related products and programs of local hotels parents, parents will want to share and get more information for my child and shall consider costs also.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r and firstly when giving kids marketing the hotel does meet the specific differentiation can be reduced to trite marketing, secondly if the connection to the conspicuous consumption habits of the parents to leave my kid’s even nature can have a negative impact, thirdly the development of hotel deals Kids actively marketing is that you can try the positive expectations that can be extended to families overseas tourists. This case study is little hope that helps creating the various kids product or program for family leisure of the domestic hotel.

      • 키즈 카페를 위한 키즈 마케팅 전략 : 키즈 카페 키즈 베리를 중심으로

        정혜미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2 No.-

        어린이와 관련된 시장이 급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출산율 저하와 한자녀 가정의 일반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자식들에게 투자하는 것을 아끼지 않으려는 소비심리를 이용한 어린이 관련 마케팅이 여러 분야에서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관점에 따라 전통적일 수도 있는 키즈 마케팅이라고 지칭되는 방식이 자신의 아이를 위해서는 금전적 어려움도 감수하는 부모의 마음을 활용한다는 점을 전략 포인트로 잡아 동서양을 막론하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키즈 마케팅이 적용되는 분야에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관련 시장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키즈 마케팅의 또 다른 특징은 기업의 입장에서 미래의 소비자인 어린이들에게 유년기부터 브랜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미래의 구매자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선호되기도 한다. 이에 직접 키즈 카페를 운영하며 아이를 기르고 있는 부모의 관점에서 키즈 카페 운영의 마케팅 전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방향은 먼저 키즈 카페의 정의와 시장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고, 키즈 카페의 시장 분석 및 마케팅 사례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운영하고 있는 키즈 카페 키즈 베리의 마케팅 전략의 효율적인 적용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Related to children and the background of the market is growing rapidly falling birth rate and one child home due to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generalization of children who do not want to spare to invest in consumer sentiment related to marketing using the children appeared to be in different areas. And, depending on your point of view, which may be traditionally referred to the way kids marketing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in order to bear a child of parents that like to take advantage of the East and the West to hold a strategic point, whether it is actively being and reality. The application areas of marketing kids think that generally the market in addition to education for children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Another feature of the kids marketing compan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of the future for children from infancy to increase brand favorability due to the advantage of the buyer to ensure that the future may be the preferred dimensions. Which directly operates a cafe kids the parents raising their children in terms of operating the cafe kids want to be analyzed for marketing. The direction of the study is to first define the cafe kids find out about the marketplace, market analysis and marketing practices of the cafe kids are examined. Based on the current operations in and kids cafe kid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berry marketing strategy you want to discuss.

      • 키즈 카페를 위한 키즈 마케팅 전략- 키즈 카페 키즈 베리를 중심으로 -

        정혜미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7 No.1

        어린이와 관련된 시장이 급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출산율 저하와 한자녀 가정의 일반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자식들에게 투자하는 것을 아끼지 않으려는 소비심리를 이용한 어린이 관련 마케팅이 여러 분야에서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관점에 따라 전통적일 수도 있는 키즈 마케팅이라고 지칭되는 방식이 자신의 아이를 위해서는 금전적 어려움도 감수하는 부모의 마음을 활용한다는 점을 전략 포인트로 잡아 동서양을 막론하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키즈 마케팅이 적용되는 분야에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관련 시장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키즈 마케팅의 또 다른 특징은 기업의 입장에서 미래의 소비자인 어린이들에게 유년기부터 브랜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미래의 구매자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선호되기도 한다. 이에 직접 키즈 카페를 운영하며 아이를 기르고 있는 부모의 관점에서 키즈 카페 운영의 마케팅 전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방향은 먼저 키즈 카페의 정의와 시장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고, 키즈 카페의 시장 분석 및 마케팅 사례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운영하고 있는 키즈 카페 키즈 베리의 마케팅 전략의 효율적인 적용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키즈마켓에서 아동의 구매유형에 따른 Marketing PR(MPR)의 효과연구

        안보섭(Bo Seob Ann),최승연(Seung Yeon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2

        본 연구는 키즈마켓에서 마케팅 PR(Marketing PR, 이하 MPR)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이론적인 고찰에만 그치지 않고 MPR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키즈마켓, MPR 전술, 타깃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아동의 구매유형에 따른 MPR 전술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둘째, MPR 전술을 푸시(push)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과 풀(pull)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로 나누어 전략적인 접근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수 타깃인 아동을 통해 부모가 MPR에 간접노출 되었을 경우 전달경로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해리스(Harris, 2006)의 MPR전술 중 블로그, 견본배포, 웹 사이트, 보도자료, 전시회, 조사기관 발표자료, 팸플릿, 캐릭터를 키즈마켓에서 효과적이고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아동이 직접 구매하는 경우 부모의 상품태도와 구매의도 모두 푸시(push)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이 더 효과적이며 아동이 간접구매 하는 경우 부모소비자가 반응 단계에 따라 인지하고 태도를 형성하는 데는 푸시(push)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이 효과적이지만 구매의도까지 이뤄질 가능성은 풀(pull)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을 통해 간접 노출되는 경우 전술보다는 전달되는 매체에 대한 인식과 아동의 직접경험 여부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키즈마켓과 MPR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전략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키즈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not onl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but also the effect of marketing PR (MPR), in order to provide the practical method for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marketing PR (MPR) at Kids`Market. It i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including Kids`Market, marketing PR (MPR)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targets. First of all, by reflecting the complex market structure of Kids`Market, the effects of MPR strategies have been measured according to the purchase types of children. Secondly, MPR strategies for the target consumer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push-media strategies and the pull-media strategies, in order to draw the strategic approach. Thirdly, the differences, for the time when the parents are indirectly exposed through their children, have been discussed. The parents can be regarded as the potential targets at Kids`Market, while the children can be regarded as the delivery media. It has been found that eight strategies including blogs, sampling, distribution, website, press data, exhibitions, presentation data by research, institutions, pamphlets and characters are appropriate and effective at Kids`Market. As a result, when the children make the direct purchase at Kids`Market, the parents who are the actual consumers should be subject to the strategies with the push-media characteristics which are regarded as being more effective than those with the pull-media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cognize the different reflecting stage and form their actions. However, regarding the possibility for the purchase intentions, the strategies with the pull-media characteristics ar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direct cases exposed to the children and the direct cases exposed to the parents show extremely differences of opinions. It can be assumed that when the parents are indirectly exposed through their children, the recognition of the delivery media and the existence of the children` direct experience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s more than the strategies. It seems that this research is useful for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ation process as well as the strategic approa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MPR,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 connecting point of MPR at Kids`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체험적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키즈 테마파크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오상민,한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최근 어린이를 위한 테마파크가 많이 활성화되고 있고, 이러한 키즈 테마파크는 스토리를 가지고 계획되어지고 있다. 문화산업적 가치로서의 스토리텔링 기법은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를 만들어 낸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기법 중 체험을 통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 대상으로 체험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전개하는 어린이 과학관 테마파크와, 직업체험 테마파크, 캐릭터를 적용한 테마파크를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교육적 요소가 강한 어린이 과학관은 배타성을 제외한 테마파크 공간요소를 동등하게 표현되어지고 있다. 둘째, 경제개념을 도입한 직업체험 테마파크는 감성적 체험과 배타성이 소극적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행동적 체험이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캐릭터를 적용한 테마파크에서 인지적 체험은 소극적으로 나타났으며, 환상적인 공간에서의 비일상성과 배타성은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me Park for Kids has revitalized dynamically, and planned of own story that storytelling technique makes the complete contents as the culture industrial value. This study researches that the character of theme park applied in storytelling through the experiential during technique for storytelling. As the subject of study, It is analyzed and classified that developed storytelling for Kids science center-theme park, job-experienced theme park and charaterized theme park through experience.As the result that firstly, it is equally showed that Kids science centre by strong developing educational elements except exclusion. Secondly, job-experience theme as applied in economical concepts come negatively out emotional experience and exclusion instead of showing positively cogni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 Thirdly, cognitive experience is showed negative in characterized theme park which found positively out non-daily life and exclusion.

      • KCI등재

        IPTV의 콘텐츠 자체 개발의 효과 - ‘키즈 콘텐츠 포탈’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렬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An exclusively created content plays a central role in pay TV competition. This article provides a case study of how an IPTV operator in Korea effectively developed a ‘kids content portal’ for a differentiation of it. The launching of the ‘kids content portal’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user of it by 112% for the initial two months and in the decrease of chun rate for user households by half. The IPTV operator achieved these results by utilizing a technique of concept development and integrating exhibit marketing for kids into marketing communications. The analysis explains the effectiveness of creating exclusive content and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pay TV operators. 유료방송에서 콘텐츠의 자체 제작・구성은 경쟁사와의 주요한 차별화 수단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자체 콘텐츠 제작의 접근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IPTV 플랫폼 사업자의 ‘키즈 콘텐츠 포탈’ 개발 사례를 분석했다. 이 ‘키즈 콘텐츠 포탈’ 출시 이후 2개월 만에 사용이 112% 늘고, 키즈 콘텐츠 사용자의 해지율은 비사용자의 절반에 그치는 성과가 나타났다. 그 성공요인은 ‘키즈 콘텐츠 포탈’에 대한 사용자 욕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컨셉을 개발 과정에서 일관되게 적용하고, 출시 이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유아 박람회 체험 홍보를 통합시켜 콘텐츠 가치 전달의 강도를 높인 것 등으로 분석됐다.

      • KCI등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오정아 ( Jungah O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통해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의 유·무형적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상업시설 내 어린이 공간의 개념과 도입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파인(Pine)&길모어(Gilmore)와 슈미트(Schmitt)의 체험요소 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체험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공통된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사례 분석대상을 통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개수, 용도, 위치, 인접 테넌트 특성 등)과 어린이 놀이공간의 물리적 환경이나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대상지의 어린이 공간은 A 쇼핑몰의 실내·외 소규모 놀이터를 제외하고는 모든 공간이 유료시설로 운영되었다. 해당 공간은 대부분 미술, 체육, 블록과 같이 유사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지만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편의시설은 수유실(유아휴게실)과 유모차대여소에 제한되어 있었다. 둘째, 어린이 놀이체험공간의 경우 대부분 특정 층에 집적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매장은 아이나 부모의 패션, 잡화 등의 판매 공간 또는 아이가 체험공간을 이용 시 부모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식음료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놀이공간의 체험 특성을 살펴보면 체험요소의 수준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A 쇼핑몰이 B 쇼핑몰에 비해 인지성과 충동성 체험요소 수준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반대로 심미성 체험요소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앞으로 복합쇼핑몰의 어린이 놀이공간은 전체 쇼핑몰의 1차적인 집객을 유발하는 목적성 매장으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어린이 공간 인접 매장은 타깃을 공유하거나 연계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매장을 인접배치한다. 무료 놀이체험 공간에 대한 확충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편의시설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공유공간에도 타 쇼핑몰과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감과 조형적 요소를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판매 매장의 경우 제품의 직접적 경험을 통한 긍정적 인식 형성은 지속적인 제품 판매 및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능하면 매장은 제품을 경험하는 체험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s, and seeks to analyz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Ultimately, we intend to construct a basic database by deriving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rrent trends in the compound. (Method) The research method encompasses the following: first, we analyz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children’s space within a commercial one th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nd, we extract the common keyword for analyzing children’s experiences through their behavior that is based on reviewing experience factors of Pine & Gilmore and Schmitt. Finally, the case study is execut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children’s spat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contents of play space. (Result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except for indoor and outdoor free playgrounds in case A, all of the space zone of case A and B are operated as paid facilities. Much of the space was based on the similar content, such as art, physical education, and blocks, but consisted of very diverse programs. However, amenities are limited to the infant lactation room (infant resting room) and the stroller rental desk. Second, the children’s play rooms are concentrated in the particular floor of shopping mall. Most of the stores adjacent to children’s play space are utilized for either sales, fashion goods targeting the kids and parents, or for food and beverage areas where parents can rest while their child is playing. Next, the degree of experience in the play space reflects how the level of the experimental elem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when compared to case A to B, the level of cognition and impulsiveness experience factors of case A is slightly lower, but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factor i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hildren’s play spaces should play a tactical role as a key tenant that attracts shoppers in the first place. Moreover, the stores that can share the target or cause links should be located near the children’s space. Also, the need for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program for the free pla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re needed. In addition, it should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introducing various color and artistic elements in shared spaces that can stimulat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for the sale of the product,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duct through direct experience can lead to continuous product sales and consumption, the store should be configured to fulfill the role of the place where experience marketing is realized as experience the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