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과 태도

        장재홍(Jang, Jaehong),조애영(Cho, AeYoung),박인우(Park, Inn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방법을 확인하였으며, 코티칭 수업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교수법 적용, 수업 주도율, 수업 필요도, 수업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코티칭 관련 사업에 참여한 중학교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은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며, 정규수업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수업 방식은 주로 교과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이루어졌다. 코티칭 수업 전문성 개발 방법을 확인한 결과 수업 계획서 작성 및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코티칭 수업 연수 및 컨설팅 실시와 정기적 협의회도 거의 이루어 지고 있지 않았다. 코티칭 수업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을 확인한 결과 수업 계획서 작성 및 공유 여부에 따라 모든 수업 인식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코티칭 수업 연수 및 컨설팅 실시 여부에 따라 교수법 적용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기적 협의회 여부에 따라 수업 주도율과 수업 필요도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 및 수업 전문성 개발 방법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analyz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rate of class leadership, level of class necessities and level of class satisfaction based on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teaching. For thi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360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teaching related projects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teaching mainly took place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during the regular class hours and most frequently in the subject-specific classe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oreover, the result from analyz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teaching showed that the writing and sharing of lesson plans were not done properly, and the training sessions, consultations and regular council were rarely organi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of class recognition between the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teaching and that did not in terms of writing and sharing the lesson plans. Conducting co-teaching training and consultations only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Organizing regular councils only had differences in class leadership and class necessity. From the finding of this paper, the co-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for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현직 교사 수업 코티칭: 초임 과학 교사 교육 방안

        한재영 ( Jae Young Ha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3

        최근 교사 교육 방안으로 제안되는 코티칭에서는 둘 이상의 교사가 함께 수업을 준비, 실행하고 공동으로 평가를 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학생들의 학습 기회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모든 교사에게 교직에 처음 입문하는 초임 교사 시기는 이후 교사 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초임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사로서 전문성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동료나 선배 교사가 멘토링, 수업 컨설팅, 수업 비평, 수업 장학 등의 형태로 도움을 주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들은 초임 교사의 수업과 학생들의 학습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보다는 수업 전후의 반성이나 평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의 수업에 연구자가 함께 코티칭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예비 연구로 경력이 있는 현직 교사와 연구자가 코티칭을 수행하면서 연구자가 현장 감각을 익히고 코티칭에서의 주의할 점을 파악하였다. 성공적인 코티칭을 위해서는 사전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강의식보다는 조별 활동이 이루어지는 수업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초임교사와의 코티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코티칭의 장점이 나타났다. 코티칭 수업에서 교사의 배움이 일어날 수 있고,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하기 쉬우며, 실험 지도가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었다. 현직 교사 교육에 코티칭이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Coteaching was suggested as a teacher education method, in which two or more teachers plan, execute, and evaluate a lesson together. This coteaching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ty an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opportunities. The first period of in-service teac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ffecting the rest of their life in teaching. The beginning teachers are support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to develop professionality by many methods such as mentoring, lesson consulting, lesson criticism, lesson supervision, etc. However, those methods use mainly the reflection or the evaluation of a lesson, rather than the on-spot assistance in the middle of teacher`s teaching and students` learning. This study shows the coteaching cases of in-service teachers and the researcher. For the preliminary study, the researcher cotaught lessons with in-service teachers who have some careers in teaching, from which the researcher became familiar with the school context and found some aspects to prepare coteaching. Coteaching can be enacted successfully when preparative investigation is performed and the lesson is progressed in a group learning rather than in a lecture format. In coteaching with a beginning teacher, various merits of coteaching were found: the beginning teacher learns how to teach in a lesson; the teacher can cope with an unexpected event easily; and the experiment lesson was performed effectively. The implication of coteaching to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대결(duel) 또는 이중주(duet)?: 코티칭의 정치학

        김고은(Koeun Kim),정바울(Baul Ch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미국 유아교육기관인 헤드스타트(Head Start)의 코티칭 정책이 조직맥락과 행위자의 인식에 따라 어떻게 경험되고 실천되는가를 조명해 보았다. 코티칭(co-teaching) 실제에 대한 국내 초등교육 분야에서의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미국 써니주(州)(가명)의 Pre-Kindergarten 정책 추진과정상에 시행된 코티칭 정책 분석은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사는(inhabited)’제도주의(institutionalism)를 분석틀로 코티칭 실제가 어떻게 경험되고 실행되는지 살펴보았다. 병렬적 사례 연구기법을 적용하여 동일한 정책을 둘러싼 상호 대비되는 실행 사례(예: 대결, 이중주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코티칭 실제를 둘러싼 미시정치학적 양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았다. 본 연구는 코티칭에 대한 기존의 교수-설계 일변도의 기능적 접근을 극복하고 미시정치학적 관점을 적용함으로써, 코티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우리나라 초등교육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1수업 2교사제나 협력교사제로 대표되는 코티칭 정책 접근의 실행을 위한 유용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how the policy reform concerning co-teaching in head start program in the US is enacted by 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within the head start sites. The newly introduced co-teacher status policy in the state of Sunny in the US provides a fertile case to investigate this question. Drawing on literature on early childhood configurations for co-teaching, institutional lenses, and micro-politics, we delve into how actors creatively incorporate (or purposively neglects) the elements of the co-teaching policy into their everyday practices. Based on parallel case studies, we identify the inhibiting factors and facilitating factors in implementing co-teaching practi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cent research on co-teaching within and beyond early childhood settings b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nterplay of structure and agency and the perspective of micro-politics.

      • KCI등재

        대학 융복합교육 전략으로서 코티칭 사례연구 : D 대학의 토론기반 코티칭 수업을 중심으로

        조원겸(Cho Wongyeum),오지영(Oh Ji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D 대학의 토론기반 코티칭 융복합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그 실제와 특징을 분석하고, 토론기반 코티칭을적용한 융복합교육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탐색을 통하여 개선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계획서, 학생 과제, 수업 동영상 등의 자료를 내용 분석하고 교수자, 학습자, 운영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D 대학의 토론기반 코티칭 융복합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고 그 특징을 학제성의 원칙에 기반한 융복합 교육, 교수자간 상호토론 방식의 코티칭, 학생 토론을 통한 사고의 확장으로 제시하였다. 또 구성원의 인식을 교육목적의 설정, 교육과정의 편성, 교육과정 운영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교과목 특성에 맞는 개발역량 설정과 개발역량에 적합한교육 내용 구성, 토론 주제 및 방향성에 대한 제고, 구성원 이해 및 인식 증진, 많은 수업 준비, 수업 점검 및 환류 체계마련 등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D University’s discussionbased co-teaching convergence education case, and to find implications through members’ percep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applying discussion-based co-teaching. To this end, content such as lesson plans, student assignments, and class video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structors, learners, and opera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ality of D University’s discussion-based coaching convergence education was present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as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rdisciplinary nature, co-teaching in the form of mutual discussion between professors, and expansion of thinking through student discussion.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members was divided into the stages of setting the educational purpose, 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They are also proposed to set development competency suitable for subject characteristics, organize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development competency, improve discussion topics and directions, enhanc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members, prepare for many classes, check classes and prepare a feedback system.

      • KCI등재후보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 수업 과정 분석

        한재영,윤지현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이 연구는 대학 강의 상황에서 두 예비 과학 교사들의 코티칭을 활용한 수업이 계획·준비되고, 실행되며, 평가·반성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설명하며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예비 과학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관점을 교환하며 코티칭 수업 모형과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자료를 공동으로 준비하였다. 강의실의 공간을 두 예비 과학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업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주고받으면서 코티칭 수업을 함께 진행하였다. 코티칭 수업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지도교수와 다른 예비 과학 교사들은 학생 또는 수업 비평가의 역할을 맡아 코티칭 수업을 도왔으며, 수업 후 평가와 반성을 공유하였다. 코티칭 수업이 중등 교육 현장, 과학 교사 교육, 과학 교육 등에서 가지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explain,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coteaching instruction in which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lan, perform, and reflect the instruction in a university lectur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changed their perspectives on teaching, selected the learning model and the science content to teach, and prepared the teaching material together. They performed the coteaching using the lecture room effectively and exchanging the role of leading the instruction. The professor and othe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to the coteaching instruction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role of students or lesson critics, and shared the evaluation and reflection on the instruction. We discussed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e coteaching instruction on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the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the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예비 교사 교육 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재영,윤지현,노태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의 교육 실습에 코티칭을 도입하고, 예비 교사 교육 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코티칭은 두 명 이상의 교사가 수업을 함께 진행하는 방법이며, 이를 활용한 예비 교사들의 교육 실습 수업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코티칭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수업 촬영 내용과 면담 자료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코티칭의 유용성을 네 가지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첫 번째는 ‘수업 현장에서 배우기’로, 예비 교사가 수업 중 문제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지도 교수가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비 교사는 이 과정을 통해 수업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적 지식을 배울 수 있었다. 두 번째는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를 통한 반성’으로, 예비 교사가 주변적 위치에서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으로 반성하고, 수업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세 번째는 ‘예비 교사들의 상호 보완적 역할’로, 예비 교사들이 서로의 교수 활동에 긍정적 지원을 제공하여 수업이 원활히 진행되었다. 마지막은 ‘편안한 상태에서 수업하기’로, 두 예비 교사들이 수업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책임감을 공유하였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키울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코티칭이 수업과 실습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예비 교사들이 수업에 관한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지식과 능력을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개발해 갈 수 있는 실습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독교교육과 융합수업에서의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 활용 사례 연구

        장화선,송윤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is article explores a case study on co-teaching and project learning in the integrated class of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The Definition of integration, the integrated class of higher education, co-teaching and project learning are examined through precedent research. The development and a case study of the integrated class, 'the e-Bible Study Materials Design' with co-teaching and project learning are described. At first, the theme of the integrated class with co-teaching had been selected before new semester, October 2017 ~ January 2018. Educational objectives, case studies related with Bible study materials and e-book design, educational contents, methods, evaluation, plan of class management and class notes were developed before new semester of 2018. A class of 'the e-Bible study Materials Design' as 3 credits had been continued for 15 weeks in spring semester by two professors. One is Christian educator at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and another is Educator of Educational Technology at Liberal Arts College of A University. Professors had kept the course every class and students had progressed their team project during semester. Students had made steady progress with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individual and team activity, feedback of students, and feedback of professor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 as well as practical guideline on co-teaching and project learning in the integrated class of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과 융합수업에서의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 활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융합의 정의, 고등교육에서 융합수업,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을 활용한 ‘e-성경공부교재 설계’ 강좌에 대한 개발 및 운영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교과목을 개발하기 위해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융합주제를 기반으로 코티칭 교과목의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목표, 성경공부교재 및 e-book 설계 관련 교과목 사례조사,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수업운영계획, 강의자료 등을 개발하였다. e-성경공부교재 설계 교과목 운영은 3학점으로 2018년 1학기 15주간 진행되었으며 기독교교육의 현장과 밀접하게 연구를 수행한 기독교교육 전문가와 기독교교육교재를 개발하고 디지털교과서 및 e-book을 연구한 교육공학 전문가가 코티칭하였다. 두 교수자는 매 주 같은 강의실에서 함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자는 e-성경공부교재 설계를 위해 한 학기동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개인활동 및 팀활동, 학생 간 피드백, 교수자 검토 및 자문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과 융합수업에서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 및 실제적 자료를 제공한다.

      • KCI등재

        교육봉사 교과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행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 코티칭 전략의 가능성 및 유용성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이혜진,민병미,윤지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최근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도입된 교육봉사 교과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 계획과 진행을 돕기 위한 코티칭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다섯 명의 예비교사들이 코티칭을 활용하여 진행한 8차시의 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설문 내용과 사후 면담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코티칭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심리적 부담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고, 수업 중 위기 상황을 예비교사들이 협력하여 극복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코티칭은 예비교사들이 수업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예비교사의 장점으로 인지한 새로운 교수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 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코티칭이 학생들의 지도와 통제를 가능하게 함에 따라 예비교사들은 주어진 시간에 자신들이 계획한 수업을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accomplished the case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co-teaching that was to support the lesson’s planning and conducting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educational service subject introduced as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college of education recently. To do this, we observed the fiv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instructions based on the co-teaching during eight classes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and post-interview transcrip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co-teaching could help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lesson and also could help to overcome the crisis occurred during lesson through cooperating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co-teaching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teachers not only to prepare lesson fully but also to learn the new teaching methods from the other pre-service teachers. Finally, co-teaching could enable the pre-service teachers to control and guide the students so that they were able to have an opportunity to proceed the lesson that was planned by themselves without a problem at any given ti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혜숙(Han Hye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에서는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 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STEAM 수업에서 코티칭 전략의 적용 가능 성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명의 예비수학교사 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육 세미나 강좌 시간을 활용하여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사전, 사후 설문 조사 및 면담 결과에 의하면,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세 미나 수업은 지식 및 태도 범주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 의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범주에서는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STEAM 교육의 정의, 도입 배경, 수 업 방법, 수업 준거에 대한 지식이 보다 구체화되고 정교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 범주에서는 STEAM 교육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 소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STEAM 수업에서 코티칭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서 매우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타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준비 측면 에서 코티칭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STEAM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the application of co-teaching strategies to STEAM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mathematics education seminar course 2’ during one semester with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helpe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in ‘Knowledge’ and ‘Attitude’ categories. In ‘Knowledge’ category, compared to pretest, participants’ knowledge of STEAM education such as definition, background, instructional methods was more elaborated and advanced on posttest. In ‘Attitude’ categor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the attitude questionnaire items excepting one item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co-teaching is a very effective strategy, especially, for contents convergence in the practice of STEAM.

      • KCI등재

        점진적 제도변화의 동인으로서 「1수업 2교사제」에 관한 연구

        정바울,김용우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Co-teaching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in South Korea. Previous studies on co-teaching mostly conducted in the contexts of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nglish as Foreign Language(EFL) have not examined the ways in which co-teachings were implemented in elementary education settings. This qualitative study instead shows the way in which co-teaching played as a major driver for gradually but consequential educational change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Finding reveals that initially the co-teaching at the pilot school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e teach, one support’model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departmentalized teaching system. However, the co-teaching practices has been enacted in the way in which gradually incorporated the three major elements of co-teaching. By showing the under-explored practices of co-teaching in elementary education, our analysis shows co-teaching played major driving force of an evolutionary and less confrontational mechanism for collaborative professionalism. 최근 1수업 2교사제 정책으로 코티칭(co-teaching)에 대한 관심이 높다. 초등학교의 자기충족적인(self-contained) 교실과 1인(solo) 담임제 학교 문법하에서 코티칭은 가히 이단적(異端的)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1수업 2교사제 정책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바다별초등학교 사례는 보기 드문 연구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라는 실험적 시도의 실천 양상을 교수-학습 차원과 교직문화 차원에서 탐색적으로 조명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코티칭 이론과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바다별초의 1수업 2교사제를 질적 단일 사례 연구기법을 통해 조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수-학습 차원에서, 초기에는 코티칭 양상이 한 명이 가르치고, 다른 한 명은 지원하는 ‘교수+지원(one teach, one support)’형태를 띠었으나, 점차 다양한 수업 유형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시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직문화 차원에서는 초기에 코티칭 제도가 그 취지를 살리기 보다는 교과전담제라는 굴절된 형태로 실천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점차 전문적 협력을 위한 실천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점진적 제도변화의 동인으로서의 1수업 2교사제가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