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 방안 연구

        남정권,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특별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TBL) model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implemented TB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ssons. TBL model foun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 applied a form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loys iterativ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 revision cycle as follow. First, we selected the existing TBL model. Second, we designed a case in point related to the theory, and implemented the case. Third, we revised the case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formative data. As a result, we found the total course period (5 weeks) was too short to make visible changes in creativity. However, TBL showe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more learner-centered and provides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BL in elementary classrooms, teachers should be an expert on the TBL model as well as the contents. Also, it is critical to chose appropriate topics for TB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aware of elementary students’ work-load before and during TBL lesson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팀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는 협력학습에 기반을 둔프로젝트학습이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웹 기반학습 환경 또는 컴퓨터 활용 교육의 수업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경우, 초등 학생이나 공업계고등학교 사례에 관련된 수업이었으며, 대학생의 경우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예비초등교사 교육과 관련된 팀 기반학습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창의력 조기 발굴을 위해 초등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대상으로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11월 교육대학교 초등학교 현장실습을 경험한 2~3학년 예비교사 20 명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수업시간에 매주 2시간씩 5주간 팀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사용된 팀 기반 학습 모형은 사전 계획 단계, 선행 학습 단계, 준비도 확인 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인 4단계를 단계별로 구체화하여 수업시간에 적용하였으며, 역진행 수업(Flipped learning)과는차별화된 개인과 팀별 사전 점검 및 개념적용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심층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의 실천적 학습 지향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료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초등교사간 다양한 아이디어와 발산적 사고를 자극하여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기술교육(ESTE)에 대한 초등현직교사의 태도 -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동기유발과 어려움 -

        권혁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ESTE) has been conducted for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creative problem solving experience by introducing technological world and implementing hands-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ESTE and concentrated on describing their motivation and obstacle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ESTE.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background from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related to motivation theory and ESTE.. An instrument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EST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pectancy-value theory and was completed with a pilot study and experts' review.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9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teachers' training in the mid-western regions and consented to fill out the developed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strument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by SPSS 17.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tivation toward ESTE was categorized into two constructs: perceived value of ESTE and perceived expectancy toward the ability of implementing ESTE.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ability of implementing ESTE was relatively insufficient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s perception toward the value of ESTE was high. Concretely, they perceive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ESTE (integrative efforts with other school subjects, 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s' development in psychomotor domain) but they faced several obstacles to implement ESTE. In particular, they present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toward contemporary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for ESTE and suggested we prepare for physical environment and financial support for implementing ESTE with a priority. This study recommended further studies for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초등기술교육은 기술의 세계에 대한 소개와 실천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현직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사들의 동기유발과 어려움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초등기술교육과 동기유발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기초를 가진다.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동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대-가치(Expectancy-Value) 이론과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조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중부지역에서 이루어진 초등 교사를 위한 2개의 연수에 참여한 302명의 교사들이며 이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219명의 교사들이다.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7에 의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 독립적 t 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동기는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초등기술교육의 인식된 가치와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에 대한 자기능력의 기대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의 초등기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한 능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초등기술교육의 유용함과 중요성을 비롯한 다양한 가치들(다른 과목과의 통합적 시도,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 필요한 것,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과 같은 고등사고능력, 그리고 학생들의 심동적 영역의 발달)을 인식하고 있으나 여전히 이를 실천하기에는 여러 어려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기술교육과 관련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초등기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실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보, 실습 재정 지원, 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조사연구로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KCI등재

        그림책 관련 초등교육 연구 동향 및 그림책 활용 양상 연구

        이순아 ( Lee Soonah ),임성만 ( Lim Sungm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은 학년에 상관없이 널리 활용되고 있고 그림책 관련 연구들이 2000년대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초등교육을 다룬 국내 그림책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종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유·초 연계교육과 독서교육이 강조된 2015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에서 그림책이 어떻게 접근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그림책 활용 양상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초등 수업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등학교 교육현장과 관련된 그림책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99편을 7가지 대범주와 43개의 코드로 구성된 분석기준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리뷰방식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난 20여년간 초등교육에서 국내 그림책 연구들은 꾸준하게 명맥을 유지하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유아교육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연구대상이 초등 전학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그림책은 학년 구분 없이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교육매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그림책은 일반 수업활동 자료 및 매체이자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는 상담 및 치료 도구로서 활용 측면이 확대되었다. 넷째, 언어 및 문학교육에서 그림책의 활용도가 높았고, 교육과정 연계성을 실제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초등현장에서 서사그림책 위주 활용 경향성이 높았으며, 교수·학습적 자료 유용성과 이야기 주제적합성 측면의 접근과 활용이 두드러졌다. 이를 토대로 초등교육에서 보다 다양한 장르의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그림책이 가진 다표상성과 상호작용성에 주목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사회 및 과학교과 영역으로 확대·적용하고 창의력, 상상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미래역량 발달을 위한 그림책의 초등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studies and explore how to use picture books more effectively in elementary teaching. We analyzed 99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19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using narrative review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were research types, approaches to picture books, picture book genres, developmental are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nection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Regard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first, the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increased for the past 20 years.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is still not abundant compar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across all grades, which meant that picture books would be helpful educational media. Third,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as available teaching materials and as counseling and healing tools for helpi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th, picture books’ utility tended to be higher in particular, in the language education areas such as Korean and English subjects and less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Lastly, story picture books tended to be the most us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They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ory topics or specific characteristics as language learning materials such as easy vocabulary, simple sentences, or repetitive expressions. To expand practical uses of picture books in elementary teaching contexts, the approach to picture books focused on their multimodality and intertextuality will be needed. Presenting foreign teaching cases, we suggest that picture books should be used in more various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history, or science. They would also be useful to increase elementary students’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국제 학술 논의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이동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rticles discuss primary school teachers’ geography subject knowledge (GSK). This study examined 34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rticles on primary school teachers’ GSK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8 in Journal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The detailed and contextual meanings of the sentences, phrases, and passages that discussed primary school teachers’ GSK were analyzed using van Manen phenomenology. As a result,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four themes to explai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primary school teachers’ GSK. First,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basic GSK that tended to be fragmented and factual rather than highly conceptualized and procedural because of the problems with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imary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Second, primary school teachers’ accurate and in-depth GSK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imary school geography teaching, the cultivation of a child’s geographical thinking and perspective, and integrated citizenship education. Third,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accurate and relevant knowledge of geography concepts and procedures, knowledge of geography-specific logic and skills, and an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re concepts of geography. Fourth, effective, concrete, and geography-oriented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cultivate teachers’ GSK and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cepts and logic of geography, such as geography fieldwork, strongly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primary school teachers’ GSK and the direction of primary school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위해서 Journal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에 1999-2018년간 게재된,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관한 내용을 다룬 34편의 논문들을 연구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대상 논문들에 수록된 논문들이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해서 논의한 구절, 문장, 문단 등을 van Manen 현상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지리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기본적으로 인식하였고 기초적인 지식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기도 하였으나, 지리 교사교육이나 초등학교의 교육환경, 교육정책 등과 관련된 문제로 인하여 효과적인 지리 수업에 요청되는 심층적인 지리 개념이나 절차적 지식 등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지적되었다(주제 1). 둘째, 초등교사의 정확하고 깊이있는 지리 교과 지식은 지리 수업의 효과와 성취도, 아동의 지리적 사고력과 안목 형성은물론, 통합교육 및 시민성교육과 관련해서도 중요성이 높다고 알려졌다(주제 2). 셋째, 초등교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지리 개념 및 절차적 지식, 지리학 고유의 지식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 지리학의 핵심개념에 대한 지식등을 충실하게 갖출 필요가 있다는 논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주제 3). 넷째, 초등교사들에게 효과적인 초등지리수업의 계획 및 실천에 필요한 지리 교과 지식을 길러주기 위한 교사교육 방안이 모색·실천될 필요가 있으며, 답사 지리 고유의 지식 구조나 논리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교육활동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많은 의의와 가능성을 가진다고 논의되었다(주제 4).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초등지리교육의 개선 및 발전에 요청되는 초등교사 양성및 교육 방안의 모색, 초등지리교육 및 사회과교육 학술연구의 방향성 탐색 등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있으리라고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가정교육 영역에서의 진로교육방안

        정미경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의 방안을 마련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실과 가정과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초등진로교육과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관련된 문헌과 연구논문 등을 고찰하여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실과교과는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핵심교과로서, 다수의 선행연구가 개진되어왔으나, 연구의 대상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육, 기술교육, 농업교육, 환경교육 등의 실과교과 내 영역별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실과 가정과 영역은 사회의 다양한 직업과 관련된 ‘일’을 대상으로 하며, 일의 경험을 통해 자기이해와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등 진로와 관련된 내용을 효과적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교육영역이라고 할 수 있어 앞으로 많은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 번째로는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초등실과 가정과 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제시된 초등실과 가정과영역에서의 진로교육 방안은 첫째. 진로교육내용의 교과 간 통합적 접근, 둘째, 단원별 지도안에 진로내용의 적용, 셋째, 교과서에 진로교육내용 요소 반영, 넷째, 진로교육의 연계 운영 강화, 다섯째, 흥미 있고 다양한 활동중심의 교수학습의 적용, 여섯째, 다양한 진로교육 자료의 개발 및 공유 활성화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core subject that has responsibility for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espite of numbers investigations in this area, there is a nothing study on the sub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specially in home economics area; 2)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work' related with various kind of occupations in society, and it is a educational area which has a educational means and values to enhance a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ccupa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work; 3) The directions of career eduction in the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literatures on elementary career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suggested as 6 directions. The 6 directions were sa follows: (1) Integrated approach for career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ubjects centered on practical arts education. (2) Career educational application to the teaching plan of each uni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3) Inclusion of career education in textbook on pratical arts education. (4) Buildup the linking to career education in other activities. (5) application of Interesting and various kind of activities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6)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th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나지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1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understand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learning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s needed to trai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hought that the current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not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at it needed to modify the learning content. Many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subject did not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so did not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remained in the past. Second, the content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was important in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mainly related to the interests and curiosity of students, and scientific experiments or inquiry. On the contrary, the items that they thought should be deleted or reduced included science learning theory, science teaching/learning model, nature of science, and guidance for gifted children. Third, the conten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needed to be added as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s were SSI education, science education-related social change and future prediction, advanced science technology, STEAM guidance, and integrated education within the science field. Fourth, in order to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ents that they thought should be introduced first as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s were SSI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 within the science field, STEAM guidance, and core competencies. Other contents that need to be introduced were software education, safety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method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과학 교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에 대해 초등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지 않으며 학습 내용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초등 교사가 다수 있었다. 초등 교사들이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주로 과목의 학습 내용이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을 포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대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과거에 머물러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은 주로 학생의 흥미와 호기심, 과학 실험이나 탐구와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그에 비해 삭제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과학학습이론, 과학과 교수⋅학습 모형, 과학의 본성, 영재아 지도가 있었다. 셋째, 초등 교사들이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내용은 SSI 교육, 과학교육 관련 사회 변화와 미래예측, 첨단과학기술, STEAM 지도, 과학 분야 내의 통합교육이었다. 넷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사 양성을 위해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으로 우선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SSI 교육, 과학 분야 내의 통합교육, STEAM 지도와 과학과 핵심역량이었다. 그 외에 추가로 도입될 필요가 있는 내용으로는 소프트웨어교육, 안전교육, 프로젝트 학습법이 있었다.

      • KCI등재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 사례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이 글에서는 개방형 초등교원 양성체제인 종합사범대학교 초등교육과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가운데 기울인 교육과정 개선 노력을 구체적인 사실들에 입각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개방형 초등교원 양성체제가 목적형 초등교원 양성체제와 적어도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상호 호혜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는 가에 대한 비교 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개방형 초등교원 양성체제를 실천하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초등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 노력을 사례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종합대학 사범대학 역사 속에서 과거의, 현재 적용 중인, 그리고 현재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초등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 노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역사를 관통하여 집중된 초등교육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은 설립 이념에 입각한 인간 존중의 생각과 종합대학 내 종합사범대학 내 위치가 초등교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과 지향점을 결정짓는 조건이 되어 왔다. 초등교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의 특징은 종합성, 통합성, 개방성, 다양성, 국제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과 초등교육과 교육과정과의 합치를 위해 교사에게 교육과정 개발 능력을 키우는 문제, 초등교원자격증 제도와 초등교원 임용고사 제도로 인한 ``규제``와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의 특징을 조화시키는 문제, 교원임용고사 출제 방식과 바람직한 초등교사 양성이라는 이상과의 균형을 잡는 문제 등은 앞으로 더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지적하였다. In Korea someone who wants to becom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has to go to one of 11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of which purposes are mainly to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only alternative route to beco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o go to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Ewha Womans University of which program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In this thesis, the effort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Ewha Womans University were reported with possible evidence for the purpose of showing one alternative program of becom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Ewha Womans University is a comprehensive university which offers liberal arts and science, natural sciences, arts, and many different vocational colleges. Because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s located in such a comprehensive universit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Ewha Womans University has revealed som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11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In this thesis, the effort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t Ewha Womans University were examined historically.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 of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the key condition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orts to chan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Comprehensiveness, Interdisciplinary approach, diversity, and global relations were found to b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efforts to change the program throughout the history.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gram as well as the ways to collaborate with 11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변화 양상과 개선 방향

        이동원,나경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가 초등사회과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를 선정하여 시기 구분을 하였고, 분석틀에 따라 변화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로서 사회과의 본질 규정에 따라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체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사회과의 고유성을 나타낸 개론서는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교과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다. 셋째,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는 아동의 수준에 따른 내용 선정과 수업 방법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사회과의 통합성을 강조한 개론서는 교과 내, 교과 간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 개발을 위해 교과의 통합성과 아동의 발달성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영어교육 전문성 인식 연구

        송미사 ( Mi Sa Song ),정혜영 ( Hye Young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고자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초등교사 영어교육 전문성 구성요소’를 언어적 유창성, 수업계획, 실천, 지식, 전문성 발달 노력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어교육 경력 1~3년, 4~6년, 7~18년, 9~30년, 31년 이상으로 나누고 각 경력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초등교사의 영어교육 전문성의 경력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의 시각’에서 ‘학생의 상황과 눈높이’에서 수업을 바라본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초등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영어교육 중심’에서 ‘초등교육 중심’이 된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영어교육 전문성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 영어과를 기반으로 한 연구 활동 및 교사 간의 공식적, 비공식적 상호교류는 매우 중요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영어 교육 전문성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각 경력별 특징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t aspects of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n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five developmental stage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research, total of 15 elementary teachers having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at school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depth.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English teaching at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as follows. First, as they``re having more teaching experiences their conceptions of good English teaching had been changed from teachers`` to children``s viewpoints. They attempted expanding and transferring the content from their focus on the English curriculum itself to more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general when they taught English. And it was very important and critical for teachers to involve in research activities and formal and informal mutual interchange among teachers since it helped to improve their English expertis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reflecting upon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they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of linguistic proficiency, lesson planning, teaching practice, knowledge, and staff development. It needs to provide the customized programs of staff development for teachers reflecti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English teaching expertise and to have further research on th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