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도

        김응준(Eung Joon Kim),정구인(Koo In Jung),이선(Sun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 태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인별 특성(성별, 학년, 체육통합수업 실시유무, 체육과목 선호도, 체육통합수업 경험시기)에 따른 체육통 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각 변인별 인식 및 개인별 특성 요인과 체육통합수업 태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광역시내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통합학급에서 체육통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공립중학교 중 3개교 일반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가 낮다고 판명된 25명을 제외한 유효 표본 수인 487명의 자료를 토대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일반 중학생의 태도에서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 수업환경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고, 남자가 여자에 비해 전체적인 측면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체육통합수업 실시 유·무에 따른 일반 중학생의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 수업환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체육과목 선호도에 따른 체육통합수업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태도, 통합수업효과, 수업환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체육통합수업 경험시기에 따른 일반학생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환경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개인별 특성요인이 체육통합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tudent recognition on comprehensive physical education lessons and their attitude. For this, this study mean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elements and comprehensive physical education lesson attitude for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lesson participant,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lesson experience). 487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3 grades from 3 different schools. 487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or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to obtain following conclusion.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did not show notable differences with each other in every aspect. Mal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s. The analysis of each grade group showed different class attitude. The attitude result was more positive in the order of primary (higher grade), middle school, primary (lower grade) and no-experience. The efficiency was more positive in the order of primary (lower grade, primary (higher grade), middle school and no-experience.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자아탄력성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오중근(Oh, Joong-Ge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의 관계가 학생들의 자아탄력성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J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중학교 학생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생 관계의 친밀감은 자아 탄력성의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긍정적 미래지향성, 감정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해와 공감은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존중감은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학생 관계의 이해공감과 친밀감은 수업몰입의 자기 목적적 경험, 체육수업내용에 대한 몰입, 체육수업과정에의 통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존중감은 자기목적적 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 탄력성의 긍정적 미래지향성은 자기 목적적 경험, 체육수업내용에 대한 몰입, 체육수업과정에의 통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감정조절은 자기 목적적 경험과 체육수업 내용에 대한 몰입,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은 체육수업내용에 대한 몰입과 체육수업과정에의 통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 관계의 요인들이 자아 탄력성 및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수업은 단순한 지식과 운동기능의 학습을 넘어 서로 관계를 배우고 익히며 교육적 배려를 느끼는 장이 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내외적 스트레스에 융통성 있고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 주기 위해서는 학생을 이해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physical education (PE) class on students’ ego-resiliency and class flow.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subjects consisting of 340 students in five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J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First, intimacy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diversity of interest and concern,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ego-resiliency, and understanding and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diversity of interest and concern; while respect had a negative effect on diversity of interest and concern. Second, understanding/empathy and intimac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flow in class, and integration of class flow; while respect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Thir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of ego-resili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flow in class, and integration in class; while emotional reg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and flow in class, and diversity of interest and concern had a positive effect on flow and integration in class.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actors in P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ego-resiliency and class flow. Class must be a place where students not only obtain simple knowledge and motor skills but, also, learn about relationships and feel educational consideration. To develop the ability for students to flexibly adapt to internal and external stress, the teacher’s role of understanding students and building close relationships is required.

      • KCI등재

        초등 거꾸로 체육수업의 단계와 교육적 의미

        조기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9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1

        The flipped classroom is a new educational model that continues to be in the spotlight. This study is focused the flipped physical education class (FPEC) based on the idea of flipped classroom. First of all, the class procedur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lementary FPEC practice example. Second, the educational needs was explored.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is FPEC. To this end, Kim and his sixth-grade class (9 boys, 9 girls) at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was selected as example. Kim has been practicing FPEC since 2015. The materials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class postings, teaching․learning plans, class non-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one teacher and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boys, 3 gir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PEC in elementary school was operated in order of pre-school video sharing, video checking in class, physical activity and completion of learning. Second, needs for the FPEC have been categorised into five categories : 1) because of new and various physical activities; 2) because we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3) because of the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time; 4) to become a learning-focused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5) to become a produ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centered on students. FPEC was able to identify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self-management skills,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esthetic sensi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ty skills that were being pursu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n Korea.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은 계속해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새로운 교육적 모델이다. 본 연구는 거꾸로 교실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거꾸로 체육수업에 주목하였다. 이에 초등 거꾸로 체육수업 실천 사례를 통해 수업 단계를 정립하고 교육적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거꾸로 체육수업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D초등학교에서 2015년부터 거꾸로 체육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초등교사를 찾아 그가 가르치고 있는 6학년 학급(남 9, 여 9)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학급 게시물, 교수․학습 계획 및 과정안, 수업 비참여 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를 위한 주요 제보자는 교사 1명과 초등학생 4명(남 1, 여 3)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거꾸로 체육수업은 1) 수업 전 영상 공유, 2) 수업 중 영상 확인, 3) 학습 활동, 4) 학습 정리 순으로 운영되었다. 둘째, 초등 거꾸로 체육수업의 필요성은 1) 새롭고 다양한 체육활동을 해야 하기에, 2) 몇 번에 걸쳐 정확히 이해해 수준을 맞출 수 있기에, 3) 신체활동 시간이 늘어나기에, 4) 배움 중심 체육수업이 되기에, 5) 학생 중심 생산적 체육수업으로 변모하기에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초등 거꾸로 체육수업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자기 관리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증진에 긍정적이기에 이러한 거꾸로 체육수업의 기법을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대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오병돈(Oh, Byoung-D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교대생의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교육대학교 재학생들에게 226부의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대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체육수업 재미수준)에 따라 재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재미에 차이가 없었으며, 재미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년에 따라서는 체육수업 재미요인 중 정서적 재미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적 재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대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체육수업 재미수준)에 따라 수업만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별과 체육수업 재미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서는 수업운영지도와 수업환경의 수업만족 요인 중 수업환경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체육수업 만족요인이 유의한 상관관계이며, 정서적 재미와 활동적 재미의 순서로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universtity of education student"s physical education class fun factor and class satisfaction. Students who study in G university of education was 22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using a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firm the differences of fun factor in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grade, physical education fun level) of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physical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un levels. And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al education emotional fun factors, depending on the grade,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fun factor. Second, confirm the differences of class satisfaction i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physical education fun level) of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 there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fun level, and there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of the class satisfaction in the grade. Third, Analysis of the impact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et the fun factor results, there was a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meets fun factor correlated factors, showed that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lass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emotional fun factor and active fun factor.

      • KCI등재후보

        학교체육시설 개선을 통한 수업환경 만족이 체육수업 몰입 및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홍진배(Jin Bae Hong),최웅철(Woong Chul Choi)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학교체육시설 현대화 정책에 따른 학교체육시설의 개선 결과, 학생들이 중요시 생각하는 시설환경요인들이 체육수업 환경만족과 수업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의 만족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체육시설 현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효과적인 학교체육시설 운영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료 분석은 SPSS 15.0과 AMOS 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선된 학교체육시설의 환경요인들 중 매력성, 안전성, 편리성, 그리고 현대성은 학생들의 체육수업 환경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결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학생들의 수업환경 만족은 체육수업에 대한 몰입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의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몰입정도는 수업 참여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적의 학교체육시설 인프라 구축과 이를 통한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수업환경 마련은 학교체육의 현실에서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E class environmental satisfaction, class commitment and participating will through sport facility renovation. Study participants were 386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aken PE classes in renovated sport facilities locat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by means of convenient sampling. SPSS 15.0 program and AMOS 7.0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The cleanness of facilities did not affect students` satisfaction with PE class environment. However, the attractiveness, safety, convenience, and modernization of facilitie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PE class environmen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PE class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ed their degree of class commitment. Also,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PE class environment did not affect their class participation will. Finally, the students` degree of class commitment positively affected their class participation will.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and schools should continuously invest on the renovation of current sport facilities in schools. By doing so, students will commit themselv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PE class, and it will help improving the quality of PE class along with sport facility renovation.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원격체육수업 내적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 : 교사 피드백의 조절효과

        안지훈,문민권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education(PE) class satisfa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remote PE classes conducted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verified how the intrinsic motivation(IM) and the level of teacher’s feedback(TF) perceived by students affected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interaction effect) of TF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M and PE class satisfaction, it was intend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in a special environment called remote PE clas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73 fifth and sixth grader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21.0 and SPSS 26.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First, IM for PE classes and TF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it was found that IM for PE and TF had a positive effect on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ion amount of the model that additionally inserted T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model that only IM was inser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F on remote PE class satisfaction was verified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amount of explanation of the model that inserte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IM and TF.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ctive feedback from teachers w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satisfy students in remote classes,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remote PE classes was suggested.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된 원격체육수업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내적동기와 체육수업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 피드백의 조절효과(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여 원격체육수업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수업의 효과성 제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173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 21.0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체육수업 내적동기와 교사피드백은 각각 원격체육수업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내적동기와 교사피드백은 원격체육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내적동기만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모형에 비해 교사피드백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의 설명량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동기와 교사피드백의 상호작용 항을 투입한 모형의 설명량이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원격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교사피드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적극적인 피드백이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원격체육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 및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신체특성에 따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의 변화분석

        정흥용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3

        연구는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체력특성 및 비만이 신체활동량의 지표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S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12명(남 6명, 여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쟁모형과 비경쟁모형으로 구분된 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나타났고, 혈중젖산농도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상호작용효과는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혈중젖산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는 수업 40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에서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은 심박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김세기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개학에 따른 영역별 체육 수업의 운영 플랫폼, 콘텐츠, 체육 수업의 운영 내용 구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영역별 균형 있는 온라인 체육 수업 준비와 감염병 재확산으로 인한 유사한 상황의 발 생에 대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경상남도 시・군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 120명(남자 7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체육수업에 관한 반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기기입방법을 적용하여 배포 및 수거하 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20일부터 2020년 5월 30일까지 6주간 18시간의 체육수업 내용에 한정하여 층화표집 방법에 의해 실태를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라인 체육 수업 실태와 관련된 여러 질적 변수들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x2 검정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째, 온라인 개학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 사용 현황은 모든 범주에서 e 학습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6학년에서만 쌍 방향 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EBS 온라인 클래스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둘째, 온라인 수업 활용 콘텐츠 현황은 모든 범주에서 유튜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EBS 콘텐츠는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업 활용 콘텐 츠 자체 제작 비율은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경력별로는 경력 6∼10년의 교사들이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13학급 이상 규모의 학교와 전담이 담임보다 높았다. 셋째, 체육과 지도 영역 현황은 모든 학년과 시기에서 건 강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쟁 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안전 영역의 비율 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체육과 지도 영역 현황은 전체적으로 인지와 심동 영역의 응답 비율이 높고 정의 영역이 낮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3, 4 학년에서는 심동적 영역, 5, 6 학년에서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시기별 지도 영역 현황은 주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심동, 인지, 정의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operating platform,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operation contents of each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online due to over the novel corona 19, and similar situation due to balanced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preparation and re-prolifer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It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This i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1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70 males and 50 females) who are working in the municipality of Gyeongsangnam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0, 2020 to May 30, 2020 and limited to 18 hou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6 week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to cross-analyze various qualitative variables related to the actual condition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platform usage status according to online school was the most used e-learning site in all categories, and the ratio of the interactive type was the highest in the 6th grade, but the EBS online class was not used at all.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class use content used YouTube the most in all categories, and EBS content tended to use the least. The rate of self-produced content using classe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teachers with 6-10 years of experience were the highest in their careers. Third,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and instructional areas was the highest in all grades and periods, and the competition area was the lowes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safe areas. In the physical education and instruction area, overall, the response rate of the cognitive and cardiac area was high and the definition area was low, and the affective domain was the highest in the 3rd and 4th graders and the cognitive area in the 5th and 6th graders. The status of the map area by period was slightly different by state, In the selec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in a lower level category, psychomotor domain was used most and cognitive was followed by the affective domain.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ve domain was used least.

      • KCI등재

        한 초등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반성과 신념의 형성

        고문수(Moon Soo K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한 명의 초등교사가 자신의 체육수업을 반성하고, 체육수업에 대하여 형성하는 교육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교육 신념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교사 자신의 체육수업이라는 실제적 맥락 속에서 경험하는 반성을 통해 체육수업에서 겪는 부정적인 이슈들과 체육수업의 반성과 신념 사이의 성장 노력을 토대로 체육수업 신념의 형성을 깊이 있게 조명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996년에 수도권 소재의 시작초등학교에서 교사 발령을 받았고, 2009년 전개초등학교에서 체육과 수석교사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면서 2007년부터 하늘교육대학과 최고사범대학에서 강의하는 현장 교사로 연구자 자신이다. 자료는 2000년 3월 1일부터 2012년 8월 20일까지의 체육수업일지, 체육수업에 대해 자극회상질문과 각종 체육수업 지도 관련 자료를 토대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육수업 반성하기에서는 탈 교육과정, 통합적 교수·학습의부재, 수업 절차의 비구조성, 수업목표의 부재, 수업내용과 방법의 편향성, 평가의 비효율성 등이 도출되었다. 반성과 신념 형성의 연결망으로는 학습공동체와 함께하는 삶, 교사의 실천적 삶과 소통하기, 텔레마코스 스승의 삶 살기 등으로 분류되었다. 교사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체육수업의 신념은 혼(魂): 체육의가치 탐색하기, 창(創): 다양한 전략 실행하기, 통(通): 학생과 소통하기 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earch for educational principles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identity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principles on physical education class is to be deeply looked into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negative issues occurr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lf-reflection on it and principles through a teacher`s self-reflection in the actual context of his/her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autoethnography. In 1996,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ppointed as a teacher at Sijak elementary school in capital area. Since 2007, the researcher has been working as a teacher at Haneul education university and Chaego college of education and built experiences as a chief teacher at the department of sports at Jeongae elementary school in 2009.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rch 1 of 2000 to August 20 of 2012 based on stimulant-recollection questions about gym class and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run through field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which were proposed by Spradley(1979) and the result is as follow. The self-refle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meeting story for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 a story about formation of class knowledge, a story about formation of sense of belonging, a story about the life and growth of a teacher, a story about growth as a mentor teacher. As for the principle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to form the identity of a teacher was: making the soul: a story about searching the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making the medium: a story about various strategies and practices, making communication methods: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a teacher.

      • KCI등재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 운영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정현철(Jeong, Hyun Chul),송지환(Song, Ji H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이해 중심 게임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일반화를 위한 구체적인 과정과 교육적 의미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로서 ‘우리’는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수업사례를 공유하며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과정은 첫째, 교사는 학생의 흥미와 동기부여를 위해 해당 스포츠 게임을 운영하며 실제적인 게임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여 모둠을 정한다. 둘째, 교사와 학생이 중심이 되어 해당 스포츠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둠별 게임 운영의 실제성과 게임과 기능의 전이성에 대한 교육적 의미가 담긴 변형게임을 개발한다. 셋째, 비슷한 수준의 모둠은 개발된 변형게임에 참여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변형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넷째,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평가는 기존 평가와 함께 구체적인 성장 과정을 평가하고 기록할 수 있는 과정평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장락만년(長樂萬年)으로 기존 게임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변형게임의 참여를 통해 학생들은 체육수업의 즐거움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심기일전(心機一轉)으로 변형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참여는 기존 체육수업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자세와 생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끝으로, 이 연구가 변형게임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의 즐거움과 교육적 성장을 돕는 교사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희망해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specific process and educational meaning for the generalization of PE classes with the use of modified games focusing on understanding-based game models. Methods: This is cooperative autoethnography, and ‘we’ share cases, and collect and analyze various data as experienced experts. Results: The process of PE classes using modified games are as follows. First, in operating relevant sports games, teachers divide groups for actual games by comprehending students’ levels in order to give interest and motivation to them. Seco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ports, teachers and students develop modified games that contain practicality of group game operation and educational meanings about the transferability of functions. Third, groups with similar levels come to be active in engaging in the modified games after the process of revision and compensation through interactions. Fourth, the evaluation for PE classes using modified games shows the aspect of process evaluation that assesses and records specific growth process, together with the existing evaluation. The educational meanings of PE classes with the use of modified game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establish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njoy and actively engage in PE classes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modified games that have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games and the modification suitable for levels with long-lasting enjoyment. Second, the devoted participation in the PE classes with modified games ha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PE classes and enables students to convert their attitudes and thoughts about PE classes. Conclusion: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PE classes with the use of modified g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