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치하도록 강제 당하는 철학자는 행복할까?: 플라톤 『국가』에서 철학자에 대한 강제 문제

        이종환(Lee, Jong-Hwa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4

        동굴을 벗어나 최종적으로 좋음의 이데아를 본 사람은 높은 곳에서 지내기를 열망하면서 인간사에는 마음 쓰고 싶어 하지 않는 것으로 『국가』의 소크라테스는 설명한다. 그러나 그 사람은 거기에 머무를 수 없고 다시 동료들 사이로 돌아와서 통치를 하도록 강제 당한다. 양쪽 세계에 모두 익숙한 철학자가 통치를 해야 동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모두에게 이익을 주고 결과적으로 행복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철학자 자신은 원하는 삶을 살지 못하기에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통치를 하도록 강제 당하는 철학자가 과연 행복할 수 있는지의 문제에 대해 지금까지 1)철학자는 통치하라고 강제당하지 않는다거나 2)철학자는 결국 진정한 의미로는 행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두 가지가 주된 해석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철학자로서 살아가는 시기와 통치자-철학자로서 살아가는 시기가 서로 같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통치를 강제당하는 철학자의 행복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통치자-철학자로 살아가는 기간 동안에는 통치하라는 법의 명령을 따라야 하는 강제를 받지만, 통치자-철학자가 그 기간에는 통치하기를 원하기도 하기 때문에 행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철학자로서 신과 같은 존재로 살아갈 수 있는 기간에는 철학적 활동을 마음껏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통치자로서의 삶을 사는 동안은 궁극적인 행복을 찾지는 않고 자발적으로 통치한다. According to the Socrates in the Republic, the philosophers, who have seen the form of the Good in the intelligible realm, would be eager to spend their time above and unwilling to occupy themselves with human affairs. They are, however, not allowed to remain there, but are compelled to return to the prisoners in the cave and share their labors and honors by ruling the city. It is because the people in the cave will be benefited and eventually become happy, only when the philosophers care for the others. Nevertheless, are the philosophers, who are not allowed to do what they want to, happy? Two lines of interpretation have been presented: 1) the philosophers are, in fact, not compelled to rule, or 2) the philosophers, who are forced to rule, would not be happy, eventually. I argue in this paper that there are two separate periods in the philosophers"s lives: on the one hand, living as philosophers, who are allowed to stay out of the cave, and on the other hand, living as the ruler-philosophers, who should remain in the city. While living as the ruler-philosophers, they are not only forced to rule but also do want to rule the city for the sake of all. As long as the ruler-philosopher want to rule while remaining in the city, they are happy to do their own work.

      • KCI등재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장자 읽기

        박승현 한국중국학회 2011 중국학보 Vol.64 No.-

        作爲一種新生的"哲學咨詢"的目標不是提供答案, 而只是提供思路. 換言之, 哲學咨詢師像是一個 "助産士", 其作用就是傍助産婦順利地生下自己的孩子. 通過思想的對話和討論, 借助某些哲學理論或哲學方法, 可以發現我們的思想盲區, 淸除我們的成見死結, 由此而조到更爲合適的發展路徑. 哲學咨詢的基本形式就在於運用"對話". 爲了與心理咨詢區別開來, 哲學咨詢自始至終都强調타的對話形式而不主張采取診斷的形式. 首先不能把來訪者當作病人看待, 尋求哲學咨詢的來訪者神智淸醒只是心事重重, 需要得到某些提示和開導; 其次哲學咨詢師不能居高臨下地敎誨來訪者, 不是給來訪者上哲學課, 不是直接向來訪者提供現成的答案, 而是協助來訪者조到問題的症結所在. 依照中國傳統哲學的觀點來看, 其實"哲學咨詢"有著悠久的傳統. 像孔子等思想家都應該是"哲學咨詢"的祖師爺, 因爲他們的哲學是浸泡在日常問題的"活水"之中的. 在《論語》裏, 孔子喜歡以因材施敎的態度與弟子進行對話和辯論, 目的是鼓勵弟子們思考問題, 檢討那些自以爲是的成見. 我認爲這一點是中國哲學所强調的修養論和"哲學諮詢"的方法有密切的關聯性. 本論文的目的不在於正式的分析莊子哲學的理論, 而是以哲學諮詢的觀點來探討讀《莊子》的方法. 哲學諮詢是要不斷地打破常規, 以尋求思想觀念方面的突破. 來訪者是想尋求理解和被理解, 因此咨詢師的作用就是傍助來訪者轉換觀念. 莊子也是爲了實現理想的人間像, 讓來訪者조出自己所面對的"問題", 要求已有的價値觀念的轉換. 莊子達到一種思想上的境界, 讓思想盡量地放松和通達, 卽用一種"平衡"的態度來面對問題. 當與來訪者進行諮詢時, 我們可以借用莊子的修養方法論.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철학자/작가`의 시기별 개념 변화와 그 의미 : 출판시장의 확대와 철학자, 문인 그리고 작가들

        정해수 ( Chung,Hai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7 No.-

        이 글은 「계몽주의 시대의 `철학자/작가`의 시기별 개념 변화와 그 의미 - 1. 용어의 사전적 의미와 18세기 문학장의 기원」의 후속 논문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출판시장이 확대된 이후 17세기 말엽의 문학장의 변화를 고찰했다. 특히 현대철학자들과 교수직을 가진 전통 철학자들 간에 철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두고 벌어진 다툼의 양상이 이 글의 핵심내용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독자층의 형성으로 인해 전통 철학자들도 독자들의 기대지평에 민감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몇몇 전기 작품도 이 글의 관심사항이었다. 17세기 말 갑자기 예전과 달리 철학자나 작가가 전기 작품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들은 새로운 시대를 선도할 새로운 영웅, 즉 위대한 철학자 또는 위대한 작가의 도래를 희구했고, 이러한 희망이 전기 작품의 출판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저자, 작가, 철학자 등에 대한 개념변화가 자연스럽게 드러났다. 다음 글에서 우리는 철학자/작가에 대한 보다 진전된 논의를 이어갈 것이다. This article is a follow-up on the concept of philosopher/writer and its transform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 1.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term `philosopher/writer` and the origins of `literary fields` of the Enlightenment era. In this article, we analyzed changes in the literary field in the late 17<sup>th</sup> century after the expansion of the publishing market. We examined the conflict surrounding philosophers` identifying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philosophers. We have validated that the formation of new readers has made traditional philosophers more sensitive to the `horizon of expectations` of readers. Some biographical works are also one of our concern. By the end of the 17<sup>th</sup> century, philosophers and writers suddenly became objects of biographical works unlike in the past. Through our research, we found that readers have sought the arrival of a new hero, a great philosopher or a great writer, that will lead a new era, and due to this anticipation, it has led to the publication of biographical works. In this process, we have revealed conceptual changes about authors, writers, philosophers, and so on. In the next article, we will continue advanced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philosopher/writer.

      • KCI등재

        한국 산업화 시기(1961-1979)의 ‘기독교철학’ 형성

        이상호(Lee Sang-ho)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이 논문은 한국 산업화 시기(1961~1979)의 학문 활동 가운데서 ‘기독교철학’이라고 불릴만한 학문 활동이 있었는지를 당대의 문헌 자료를 찾아서 확인해보는 조사 연구의 결과를 담은 것이다. 서양철학이 이 땅에 수입되어 연구되고 정착되기 시작하면서, 또 우리 자신의 철학을 모색하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일반 철학자와는 다르게, 기독교 신앙을 자신의 학문활동에 반영하여 ‘기독교철학적’ 저작물을 남긴 다소간의 철학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래서 그런 기준에 어울릴 만한 학자들의 저작물들을 조사·검토해 본 결과, 김형석, 조요한, 고범서를 ‘한국의 기독교철학자’로 재발굴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첫째, 김형석이 기독교철학자인 이유는 그가 종교에 대해 열린 철학을 했기 때문이다. 즉, 그의 철학은 기독교를 포용한다. 김형석 자신은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선택했을지라도, 그가 선택한 세계관만이 유일하게 옳은 세계관이라고는 주장하지 않는다. 그런 그의 관용적이면서도 합리적인 태도가 그를 한국의 ‘기독교 철학자’로 만든다. 김형석의 철학은 종국에 가서는 기독교로 들어가면서도 철학을 포기하지 않는다. 즉, 그의 철학이 이성을 가지고 종교를 향해 던지는 냉철한 감시와 비판의 눈초리를 거두지않기 때문에 그의 그런 태도는 ‘기독교 철학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요한은 실존철학에 감명받은 철학자답게, 죽음에 맞선 처절한 한계상황에서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자각하고 자신의 운명을 사랑하되, 그 상황을 초월에의 가능성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종국적으로는 기독교 신앙만이 인간을 구원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와 같이, 조요한 철학의 끝은 기독교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철학자로서 기존의 한국 교회를 비판하고 있는 까닭에, 김형석과 같이 한국의 ‘기독교 철학자’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셋째, 고범서는 자연 윤리의 한계를 지적하고, 도덕적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독교 윤리를 제시한다. 그도 결국 삶의 궁극적 근거와 의미, 인간과 인간 사이의 본래적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과 지혜는 철학의 한계 내에서는 불가능하며 기독교로 초월해 들어갈 때만이 얻어질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합리적 지성과 신앙의 상호보완 및 조화를 강조한다. 그와 같이 그는 철학자의 입장에서 기독교 신앙과 기독교 윤리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그를 앞서의 두 사람과 같이 한국의 ‘기독교 철학자’로 또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참고로 덧붙이자면, 평가에서 인용된 글들은 『기독교사상』에 실렸던 글들 중에서 발췌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업적 평가 작업에 앞서, 서양철학의 수용이 이 땅의 ’기독교철학‘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 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박종홍과 김계숙의 학문 활동 내역을 살펴보며, 그들의 저작물들 가운데 ’한국의 기독교철학‘에 영향을 주었을 만한 내용을 자세히 검토, 그 성격을 규명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ny ‘Christian Philosopher’ existed in Korea on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1961-1979). And if there is any, what was the works of him, and how it had been developed from the earlier period of import of western philosophy by Kim Kei-sook and Park jong-hong. I wonder if there were any philosophers who had subsisted upon faith which fused into their philosophy. If I find one, it will prove that there was a philosopher whose philosophy should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y’ of that time. In the long research, concerning christian philosophy I found that Kim Hyung-sok, Joe Yo-han, Gou Bum-seo wrote a lot of theses and philosophical articles in a journal Christian Thought through that period. After deep consideration I decided to regard them as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at that time, for the reason that they appealed to God when they could not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issued at that time. It seems necessary to seat the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Kim Hyung-sok, Joe Yo-han, Gou Bum-seo’ on their new seats in the circle of ‘Korean Philosophers Association’, on account of this study. It was not untill a thesis like this had been issued that ‘Korean Christian Philosophy’ came to daylight. Although, it is not yet when we can tell what exactly ‘Korean Christian Philosophy’ means, because there are not many philosophers who study ‘Christian Philosophy’ today in Korea. But someday in the future it reveal itself to us what ‘Korean Christian Philosophy’ means, on the support of the multitude who have interest in and are eager for the philosophy.

      • KCI등재

        “철학자들의 신”의 죽음. 그 의미와 전망

        김승욱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1 가톨릭신학 Vol.0 No.18

        본 연구는 “철학자들의 신의 죽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물론 주제의 범위가 철학사 전체를 포괄하기 때문에 탐구를 위한 방법적 선택은 불가피하다. 본 연구는 우선 철학자들의 신, 특히 철학적 신 이념이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다양한 철학체계 안에서 -특히 인식형이상학의 체계와 칸트윤리학의 체계에서- 하나의 본질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던 근본이유를 밝혀 보고 왜 이러한 신의 이념이 그동안 갖고 있던 기능을 오늘날 상실하게 되었는지 비판적으로 묻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탐구의 대상이 되는 “철학자들의 신”의 이념은 신학의 이념이 아니라 철저히 철학적인 이념이다. 다시 말해 특정 형이상학의 체계 안에서 생성되었으며 오직 그러한 체계 안에서만 의미를 갖는 사유의 구성물인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신 이념은 신에 대한 종교적 믿음과는 달리 중립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이해된 신에 관하여 그러한 신은 죽었으며, 그의 죽음은 형이상학이 이전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 역사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필연적 결과로 파악되어야 함이 밝혀질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철학자들의 신”의 죽음이 확인된 오늘날 신 문제에 있어서 철학이 제시할 수 있는 전망이 무엇인지 해석이론을 배경으로 한 가지 가능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철학은 신 문제에 관한 논의에 직접적이고 실증적이진 않지만 간접적이고 이른바 한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그것도 칸트적 이해를 새롭게 해석하여 받아들인 철학적 틀에서 말이다. 이는 해석주의에서 도출된 결론, 즉 해석과 (이 해석에 종속된) 사상적 입장 내지 세계관은 항상 상관적이라는 주장을 토대로 가능하다. 이러한 생각은 신 신앙과 같은 비물질적 현실에 대한 믿음을 불가능한 것으로 단정하는 입장의 절대요구에 맞서는데 타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철학은 신에 대한 신앙과 화합할 수 있는 현실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의 기여는 하이데거가 생각했던 것처럼 형이상학적 사유의 해체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식요구들에 대한 비판적 제한을 통해 비로소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시도가 비록 빈약하게 보일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철학자들의 신”의 이념을 산출하고 그것에 중요한 기능을 부여하였지만 결국 자신의 몰락과 함께 신의 죽음까지 초래하였던 이전의 모든 철학적 체계들보다는 좀 더 용이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신을 위한 자리마련’의 가능성을 제시해 줄지도 모를 일이다.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geht es um “den Tod des Philosophen-Gottes”. Für die Untersuchung ist aber eine methodische Eingrenzung notwendig, weil das Thema die ganze Philosophiegeschichte umgreift. Es soll gefragt werden, warum die philosophische Gottesidee bis ins 19. Jahrhundert in vielen philosophischen Systemen - besonders im erkenntismetaphysischen und Kantisch-ethischen System - eine wesentliche Rolle spielte und warum sie die Funktion, die sie früher hatte, eingebüßt hat. Die Gottesidee, die hier zu fragen ist, wird also nicht als Idee der Theologie, sondern nur als philosophische Idee erörtert, näherhin als gedanklisches Konstrukt, das nur innerhalb dieser Metaphysik bestimmter Art erzeugt wurde und das nur innerhalb dieser Metaphysik Bedeutung hat. Die so aufgefaßte Idee eines Philosophen-Gottes ist gegenüber der religiösen Gottesglauben neutral. Von dem so verstandenen Gott wird zeigt, dass er tot ist und dass sein Tod als Ergebnis einer Entwicklung begriffen werden muß, in deren Verlauf die Metaphysik, in der die philosophische Gottesidee ihren Ort hatte, ihre frühere Bedeutung eingebüßt hat. Nachdem der Tod des Philosophen-Gottes heute festgestellt wird, dann lässt sich eine Perspektive als Lösungsmöglichkeit erhellen, die Philosophie angesichts der Gottesfrage aufgrund der Deutungstheorie vorschlagen kann. Philosophie kann zwar keinen unmittelbar-positiven, wohl aber einen mittelbaren und sozusagen limitativen Beitrag zur Diskussion der Gottesproblematik leisten. Und zwar im Rahmen einer Philosophie, die die Kantische Auffassung in der Form übernimmt, dass Gegenstände stets von Deutungen abhängen. Dies geschieht mit Hilfe der sich aus dem Interpretationismus ergebenden Konsequenz, dass Deutungen und die von ihnen abhängigen Auffassungen stets relativ sind. Diese Auffassung wird zur Geltung gebracht, um dem Unbedingtheitsanspruch von Konzeptionen, die den Glauben an eine nicht-materielle Wirklichkeit, somit auch den Gottesglauben als unmöglich erscheinen lassen, entgegenzutreten. Philosophie kann uns also eine Wirklichkeitsauffassung geben, mit der der Glaube an Gott verträglich ist. Dieser Beitrag der Philosophie ist aber nicht durch Destruktion des metaphysischen Denkens, wie Heidegger meinte, sondern durch die kritische Einschränkung von Erkenntisansprüchen möglich. Dieser Versuch mag zwar sich dürftig ausnehmen, kann man doch dabei vermutlich eine Möglichkeit haben, zum Glauben Platz zu bekommen, noch leichter und effektiver als bei den früheren philosophischen Systemen, die die Idee des Philosophen-Gottes erzeugten, ihr eine wichtige Funktion gaben, doch zum Tod Gottes führten.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Choi Tae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기독교 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든지 그들의 인간적인 삶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원천 또는 출발점이 기독교이며 기독교적 테두리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의 역사를 1920년대로부터 2020년까지 세 시기로 나눈다. 1기는 <일제 강점기>(1925~1945), 2기는 <해방 후 산업화 시기>(1945~1979), 3기는 <민주화 시기>(1980~2020)이다. 이 시기 구분은 아무래도 임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1기인 <일제 강점기>(1925~1945)의 기독교철학자 5인 -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을 다루는데 그쳤다. 채필근은 신학자와 목회자였고 최현배는 한글학자였다. 정석해는 수학과 불어를 가르친 철학자였고 한치진은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정치학 저술을 한 철학교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석은 철학으로 시작하여 윤리운동에 매진한 교육학자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던 공통점은 기독교라는 거대한 정신적 유산이자 신앙 세계였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관심사를 가졌지만 기독교를 떠날 수 없었다. 바로 이 점이 이 논문이 우선적으로 밝히려는 철학적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how Christian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is paper, among those who have studied philosophy professionally in Korea or have worked as philosophy professors in universities, all who have Protestant beliefs or have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are put into the category of Christian philosophers. Thes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1) A scholar who is an orthodox Christian who has thoroughly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on the premise of faith; (2) a scholar who has orthodox beliefs but has pursued philosophical criticisms at the same time; (3) a scholar who has attempted to connect with other religions or general philosophies by 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his own way. The reason why all three types of philosophers can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ers is that no matter what attitude they take about Christian faith, they do not leave the Christian foundation. Next,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into three periods from the 1920s to 2020. First, <Japapnese colonial era> (1925 to 1945) second, <Industrializ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1945 to 1979), <Period after democratization> (1980s to 2020) for the 3r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period is somehow arbitrary. The first period is covered in this paper. Five philosophers - Chae Pil-geun, Jeong Seok-hae, Choi Hyeon-bae, Han Chi-jin, Kim Kiseok - belong here. Chae Pil-geun was a theologian and pastor, while Choi Hyun-bae was a Korean-language scholar. Jeong Seokhae was a philosopher who taught mathmatics and French, and Han Chijin was a philosopher who wrot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nd politics. Finally, Kim Ki-seok was an educator who started with philosophy and focused on ethical movement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e great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and the world of faith. They had different theological positions and interests but could not leave Christianity. This is exactly the philosophical fact that this paper is trying to reveal first.

      • KCI등재

        『중국철학자공자』(Confucius Sinarum Philosophus)와 계몽철학

        이향만(Lee, Hyang-Ma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7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서양에 알려진 유교문화는 계몽기를 향하고 있던 유럽지성들에게 하나의 충격으로 다가갔다. 중국에서 출판된 마태오 리치의『천주실의』가 중국에 서구적 세계관을 전한 책이라면 쿠플레의『중국철학자공자』는 유럽에 중국의 세계관을 전한 책이다. 이 책은 예수회 적응주의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책이며, 당시에 특별히 종교적 관용과 보편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있었던 계몽철학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무엇보다 이 책의 발행은 적응주의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불러일으켰으며, 교회내부에서는 선교회간에 전례논쟁이 심화되었다. 선교사들이 당대의 철학자들에게 전례논쟁의 배후에 있는 학자들에게 중국철학을 형이상학적 보편주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하여 자문하였다. 여기에 관여한 철학자들이 말르브랑슈와 라이프니츠이다. 따라서 전례논쟁은 이들에 의해 이기론에 관한 형이상학적 철학 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말르브랑슈는 리 개념으로부터 관념 실체론과 유사성을 찾았고, 라이프니츠는 리 개념으로부터 물리적 원리이자 도덕적 원리가 결합된 모나드와의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보편주의적 철학적 경향은 계몽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례논쟁은 선교정책에 타당성을 논했을 뿐만이 아니라 철학적 담론으로 심화되어 계몽철학자들에게 중국철학에 대한 새로운 형이상학적 논구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Confucianism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West by Jesuit Missionarie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a kind of cultural shock to the European intellectuals. If the book T'ien-chu Shih-i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published by Matteo Ricci in China is about Westernized world view of China then Couplet's Confucius Sinarum Philosophus is the European Chinese world view. This book could be seen as a measurement of Jesuits degree of adaptation. As a matter of fact, it deeply impressed the schola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ho showed a tendency of religious tolerance and universalism character. Above all,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called on to the philosophical introspection of Jesuit accommodation and within the Church order it brought forth a serious argument on rituals. The Jesuit missionaries consulted those contemporary scholars on the validity of the universalism of Jesuit accommodation who had studied Chinese philosophy. Here the concerned philosophers are Malebranche and Leibniz. Therefore, rite controversy became a metaphysical philosophical discourse for them. In Discourse Malebranche found similarity with Li's idea of the substantialism and Leibniz found the concept of physical and moral principle in coherence with Monade and Li. This universalistic philosophical tendency influenced the enlightenment philosophers. Consequently, the rite controversy disputed not only the validity of the methods of mission, but also became an instrument, to the enlightenment philosophers who were already involved in intense philosophical discourse, for new metaphysical investigation of the Chinese philosophy.

      • KCI등재

        플라톤 『국가』에서 철학자의 순수한 즐거움

        구교선(Koo, Kyo-Su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4

        본고는 순수하고 진실된 즐거움을 경험하는 정의로운 삶, 즉 철학자의 삶이 부정의 한 삶 보다 낫다는 『국가』9권에 실린 소크라테스의 논증을 탐구한다. 특별히 본고는 본 논증의 요지 중 하나인 철학자의 즐거움이 순수하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고 왜 순수한 즐거움을 주로 경험하는 철학자의 삶이 다른이들의 삶 보다 더 행복한 삶인가를 밝히는데 집중한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 본고는 이 논증의 전반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즐거움은 혼의 평온인 즐거움의 그침과 구별되며, 즐거움은 순수한 즐거움과 그렇지 않은 즐거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본고는 본 논증의 전반부에 바로 이어져 등장하는 위상 비유를 자세히 탐구하여 고통이 이에 앞서지도 않고 뒤따르지도 않으며 공존하지도 않는다는 것은 일부 순수한 즐거움의 특성일 수는 있으나 소크라테스가 본 논증에서 염두에 두고 있는 종류의 순수한 즐거움의 개념을 규정하는 특성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이런 견지에서 본고는 본 논증의 후반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철학자의 즐거움은 이와 연관된 욕구가 온전히 충족되었다는 의미에서, 바꿔 말해 고통이 뒤따르지 않는 즐거움이라는 의미에서 순수하다는 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본고는 철학자가 철학을 하는 와중에 누리는 즐거움 뿐 아니라 이상국을 통치하는 가운데 경험하는 즐거움 역시 이런 의미에서 순수하다는 걸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순수한 즐거움을 누리는 철학자만이 욕구를 온전히 충족하는 삶을 살 수 있고 따라서 그의 삶이 가장 행복한 삶이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ird proof of the superiority of the just life to the unjust life given by Plato’s Republic IX, which argues that only the just person, i.e. the philosopher, enjoys the kind of pleasure which is true and pure and thus he is happier than the unjust(583b-588a).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a) what kind of pleasure the pure pleasure of the philosopher is and (b) why he is superior to the unjust person because of his enjoyment of this kind of pleasure. For this examination, first, by inquiring into 583b-584, I claim that pleasure is distinguished from a sort of calm of the soul, i.e. the cessation of pain, and that pleasure is bisected into pure pleasure and relief from, i.e. the relief from pain. I then scrutinize the so-called topological analogy(584c-585a) and argue that, although some sorts of pure pleasure are neither preceded nor followed by pain, being neither preceded nor followed by pain is not a definitive feature of pure pleasure. I finally investigate(585a-588a) and claim that the pleasure of the philosopher is pure in the sense that it is not followed by necessary pain, which means that this pleasure consists in an entire satisfaction of its related desire. To prove this claim, I show that every kind of pleasure the philosopher enjoys while doing philosophy and ruling the ideal-city is not followed by necessary pain. Therefore, I conclude that the philosopher who mainly enjoys pure kinds of pleasure is happier than other kinds of people because he can best meet a basic human need, i.e. satisfaction of one’s overall desire.

      • KCI등재

        하데스에서 철학자의 영혼은 즐거운 삶을 사는가? -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

        구교선(KOO, KYO-S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1 No.-

        플라톤 『파이돈』편에 따를 때 인간에게 허락된 최선의 삶은 하데스에서 철학자의 영혼이 사는 삶이다. 그런데 본 대화편은 이 삶 속에 어떠한 종류의 즐거움이 있는지에 대해 어떠한 명시적 언급도 남기지 않는다. 만약 이것이 곧 이 삶이 전혀 즐겁지 않다는 생각을 소크라테스가 가졌다는걸 가리킨다면, 이것은 플라톤 철학 전체의 통일성과 발전에 관련된 하나의 중요한 문제꺼리를 던지는 동시에 본 작품의 핵심 메시지인 철학적 삶에 대한 권고가 지닌 지반이 심대하게 훼손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하데스가 어떠한 곳인지에 대해 우리가 확언할 수 있는 상술한 두 가지 사항, 즉 하데스에서 철학자의 영혼은 육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온전한 앎을 획득한다는 점과 하데스가 아름다운 곳이라는 점에 기초하여 철학자의 영혼이 그곳에서 경험할 수 있는 즐거움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을지를 밝히고자했다. 그러나 하데스에서 철학자가 사는 삶이야말로 인간에게 허락된 최선의 삶이라는 본 대화편의 주장은 이 삶이 지속적으로 즐거운 삶이라는 점이 분명히 입증되지 않기에 실패인 셈이다. 이러한 실패는 인간에게 허락된 최선의 삶이 오직 철학에 매진하는 삶이라는 걸 보다 설득력 있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즐거움이란 대체 무엇이며, 철학적 앎을 획득하는 일이 왜 즐거운지, 또 철학적 앎을 획득한 이 후에 철학자는 어떠한 방식으로 철학자만이 고유하게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을 경험하는지 등에 대한 보다 정치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걸 드러낸다. According to Plato’s Phaedo, the life in Hades the philosopher’s soul lives is the supreme life which is allowed to human. Yet, the dialogue is silent of which kind of pleasure exists in this life. If this means that this life lacks any pleasure, one of the main arguments of this dialogue, i.e. the life in Hades is the supreme human life, is not persuasive neither to those who read this work nor to Socrates’ dramatic discussants. In this vei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whether the life in Hades is pleasurable or not based on two obvious facts about Hades: (a) the philosopher’s soul, which is entirely free from the body, achieves the complete wisdom there and (b) Hades is beautiful. Yet, there is no way to justify that this life is continuously pleasant, which teaches that, in order to claim that the supreme human life is the life of doing philosophy, it is necessary to inquire into what pleasure is, how the pleasure of achieving knowledge occurs, and how one continuously enjoys the peculiar pleasure of doing philosophy after attaining every knowledge.

      • KCI등재

        논문 : 독일 관념론의 불행한 이반자 -헤겔을 무시한 슐레겔

        이정은 ( Jeong Eun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1

        슐레겔은 18~19세기형 낭만주의 창시자이다. 지성사에서는 그를 문예비평가, 미예술론자와 문학가로 분류하며, 그래서 철학자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청년기부터 지속적으로 철학 노트를 기록했고, 그가 남긴 문예비평과 강의 노트를 탐구하면,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을 지닌 철학적 사유와 독창적 철학관이 드러난다. 그는 청년기에 플라톤 저작을 탐독하면서 ``무한자에 대한 동경``과 탐구를 평생의 업으로 삼으며, 무한자와 유한자의 관계를 역설과 풍자로 조명한다. 그는 문예비평과 미예술론을 목표로 삼지만, 시예술과 절대문학을 전개하는 가운데 철학이 녹아있는 신화학을 구상한다. 독일 관념론 철학자들처럼 하나의 개념 체계를 지향하지는 않지만 ``체계 유사성``을 지닌다. 무한자는 유한자의 의식과 존재론적 상관성을 지니며, 개별적 자아를 통해 무한자와 의식의 관계를 조명한다. 슐레겔은 체계보다는 발생적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개인의 인격의 도야에 의한 역사적 발생론이다. 무한자와 유한자의 관계를 슐레겔은 역설, 풍자와 재치로 전개하지만, 이런 낭만주의의 핵심은 형이상학적-인식론적 지평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 그는 낭만주의자이지만, 동시에 고유한 철학관을 구축한 ``낭만주의 철학자``이다. 이 글은 ``관념론적 예술``을 형성하고 철학적 신화학을 구축한 슐레겔이 철학자이며, 철학자로서 슐레겔을 논증하는데 목표를 둔다. 그는 하나의 통일된 체계를 세우거나, 자신이 철학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한다. 그 경향에 비추어서 사변적 관념론의 체계와 개념 변증법을 구축한 헤겔을 독일 관념론의 계보에 넣는 것도 거부한다. 슐레겔과 헤겔의 대립은 사후에 슐레겔의 철학적 면모와 위상을 망각하는 근간이 되므로, 양자의 관계를 전복하여 철학자로서 슐레겔의 면모를 살려내야 한다. Friedrich Schlegel is a creator of romanticism from the late eighteenth century to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So he has been regarded as a literary critic(reviewer) or literary artist, not as a philosopher. But he was writing a lot of ideas about his philosophical speculations since he read the Plato`s books in teenagers. He believes his literary critic can not be separated from philosophy and his literary criticism is impossible without philosophy. Schlegel has his own subjects about literary art and philosophy. The core is the relation of the Infinite and the finite. That subject was the common theme of contemporary German philosophers. He eventually tries to explain that subject by a irony and a satire. Nevertheless, he has something in common in relating to contemporary philosophical flow. Schlegel`s romanticism is a complex of literary art and philosophy, and then a fusion of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His romantic concepts as like irony and satire are not understood without his view about metaphysical systems, especially German Idealism. He has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and mainstream of the German Idealism and makes his unique philosophical system. But he externally refuses to create philosophical system, and then refuse system itself. In addition, he does not recognize himself to be a philosopher. According to his view of philosopher, human can try to get to be a philosopher, but human comes not to a philosopher. We are eternally in a philosophical stage. And all places is the middle as a core of the Infinite. So this essay aims to assert and argue that Schlegel is a philosopher or a romantic philosopher who has his own philosophical system, although he refuses to be a philosop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