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일염 생산량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농수산물 생산량 관리제도를 통한 검토 -

        고두갑 ( Go¸ Du-gab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소금은 대체제가 없는 절대 품목이며, 특히 천일염은 우리나라의 음식문화에 있어 중요한 식품의 하나로 김치, 된장, 젓갈 등의 전통식품 제조의 기본이 되는 재료를 공급하고 있으며,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은 생물다양성 보존, 생태교육 등의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2020년 긴 장마 및 염전의 태양광 시설로의 전환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결정에 따른 사재기, 2020년 9월 이후 가격이 급등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이나, 한편으로는 생산 면적의 감소, 자율적인 생산량 조정으로 계속적으로 생산량은 줄고 있으며, 신안의 천일염 종합유통센터가 완공되어 수급조절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천일염의 가격안정화는 어느 정도 이루어 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지속적인 천일염의 가격안정화를 위해서는 생산량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천일염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가격 안정화가 제일 중요하다고 보고, 천일염 생산량 감축방안을 위해 다른 농수산물의 생산량관리방안 제도 및 사례를 개관하였다. 농수산물 생산량 관리제도로 계약생산, 채소가격안정제, 유통협약, 유통조절명령, 천일염전의 폐전지원사업, 해외원조사업, 수산자조금 사업, 총허용어획량(TAC)설정 등을 검토하였다. 자율적 생산량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리하면 계약생산은 생산자와 수요자간의 계약 생산 또는 계약출하이지만 적정 가격에 의한 계약은 생산량 증대 억제 가능하지만, 단기에 많은 생산량 감축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통협약은 수산물 유통여건을 질서 있게 조정하고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 확대로 시장력을 높여 수취가격의 제고가 목적인 바, 단기에 생산량 감축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미흡하고, 장기적으로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가 가능해지는 시점에서 활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수산자조금사업은 현재 11개 품목의 임의 자조금사업이 시행 중이며, 천일염도 생산자 및 관련 업체들의 동의를 얻어 추진하여 장기적으로 천일염의 자율적 수급조절, 홍보, 교육 및 정보제공 등 사업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율적 생산량 감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총허용어획량(TAC) 설정이다. 천일염은 현행법상 “수산자원”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수산자원의 회복 및 보존이라는 목적과는 상이하나, 생산량 감축이라는 정책목표는 유사하여 방법론적 측면에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2020년 8월 이후 최근까지의 가격동향을 보면, 천일염의 과잉공급은 어느 정도 해소된 듯하지만 기상변화와 오염 등 일시적 원인에 따른 가격변동이 커 국산 천일염 시장 점유율의 확대는 요원한 상황이다. 천일염의 가격안정성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확실한 생산량 감축 및 수급방안을 세워야 하며, 안정적인 유통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전근대적인 유통구조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yield management plan systems and cases of other agro-fishery products for the solar salt yield reduction plans deeming that price stabi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s solar salt industry. For agro-fisheries yield management systems, contract production, vegetable price stabilization systems, distribution agreements, distribution adjustment orders, support projects for abandoned solar salt farms, overseas aid projects, fisheries self-help fund projects, total allowable catch (TAC) settings, etc. were reviewed. When summarizing plans that can be applied for autonomous yield management, contract production is production and shipment agreed upon between the producer and user, but while contracts according to appropriate pricing can suppress increased production, it is judged to be difficult to reduce large amounts of yield in a short period of time. Also, as the distribution agreement aims to adjust the agro-fisheries distribution conditions in an orderly fashion and increase market dominance by expanding joint shipments by producer organizations to increase sales prices, it is insufficient to use directly for mitigating yield in the short term, and it is judged that for the long term, it can be utilized once joint shipments of the producer organizations become possible. There are currently 11 self-help funding projects for the fisheries self-help fund project, and it is necessary to receive consent from solar salt producers and relevant businesses to pursue this in order to proceed with projects for autonomous supply and demand adjustments, PR, education,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f solar salt in the long run. One method to apply autonomous yield reduction is setting the total allowable catch (TAC). According to current laws, solar salt is not designated as a ‘marine resource’ and while it is in contrast with the purpose of restoring and conserving marine resources, the policy goal of reducing yield is similar, and therefore, it can be implemented from a methodological aspect. When examining the price trends since August 2020 to now, excess supply of solar salt appears to be resolving to some point, but there is large price fluctuations due to temporary causes like climate change and pollution, and therefore,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to expand the share of the domestic solar salt market. In order to bring about price stability of solar salt, clear plans to reduce yield and a supply and demand method must be established, and it is essential to reform the outdated distribution structure to provide a stable distribution platform.

      • KCI등재

        국내 천일염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박준모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4

        우리나라에서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 제정 이후 45년간 광물로 분류되어 식품과는 무관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2007년 11월 천일염의 식용허용을 위한 “염관리법”의 개정과 2008년 3월부터 천일염의 식용판매가 허용되었고, 주무부처가 지식경제부에서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되어 천일염이 식 품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천일염의 질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천일염산업에 대한 인 식의 부족과 낙후된 생산시설 및 유통체계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천일염은 식품의 원료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이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산 천일염의 현황과 천일염산업의 생산, 유통, R&D 및 인력양성 분야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천일염의 명품식품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상품의 다양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산 천일염을 명품 식품산업으로 육성시키기 위한 경쟁력 제고방안을 생산부문, 유통부문, R&D 및 인력양성부문, 관광자원화부문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Solar salt is classified to a mineral for 45 years from 1963, it was recognized to irrelevant things with foods in Korea. but It was acknowledged to foods by business transfer from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o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was revised of "salt management law" " in November 2007 and for edible permission of solar salt in March 2008. Korea's solar salt cannot be acknowledged of reasonable value, because of shortage of recognition to solar salt industry and the inefficiency of scientif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n spite of excellence of quality. Solar salt can apply in various fields besides raw materials of foods, but it is still short discussion and research in this field in Korea. So I watch a present situation of solar salt and problem of production, distribution, R&D and manpower training system in solar salt industry, and watched about commodity diversification of solar salt and development possibility toward designer goods foods through foreign rewards. Based on it, I presented a plan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Korea's solar salt in a section of production, distribution, R&D and manpower training system and tourism.

      • KCI등재

        천일염 생산량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정훈,이경아,고두갑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alternatives for stabilizing the price of solar salt by analyzing the reason why the price of solar salt is falling steadily. The price of solar salt should be stabiliz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solar salt industr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roduction household. Variables affecting the production price of solar salt are represented by inventory levels, and inventory levels are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ion and sales volum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ice decline was mainly caused by the decrease of demand for salt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spread of low salt culture, the decline of kimchi culture, changes in Korean food culture, and sodium reduction policy.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price of solar salt, the production volume can not but be reduced. Ways to reduce the production of solar salt include a production quota system, shortening of the production period, implementation of a solar salt self-management system and a reduction of production area. Meanwhile, in order for production cuts to bring about price stability, the markets for solar salt and imported salt must be separated. This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expansion of a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nd an origin indica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천일염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천일염의 가격안정을 위한 정책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천일염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생산어가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자 한다. 먼저 천일염 산업의 생산구조와 수급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천일염의 생산원가를 추정하여 적정한 천일염의 산지가격을 선정한다. 둘째로 천일염의 유통구조와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산지가격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해 살펴본 결과 주된 요인은 재고량으로 나타났으며, 재고량은 생산량과 판매량의 차이로 알 수 있다. 천일염의 재고량에 따른 산지가격을 예측하고 적정가격에 도달하기 위한 적정 생산량을 산정한다. 분석의 결과 가격하락을 가져오는 재고량의 증가는 저염식 문화의 확산, 김장문화의 쇠퇴 등 우리나라 식문화의 변화와 나트륨 저감화 정책 등에 따른 소금에 대한 수요의 감소가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에 의한 가격하락은 천일염수요의 증대를 통해서 해결될 수 없고, 천일염의 가격안정을 위해서는 수요 감소에 따라 생산량을 감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현재 생산량 감축이 없다면 판매량을 초과하는 생산량이 재고량의 증가를 가져오고 산지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산업의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생산량을 25% 감축하고 생산어가의 참여율이 75%인 경우 4년내 적정가격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일염의 생산량을 감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산량 할당제, 생산기간 단축, 천일염자조금사업 시행, 생산면적 감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산자의 자율적인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생산량 감축에 따른 보상이 따라야 한다. 또한 생산량 감축이 가격안정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천일염시장과 수입염 시장이 분리되어 수입염이 국내 천일염으로 둔갑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천일염 이력제와 원산지 표시제 등을 확대 실시하고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천일염 가격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용민 ( Shin Yong-mi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2

        천일염이 본격적인 정부 정책의 대상이 된 것은 2008년 소금이 식품으로 전환되고, 소금생산업이 어업에 포함된 이후부터이다. 이에 천일염산업의 체계적·효율적 육성을 목적으로 소금산업진흥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염관리법」을 「소금산업 진흥법」으로 개정하였다. 올해로 천일염이 식품으로 전환된 지 10년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염 소비의 지속적 감소와 수입산 소금의 범람, 원염 위주의 영세한 생산구조 등 우리나라 천일염의 산업경쟁력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원염 가격이 최저수준을 기록하는 등 생산자들의 불만이 점증하고 있다. 반면 소비자들의 안전 식품에 대한 기호 증가와 생산·유통과정 상의 정보에 대한 공개 요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천일염에도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국내산 천일염은 그 기능성과 상품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 이에 대한 대비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천일염산업의 지속성 유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천일염의 시장가격이 안정화되어야 된다고 보고, 이를 위한 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천일염의 시장규모와 수급에 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관련 통계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현재 국내 천일염 시장의 연도별 재고율은 평균 약 44%로 추정되며, 국내산 천일염만으로 충분히 국내 수요 충족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기에 값싼 수입산 천일염이 들어옴에 따라 시장에 과잉 공급이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천일염 가격안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천일염 공급조절이 필요한바, 이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생산량 조절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염전 구조조정에 착수하여야 하고, 수입염과의 상품차별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가공산업의 발전 등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Sun salt became the regular target of government policies after salt as a food in 2008 and salt production was recognized as fisherie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sun salt was switched to food. However,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un salt is in a decline with a decrease in table salt consumption, inundation of imported salt, and continuation of perpetual crude salt-oriented production structure. Producers’ grievances are increasing as sun salt prices are at the lowest level. On the other hand, consumers’ preference for fresh and safe food along with their disclosure requests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are on the rise. Though such consumer tendencies are applied to Sun salt, since domestic sun salt has yet to be recognized for its functionality and commercial value, no price formation has occurred.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price decline in sun salt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supply and demand of the salt and its countermeasures. Due to the lack of domestic data on the market size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sun salt, the problem was analyzed through estimation with data from related statistics. As a result, the current domestic sun salt market showed that there was an excess supply due to imports, while domestic supply alone can fully meet the market demand. Thus, for price stabilization of sun salt, the control of sun salt supply is of utmost importance. To accomplish this, restructuring saltern and improving the processing industry for differentiation from imported salts were found to be the most necessary.

      • KCI등재

        전남 신안군 증도와 신의도의 천일염전과 생태문화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김재은 ( Kim Jae-eun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신안군 갯벌지역을 간척하여 천일염전을 생산하는 두 대표적 지역인 증도와 신의도를 천일염 생산 및 주변 경관과 생태문화자원의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신안군은 넓은 갯벌지역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동안 간척으로 광대한 규모의 천일염전 경관을 가지고 있다. 신안군은 전국 생산량의 약 80% 정도의 천일염을 생산하고 있다. 신안군의 천일염 생산은 갯벌을 간척하여 조성한 넓은 면적과 전국에서 가장 일사량이 많은 지역으로 천일염 생산에 매우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증도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단일 염전이 있고, 신의도는 면단위 전체 인구의 약 절반에 이를 정도의 인구가 천일염 생산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고 있을 정도로 신안군 내에서도 천일염 생산의 주력지이다. 또한, 여러 개로 나누어진 섬을 남북으로 길게 간척과 매립을 한 지역이라는 공통점에서 비교의 대상으로 삼았다. 천일염이 광물질에서 식품으로 품목이 전환된 이후에 여러 가지 지원을 통해서 폐염전을 활용하는 등 활발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 소금 시장에서 한국산 천일염은 그 부가가치가 매우 낮고 기후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압박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천일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염전 주변 경관과 섬의 생태문화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증도는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람사습지, 슬로시티 등 소금이외에도 생태관광을 즐기려는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특히, 연육교가 완성되면서 교통의 편리성 증가와 숙박시설의 질적·양적인 증가로 인하여 천일염전경관이외에도 다양한 생태문화자원을 즐기려는 방문객이 많이 증가하였다. 그에 비해 신의도는 천일염생산이 주요 소득으로 소득 다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외부적 요인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특히, 근래에 발생한 천일염과 관련된 위생문제와 인권문제 등과 같은 문제의 대두는 신의도와 같이 천일염생산이 주요한 생계수단인 지역에서는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숙박, 편의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 부족으로 방문객을 유입하여 소득 다변화를 이루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 도의 천일염전경관과 주변 생태문화자원을 활용한 방문객 유치의 성공사례는 훌륭한 사례로서 이를 바탕으로보다 적극적인 지역 생태문화자원을 활용하고 우수한 자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시도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 논문에 비교된 두 지역인 증도와 신의도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상황이 비슷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이 많고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한 비교의 대상으로 삼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같은 지자체내에서의 성공사례는 가장 좋은 사례가 될 수 있고 적절한 예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한 생태문화자원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용은 천일염생산에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fference among sun-dried salt industry, utilization of surrounding landscape, and ecoculture resources for the two representative areas of Shinan county. Shinan county has huge tidal flat areas which forms salt filed landscapes. The county is based on reclamation of tidal flat areas, and among them, Jeungdo has the largest single company for sun-dried salt production. Also, half of the total population of Shineuido is engaged in work related to the salt production, which makes Shinan county the most important area for sun-dried salt production and shows why this study choose these two as study areas. In line with the conversion from mineral to food, different production activities are taking place, such as reusing closed salt field. People are now looking forward to enjoying ecotourism such as UNESCO Biosphere Reserve, Ramsar Wetlands, and Slow City, all of which are making attempts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sun-dried salt and utilize sea landscape and ecocultural resources of the island. On the other hand, Shineuido is very vulnerable to external factors since the production of sun dried slat is their main income and other diverse income factors are now developed at the time being.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diversify income through tourism, since the city lacks various infrastructure. In this context, it is concluded that diverse attempts should be made to utilize more active local ecocultural resources and to promote its excellent resources using the success stories of Jeungdo.

      • KCI등재

        천일염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 2005년에 대한 2010년의 비교 -

        최정훈 ( Choi Jung-hun ),고두갑 ( Go Du-gab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현재 천일염산업이 가지는 경제적 영향력과 2005기준년에 비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따라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투입-산출분석을 통해 천일염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노동 및 취업유발효과, 전후방연관효과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천일염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와 분석의 한계점은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천일염산업이 각 산업부문에 유발하는 효과는 천일염산업 1.000007원, 운송서비스 0.069396원, 석탄 및 석유제품 0.053911, 기타 제조업제품 및 임가공 0.050030원, 화학제품 0.041790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 산업에 걸쳐서 1.607079원이었다. 이는 천일염산업의 생산파급효과가 산출액 1원의 생산 증가 시 약 1.61배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타 산업부문에 비해 낮은 편에 속한다. 둘째, 천일염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면 생산물 1단위당 0.900905의 부가가치를 유발하여 전 산업부문에서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목별로 보면 피용자보수0.606224(67.3%), 영업잉여 0.195780(21.6%)로 피용자의 보수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지역경제의 소득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천일염산업의 전방연관효과는 0.521596으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며 후방연관효과도 0.748435로 하위에 속한다. 이는 천일염이 민간소비 등의 최종수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원재료 성격의 1차 산업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째, 천일염산업의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 당 31.95명으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노동유발효과도 16.97명으로 두 번째로 아주 높게 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천일염산업은 생산유발효과가 비교적 낮지만 2005년에 비해9.52%가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부가가치유발효과는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나 2005기준년에 비해 4.32% 감소하였다. 취업 및 고용유발효과는 타 산업부문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2005년에 비해 취업유발효과는 10.32%가 감소한 반면, 고용유발효과는 30.59%가 증가하였다. 이는 천일염산업의 생산이 소규모 영세적 자영업에서 대규모 기업적 특징이 강화되고 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변화는 고용창출과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economic influence of the solar salt industry and any change compared to the base year of 2005, by using the input-output table.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labor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forward backward linkage effect through the analysis of input-out tabl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on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and the limi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t showed that the inducement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was 1.000007 won, transportation services 0.069396 won, coal and petroleum products 0.053911 won, other manufactured goods and toll processing 0.050030 won, and chemical products 0.041790 won, which amounted to 1.607079 won in total throughout the whole industry. Production ripple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creates about 1.61 times of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n the case of production increase by 1 won yield. This is rather lower than other industry sectors. Second, if we look into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it induced 0.900905 per product unit, which is 3rd place of the whole industry. If we look into item by item, the employee income was 0.606224 (67.3%) while the operating surplus was 0.195780 (21.6%); and the employee income was relatively higher. Thus, it seem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income cre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Third, the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recorded to be the lowest (0.521596), and the backward linkage effect also belonged to the lower part( 0.748435).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the final demand ratio of private consumption for solar salt was relatively high, and that the solar salt industry is the primary industry of raw material. Fourth,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was 2nd highest with 31.95 men per 1 billion won, and the labor inducement effect was also the 2nd highest with 16.97 men. The comprehensiv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the solar salt industry was relatively low, but increased by 9.52% compared to 2005. On the contrary,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was very high but decreased by 4.32% compared to the 2005 base year. Labor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al sectors, and the labor inducement effect decreased by 10.32% compared to 2005, but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ncreased by 30.59%. This indicates a change in the production of solar salt industry. Large business characteristics are presumed to be strengthened in small private businesses. In addition, it plays a large role in employment creation and the income increase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지역 특화상품 패키지의 색채 이미지 연구

        정현선(Hyunsun jeong),윤미(Mi Yoo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2

        천일염은 우리나라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불과 1%미만이지만 소금은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요소로서 한국의 전통발효음식에 빠질 수 없는 장맛의 핵심이기도 하다. 2011년 정부는 식품산업 육성의 일조로 국내 천일염 생산의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전남지역을 천일염 산업특구로 지정하여 천일염 세계 명품화 전략 사업을 실행하였다. 세계 소금시장에서 비교적 국토면적이 적은 우리나라 천일염의 생산량은 0.1% 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생산량을 늘려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보다 고부가가치 명품화 전략으로 고급소금에 대한 수요가 있는 특정 수출 시장을 공략하는 편이 낫다. 이에 국내산 천일염의 우수한 미네랄 함유량, 기능성 같은 이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필요함에 따라 정부는 전문 인력양성 사업은 물론 지역 이미지 강화 및 홍보 마케팅 사업, 천일염 상품화 사업을 위해 투자하고 있다. 질적 우수함에 비해 부실한 포장과 낮은 인지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국산 천일염은 명품화 전략에 걸맞은 상품 이미지 메이킹 전략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시장에 국산/수입 소금 브랜드들의 패키지를 조사하여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포장과 디자인, 색채 등의 시각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특정 식품이 가지고 있는 미각적 특성과 지역상품으로서 특성에 맞춰 이미지 강화와 시각적 차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했다. 조사결과 세계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천일염 패키지에 bV색상과 white를 배색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 생산지역 및 특성을 무시한 채 공통적으로 사용된 색채 표현으로 제품의 국적이나 개성을 구분하기 어려웠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각의 시각화를 위해 단순 감성이나 미적효과에 기이한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해 색채를 계획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Although the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only make up less than 1% of Korea’s industry, it is an essential substance for the continuation of human life and is also a key component of seasonings and sauces that are exclud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products. In 2011, as a part of its plan to develop the Korean food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the Jeonnam area, which comprises of over 85% of the domestic sun-dried salts production, as a specialized industry district for the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and commenced its strategic plan to promote Korean sun-dried salts as a global brand name product. Where the land area is relatively smaller, Korea’s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only make up about 0.1% of the world’s total production of sun-dried salts, the plant to target a niche export market where there is demand for high quality salt as a high value product marketing strategy is more favorable than increasing its market share by increasing production levels. As a result, in light of the need for aggressive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regarding the benefits of Korean sun-dried salts such as its functionality and the high content level of minerals in Korean sun-dried salts, the Korean government invested in various projects such as the training of labor forces specializing in the sun-dried salts industry, building up the image of the local industry and engaging in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locally produced sun-dried salts. This study reveals that most sun-dried salt products throughout the world uses an arrangement of bVcolor and white on their packaging. The study found that such color arrangement is commonly used in most products and disregards the production reg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products by country of origin or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ot based upon the simple sensitivity or aesthetical effects, bu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utilize colors for the visualization of taste by utilizing objective data.

      • KCI등재

        비금도 천일염전 개발과정과 사회적 확산

        최성환(Choi, Sunghwa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2 島嶼文化 Vol.0 No.40

        본고는 신안군 비금도 천일염전의 개발과정과 사회적 확산을 검토한 것이다. 염전개발과 관련된 각종 기록물과 최초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손봉훈과 박삼만의 후손, 당시 염부였던 손정우 등의 구술 내용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복이후 1946년 비금도에서 민간차원 최초로 천일염전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는 손봉훈의 개척정신과 지도력, 박삼만의 현장 활동, 뜻을 함께하는 비금도 주민들의 노력이 융합되어 나타난 결과물이다. 이후 비금도는 각종 개발조합의 활동과 제염기술원양성소를 통해 천일염전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했다. 천일염전의 개발은 오늘날 섬사람들이 섬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는 사회경제적 기반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현재 신안군에는 천일염전 개발과 관련된 각종 기록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는 우리나라 천일염 산업의 발달과정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이러한 기록물을 통해 비금도 자체가 광복이후 한국 천일염전의 새로운 始發地였고, 호남권 천일염전 개발기술의 보급처였음이 확인되었다. Bigeumdo, Shinan-gun is the island located in the southeast edge in Korea, and it is located in the region that is 54.5km distant from Mokpo.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bay salt pond that was formed first in Bigeumdo after the Liberation and its social expansion. Centering around all sorts of records regarding salt pond development, this paper analyzed what the descendants of Son Bong-Hun and Park Sam-Man who played initiative roles in its initial development said and also the salt makers then including Son Jeong-Woo said comparatively as well as synthetically. Thereupon, this study gaine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In Bigeumdo, they succeeded in developing the first bay salt pond in 1946. It was the result of combination among Son Bong-Hun’s pioneering spirit and leadership, Park Sam-Man’s activities at the spot, and Bigeumdo residents’ efforts pursuing the same goal. After that, Bigeumdo has contributed to the social expansion of bay salt ponds through the activities of development associations and salt manufacturing engineer training centers. The development of bay salt ponds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socioeconomic foundation with which the islanders can preserve the island and live there today. Presently, Shinan-gun has well kept all the record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bay salt ponds. Those are the crucial materials that show Korea’s developmental process of bay salt industry. With those records, we can see that Bigeumdo itself was the new starting point for bay salt ponds in Korea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the supplier of technology to develop bay salt ponds in Honam area.

      • KCI등재

        천일염의 생산과정과 유통체계, 그리고 정부정책

        박정석(Park Jeong Se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9 島嶼文化 Vol.0 No.34

        소금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와 이어진다고 할 정도로 소금은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소금의 생산과 분배는 정부와 권력집단의 통제 아래 관리되었다. 즉, 소금은 일찍부터 정치경제적인 식품으로써 부를 축적하거나 권력을 획득하는 수단이 되었다. 해방 후 비금도에 도입된 천일염전은 인근 도서지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그 결과 소금은 이 지역의 중요한 산염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정부는 장기적인 생산과 소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염전의 면적 증가와 소금생산 체계의 변화 그리고 GAIT 협약에 따른 소금수입 자유화에 따라 임시처방을 남발하였다. 이런 정부의 비체계적인 소금정책, 적절한 관리체계의 부재, 소금산업의 불확실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소금생산자들은 천일염 생산과정과 유통체계를 발전시키고 개선하였다. 천일염이 식품으로 전화되면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천일염전과 천일염을 지역특화산염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소금산염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천일염 생산은 정책이 아니라 사람이 한다는 것을 먼저 인지해야 한다. Salt as a basic material for human life has much to do with the history of food itself. So the production of salt and its distribution have been controlled, generally, by the nation or the power. That is, salt has been treated as a politico-economic food and a way of accumulating the wealth and power from early days, at least in regional level. After liberation, sun-dried saltpans were introduced at Bignem-do, Sinan County and spreaded in southwestern coastal areas. Thus salt became a major income source of these regions and people. However, the salt related polices changed several times by the government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saltpan size and salt production mechanism, and the liberalization of salt import due to the agreement of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In spite of non-systemic salt polices, absence of appropriate governing mechanism, or uncertainty of salt industry development, sun-dried saltpan owners and saltpan workers developed and improved the process of salt production and its distribution system. With the designation of solar(or organic) salt as a food product, loc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un-dried saltpans and solar salt and try to develop salt production as a region-specialized industry. But, to develop regional or specialized salt industry, first of all,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solar salt is made by man not policy.

      • KCI등재

        염전 바닥재용 푸레도판 제조에 관한 연구

        신라연,장영필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2

        인류의 삶과 함께 한 소금의 역사는 그 시대의 경제, 정치, 사회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소금의 발견은 인간이 출현한 이후 기원전 6000년 중국 원정 호에서 소금 채취를 시작1)하여 인간의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생존과 식량보관에 사용해 왔던 생활필수품 이였으며 권력을 상징이었다. 또한 소금은 단순한 염분이 아니라 생명을 조화시키는 물질로 소금을 먹지 않으면 살 수가 없다. 우리 식생활과 건강에 좋은 소금을 생산하는 일야야말로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좋은 소금은 미네랄 함량이 월등히 높은 천일염이다. 햇빛과바람이 익혀 주는 결정체 천일염은 생산에서 결정이 맺히기 까지 10~20일 걸린다. 이 소금을약 1년간 간수를 빼면 염도 84~86도에 이르는 천일염2)이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의 대표 발효식품은 소금에 절여 만든 김치, 젓갈, 된장, 고추장, 간장은 천일염을 섞어 만든다. 따라서 한국인들에게는 어떠한 소금을 쓰느냐에 따라 음식 맛도 다르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최근 전남보건환경연구원은“천일염에는 각종 미네랄이 함량이 높다고” 발표하였다.3) 그러나1950년대 전후로 산림보호를 위한 벌목금지정책으로 인해 국내 염전이었던 토지공간은 대부분 사라지고 상황을 맞게 되어 천일염은 완전히 폐지되어 소금의 민영화되기에 이르렀다. 1971년부터는 소금생산의 중단과 함께 철거되어 토지이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소금생산의 경우 1950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해수를 가마솥에 넣어 화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갯벌 흙 위에서 햇빛에 의한 해수의 증발과정을 통해 얻는 해염(海鹽)이 주를 이루었다. 가마솥에서 직접 화력을 이용하거나 농축된 함수(咸水)를 가열 하여 만드는 천일염(sundried salt)은토판 염에서 생산 되며 바닷물, 바람, 햇빛이 좋은날 갯벌 위에서 바로 걷는 소금으로 미네랄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은 작업이 까다롭고 불순물이 많아 문제가 야기되고있다. 또 요즘은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판을 까는 것이 대부분이인 염전의 문제점이다. 뜨거운 여름 햇볕 아래 수십도 까지 올라가는 온도로 수온을 감안할 때 유해한 성분이 방출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염전 바닥재용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장판 대신에 친환경바닥재인 세라믹 바닥재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바닥재는 타일은 일반 건축용의 타일로 표면이 미끄러워 재염 과정에서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문제가 된다. 또한, 타일은 단단한 일반 건축물과 달리 무른 갯벌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충격에 취약하여 잘 깨지는 문제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중금속 함량에 대한 규제가심하지 않은 건축용이므로 염전 바닥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중금속이 용출되어 소금에 혼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의 염전 바닥재용 도판의 주원료의 특징은 맥반석과 황토를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의 용출이 최소화되어 품질 좋은 천일염을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표면이 검은색을 띄게 되므로 햇빛 흡수량이 증가되어천일염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재질이 소성되어 형성되므로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증가되어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고 생산성이 증가되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주원료는 황토와 맥반석, 펄프와 벤토나이트 및 납... The history of salt which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life of man kin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of the relevant era. After man first appeared, salt was discovered when it was first collected in Wonjeong Lake in China aro4)und 6,000 B.C. It served as a daily necessity used to store food and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mankind and was symbolic of power and authority. Salt was not only saline but also a substance that brought harmony to life as man could not live without consuming salt.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alt that is good for our dietary life and health is what is necessary to live a good life. High quality salt includes sun-dried salt that has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mineral content. The crystalized, sun-dried salt produced by the sunlight and winds takes about 10 to 20 days from start of production until the formation of the crystals. After the salty water is extracted from the salt for about 1 year, sun-dried salt with salinity level of about is produced. Korea’s main fermented foods such as salted down kimchi, salted seafood, fermented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soy sauce are made by mixing it with sun-dried salt. As a result, for Koreans, the taste of food is and effects on health differs depending upon what type of salt was used to make the food. Recently, the Jeolla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announced that “there was a high content level of various minerals in sun-dried salt.” However, due to the policies prohibiting logging for forest conservancy around the 1950s, lands that were used as salt pans mostly disappeared and, due to such circumstances, production of sun-dried salt was completely discontinued and led to the privatization of salt production. Starting from 1971, salt pans were demolished with the discontinuation of salt production and led to changes in the use of the land. Up until just the early 1950s in Korea, salt was mainly produced by obtaining sea salt through the process of vaporizing sea water with sunlight shining down on the mud flat or with the use of fire power by boiling sea water in a cauldron. Sun-dried salt produced by directly using fire on a cauldron filled with sea water or by heating up condensed salt water was made on clay tablets made with mud from mud flats and it is known to be abundant with mineral content as salt that is directly collected from the mud flats on a nice day with sea water, winds and sunlight. Now, there are many issues that arise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es for salt production and impurities found in the salt. Nowadays, the issue also arises from salt pans that mostly use flooring that is cheap and easy to build. When considering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up to tens of degrees under the hot, summer sunlight, the flooring releases harmful substances. To resolve the cause why the use of eco-friendly ceramic flooring in substitution for flooring that was previously used for salt pans is recently being reviewed, ceramic flooring uses tiles that are generally used in construction which have a slippery surface and causes workers to slip and fall during resalinization. Furthermore, when tiles are installed on the floors of soft mud flats, unlike typical buildings with firm and solid structures, they tend to easily break as they are weak against impact. The biggest issue was that the tiles were made for construction which is not severly restricted with respect to content of heavy metals. Thus, when they are used as flooring for salt pans, it can be a problem as heavy metals can be released and mixed with the sa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raw materials for the plates used as flooring for salt pans in this study are produced by including elvan and red clay. Therefore, it has a beneficial effect in helping produce high quality sun-dried salt by minimizing the release of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As the color of its surface is black, it inc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