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화론과 과정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의 반응

        조봉근 ( Bong Geun Cho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7 No.-

        This is an article concerning an assessment of Charles Hodge and Reformed Theologians on Evolutionism and Process theologians. Charles Hodge says that “The Bible is to the theologian what nature is to the man of science. It is his store-house of facts; and his method of ascertaining what the Bible teaches, is the same as that which the natural philosopher adopts to ascertain what nature teaches. The duty of the Christian theologian is to ascertain, collect, and combine all the facts which God has revealed concerning himself and our relation to Him. The theologian to be guided by the same rules as the man of science. These facts are all in the Bible. This is true, because everything revealed in nature, and in the constitution of man concerning God and our relation to Him, is contained and authenticated in Scripture. The theologian must be guided by the same rules in the collection of facts, as govern the man of science. Science cannot make facts. In theology as in natural science, principles are derived from facts, and not impressed upon them.” According to Charles Hodge, First, Darwinism is the law of heredity, Second, Darwinism is the law of variation. Third, Darwinism is increase of plants and animals giving rise to a continuous and universal struggle for life. And fourth, Darwinism is the fittest survive in this struggle. This fourth principle is “natural El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se principles in the course of “countless ages” all the many forms of life have come. It excludes God; it excludes intelligence from every thing. This is artificial Election. He cannot believe that all the plants and animals that have ever existed on the earth have been evolved from one “germ”. All Darwin claims is that it is possible. His third objection relates to Darwin`s rejection of design. He argues that the only thing really different in Darwin`s theory from previous theories of evolution which where completely rejected is this rejection of teleology. He begins his elaboration of this objection by defining “species.” The distinctions between many varieties of related animals which zoologists, for the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call distinct species are artificial. Species should be defined as “primordial organic forms” which have not evolved out of any other form, but have been in the same form (subject to varieties such as we see in dogs, horses, et cetera) throughout history. We have thus arrived at the answer to our question, What is Darwinism? It is Atheism. In Whitehead and Hartshorne, God`s existence is necessitated by two different factors which produced a dipolar concept. God in his "primordial" , eternal, absolute nature as mind contributes the novel aims or possibilities to each succeeding event. God in his "consequent" changing and growing nature physically experiences the process, knowing and loving it. But experiencing involves a real relation or union, hence the cosmic process is God. Hartshorne`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views have received criticism from many different quarters. Positive criticism has underscored that Hartshorne`s emphasis on change and process and creativity has acted as a great corrective to static thinking about causal laws and determinism. Process Theology is an introductory exposition of the theological movement that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ies of Alfred North Whitehead and Charles Hartshorne. It offers an interpretation of the basic concepts of process philosophy. Today, even though modern science is heading for high standard, the science cannot take over God, or be free by itself. Science departed from God is no longer science. It will be tumbled down rather like a babel tower. Evolutionism and Process Theology without God as Charles Hodge and Reformed theologians pointed out is naturalism defending atheism. 이 논문은 진화론과 과정신학에 관한 찰스 핫지와 개혁신학자의 평가이다. 찰스 핫지는 말하기를, “자연이 과학자에게 존재하는 것이라면, 성경은 신학자에게 존재하는 것이다. 그것은 사실들의 창고이다. 성경이 가르치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자연철학자들이 자연이 가르치는 것을 확인하려고 채택하는 것과 마찬 가지이다. 기독교 신학자들의 의무는 하나님께서 그 자신과 우리와의 관계에 관해서 계시하신 모든 사실들을 확인하고, 수집하며 정리하여 연결시키는데 있다. 모든 사실들은 성경에 있다. 이것은, 만물이 자연 속에 계시되었고, 또 만물이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에 관한 인간의 구조 속에 계시되었으며, 성경 안에 포함되었고, 증명되었기 때문에, 사실이다. 신학자는 사실들을 수집하여, 과학자들이 자연을 다스리듯이 같은 법칙에 따라 인도함을 받아야 한다. 자연은 사실들을 만들 수 없다. 신학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원리들은 사실에서 나오며, 감명(인상)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였다. 개혁신학자 찰스 핫지뿐만 아니라 창조과학자들은 거의 보수개혁 교회에 많이 있다. 창조과학자들의 공통점은, 천지창조와 아담과 하와, 그리고 노아의 홍수와 같이 성경의 원본에 기록된 모든 내용은 문자 그대로 정확하다는 믿음을 가진 학자들이다. 한편, “유신론적 진화론자”로 불리는 학파도 있는데, 이들은 진화가 하나님께서 생명을 창조한 방법일 뿐이며, 과학과 성경의 모순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현대과학자들의 다수는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고 있다. 유신론적 진화론자들도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했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게 창조 론자로 보이어지지만, 오히려 원래의 창조론자들은 "적" 으로 간주한다. 진화론은 기독교 교리와 모순된다는 믿음이 보수적 창조론자들을 규합하게 하는 단 하나의 요인이므로, 저들은 보수적 창조론자들을 도리어 "반진화론자" 로 분류한다. 그러나 창조과학운동은 "창조론자" 들이 모든 주요 창조론 단체를 이끌고 있다. 창조과학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시사하는 과학적 증거와 추론을 포함한다. 창조과학은 1) 무에서부터 우주와 에너지와 생명은 순간적 창조이며, 2) 하나의 유기체에서 모든 생명체의 종이 진화하기 위해서는 돌연변 위와 자연선택은 불충분하다는 것이며, 3) 원래 창조되었던 식물의 종과 동물의 종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4) 사람과 원숭이는 별도의 계통이며, 5) 전 지구적 홍수 발생을 포함한 격변에 의한 지구지질학을 설명하며, 6) 상대적으로 가까운 과거에, 지구와 생명체가 출현했다는 설명을 한다. 1953년에 열린 ASA(이 모임은 과학이 성경을 입증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1941년에 결성된 미국과학연합회)의 연례 회동에서, 헨리 모리스는 “최근의 창조와 전우주적 홍수에 대한 성경적 증거”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모리스는 1953년에 열린 ASA의 연례회동에서 홍수지질학과 젊은 지구 창조론에 흥미를 갖고 있던 신학자 존 위트콤 2세를 처음 만났다. 1961년에 위트콤과 모리스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정말 중요한 논점은 다양한 지질학적 증거의 세부사항을 정확히 해석했느냐의 여부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서 하나님이 무엇을 계시했는가?”이다 그러나 ASA는 “창세기 홍수”에 대해 계속 비판적이었는데, 1992년에 모리스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문제의 핵심은 성경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이다. 모리스, 기쉬, 램머츠의 3인은 1963년에 창조연구위원회(CRC)라는 창조론단체를 결성했다. 창조연구위원회는 후에, 창조연구회(CRS)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CRS는 “현대창조론의 대부”라 불리는 헨리 모리스가 최초로 이끌게 된 전국적 규모의 단체였으며, 이 단체는 결성되자마자 모리스의 관점을 그대로 수용했다. CRS의 목적은 그 선언문에 나온 바와 같이 “식물과 동물 그리고 인간을 포함한 우주의 물질세계는 인격신의 직접적 창조의 결과라는 명제를 입증하는 연구결과를 출판하는 것”이었다. 예수를 전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과학적 자료를 활용하기로 결심한 모리스는 성경의 무오성에 근거한 자신의 홍수지질학 모델을 "대체과학" 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는 생물학 교육과정에서 "진화과학" 과 "창조과학" 을 동등하게 다루는 법령이 주의회를 통과할 수 있는 가능성 여부도 아울러 모색하기 시작했다. 모리스의 관점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CRS는 ASA가 했던 방법대로 과학분야의 정식학위를 소지한 사람들만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과거의 창조론자 단체에서 볼 수 있었던 관념론적 논쟁이나 내분을 막기 위해, CRS는 모든 회원들에게 길고 상세한 내용의 서약문을 맹세하게 했다. 그런 맹세는 회원들의 연구 활동 범위를 창세기의 문자적 해석, 젊은 지구론자의 관점, 그리고 홍수지질학 모델로 제한하는 것이었다. 다음은 CRS의 서약문이다. 1) “성경은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며,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것이므로, 성경의 모든 원본에 쓰이어진 모든 내용은 역사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옳다. 이는 자연을 공부하는 사

      • KCI등재

        유신진화론: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에서

        제해종(Haejong J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우주와 인간의 기원에 대한 관심은 역사적으로 인간 탐구의 중심 주제 중 하나였다. 기원에 관한 문제는 단순한 지적 호기심의 문제가 아닌 인간 정체성에 관한 것이자 인간의 운명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인간의 기원과 관련하여 제시된 전통적인 모델은 크게 만물이 창조주에게서 기인하였다는 기독교의 창조론과 모든 것이 우연히 발생하여 하등에서 점점 고등동물로 진화하였다는 진화론, 그리고 기원에 관하여 우리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불가지론이 있다. 본 연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결합인 유신진화론을 다루고 있다. 유신진화론이란 만물이 하나님에게서 기원하긴 했지만 즉각적 창조가 아닌, 오랜 세월 진화의 과정을 통한 창조를 통한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기원에 관한 두 상충하는 이론을 기독교적으로 결합하여 제시한 것이 유신진화론인데, 이는 여러 가지 본질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성경의 하나님이 전능한 창조주가 아닌 자연의 법칙에 국한된 모습으로 축소된다. 둘째, 성경의 사건을 상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역사성을 거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유신진화론보다는 오히려 진화론이나 창조론 둘 중 하나를 택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man has historically been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human inquiry. The question of origin is not just a matter of intellectual curiosity, but a matter of human identity and an important matter of human destiny. The traditional model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man is largely the Christian creationism that all things originated from the Creator, the evolutionary theory that everything happened by chance and evolved from lower to higher animals, and the agnosticism that we cannot know anything about the origin.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 a combination of creationism and evolutionism. It is argued that the theory of the evolutionary origin was not an immediate creation, although all things originated from God, but through creation through a long evolutionary process.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 was proposed by combining two conflicting theories of origin in a Christian way, which has several essential problems, but this study pointed out two. First, the God of the Bible is reduced to the image of being confined to the laws of nature, not the Almighty Creator. Second, by interpreting the events of the Bible symbolically, it results in rejection of historicity. Therefore, it is more rational to choose either evolutionism or creationism rather than the theory of theistic evolution.

      • KCI등재

        진화론의 3가지 유형과 진화현상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

        이명곤(Lee, Myung-Go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진화론’은 현대에 있어서 대다수의 학자들과 일부 종교계에서도 인정하는 하나의 학설이다. 현대에 있어 진화현상을 전체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진화론은 다양한데 그중 크게 3부류로 분류하면 ‘일반진화론’ ‘유전자 진화론’ ‘창조적 진화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윈 등에 의해 출발한 ‘일반진화론’의 핵심은 생명은 애초에 하나의 종으로부터 자연선택에 의해 다양한 종으로 분화되는데, 새롭게 획득한 후천적인 형질이 후세에 유전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은 하나의 종의 내부에서는 설득력 있는 해명이지만 근본적으로 차원이 다른 종들 가령 ‘동물에서 사유하는 인간에로’의 분화에 대해서 납득할 만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유전공학의 발달로 DNA라는 생명의 기본단위를 발견한 현대의 과학자들은 ‘유전자 진화론’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전자 진화론은 모든 진화의 과정은 ‘DNA’가 자기생존을 위해서 고안한 ‘겉옷’에 지나지 않으며, 진화의 근본원인은 개체로서의 DNA가 ‘보다 잘 생존하기’라는 한 가지 이기적인 목적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명은 인간과 같은 고등동물이 ‘박테리아’ 같은 미세 생명체보다도 생존하기에 더 유리한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윤리도덕적인 삶과 자기희생적인 헌신적인 삶의 형식에 대해서 납득할 만한 해명들 주지 못하고 있다. 일반진화론과 유전자 진화론이 가진 공통적인 문제점은 ‘인간은 왜 존재하는가?’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하는 인간의 존재의미나 미래의 지향성에 대해서 아무런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들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창조적 진화론’인데, 베르그송, 떼이야르드 샤르뎅 등에 의해 주장된 이러한 이론은 진화의 전 과정에 보이지 않는 의식 혹은 정신적인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진화의 목적은 의식을 탄생시키고자하는 것이며, 진화현상을 질료적 장벽에 대한 정신의 승리라고 고찰하고 있다. 베르그송은 진화의 근본적인 원동력을 ‘생의 도약’이라고 보았고 그 과정은 자유로운 선택을 통한 ‘새로운 생명형식의 창조’라고 보았다. 반면 떼이야르 드 샤르뎅은 진화의 궁극적인 도착점인 ‘오메가 지점’을 예견하였는데, 이러한 창조적 진화론자들의 사유는 그들이 가정하는 진화의 원리들 자체가 관찰이나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과학적 지식이 아닌 형이상학적인 지식 혹은 가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형이상학적인 지평에서만이 생명현상 특히 인간의 생명현상에 대해서 충분히 납득할 만한 이론을 제시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창조적 진화론’ 역시 ‘생의 도약’의 기원에 대한 문제, ‘오메가 포인터’의 존재근거 등 여전히 많은 의문점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화론이 보다 완전한 학설이 되기 위해서는 철학적, 형이상학적 나아가 종교적 지평에서의 보다 심오한 탐구가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윈의 창조론

        전대경 ( Dae Kyung Ju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0 조직신학연구 Vol.34 No.-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창조론이라는 주제는 우리에게 매우 생소하다. 다윈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바로 진화론이다. 그래서 우리는 다윈의 진화론에 더욱 익숙하다. 아니 오히려 다윈의 진화론에만 익숙하고 다윈의 창조론은 전혀 들어본 적도 없고 상상해본 적도 없다고 해야 더 정확할 것이다. 다윈의 진화론은 무신론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무기이다. 총을 들고 전쟁을 나가는 군인에게 있어서의 총알과도 같은 것이 바로 무신론자들에게 있어서의 진화론이다. 창조론을 주장하는 무신론자는 있을 수 없다. 창조를 인정하는 것은 창조자를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창조론을 주장하게 되면 그(녀) 스스로 더이상 무신론자일 수가 없게 된다. 무신론자들은 다윈의 진화론을 무기로 창조론과 창조자를 공격하고자 한다. 하지만 정작 다윈은 『종의 기원』을 왜 발표했을까? 무신론자들의 가장 큰 무기를 만들어주려고 했을까? 그렇다면 다윈도 무신론자였을까? 아니면 무신론자들의 통념(myth)이나 희망과는 반대로 다윈은 무신론자가 아니었으며 단순한 ‘자연과학자’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의 창조 과정을 연구한 ‘자연신학자’는 아니었을까? 본 소고는 이러한 질문들에 나름 답을 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찰스 다윈의 작품에 나타난 창조자로서의 하나님 이해(신론, 신관, 신학 혹은 신앙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를 다룬다. 규명하려는 것은 다윈은 결코 무신론자가 아니었으며, 그는 유신론자이자 창조론자였을 뿐 아니라 자연신학자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의 이론을 무신론자들이 사용하는 것은 다윈의 본래 의도와는 상충되기 때문에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먼저, 다윈의 교육사적 생애를 통해 그가 무신론자가 아닌 유신론자였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다윈의 『종의 기원』에 나타난 창조관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으로, 다윈의 작품으로부터 자연계시를 통한 신인식 가능성으로서의 자연신학을 살펴본다. Charles Darwin(1809-1882)’s creationism must be somewhat odd to us. The word that clings to Darwin is evolutionism. Thus, we are more familiar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t would rather be more correct to say that we are only familiar with Darwin’s evolutionism and have never heard of or imagined Darwin’s creationism. Darwin’s creationism is the main weapon for atheists. For atheists, it is like bullets and guns for soldiers going to the battle field. There can be no atheist who asserts creationism. Since conceding creation is admitting the creator, insisting on creationism can no longer be an atheist him/herself. Atheists eager to attack creationism and creators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However, why did Darwin publish The Origin of Species ? Was it for him to try to build the greatest weapon for atheists? Was Darwin atheist, then? Or, contrary to the myth or hope of atheists, was not Darwin the atheist, and not just a “natural scientist” but a “natural theologian,” who studied the process of God’s creation?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underlying this paper. In this article, Darwin’s understanding of God as the creator is dealt. It is argued that Charles Darwin has never been an atheist.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it is absurd that atheistic use of Darwin’s evolutionism as their main weapon since it is against Darwin’s original intention. Darwin was a theist who was trying to prove the procedure of the mystery of God’s Creation. So, through his work, Origin of Species , he has striven to interpret and describe God’s design for His creations.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한 진화 창조론: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은 과학의 연구 결과를 “일반계시”와 혼동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기 때문에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요 교리에 있어서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심각한 불협화음을 일으키기에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 없다. 첫째, 우종학은 성경이 특별계시라고 한다면, 자연과학의 발견들은 일반계시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심각한 개념적 오류이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이런 근본적인 혼동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점차로 잘못된 논변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과학자를 마치 일반계시의 설명자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주장이다. 일반계시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특별계시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둘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는 경향성이 있다. 그가 비록 신(新)무신론을 비판하긴 하지만, 창조과학을 비판하는 지점에 가서는 거의 신(新)무신론과 다를 바 없는 입장을 전개한다. 이것은 논리적 모순일 뿐 아니라, 자연주의적이며 반기독교적인 세계관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조화되기 힘들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아담과 언약에 대한 가르침을 왜곡시키며, 그로 인하여 원죄론은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구원론 역시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신론에 있어서는 이신론과 범신론을 왔다갔다 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가르침 역시 침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전통적 개혁신학은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presen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is unacceptable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his theory shows the errors of confusing the results of science with “general revelation,” includes an anti-Christian worldview that is too attached to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and discords seriously with major doctrines of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First, Jong-Hak Woo claims that the discoveries of natural science are general revelation, if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This is a serious conceptual error.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starting from this fundamental confusion, gradually moves on to the wrong argument. He regards a scientist as a describer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an entirely different argument from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for general revelation is found in the Bible which is special revelation. Second,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Jong-Hak Woo has a tendency to be affiliated too much with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Though he criticizes New Atheism, he formulates arguments that are very similar to New Atheism when he criticizes Creation Science. This not only is a logical contradiction but has the risk of falling into a naturalistic and anti-Christian worldview. Third, it is difficult for Jong-Hak Woo’s evolutionary creationism to harmonize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distorts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s of Adam and covenant, and in so doing loses a proper place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strikes a blow to soteriology. Additionally, in the doctrine of God, i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ism and pantheism and also damages the doctrine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formula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사상에 나타난 창조와 진화의 통합적 전망

        송영민(Young-Min SO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1 가톨릭사상 Vol.- No.63

        떼이야르 드 샤르댕은 과학적 탐구와 그리스도교 신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진화의 개념을 창조의 개념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과학자로서 그는 우주가 진화하는 과정과 우주 속에서의 인간의 위치를 탐구하였고, 신학자로서 그는 이 세계의 외적 내적 측면을 함께 바라보고 진화하는 우주 속에서 하느님 이해를 확장하였다. 그는 과학에 기반을 두고 인간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을 함으로써 하느님과 우주 그리고 인간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는 유기적인 세계관의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떼이야르의 견해에 따르면, 진화는 물질에서 생명, 생명에서 정신이 발생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복잡성의 증대와 의식의 상승을 동반하는 우주진화는 마지막 수렴점, 곧 오메가 포인트(그리스도)를 향해 나아간다. 하느님은 이러한 우주의 진화를 있게 한 궁극적인 동력이다. 즉 하느님은 세상 위, 진화 과정의 바깥에 홀로 머무시는 분이라기보다 우주 진화의 전체 과정에 내재하며 그 방향을 최종 완성을 향해 이끌어 가는 우주의 완성자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우주 진화 전체는 신의 영역 속에 있고, 그 진화는 결국 하느님의 창조 과정이다. 이처럼 떼이야르는 창발하는 우주의 외적이고 내적인 면을 종합함으로써 우리가 좀 더 넓은 지평에서 우주-인간-하느님의 관계에 대한 안목을 갖게 하고, 진화와 창조가 양립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창조와 진화에 관한 떼이야르의 통합적 관점은 당대에는 환영받지 못했지만, 오늘날에는 우리에게 조화로운 세계관을 제시하고 새로운 종합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과학과 종교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며 얻은 그의 통찰력은 세상을 이원적으로 분리해서 대립적으로 보거나 어느 쪽이 옳은지 판단하는데 머무르기보다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도록 우리를 초대한다. ‘양자택일’이 아닌 ‘양자채택’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새로운 종합을 위한 그의 노력이 말해주듯이, 우주의 기원에 관한 과학적 설명과 신학적 설명은 모두 필요하다. 하나의 영역 그 자체로는 불완전하고,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 과학과 신앙이 대화 속에서 서로 경청할 때 우리는 어느 한 영역에서는 얻을 수 없는 진리를 양쪽 영역에서 배우게 되고, 광활한 우주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Pierre Teilhard de Chardin devoted his life to bridging Christian faith and science. H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at the interface God’s creatio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As a scientist, he explored the emerging process of the universe and humanity’s place in the unfolding sweep of evolution. As a theologian, he integrated the spiritual and physical dimensions of the universe and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ne in the grandeur of the evolving universe. Through this scientific and theological reflections on origins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Teilhard contributed to form an organic worldview which highlights interrelatedness among God, the universe and humanity. According to Teilhard, evolution is a dynamic process in which matter gradually evolves toward life and then toward spirit through increasing union. The cosmogenesis which evolves into greater complexity and consciousness is moving toward an ultimate goal, which he terms “Omega Point.” In this evolutionary process, God pervades the whole of reality and enables its evolutionary process. That is, God exists the whole process of evolving universe and leads the cosmogenesis towards to a point of perfection. From this perspective cosmic evolution is in the divine milieu, and evolution is God’s ongoing creation. By synthesizing the inner and outer aspects of cosmogenesis, Teilhard encourages us to see the whole phenomenon, in which the Divine,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are deeply integrated. His holistic view of cosmogenesis overcomes a dualistic approach that divides evolution and creation. Teilhard’s integrated vision of creation and evolution, which was once criticized, now opens us to a balanced worldview and a new synthesis. Embodying the wisdom within both science and religion, his holistic insight invites us to live in the expansive reality of ‘both-and’ rather than in a constrictive dualistic reality of ‘either-or.’ As his endeavor for a new synthesis implies, the scientific explanation of origins and the theological explanation of origins complement one another. Each in itself is incomplete; each provides something the other lacks. Only by joining them do we get a complete and 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origins of the universe.

      • KCI등재

        오래 전 창조론의 신학적 딜레마: 타락전 죽음?

        김병훈 ( Byung Hoon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2 No.-

        유신론적 진화론자들과 점진적 창조론자들과 같은 늙은 지구론자들은 창조후 인간이 타락하기 이전에도 이미 죽음의 현상들이 창조 세계 안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에 반하여, 젊은 지구론자들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죽음이 아담과 하와의 타락으로 인하여 발생한 일이라고 주장을 한다. 이처럼 엇갈린 주장들을 신학적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가 어떠한지를 살피는 일은 여러 유형들의 창조론 견해들을 평가함에 있어서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다. 만일 죽음이 창조의 내용 속에 포함이 되는 본질적이며 필수적인요소라면, 기원의 시점에서 긴 연대를 거쳐서 인간이 출현이 되었다는 진화론적 설명이나 또는 긴 연대가 지난 어느 시점에 인간이 창조되었다는 특별창조론을 주장하는 일에 커다란 장애물이 제거가 된다. 그러나 반대로 죽음이 창조의 본질적인 요소가 아니라, 창조 후에 있는 타락의 결과로 인하여나타나는 우연적인 것이라면 긴 연대 이론은 신학적으로 매우 취약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것은 젊은 지구론자들이 주장하는 바처럼, 선한 창조와어울릴 뿐더러, 특별히 수십억 년에 걸친 가공할 동물들의 죽음의 행렬을 통해 인간을 창조하는 진화론의 이해와 정면으로 충돌을 한다. 이에 반해 긴연대 이론은 죽음이 창조의 필연적 요소이며 선한 창조 또는 선한 하나님의속성에 아무런 충돌을 일음키지 않는다고 반박을 한다.본 논고는 창조와 ‘ 죽음’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긴 연대이론에 따라‘타락 전 죽음’에 대해 신학적 변호를 제기한 게리 엠버거(Gary Emberger)와패틀 펀(Pattle P. T. Pun), 두 사람의 주장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내리고자 한다. 펀(Pattle P.T. Pun)은 ‘타락 전 죽음’의 주장을 개진하는 근거를 소위 과학적 근거에 두고 있다. 하지만 성경만으로 보면 어떨까? 이 점에있어서 펀 자신도 소위 과학의 이론이 제시하는 해석학적 틀에서 자유롭다면 아담과 하와가 타락하기 이전에 이미 동물들의 죽음이 있었다고 믿을 성경적 이유는 사실 없다는 점을 인정을 한다. 이와 달리 엠버거는 성경이 ‘타락 전 죽음’의 가능성을 부인하는 것으로 성경을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을 한다. 이러한 주장은 창세기 1-11장을 과학이나 역사에 관한 기술로 보는 잘못 때문이라고 말한다. 본 논고는 ‘타락 전 죽음’이라는 가설들은 신학적으로 견고하지 않다고결론을 내린다. 펀과 엠버거가 제시한 ‘타락 전 죽음’에 대한 신학적 비판에대한 답변들과, 또 ‘타락 전 죽음’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제안들도 ‘타락 후죽음’을 대체할 신학적 논지를 충분히 개진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논문은 두 주장들이 인간이 출현하기 이전에 긴 연대에 걸쳐 동물들의죽음이 있었다는 이론을 움직일 수 없는 전제로 삼고, 성경의 모호한 해석과신학적 상상력에 의지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According to ‘old earth’ creationists like theistic evolutionists and progressive creationists, phenomena of death have immanent in the original creation and appeared even before Adam had fallen. In contrast, ‘young earth’ creationists concludes that animal death including human death accidentally occurred because of the Fall of Adam and Eve. It is of a great significance in comparing various views of creationism to examine and make theological judgments on them. Supposing that ‘death’ is accept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original creation, conservative criticisms on the old earth creationism would lose its force. If death is not an essential element of original creation, but accidentally happened because of Adam`s Fall, however, ‘young earth’ creationism will prevail over ‘old earth’, which cannot but be open to theological criticism. No theory of creation through long-billion-year progressions of death could not survive, particulary in view of ‘original goodness of creation’ and of the goodness of God. This article introduces two arguments for ‘death before the Fall’ by both Gary Emberger and Pattle P.T. Pun, and attempts to give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m. Pun believes his idea to be agreeable to called scientific discoveries. However, how about the harmony with the Bible readings? With this respect, Pun himself acknowledges the there is no biblical ground to assume the pre-fall death without considering modern scientific accomplishments. Pun`s idea comes not out of biblical exegesis but of scientific eisegesis. Emberger insists that the Bible should not be read as denying ‘the death before the Fall’. In his thought, the argument that the idea of ‘pre-fall death’ is contradicted to the biblical teaching comes from the erroneous view that the early part of the Genesis from chapter 1 through 11 describes the historical facts.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however that both views of ‘death before the Fall’ lack solid biblical and theological supports. Many weak theological formations in them fail to provide strong persuasion for preferring pre-fall death to post-fall. Presupposing the idea of pre-fall death to be unmovingly confirmed through modern scientific investigations, both views attempt to vindicate that idea theologically, but to no effect. Rather they depend on some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ological imagination.

      • KCI등재

        창조와 진화

        윤철호 ( Youn Chul-ho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1 No.-

        이 글에서는 창조와 진화의 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창조와 진화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가운데 무신론적 진화론, 창조과학론(젊은지구창조론), 지적설계론에 관해 고찰한 후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필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여기는 유신론적 진화론의 모델을 창발적 진화 개념을 중심으로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진화론이 본래적으로 무신론과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고, 창조과학론은 성서해석학적, 과학적으로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며, 지적설계론의 초자연적 설계자에 대한 논증은 과학적 논증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논증임을 밝힌다. 그리고 무신론적 진화론, 창조과학론, 지적설계론에 대한 대안으로 필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여기는 유신론적 진화론 모델을 제시함에 있어서 특히 성서해석 방법론과 자연주의 과학방법론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This writing intends to propose a desirable model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creation and evolution. In this writing the author, after investigating the atheistic evolutionism, scientific creationism(young earth creationism), and the theory of intelligent design among diverse view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creation and evolution, suggests the model of theistic evolutionism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emergent evolution which the author thinks as the most proper as an alternative to those three views. This writing makes it clear that evolutionism intrinsically has nothing to do with atheism, brings to light that the scientific creationism makes severe mistakes both in its biblical interpretation and scientific assertion, and points out that the argument of the theory of intelligent design is not a scientific argument but a metaphysical one. Proposing the model of theistic evolution which the author regards as the most proper alternative to the other three views, this writing discusses especially the biblical hermeneutics and the naturalist methodology of science.

      • KCI등재

        화이트헤드주의 진화 신학 소고 : 존 호트(John F. Haught)의 진화 신학

        이경호(Kyung-Ho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8

        현재 세속의 사상가들이 진화(evolution)라고 규정하는 우주의 전개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시급히 요청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것이 그들이 말하는 대로 우연, 투쟁, 자연 선택, 그리고 무작위성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지, 아니면 다른 활동을 주악상(Leitmotiv)으로 인해 발생하는지의 문제는 신학자들과 과학자들 간에 첨예한 대립을 보일 것이다. 우선은 모든 관련 과학적인 자료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기본으로 하면서 필자의 판단대로 그것이 인류 발생적 원리(의식 또는 생명 발생적 원리)를 어느 정도 고려할 수 있다고 본다면, 그 진화사의 결정체인 인간 의식적 수준의 덕목들, 가령 윤리적 · 종교적 · 미학적 · 언어적 존재의 출현은 진화의 방향이 매우 상향적(upward)이었음을 증언한다고 하지 않을 수 없을 지도 모른다고 본다. 본 글은 이런 진화의 상향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신학자의 관점에서 진화의 주요한 동인들을 검토하는 사상의 근거로서 20세기 초기에 활동한 과정 철학자 알프레드 노드 화이트헤드(Alfred N. Whitehead, 1886-1947)의 형이상학을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왕에 그 사상에 근거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풍성한 진화의 신학에 대한 작업의 결실을 맺어온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의 진화 신학자 존 호트의 사상을 도입 소개하고자 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화이트헤드주의 신학자로서 필자는 호트의 진화의 신학이 화이트헤드의 사상을 진화의 신학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호트의 진화의 신학이 화이트헤드주의적이라는 점을 화이트헤드 철학으로부터의 활용 가능한 개념들과 그의 신학적 주장을 연결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진화는 실제로 화이트헤드주의적인 세계에 대한 신의 계속적인 창조라고 보게 된다. The writer argues that a theological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e secular thinkers (mainly evolutionary biologists) have named as Evolution is urgently needed. Theologians and natural scientists will no doubt disagree when it comes to the notions of accidents, the struggle for survival, natural selection, randomness, or other activities of rhythmic performance and the place for explanations that rely upon the principleof divine final cause. Firstly, we are ought to stand on the basis of the various fpr,s pf evidence many natural sciences present (especially, biological ones). Then, in my estimate, if we can consider the Anthropic principle (or life- and consciousness-generated principle) to some degree we may find common ground. The emergence or generation of human event towards ethical, religious, aesthetic, and linguistic levels of being as a dramatic crystal of the evolutionary history may allow us to think of the evolution in terms of a consistent upward trajectory. From the theologian’s point of view, we must recognize the upward direction of evolution in the history of the Universe, the writer is willing to make use of the metaphysics of the process philosopher Alfred N. Whitehead to check the leading motives (causes) of evolution. And the writer introduces John F. Haught, a science-theological professor at Georgetown University in the USA whose thought has been very fruitful in contributing to the theology of evolution on the basis of Whitehead’s thought. The writer will assert that he has transcended Whitehead’s metaphysical thought in his own theology of evolution. And consequentially the writer proposes that Whiteheadian evolution-theology emerges from his conceptual system and that evolutionary biology be understood and God’s ongoing act of creation.

      •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창조와 진화에 대한 관점연구

        김세은(Se-Eun Kim),조정일(Jungil Cho)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8 종교문화학보 Vol.5 No.-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 종의 기원에 대한 내용이 진화론에 기초하여 다루어지고 있다. 현재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는 가운데, 학생들의 진화에 관련된 이론 수용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생명의 기원에 대한 관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중학교 과학3의 진화단원의 내용을 중심으로 검사 도구를 만들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시지역의 중학교 과학교사들을 상대로 질문지를 발송하여 회수된 115개의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진화에 관련된 각 지식주장들에 대한 관점의 빈도와 평균값을 조사해본 결과 대체적으로 진화론적 관점과 반진화론적 관점 중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중간 값을 나타내었다. 지질시대와 화석 영역에서 가장 진화론적인 관점을 보여주었고, 시조새, 척추동물의 배 발생 과정,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에 대해서는 대체로 진화론적인 관점을 보였다. 한편, 인류의 진화에 대해서는 대체로 반진화론적인 관점을 나타내었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기원에 대한 관점은 종교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교사들이 진화단원을 가르칠 때 66%의 교사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기초로 하되 진화의 한계와 그 대안인 창조론에 대해 소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2%의 과학교사들이 현재의 진화에 대한 교육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으며, 47%의 과학교사들이 기원에 관한 수업을 준비할 때 창조론을 지도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iewpoints of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origins and teaching the topics. A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32 questions about origins and 12 questions asking about teaching the topic. On those questions, teachers were asked to respond with 5 Likert-type responses. Questionnaires of a total of 115 teachers were analyzed. The total mean of 32 questions was 2.95, with the range of 2.5~3.4. The most evolutionary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questions about fossils and geological ages, and the relatively high evolutionary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questions about archaeopteryx fossil, homology, the mammal embryo development, mutation and natural selection. Whereas, teachers showed anti-evolutionary point of view on origin of human being. About 50 percent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introduced alternative theory of origin and limit of evolutionary theory at the same time they taught the topic based o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anted material develop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the origin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lternative theory of origin may help teachers get better prepared to real classrooms consisting of students who had various point of views on the ori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