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에 재현된 지식인의 표상 변화 - 199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

        이정현(Rhie Jounghyun)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2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지식인의 표상은 다양하게 분화되기 시작했다. 내부적인 요인으로는 1987년 6월 이후 형식적 민주화와 급속한 경제발전, 1990년대 이후 학생운동의 쇠퇴가 있었다, 외부적으로는 냉전 종식과 거대담론의 쇠퇴가 외부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내·외부적 요인의 작용으로 담론 형성과 투쟁의 산실 역할을 담당했던 대학과 지식인도 변하기 시작했다. 민주화 투쟁과 IMF, 인터넷 시대를 거치면서 지식인의 역할은 격하되었고, 점차 희화화 대상이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문학에 나타난 ‘지식인’의 표상 변화를 다룬다. 먼저 현대의 지식인에 관한 개념과 논의를 되짚어보고 1990년대의 지형 속에서 한국의 대학과 지식인이 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사회에서 대학은 독특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군부독재에 맞서는 담론 형성과 저항의 공간이었던 대학은 1990년대부터 급격한 변화를 맞이했다. 대학에 속해 있던 지식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자본주의 질서의 확산은 지식인들이 비판 능력을 잃어버린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 과정을 하일지, 박일문, 이만교, 장강명, 손아람, 장정일의 소설에 재현된 지식인의 모습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시대가 변하면 집단과 개인도 변화할 수밖에 없다. 지식인의 표상 변화를 탐구하는 이유는 자명하다. 지식인은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시대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지식인의 표상 변화를 통해 시대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여전히 유효한 지식인의 역할을 성찰하고자 한다.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90s, the representation of intellectuals started to divide into various aspects. Internal factors of the change were formal democratization after the democratic uprising in June 1987, rapid economic growth, and decay of student movement after the 1990s. Extraneously,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decline of metadiscourse were external factors. Those causes functioned enough to old universities and intellects, who formed progressive discourses inside the cradle of struggle, began to change. Through three events-the fight for democracy, the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period, and the advent of the Internet, the role of intellects got degraded to a travesty.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of intellectuals re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First of all, the study retraces the notion and discussion of modern intellects, and focuses on the segmentation process of Korean universities and intellects within circumstances in the 1990s. Originally in Korean society, the place called “university” took a unique position. However, university, the place of resistance and discourse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1980s, encountered sudden changes since the 1990s. The faculties also faced a challenge. Due to the spread of capitalist order, many intellects lost essential abilities for criticism. This study examines this timetable through observing intellectuals embodied in novels by Ha Il-ji, Park Il-mun, Lee Man-gyo, Chang Gang-myeong, Son A-ram, and Chang Jeong-il. When the era changes, it is inevitable for individuals and groups to follow the new atmosphere of society. Since intellectuals always had an acute sense against the world, the reason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intellects is self-evident. By analyzing the transition of intellects, the study ultimately observes the change of time and searches for an alternative role of intellectual still valid in present.

      • KCI등재

        ‘21세기 K-지식인’과 ‘지구 지성’: 문명 존립에서 ‘지식인’ 실존의 양상에 관한 역사적 탐색과 사회인식론적 개념화를 바탕으로

        홍윤기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본고는 ‘지식인 죽음’을 비롯한 국내외의 각종 지식인 위기 담론들을 주관적인 지식인 책임론과 객관적인 제도 및 사회 변화 원인론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 19세가 말 프랑스의 드레퓌스 사건을 계기로 ‘지식인’ 및 ‘지성’ 개념이 현대적으로 정립되었지만, 20세기 들어 그 개념들이 현대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문명사 전체로 확대적용되는 과정을 밝힌다. 이에 따라 사회인식론적 관점에서 ‘지식인’은, 각 문명이 도달한 지식계의 발전 수준에서 제기되는 전체 생활세계 또는 국가권력의 위기 상황에 작용하는 권력요인들의 진리 즉 권력작동의 실상과 규범 상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생활세계의 동료들에게 공적으로 공표하고 실천적으로 지양하기를 권하는 일종의 문명자생적 지식관리자로 규정한다. 또한 지식인이란 특정 사회구성체 안에 선재(先在)하는 특정 계급이나 신분이 아니라 그 안의 생활세계들의 체계 안에서, 만하임이 파악한 대로, ‘자유롭게 부유’하다가, 규범 차원에서 쟁점화된 전(全)문명적 위기에 즉하여 자율적으로 결집하여 임시적으로 활성화되었다가 쟁점의 향방에 따라 소멸되기를 반복하는 운동집단이다. 이제 ‘21세기 단일지구문명’을 규정하는 ‘초확장세계’ 안에서는 ‘디지털 플래폼’을 통해 초超연결된 ‘전지구적 공론장’이 조성되면서 이 안에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과 사회 안에 설정되어 있는 다차원의 권력분열과 권력통합에 쟁점별로 관련된 각 대중들을 ‘지구시민’으로서 연대하여 실시간으로 의사소통하는 ‘디지털 대응능력 있는 다차원적 지성’을 구사하는 ‘지구 지성’이 예기된다. 시야를 우리 대한민국에 집중시켜 볼 때 대한민국의 사회적·역사적·국가적 문제들은 지구 차원에서만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지정학적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21세기 대한민국 현실에서 요구되는 지식인이라면, 장구한 한국 역사에서도 특출하게, 지구문명 차원의 도덕규범과 실천전략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는 점에서 ‘21세기 한국 지식인’ 또는 ‘K-지식인’이라고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I critically examine various kinds of discourses on the death or crisis of the intellectuals in the two contexts of the theses of the fault of the intellectuals as the subjective cause of their crisis, on one side, and of the theses of the institutional as well as the social modulations as its objective cause, on another side, watch the modern context of formation of the concepts of ‘the intellectual’ and the ‘intelligence’ and the process of their extended application on civilizations at all, and define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 epistemology the intellectuals as a kind of knowledge-managers, ones who demonstrate the intelligence as an ability to grasp comprehensively, analyze critically and assess the truth and the normative state of power elements as well as their real operations which act in the critical situations of the whole life-worlds and civilization rai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ach knowledge-world, declare the resulting insights and practical vision to the public sphere(Öffentlichkeit) and communicate with the fellow citizens thematically. Acording to this view, the intellectuals do not form a specific class or status preexisting in a certain social formation, but are free-floating, in Manheim’s conception, in the knowledge-world in each part of the system of life-worlds there and mobilized to a provisionally activated circle in an autonomous way at the imminence of the whole-civilizational crisis made to an issue on the normative level. As an extension of such ideas, I propose it as the civilizational task of the ‘21st K-intellectuals’ and ‘an earthian intelligence’ to demonstrate ‘the multi-dimensional intelligence with the ability of digital confrontaion’ to percieve the multi-dimensional complexity of power relations and react to the global issues so as to create the earthian-level moral norms which can overcome each social, historical, national problem on the higher level and to communicate in real-time with the related people hyper-linked at home and abroad as ‘fellow earthian citizens’ on the ‘earthian public sphere’ which is founded on the digitalized plattform in the ‘hyper-dilatation world’ defining the ‘21st single global civilization’ which consists of multi-dimensional schisms and fusions of power- and interest-relations.

      • KCI등재

        단재 신채호의 국권회복을 향한 사상과 행동

        정윤재(CHUNG YOON-JA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2

        지식인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은 말과 글, 그리고 담당하는 일에 의해 시작되거나 심화된다. 그런데 지식인이 지적 리더십(intellectual leadership)을 발휘한다는 것은 그(녀)와 그(녀)의 영향을 받은 추종자들이 어떤 문제제기 및 그 해결과정에 함께 참여하면서 토론을 포함 한 각종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혼자서 지적작업을 진행하면서 주변 사람들과는 아무런 의미있는 인간적, 지적 교류가 없이 고립된 천재철학자의 생활을 지속했던 비트겐슈타인과 주변의 소피스트들이나 제자들, 그리고 일반인들과 아테네에서의 이상적인 삶에 대해 줄곧 논쟁하다가 결국은 아테네의 청년들을 ‘잘못 이끈’ 죄;로 독배를 마셨던 소크라테스는 서로 아주 대조적이다. 이 경우 지적리더 십을 발휘했던 사람은 물론 소크라테스다. 실제 삶의 세계속에서 비트겐스타인은 다른 사람들을 이끌었거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이끌림을 당하는 경우가 없었지만, 소크라테스는 계속적인 대화와 토론을 통해 서로 배우며 가르치는 지적 리더십 과정의 한복판에서 살았다. 우리가 “역사민족주의자” 혹은 “근대적 민족사관”의 개창자로 알고 있는 단재 신채호(丹齊 申采浩, 1880-1936)는 바로 소크라테스와 같은 지적리더십을 발휘했던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대의 정치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철저한 도전의식으로 일관하면서 국권상실기 대한제국과 일제강점하의 조선을 구하고 일으켜 세우기 위해 치열한 글쓰기와 말하기, 그리고 그에 따른 행동에 매진했던 지식인이었다. 그는 언제나 주변의 의식있는 지식인들과 교류하면서 민중계몽에 앞장서며 자신의 생각을 펼쳤으며, 존경받는 지식인 혹은 소문이 자자한 애국지사로서 그를 따르는 주변의 인물들 및 대중들과 공통목적의 성취를 위해 지속적으로 교류하였다. 그는 또 여러 언론사에 초빙되어 수많은 논설을 쓰며 민족독립을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폈다. 일제강점기동안 중국으로 망명하여 동지들과 함께 군사적 무장투쟁론을 주창하고 이를 실천하기에 전력으로 매진하였다. 또 그의 글이나 저작들은 당대 주요 신문들에 연재되어 많은 엘리트와 백성들을 고무하고 개명시켰다. 그의 삶과 사상에 대해서는 안재홍, 홍명희, 문일평, 이극로, 이윤재, 심훈, 정인보 등 살아 생전 그와 교분이 있던 많은 지식인들이 평가한 바 있으며, 그가 중국 땅 여순의 감옥에서 옥사하였을 때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조선중앙일보 등 당시의 유수 언론기관들이 적극 나서 장례비를 각출하여 그를 추모하였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와 신채호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각각 처했던 국가적 현실이 근본적으로 달랐기 때문에 그들의 생각과 행동, 즉, 지적 리더십의 성격이 달리 나타났다. 즉, 소크라테스는 조국 아테네의 자부심 넘치는 시민 중 한 사람으로 수많은 논쟁과 갈등속에서 거침없이 자유롭게 활동했지만, 신채호에게는 스스로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조국이 없었기 때문에, 비밀리에 암약하거나 하시라도 잡혀갈 각오로 글을 써야 했다. 언론인, 역사가로서의 신채호는 언제나 목숨으로 걸지 않으면 안 되는 상태에서 속박과 부자유의 삶을 살았다. 즉, 소크라테스는 조국이 있는 행복한 지식인이었지만, 신채호는 조국이 없는 불행한 지식인이었다. 그래서 양인은 적어도 다음 네 가지 면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였다. 첫째, 신채호에 있어서 국권상실과 일제하 식민지의 불행한 현실은 그 자체로서 악(惡)이기 때문에, 그런 현실과 타협이란 있을 수 없었고 폭력을 포함하여 그것에 대항하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선(善)으로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현실에서 관찰되는 부조리와 모순을 예리하게 지적하면서도 "악법도 법이다”라며 그 모든 것을 훌륭한 조국에 대한 자긍심으로 관용하고 타협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폭력사용과 같은 비합리적인 행태는 언제나 회피와 비판의 대상이었다. 둘째, 신채호는 국권상실과 망국의 좌절이 지속되는 가운 처음에는 문제해결자로서 “영웅”을 기대하기도 하였고 마침내는 무정부주의사상에 경도되어 내외의 무정부주의자들과 연계하여 항일과 독립쟁취의 방도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소크라테스는 편안하고 여유있는 삶을 즐기는 가운데 보다 이상적인 민족국가형태와 선 혹은 정의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에 대한 “절대정의” (episteme)를 추구하며 진지한 논쟁을 즐기면서 누구든지 개인이 절대화 혹은 영웅시되는 경향을 경계하였다. 셋째, 신채호는, 실제 자신의 삶속에서 공적인 임무수행과 관련한 주요한 결단의 시기마다 부인과 가족이라는 사적 차원의 ’장애물’을, 마치 계백장군이 그랬던 것처럼 포기해버렸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비록 자신의 유명한 악처 크산티페때문에 자신이 존경받는 남편으로서 단란한 가정에서의 행복을 덜 누렸을지는 몰라도 전체적으로 선한 아테네 도시국가의 정의와 질서를 위한 자신의 역할을 소임을 다하기 위해 부인과 가정을 의도적으로 포기하지는 않았다. 넷째, 소크라테스는 배우고 싶고 알고 싶은 욕망에 가득찬 진리추구자로서 사람들과 끊임없이 질문하고 토론 하면서도 결국은 무지의 자각을 강조하며 질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제시하지 않고 열어놓은 것만으로도 족한 편안한 여유속에서 지냈지만. 신채호는 국권을 상실한 민족의 살길을 찾기위해 분투하는 문제해결자로서 언제나 구체적이고 명확한 행동차원의 처방을 제시하고 실천하는 것을 소임으로 여겼다. 즉 소크라테스가 지혜와 진리를 탐구하는 철학적 사유의 실천가였다면, 신채호는 현실적 문제해결의 처방책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지식인으로 행동하면서 각자 지적리더십을 발휘하였다. 이상에서 우리는 신채호와 소크라테스는 조국의 없음과 있음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의 지적 리더십을 발휘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우리는 정치사회적 문제해결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지식인들이 추구하는 지식과 행동을 ‘보편적 진리탐구’라는 하나의 시각만으로 평가 할 수는 없음도 알게 되었다. 어느 지식인이 처해있는 정치공동체의 상황에 따라 그리고 그가 스스로 주체하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양심의 명령에 따라 그(녀)가 추구하는 지식은 “진리” (theoria)를 최고기준으로 하는 것이 되기도 하고, 또는 “좋은 행동” (praxis)을 최고기준으로 삼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생각할 때, 조국이 없음에서 비롯되는 불행속에서 살았던 신채호의 지적작업과 행동은 조국이 회복된 상태에서 비교적 풍족한 삶을 사는 가운데 있는 ‘보편적 진리탐구’에 경도되어있는 현대의 지식인들과는 다른 시각에서 평가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여전히 앞뒤가 꽉 막힌 “닫힌 민족주의자”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는 민족이 처한 불행에 대해 열정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개인차원의 고난을 감당하며 그 해결을 추구했던 떳떳한 민족주의 지식인이었다.

      • KCI등재

        한국의 지식인과 좌파 이데올로기

        금인숙(Kum, In Sook) 한국아시아학회 2016 아시아연구 Vol.1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누구든 세계와 삶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인에 대한 거부가 확산되고 있는 사회추세의 함축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그래서 행한 문헌자료와 참여관찰의 분석결과로부터 일반대중의 심성에 깊이 자리한 지식인의 신화로서 ‘사회의 양심’이라는 지식인의 상에 균열이 생겼다는 해답을 찾아냈다. 즉 한국사회가 혼란과 해체의 위기상황에 처해있다는 것이고, 소득격차의 심화로 가중되어가는 생활고의 타개책을 지식인에게서 구하는 바람도 커져갔다는 것이며, 그런 기대에 부합하지 못하는 지식인에 대한 일반대중의 실망이 식자집단 전체를 부정하는 집단불만으로 표출되어 나온 것이라는 의미다. 이렇게 지식인의 존재부정 사태를 초래한 원인의 하나는 한국의 사회구조이다. 지식이 권력획득과 지위상승의 핵심수단으로 구조화된 사회구조가 지식인 대다수로 하여금 출세지향 유형에 속박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과거든 현재든 입신양명을 추구하는 경향으로부터 벗어난 지식인은 극히 소수에 불과한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좌파 지식인도 예외가 아니다. 마르크스주의 정통성의 고수는 한국현실을 도외시한 사대주의였고, 변혁운동의 전위대강령은 노동자계층을 피지배층으로 타자화하는 엘리트주의였으며, 반체제투쟁경력은 권력지위로 진입하기 위한 수순의 출세주의였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혈연과 지연의 연고주의, 학연과 친분의 패거리주의, 대학과 학위의 학벌주의, 나이와 성별의 권위주의, 계급과 지위의 위계주의로부터의 탈피노력도 경주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식인 폄하의 사회추세는 약자대변의 허위의식과 민의대변의 정치제도 속에서 은밀히 작용하는 지식인의 특권의식이 어떻게 지식을 이데올로기로 변질시키고, 사회를 이념투쟁과 혼란 속으로 몰아넣으며, 역사발전을 저지하고 오도하는지를 깊이 성찰함으로써 국민전체가 모두 지식인이 되라는 시대의 요청으로 읽어야할 것이다. These days anti-intellectualism is getting popular in South Korea, a knowledge-based society all of whose members can express and share their thoughts and emotions of the world, with the spread of internet and smart-phone. From results of doing a literature review an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to figure out implications with the attitude against the intellectual as a trend, this paper shows that the intellectual myth, referring to ‘a gadfly of their society,’ got cracked in habits of the heart deeply rooted among ordinary people. It means that South Korea falls into a situation of social divisions, that the hardship of daily livings, compounded with the widening of income disparities, makes people rely much more upon the intellectual in finding a way out, and that a breach of what people trusted in the intellectual, such a perfidy opposite to preserving the common good and unity of society through rediscovery of sharing traditions, leads them to deny the whole learned population as a collective discontent. One of the causes that bring about a denial of the existence of intellectuals is the social system of Korea in which knowledge has been structured as a pivotal tool of gaining power positions. For it forces the majority of intellectuals become ‘a worldly fame pursuing type.’ This is verified by the fact that the intellectual belonging to ‘the type of a pioneer of the time’ has been very rare throughout its entire history. Leftist intellectuals are no exception, as exemplified by toadyism of their stick to the authenticity of Marxism, by elitism of the vanguard party doctrine not with, but for, the working class, and by arrivism of using as a means to get into the dominion group their career of struggles against the government. And there also have not been any attempts by them to clear away such chronic usages as nepotism, groupism, college rankism, authoritarianism, and the like. The anti-intellectual trend therefore must be read the demand of this time that each of the people becomes all an intellectual by deeply reflecting upon how the intellectual’s sense of entitlement, operating covertly both in false-consciousness of the spokesperson for the weak and in political institution of the mouthpiece for the people, transforms knowledge into ideology, drives society into ideological struggles and divisions, and hinders the development of history.

      • KCI등재

        씨알과 지식인 : 함석헌의 지식인론 연구

        강수택(Kang, Soo-Tae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7 사회와 이론 Vol.31 No.1

        이 논문의 목표는 함석헌의 씨알 사상에서 발견되는 지식인론을 탐구하는데 있다. 함석헌의 씨알 사상은 1970년대의 민중론과 여기에 기초한 민중적 지식인론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그의 지식인론은 1960년대에 비판적 지식인론의 전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뿐 아니라 그 이후에 이 전통이 여러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도 여러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씨알과 지식인에 관한 그의 사상이 한국 지식인론의 역사에서 끼친 큰 영향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의 지식인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필자는 그의 지식인론을 씨알 지식인론으로 명명하면서 지식인의 정체성과 특히 씨알과의 관계, 지식인의 역할과 과제, 씨알 지식인론의 의미와 영향을 중심으로 그의 지식인론을 고찰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Ham Seok-Heon’s thoughts of the intellectuals. His thoughts of the people called `ssial` had a great influence both on the discourses of people and those of intellectuals as people in the 1970`s. His thoughts of the intellectuals affected forming the tradition of the discourses on the critical intellectuals in 1960`s as well as developing the tradition since then. However, there has been no intensive study on his thoughts of the intellectual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his thoughts in the history of the discourses of the intellectuals in Korea. So I explored his thoughts of the intellectuals systematically, focused on the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intellectuals. Finally, I commented briefly on the meaning and the influences of his thoughts of the intellectuals in the history of the discourses of the intellectuals, calling his intellectuals `ssial intellectuals.`

      • KCI등재

        공공 지식인의 소멸이라는 환영 : 마지막 지식인에서 열린 지식인으로

        유은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3

        본 논문은 공공 지식인의 쇠퇴를 이야기한 러셀 저코비의 「마지막 지식인」을 사회학자 길 아얄의 개입의 사회학(sociology of interventions)을 통해 재구성해 본 비평논문이다. 미국사회에서 지난 세기 동안 어떻게 지식인과 지식인 공동체가 변해왔는지를 살펴본 저코비의 저작은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지식공동체는 어떤 공동체인가, 지식인은 어떻게 공적 사안에 개입해야 하는가에 대해 유용한 질문거리들을 던져준다. 그러나 저코비의 저작에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이나 혹은 이론적 논의가 없다는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길 아얄의 작업을 중심으로 저코비의 「마지막 지식인」의 내용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지식인, 지식공동체, 그리고 지식인의 개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지식인에 대한 개념은 뒤레피스 사건에서부터 시작되어 그간 많은 논쟁과 개념의 정의를 불러왔지만 과학과 기술의 전문화가 가속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점점 더 공공과 유리된 개념이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저코비가 이야기하고 있는 ‘공공 지식인’의 쇠퇴란 무엇이며 이러한 맥락은 현대사회의 전문가라는 개념과 어떻게 연결시켜 생각해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길 아얄의 작업을 중심으로 새롭게 정의되는 지식인의 개념은 직업이나 사회적 범주로 규정되지 않는 개방적인 것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지식인이 공공 사안에 개입하는 방식 역시 전문 지식의 전시가 아닌 혼종된 개입 방식이 포함되는 운동이여야 함을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지식인이 어디에서 개입해야하는지에 대한 대답으로 영역의 경계짓기를 넘어선 ‘간극의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 리처드 로티의 ‘지식인’ 개념

        박대원(Park Dae-W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동서사상 Vol.11 No.-

        이 글은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해서 리처드 로티의 ‘지식인’ 개념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현대는 인간의 자유가 그 무엇보다도 중요시되는 사회이고, 이 자유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구체적 욕망들이 표출되는 사회이다. 동시에 자유롭게 표출되는 개인의 욕망은 ‘나와 타인 간의 충돌’이라는 관계 문제로 발생되고, 그 결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도의 고찰이 있게 마련이다. 한편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면서 인간의 ‘사회화’를 비판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무너져 내리는 인간의 연대성을 염려하여 개인의 ‘심미화’를 비판한다. 그럼으로써 근대 계몽주의적 기획의 산물인 근대적 개인과 근대적 자유주의 사회는 비판적 해체와 비판적 정당화라는 두 갈래의 상반된 평가에 직면했다. 로티가 보기에, 이 두 갈래 평가의 한쪽에서는 푸코식 아이러니스트로, 또 다른 쪽에서는 하버마스식 자유주의자로 규정될 수 있는 ‘지식인-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상충하는 듯이 보이는 이 두 갈래 지식인-상은, 로티가 보기에는 서로 초점이 잘못 맞추어져 있을 뿐이다. 푸코식 아이러니스트는 구체적 개인의 ‘사적 자율성’에 대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고, 하버마스식 자유주의자는 사회 속 구성원이 가져야 하는 ‘공적 연대성’에 대한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 이 두 갈래의 지식인-상에는 기본적으로 서로 상충한다는 생각이 깔려 있고, 더욱이 한 쪽을 다른 한 쪽으로 환원하거나 통합해야 한다는 일종의 강박증이 있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로티처럼 만일 우리가 이 두 지식인-상을 각각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다면, 그것들의 통합보다는 조화시킬 구체적 대안을 생각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 로티는 통합이 아니라 조화를 모색함으로써 두 갈래 지식인-상의 대안을 구체화시키려고 한다. 이 글은 ‘개인의 자율과 인간의 연대’와 연관된 문제를 몇 가지 ‘지식인-상’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전통적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삼는 지식인-상을 ‘형이상학자’로 제시하고, 다음으로 형이상학자에 대비해서 근대적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삼는 ‘아이러니스트’가 제안되며, 동시에 ‘자유’ 개념의 또 다른 측면 때문에 파생되는 ‘자유주의자’가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 두 지식인-상의 조화를 모색하기 위해서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라는 지식인-상이 제안된다. 이 논의들을 통해 나는 현대 자유주의 사회에서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리처드 로티의 지식인-상을 하나의 참신한 대안이라고 평가해본다. This essay that relates to ‘social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 tries to discuss Richard Rorty’s notions of ‘intellectuals’. Contemporary society is liberal society as accentuating human freedom, and it is in this society that the human freedom has been expressed out by various desires of individuals. At the same time, the human freedom have made to bring about problems of ‘social conflicts between ‘you’ and ‘I’, and thus to solve them there have been just a few of considerations. On the one hand, people who emphasized human freedom has criticized negatively ‘socialization of human beings’, but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has been concerned about the collapse of human solidarity has criticized the phenomena of person's ‘aestheticism’. Consequently, these critical evaluations is resulted with a critical deconstruction of modern human beings or liberal societies that project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have producted, or with critical justification of them. According to Rorty, these two trends be redescribed each other in Foucaultian ironist and Habermasian liberalist. But ‘intellectual?pictures’ of those trends, according to Rorty, each other are not conflicted but are focussed to other points. In Foucaultian ironist is reflected the desires of ‘private autonomy’ of individuals, and in Habermasian liberalist is reflected beliefs of ‘public solidarity’ as a member of society. There are notions that those desires and beliefs are conflicted with each other, and moreover there may be obsessive notions that one side should be reduced to or be integrated to the other. But like Rorty, if we see that those two trends could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would more effective for us to think of the reconciles of than integration of them. So Rorty attempts to reconcile of those two trends’ ‘intellectual?pictures’. This essay discusses problems between ‘private autonomy and human solidarity’, specially some kinds of ‘intellectual?pictures’, through many of considerations. First, ‘metaphysician’ as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ruth’ may be discussed, and secondly, against the metaphysician, ‘ironist’ as centering on the modern concept of ‘freedom’ may be suggested, at the same time because of another branches of concept of ‘freedom’ ‘liberalist’ may be suggested. finally, ‘liberal ironist’ as the reconcile between ironist and liberalist will be offered as a novel model. Through these discusses, I evaluate Rorty’s ‘intellectual-picture’ of ‘intellectuals' social duty’ as one novel alternative in liberal society.

      • KCI등재

        대동아공영권론과 '협력적' 지식인의 인식지형

        최규진(Choi, Kyu-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협력적 지식인이 대동아공영권론에 어떻게 포섭되었는지를 몇 개의 인식소를 통해 분석하면서 그들이 자발적 동의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했다. 대동아공영권론은 사람들을 동원하고 전쟁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노릇을 했다. 그렇다고 대동아공영권론이 아무런 이론도 없는 '전쟁의 수사학'만은 아니었다. 대동아공영권은 그 나름의 '문법체계'를 가지고 있었고, 조선인 지식인에게 '번역과 해석의 문제'를 던져주었다. 식민지의 지식인들은 '세계사를 혁신하는 중요한 사건'인 중일전쟁 뒤에 역사의 '전형기'(轉形期)가 왔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자신들의 임무를 '사상통일'과 '문화통합'에 두었다. 체제 내적 지식인들은 그 임무를 하면서 제국 체제에 순응했다. 그러나 제국의 담론과 협력적 지식인의 담론 사이에는 균열이 있기도 했다. 그 균열을 저항의 거점이라고 볼 수 있을까. 이 글은 그 '균열'에는 실천적 저항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는 것, 그리고 제국 담론과 식민지 지식인의 담론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설령 협력적 지식인이 "모방하면서 차이를 만들어내는" 전유(專有, Appropriation)의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그 '차이'는 커 보이지 않는다. 협력적 지식인의 '담론실천'이란 끝내 제국주의 논리를 해석하면서 보완하고 다시 그것을 대중에게 퍼뜨리는 역할을 했을 따름이다. 체제 내적인 지식인이 발을 딛고 있는 곳에는 제국의 질서를 교란할 아무런 매개가 없었다. 제국과 식민담론이 착종하는 지점에서는 질서를 교란하기는커녕 질서 내부로 흡인하는 힘이 더욱 크게 작동되고 있었다. 그 작동 메커니즘은 지식인에게는 덫이자 늪이 되었다. 체제 내적 지식인과 대척점에 서있었던 대안적 지식인도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제대로 실현할 수 없는 역사 상황을 맞이했다. 그리고 계급연합의 질곡 속에서 자신의 뜻을 다 펼칠 수 없었다. 협력적 지식인의 환상은 제거되어야 할 것이었다면, 대안적 지식인의 질곡은 돌파해야 할 것이었다. 결코 그 두 진영을 같은 차원에서 평가할 수는 없다. 이 글은 체제 내적 지식인과 대안적 지식인이 해방 뒤에 미국과 소련이 진주하는 상황을 맞이하여 어떻게 대응을 했는지를 통시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In this thesis, I explained how the cooperative intellectual were involved in the theory of common prospering area of great east asia (大東亞共榮圈) voluntarily, by analysing a few cognitive elements. The theory of common prospering area of great east asi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justify the necessity of war and to mobilize people. But this theory was not only 'the rhetoric of war' without any logic. It had its own 'the logical frame', and gave 'the problem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o the korean intellectual. The colonized intellectual thought that the transforming period after the chinese-Japanese war has come, the important accident for the world history renovation. Also, they regarded 'the unity of thought' and 'the cultural integration' as their mission. The intellectual in the regime accepted the imperial system, doing that mission. However there was a crack between the imperial discourse and the colony intellectual's discourse. Was that crack said to be a base of resistance? In this thesis, I emphasized that there was no possibility to make a practical resistance in that crack,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discourses was not significant. 'The discoursing practice' of cooperative intellectual played a role to interpret and correct the imperial theory and to spread it to the public. They had no triggering motive to disturb the imperial order. In the clashing spot of two discourses, the power to absorb the order worked forcefully than to perturb it. That mechanism was the trap or the swamp to the intellectual. Alternative intellectual, though they stood in the opposite side of cooperative intellectual, could not realize the proletariat internationalism among the fetters of class union. Of course, two intellectuals could never be evaluate in the same respect. But, the fantasy of cooperative intellectual must be eliminated, and the fetters of alternative intellectual must be broken through. In this thesis, I presented the necessity to research how cooperative intellectual and alternative intellectual had dealt with the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diachronically.

      • KCI등재

        이병주의 『지리산』에 나타난 여성 지식인 고찰

        추선진(Chu Sun-jin)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4

        이병주의 『지리산』은 1930~1950년대 한국 지식인의 총체를 확인할 수 있는 서사다. 특히 가부장적 현실 질서 하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부각될 수 없었던 여성 지식인을 구체화시키고 있어 문학적 의의를 가진다. 연재소설의 특성상, 여성지식인을 등장시킨 것이 사랑을 소재화하여 대중성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라고 볼 수도 있지만, 『지리산』은 학문적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인해 치열한 내적 갈등을 겪었으며, 그 내적 고민을 실천에 옮겨 한국 사회의 성립에 기여했던 것은 남성 지식인들만의 역할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하윤희의 ‘사상 없음’에 대한 주장은 1930년대 후반 신분제도와 식민지 상황, 그리고 가부장제로 인해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었던 당시 신여성들의 자기 분열적 내면세계와 체념을 상징한다. 권창혁의 지식과 사상을 이규와 박태영보다 적극적으로 흡수한 김숙자는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지식과 공산당에 대한 비판의식을 습득하고 발전시켜 나간다. 지식인 김숙자의 사회적 소임이 박태영으로 하여금 공산당을 포기하도록 설득하고 그것에 실패하게 되자 다음 세대의 명망 있는 학자를 기르는 일에 매진하게 되는 것이라는 설정은 사랑을 이유로 가부장적 질서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하는 여성지식인의 한계를 보여준다. 하윤희와 김숙자가 서사의 주요 남성 지식인인 이규와 박태영의 사랑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것처럼, 여성 파르티잔 지식인들도 남성 파르티잔 지식인들과의 사랑을 계기로 서사의 무대에 등장한다. 하지만, 하윤희와 김숙자와는 다르게여성지식인임에도 자신의 사상과 현실을 일치시키기 위해 사회적 행동에 나섰던 이들이 여성 파르티잔 지식인이며 이들이 엘리트주의를 내세우기보다는 민중의 편에 서 있다는 점에서 1970년대 등장했던 실천적 민중 지식인의 면모를 가진다. Lee Byeng Ju"s Jirisan is an epic that reveals the total amount of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30s and 1950s. In particular, it has a literary significance because it embodies female intellectuals who were unable to emerge as wom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triarchal order. In the novel, the appearance of female intellectuals can be regarded as a device to acquire popularity through materialization of love, but Jirisan has suffered intense internal conflicts due to the gap between academic ideals and reality, It is argued that it was not the role of male intellectuals who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Ha Yoon Hee"s claim to "no thought" symbolizes the self-divisive inner world and resignation of the modern woman in the late 1930"s, which were forced to feel limit due to the status system, colonial situation, and patriarchy. Kim Sook Ja, who absorbed Kwang Chang Hyeok"s knowledge and ideas more actively than Lee Gyu and Park Tae Young, learns and develops knowledge of socialist thought and criticism of the Communist Party. The establishment of Kim Sook Ja"s social mission to persuade Park Tae Young to give up the Communist Party and fail to do so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of well-known scholars. The limitation of female intellectuals who can not escape from patriarchal order It shows. Just as Ha Yoon Hee and Kim Sook Ja appeared as love objects of Lee Gyu and Park Tae Young, major male intellectuals in the narrative, female Partisan intellectuals also appear on the stage of narrative in love with male Partisan intellectuals. However, Unlike Ha Yun-hee and Kim Sook Ja, female intellectuals were female Partisan intellectuals who came to social action in order to reconcile their thoughts and reality. They have a face of practical and popular intellectuals who appeared in the 1970s in that they stand on the side of the people rather than on the elitism.

      • KCI등재

        희곡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난 지식인의 역할 연구

        박경선(Park Kyung-S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9 No.1

          이윤택의 작품 속에는 다양한 지식인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그는 세상에 대하여 하고 싶은 자신의 말을 연극 속에 등장하는 지식인을 통해 하고 있으며, 지식인의 사회적 책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BR>  이윤택은 김남석과의 대담에서 조남명을 통해서, 조남명이라는 선비의 속을 꿰뚫어봄으로써, 지식인의 모습을 그리겠다는 명확한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나 있는 지식인의 역할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책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BR>  첫째, 지적 탐구이다. 지식이란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해 왔기 때문에 변해가는 지식을 알기 위해서 지식인은 끊임없이 지적 탐구를 해야 한다. 「시골선비 조남명」의 제1막 1장은 조남명이 유생들과 글 읽는 것으로 시작된다. 글 읽는 행위는 학문을 연구하는 행위이며 지적 탐구를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BR>  둘째, 자신에 대해 알기이다. 지식인이 되는 것은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분명하게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끼니 메우기가 곤란해 어머님 뵙기가 민망하다며 친정으로 옮기자는 아내의 말을 따르는 모습과 유생들에게 강론을 하면서 자신의 부끄러운 부분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모습에서 자신에 대해 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볼 수 있다.<BR>  셋째, 실천이다. 실제로 행동으로 행하는 것을 실천이라고 한다. 조남명은 당대조정에 있던 중신들이 임금의 잘못에 대해 입을 다물고 있자 죽음을 무릅쓰고 상소를 올린다. 그는 상소에서 평소에 자신이 느꼈던 정치의 잘못과 부조리 등을 낱낱이 지적하여 추상같이 준엄한 필치로 상소를 하였다. 진정한 지식인이라면 지도자의 잘못에 대해 바른말을 해야 하고, 옳은 일을 위해서는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하지 못한 일을 조남명은 죽음을 각오하고 실천하였다.<BR>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난 지식인의 모습은 꾸준히 공부를 하여 지적 탐구를 하고 자신에 대해 정확하게 알며 자신이 깨우친 것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이윤택은 현대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식인은 꾸준히 노력하여 지적 탐구를 게을리 하여서는 안 된다는 것을 조남명의 모습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ee Yoon Taek’s works reflect various images of intellectuals. He expresses what he wants to tell the world through the characters in his books, saying what it takes to be an intellectual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duty. At an interview with Kim Nam-Seok and using Cho Nam-Myung in his discussion, Lee Yoon Taek stated that there was a clear purpose in his attempt to illustrate what being an intellectual entails after having looked into the deeper thoughts of Cho Nam-Myung. Using the role of intellectuals expressed by the rural scholar Cho Nam-Myung, the societal responsibilities and duties required by the modern intellectual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areas.<BR>  First, desire for philosophical knowledge. Rather than valuing the actual acquisition of knowledge, intellectuals must constantly desire philosophical enlightenment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ever-changing nature of knowledge. The first line of the first paragraph in Cho Nam-Myung’s book starts with his reading text with his students. We can construe this act of reading not only as simply the act of studying a subject, but also the act of desiring knowledge and acquiring it.<BR>  Second, knowing oneself.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for a person to achieve intellectual status, one must start by knowing one’s place in the world and his or her connection with it. Finding himself in dire straits in which meal skipping was common, Cho Nam- Myung’s wife, who would be ashamed to look upon the face of her mother-in-law due to their poverty, suggested moving into her parents’ home. After taking her up on her suggestion, he shamelessly told his story to his students during a class and upon doing so recognized his own flaw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all intellectuals should do.<BR>  Third, practice what you preach. Practicing what you preach refers to affirmative action. In Cho Nam-Myung’s time, high ranking ministers and officials would bite their tongue in any situation that arose in which the king himself had made a mistake. However, Cho Nam-Myung, knowingly risking a death sentence, would speak up and denounce the king’s mistakes. He made a written statement denouncing in detail what he generally felt was political wrongdoing and corruption. In order to do the right thing, a true intellectual must not fear death and inform his or her leader of any mistakes made by the latter. Cho Nam-Myung, unlike others in his time, practiced what he preached even in the face of death.<BR>  The intellectual that Cho Nam-Myung portrays is one, who studies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desire for philosophical knowledge, and is enlightened enough through one’s understanding of one’s place in the world to be able to practice what he or she preaches. Lee Yoon-Taek’s vision of today’s intellectuals leading our society follows in the footsteps of Cho Nam-Myung, in that they must be active seekers of philosophical knowledge rather than passive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