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새로운 지리학습 주제로서의 교통 및 모빌리티 지리의 가능성 탐색

        심승희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nsport and mobilities geography as a new geography learning subjects for expanding the horizon of the learning content of the geography curriculum. To this end, I first examined how the transport geography learning contents have changed in the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Secondly, I inferred the reason why the subjects of transportation geography were weak in geography education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ew chang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topic of transportation geography and the emergence of the mobilities paradigm. As a result, a new geography learning subjects development plan centered on ‘transportation and mobilities’ was proposed as a way to deepen and expand the existing geography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transportation geography.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교육과정 학습내용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하여 새로운 지리학습 주제로서의 교통 및 모빌리티 지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교육과정에서는 교통 관련 지리학습내용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통 관련 학습내용은 계통지리 주제로서 경제지리 단원에서 서비스 산업의 내용 일부로 다뤄져 왔고, 지역지리적으로는 지역성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다뤄져 왔으나 지역지리 단원의 비중이 줄고 지역-주제 중심 체제로 바뀌면서 교통 관련 주요 학습내용은 경제지리 단원의 하위주제 위주로 축소되었다. 다음으로는 지리교육에서 교통지리 관련 주제가 미약한 이유를 추론하고 교통지리 연구주제의 확장 및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출현 등으로 인한 새로운 변화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교통지리 관련 지리학습내용을 심화・확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교통 및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지리학습주제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발 방안은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기존 교통 관련 지리학습주제의 내용을 심화 및 확대하는 방안과 또 하나는 고등학교 진로선택과목인 여행지리 과목의 주요 학습주제로 개발하는 방안이다.

      • KCI등재

        일본 중학교 사회과 지리분야 『학습지도요령』의 주요 변화와 2017년 개정 내용의 특징

        강창숙 ( Kang Chang-soo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3

        일본의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은 미군정청이 고시한 1947년 시안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10여 차례 고시, 개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지리분야 학습지도요령 내용구성에서 나타나는 주요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중학교 지리교육의 변천은 크게 사회과 지리분야의 학습지도요령이 고시되기 전과 후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지리교육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사회과 지리분야 시기는 지리학습 성립기와 지역학습 전개기를 거쳐 최근의 지리교육에 이르고 있다. 지리분야 학습지도요령의 내용구성은 국가·사회적 요구를 전향적으로 수용하면서, 지역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꾸준히 반성하고 개선해 왔다. 최근 2017년 개정의 중점은 학습자의 지리적 지식 및 기능의 습득과 지리적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 및 언어능력을 질적, 실천적으로 강화하는 데 있다. 그리고 영토 및 국토교육 강화와 함께 독도에 대한 학습내용 왜곡을 학습지도요령에 명시하였다. The course of study(curriculum) for middle school education in Japan started in 1947 when the U.S. Military Government declared it for implementation, and was revised about 10 times by 2017. This study examined the major changes in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section. The major change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was largely divided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section was published.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in social studies has developed through the initial formation of geography education and the regular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The geography curriculum proactively accepted national·social needs, and it has continued to reflect and improve the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The focus of the recent revision in 2017 is for learners to acquir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to enhance their ability to think, judge, express themselves using high-quality language and practice.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n national land and territory, distortion of Dokdo i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학습만화 활용의 효과

        양금슬(Yang, Geum-seul),남상준(Nam, Sang-Joon)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즐겨 읽는 학습만화가 사회과 지리 영역의 학습을 위한 자료로 어떤 학습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초등 사회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학습만화를 활용한 지리 영역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였고 수업 중 관찰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마인드맵 결과와 미션 수행 과정 및 질문지와 심층 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습만화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만화를 활용한 지리영역의 학습은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지리 학습에 관심을 가지게 하고 학습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학습만화는 자료 제시 방식에 있어 이중부호화를 통해 지리 학습 내용의 기억과 이해에 도움을 준다. 셋째, 학습만화는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을 자극한다. 넷째, 학습 부진 학생의 읽기 활동에 도움을 주어 부진 학생의 지리 학습 내용 이해에 큰 역할을 한다. 위의 결과에 바탕하여 볼 때, 학습만화는 사회과 지리 영역의 학습에 있어 구체적인 상황의 제시와 함께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생활 속에서 지도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에 효과적이다.

      • KCI등재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조철기(Chul Ki C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변화와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2008 년과 2011년부터 각각 시행된 중등 및 초등 국가교육과정은 1995년과 2000년에 이어 세 번째 개정으로서 그 이전보 다 편제 면에서나 내용 면에서나 획기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초등 국가교육과정은 6개의 학습영역으로 재편 되었는데, 기존의 KS1-2 지리는 역사 및 시민성과 함께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이해``라는 학습영역에 통합되어, 처 음으로 통합사회과의 출범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현재 영국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지리는 KS3에서만 기초 교과로서 그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교육과정은 여전히 학습프로그램과 성취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학습프로그램의 구성 체제와 그 내용에 있어서는 매우 큰 변화가 있었다. 초등의 경우 학습프로그램이 ``교육과정 목표-학습영역의 중요성-본질적 지식-핵심기능-범교과적 학습-학습의 폭-교육과정의 계열``로, 중등의 경 우 ``교육과정 목표-교과의 중요성-핵심개념-핵심프로세서-범위와 내용-교육과정 기회``로 재구조화되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항목별 특징과 효과적인 지리교육과정 계획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paper is to examine new programme of study for geography by a revised geography(including historical, geographical and social understanding)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The new primary and secondary National Curriculum was respectively issued in 2007 for implementation from September 2008 and 2010 for implementation from September 2011.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changed more than that of 1995 and 2000 in terms of its formation and content. Especially, Primary National Curriculum was rebuilded to the six areas of learning, in the end KS1-2 geography was integrated in ``historical, geographical and social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that, the subject named as geography only remains for KS3. Nevertheless,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s consisted of programme of study(PoS) and attainment target(AT). But new programme of study was changed more than that of former curriculum in terms of its formation and content. Programme of study for primary school is organized with curriculum aims, the importance of areas of learning, essential knowledge, key skills, crosscurricular studies, breadth of learning and curriculum progression. On the other hand, that of geography for KS3 is organized with curriculum aims, the importance of geography, key concepts, key processes, range and content, curriculum opportunities. This paper examined on categorical features of new programme of study for KS3 geography and i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geography curriculum design and planning.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지리학습 코스웨어의 개발

        신창선,정영식,주수종,Sin, Chang-Seon,Jeong, Yeong-Sik,Ju, Su-J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9 No.1

        본 논문은 지리학습의 시각 및 공간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코스웨어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코스웨어는 학습자에게 단순히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시각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코스웨어를 본 논문에서는 지리학습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본 지리학습시스템은 학습평가 후에 이루어지는 피드백을 통해 완전학습과 반복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학습자는 구현한 지리학습 응용모듈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학습참여와 웹사이트에서의 정보검색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courseware based on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improving visual and spatial learning efficiency of geography learning. The existing coursewares are not easy to encourage the learners in learning motivation, because these provide only the visual information using simple texts or imamges to the learners.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our courseware using GIS that can support spatial information can control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map. In this paper, we define the courseware as the geography learning system. This courseware system enables the learners to take the perfect learning and the repetitive learning through the feedback after evaluating the learning degree. Also using g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modules we implemented, the learners can participate directly in learning as well as search information in WWW.

      • KCI등재

        감각・지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지리학습스타일” 척도 작성

        양자연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ory and perceptual geography learning style scale for understanding geography learners. Learning style is an educational psychology method for understanding learners. Sense and perception affect the foundation of private geography in each geography learner and are also elements of learning style in case of information recognition. Based on sensory and perceptual factors, a questionnaire was selected to understand geography learners. The questionnai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senses and perceptual elements set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geography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in geography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14 items comprised 3 factors: “preference for Visual materials,” “preference of Aural/Oral activities in peer-group,” and “preference for Drawing.” This scale is proposed as a means to understand geography learners through sensory and perceptual aspects. 본 연구는 지리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한 감각・지각적 지리학습스타일 척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각과 지각은 교육심리학에서 학습자를 이해하는 방법인 학습스타일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지리학습자의 사적 지리 형성에 영향을 준다. 이를 기반으로 감각・지각적 요소를 통해 지리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해 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은 문항 상세리스트 제작을 통하여, 3가지 부분에 걸쳐 선정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감각과 지각적 요소, 둘째, 지리 학습내용, 셋째, 지리교육의 수업방법들과 이에 사용되는 학습 자료들로 나누어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문항들을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시각자료 활용 선호, 말하기듣기 활동 선호, 그리기 활동 선호), 1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가 작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작성된 지리학습스타일 척도는 지리학습자를 감각과 지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지역지리교육의 개념 논의와 방향 모색

        조성욱(Cho, Sungw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리교육에서의 논의 점을 살펴보고,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구성 방법을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했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지역지리’와 ‘지역지리교육’은 연구와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구분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다. ‘향토교육’은 향토애라는 정의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고, ‘지역학습’은 지역을 학습의 수단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역학습’과 ‘지역지리교육’은 학습대상의 지역 규모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지리학에서의 지역 개념 변화과정을 학습을 고려한 지역 개념으로 재구조화하여 조직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지역 규모의 개념은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시각적이며 단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지역지리교육의 교육목표는 3개 영역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1영역은 학습 내용(지식, 이해)은 무엇인가?, 2영역은 학습 과정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기능과 역량은 무엇인가?, 3영역은 학습과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태도 및 가치관은 무엇인가? 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선정에서는 지역의 개념 인식, 지역성과 변화, 상호작용 등의 지역이해와 이러한 지식 학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태도, 가치관, 활용으로 구분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조직 방법은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지역성 이해에 중점을 두는 지역 중심 방법, 중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변화와 지역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주제 중심 방법, 고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쟁점을 중심으로 조직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oints of discussion in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nd sought alternatives on educational goals and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The summary of discussion, First,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 to be used in terms of research and education separately. And ‘local education’ focus on the emotional aspect of localism, ‘local learning’ regards the region as a means of learning. And ‘local learning’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re have a difference in regional scale.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cess of change of regional concept in geography as organizational concept by restructuring in geography education. Third, regional scale in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as concretely and visually and step by step as possible. The educational goals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s to be presented in three domains. Domain 1 is what is the learning contents(knowledge and understanding)?, Domain 2 is what are the functions and competencies you want to foster in the learning process?, Domain 3 is what are the attitudes and values? I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vided into regional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recognition, locality and regional change, interaction among regions and attitude, value, utiliz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learning process. In the organization method is that regional-centered method focusing on region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elementaryschool level, the subject-centered method which enables deeper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issues-centered method focusing on the regional issues at present in the high school level.

      • KCI등재

        각국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의 내용과 방법 분석 연구 -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초·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김다원 ( Kim Da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1

        위치는 지리교육의 핵심 개념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 이유는 위치가 지리적 현상들의 시공간적 상황을 설명해주고, 지역이해 및 지역 간 관계, 공간적 프레임을 형성하는 기초지식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은 `암기식 산물 지식`, `암기식 지명 지식`을 유발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지리 학습에서는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지리교육에서 다뤄지고 있는 위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부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치개념 학습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이다. 위치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개념 학습의 강화이다. 공간상 위치 파악하기, 공간상 위치표현하기, 위치속성 파악하기 등의 활동을 균형있게 활용하여 위치개념 학습을 강화하는 것이다. 둘째는 장소성, 지역성, 공간관계 파악, 문제의 원인 및 상황 파악 등의 지리학습과 위치지식을 연결하는 학습을 활용하여 위치지식의 적용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Location has been used as a core concept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basic knowledge for explaining the spatial situation of geographical phenomena, understan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zing spatial relationships. Nevertheless,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location learning has been criticized as causing `memorizing product knowledge` and `memorizing place name knowledge`. In this study, the content and method of location learning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location learning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are derive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upplement learning of the location. Students should do know the spatial location, express the spatial location, and analyze the location attributes. Second, The application of loction knowledge should be strengthened. Linking the location knowledge with locality, spatial relationship, and geographic problem cause and situation is needed.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학습자 주도형 지리답사 코스의 개발 및 검증

        황홍섭(Hwang, Hong-Seop),박지수(Park, Ji-S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원도심 및 대중가요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도심과 관련이 깊은 대중가요 중심의 지리답사 코스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부산 원도심 관련 빅데이터 및 부산을 노래한 대중가요 텍스트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학습에 필요한 실효성 높은 자산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두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화 학습에 필요한 학습자 주도형 지리답사 코스를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한 지리답사 코스를 학습자가 직접 체험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을 노래한 대중가요 가사는 주로 원도심 지역에 대한 비율이 높았으며, 원도심과 관련된 대중가요의 가사 속에 나타난 관련 자산은 바다를 상징하는 경관으로 부산항, 오륙도, 부두 등이 있었으며, 육지를 상징하는 경관으로 동래온천, 부산역 등이 있었다. 또한 바다와 육지가 함께 나타나는 경관으로는 광복동, 자갈치시장 등을 포함하는 남포동 일대, 영도다리, 송도 등이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노래비와 같은 인문환경적 자산과의 연계된 지리답사 코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빅데이터를 통한 지리답사 코스는 지역화 학습에 필요한 현장체험학습에 필요한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자산을 제시할 수 있어 교과형 도서 내지 지역화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나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제시된 자료보다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산 원도심 및 대중가요 대상의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학습자 주도형 지리답사 코스의 개발은 지역화 학습에 대한 학습성취도 및 만족도가 높아 실효성이 높으며, 궁극적으로 사회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지역화를 통한 지역애 뿐만 아니라 사회과적 사고력을 함양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big data for Busan’s old downtown and popular songs, to develop a geographic fieldwork course that learners can take initiative, and verify its effect. The process to achieve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selected assets with high effectiveness necessary for regional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related to Busan’s old downtown and the popular song text data analysis that sang Busan. Next, based on the results of both analyzes, we developed a geographic fieldwork course that allows learners to take the initiative in mainly popular songs closely related to Busan’s old downtown’s assets necessary for regional learning. Finally, the learner-directly experienced the geographical investigation course developed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pular song singing in Busan has a high ratio to the Busan’s old downtown area, and the assets in the lyrics are divided into landscapes that symbolize the sea and land. Second, students prefer geographic fieldwork courses linked to human and environmental assets. Third, the geographic fieldwork course through big data can present the assets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needed for regional lear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data presented in textbooks or regional textbook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led geographic fieldwork course based on the big data analysis of Busan’s old downtown and the public song is highly effective because it has high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regional learning. Ultimately, it is expected to develop local patriotism as well as geographical thinking through social studie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