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산업안전보건 행정조직의 과제

        강태선(姜泰善)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2021 노동법연구 Vol.- No.51

        중대재해처벌법의 성패가 상당 부분 고용노동부의 집행에 달려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이 논문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준비에 일손을 보태고자 한다. 이 논문은 관련 문헌고찰, 근로감독관 인터뷰 그리고 무엇보다 안전보건 행정조직에서 실무자로서 겪었던 경험을 토대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 행정조직의 과제를 논할 것이다. 특히 이를 위하여 독립적인 중앙행정기관 체제로써 가칭 ‘산업안전보건청’을 중앙행정기관인 청(외청) 설립의 필요성, 외청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 산안법만으로 중대재해가 다뤄질 때보다 기업의 산업안전보건 분위기는 일신될 것이다. 특히 대기업이라면 지금까지 중대 재해와 관련하여 한 번도 참고인 조사조차 받지 않았던 경영책임자가 조사당국에 출석해야 한다. 처벌 여부와 별개로 경영책임자는 이 문제에 더 관심을 기울이게 될 것이다. 법의 적용대상이 아니거나 혹은 유예된 사업주도 안심할 리는 없다. 경영책임자의 관심과 법준수 의지 그리고 그에 따른 기업안전분위기 전환은 중대재해 감소에 기여하겠지만, 전문성을 갖춘 독립적인 중앙행정기관을 설립·운영하지 않는다면 안정적인 중대재해 감소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이 산업안전보건 행정조직의 개편을 추동했다. 국민안전 증진을 위해 이미 우리나라의 여러 정부조직이 전문성·독립성을 갖는 중앙행정기관인 청 또는 처로 발전했다. 주요 선진국의 사례에서도 독립규제기관의 전략적인 정책 집행이 산재예방의 핵심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현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는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의 실효성 있는 집행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다음에 제시하는 방향성을 견지하는 산업안전보건청으로 승격이 필요하다. 1) 산업재해 방지의 사회윤리적 동기 증대, 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전략적 근로감독, 3) 중대재해처벌법 전속관할 기관, 4) 중대재해 재발방지를 위한 환류시스템 구축, 5) 사각지대 없는 포괄적 산업안전보건, 6) 산업안전보건 행정조직의 독립성 확보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depends to a large extent on the enforcement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s paper intends to add a hand to the preparation for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is paper will discuss the task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OS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r effective and effective prevention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e interview with the labor inspector, and above all, the experience experienced as a practitioner in th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particular,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as an independent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and the direction the external agency should pursue.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drove the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OSH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tructure. In order to promote public safety, several governmen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have already developed into independent agencies which are central administrative government organization with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The experiences of main developed countries also show that the strategic compliance planning for OSH inspectorates is a key factor in preventing occupational accidents. The current Korean OSH Headquarter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eed to be promoted and developed into an OSH administrative agency that adheres to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effectiv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the OSH Act. 1) Increasing social and ethical motivation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2) Strategic compliance planning for OSH inspectorates for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3) Exclusive jurisdictions under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4) Establishment of a feedback system to prevent recurrences of serious accidents, 5) Comprehensive OSH services, 6) Ensure independence of OSH administrative agency.

      • 중대재해처벌법의 주요 쟁점과 개선방향

        Mi Su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Disastronomy Vol.5 No.1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한 산업재해가 줄어들지 않아 현장의 요구로 만들어진 처벌주의에 초점을 맞춘 법이다. 같은 현장에서 동일한 사망사고가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충분한 논의와 연구 없이 급하게 법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다른 법령과 가해자 규정과 관련해 안전보건 확보 의무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고, 처벌 수위가 상당히 높아 산업재해 예방이라는 입법 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며 5인 미만 근로자의 적용도 배제된다. 본 연구는 국내 산업 재해 발생의 현황 및 특징을 정리하고, 법적 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문제점 및 쟁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고려한 보안 입법이 필요해 보인다.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focuses on punishmentism created at the request of the site as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have not been reduced. The same death accident is occurring repeatedly at the same sit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because the law was urgently made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 and research. Regarding other laws and regulations of perpetrators, the content of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is not clear, and the level of punishment is quite high, which does not meet the legislative purpose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application of fewer than five person is excluded. This study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gal system, we intend to derive the problems and issue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Based on this, the goal wa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ecurity legislation seems to be needed to take this into account.

      • KCI등재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 검토

        송지용(jeeyong, Song) 대검찰청 2022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4

        서민과 기업 종사자의 생명과 건강을 중대재해로부터 지키기 위해 중대재해 발생에 실질적인 책임이 있는 사람에 대해 엄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논의는 2000년대 초반부터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2020년경부터 입법 논의가 가속화되어 2021. 1. 26.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었다. 그런데,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음에도 그에 대한 법리적 논쟁이 부족했던 탓에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이나 제조물책임법 등에 기초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었는데, 중대재해처벌법의 입법취지를 살리기 위해 중대재해의 의미를 기존 산업안전보건법과 유사하게 규정하여 너무 광범위하게 인정한 나머지 “중대재해”라는 본질적 의미가 퇴색되어 버렸고, 기존 법체계와 맞지 않는 형벌체계가 도입되는 결과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더욱이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에 대해서는 가중처벌 조항이 없고 단순히 행정절차의 특례에 대해서 규정되어 있을 뿐이고 제조물책임법에는 입증책임 전환 등 민사상 특례에 대해서 규정되어 있을 뿐임에도, 기존 업무상과실치사상죄 및 산업안전보건법상 치사죄에 비해 매우 혹독하게 가중된 형사처벌 규정이 중대재해처벌법에 신설됨에 따라 법체계의 혼란 및 위헌 논란을 불러오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상 중대재해 또는 제조물 등 핵심 개념과 새롭게 제정된 가중처벌 규정들이 헌법상 명확성의 원칙, 비례의 원칙 및 책임 주의에 반하는 것이 아닌지 헌법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법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의 위헌적인 요소들을 세세하게 분석하였다. In order to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ordinary people and business workers from serious accidents, the debate over the need for harsher punishment for those who are actually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serious accidents has been fierce since the early 2000s. From around 2020, the legislative discussion has been accelerated and finally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as enacted in January 26th. 2021. However, despite a lot of discussions about the necessity of th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ince there was a lack of debates from the legal perspectiv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as enacted based on the existing Safety and Health about Industrial site Act and the Product Liability Act. In order to meaningfully enhanc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he meaning of a serious accidents was defined similarly to that of the existing Safety and Health about Industrial site Act. As the result the intrinsic meaning of “serious accidents” has faded and does not fit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because definition of “serious accidents” was introduced too broadly. Moreover, although there are several special provisions of mer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no provision for aggravated punishment for serious accidents under the existing Safety and Health about Industrial site Act, and also in the Product Liability Act civil special cases such as conversion of the burden of proof, the new provisions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hich impose a much harsher criminal punishment than penalties under the Safety and Health about Industrial site Act or Criminal Act, have caused confusion and controversy over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egal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key concepts such as “serious accident” or “manufacture” in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the newly enacted aggravated punishment regulations are will be approached whether or not they are against the principle of clarity, proportionality and liability in the Constitution. As a method, the un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ere analyzed in detail.

      • KCI우수등재

        형사법적 관점에서 보는 중대재해처벌법의 발전방향

        김재윤 한국형사법학회 2022 刑事法硏究 Vol.34 No.3

        On January 27, 2022,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came into force. According to this law, if an employee dies due to failure to fulfill the duty to secure safety and health, such as establish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e employer or CEO will be punished with severe punishment. This is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criminal code as ultima ratio rather than self-regulation regarding corporate safety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for deaths caused by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continuously in workplaces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However, as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as enacted based on this strict punishment principle, the business and labor community are having a heated debate ove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business community opposes it, saying “the level of criminal punishment is excessive”. Some scholars and lawyers who agree with this are expressing a negative view, saying,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s an ‘ideological law’.” On the other hand, the labor community is emphasizing that it is a necessary law to prevent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The Yoon Suk-yeol government is pushing to ame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excessive punishment that curtails business activities. At the National Assembly level, a total of seven amendments to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were submitted. And recently, the prosecution indicted the CEO of Doosung Industrial Co.,Ltd. in the case of ‘No. 1 Prosecu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From now on,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s moving beyond the level of debate to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urts.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criminal law issue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legal nature of the offense of violating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CEO as the subject of action and the meaning of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 are reviewed(Ⅱ).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contents of seven amendments to the Act were reviewed and evaluated(Ⅲ).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if there are any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in the future,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Act and its Enforcement Decree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Ⅳ). 2022년 1월 27일 커다란 논란 끝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이 시행되었다. 이 법에 따르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 같은 안전 및 보건확보의무를 이행하지않아 종사자가 사망했을 경우 개인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에게 1년 이상의 징역이나 10억원 이하의 벌금형이라는 중한 형벌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재사망에 대해 기업의 안전에관한 자율규제나 산업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안전보건법 을 넘어 보다 강력한 국가형벌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엄벌주의에 입각한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시행되자 경영계와 노동계를 중심으로 중대재해처벌법과 그 시행령의 해석·적용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지속되고 있다. 경영계는 “형사처벌 수준이 과도하다.”고 총공세를 펼치고 있으며, 이에 동조하는 일부 학자나 변호사는 “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을 적대시 하지 않으면 탄생할 수 없는 ‘이념법’”이라고 부정적 시각을 대변하고 있다. 반면에 노동계에서는 유사·동일 중대재해를 막기 위해 경영책임자의 포괄적 의무를 규정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처벌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2022년 5월 출범한 윤석열 정부도 기업 활동을위축시키는 과도한 형벌을 개선한다는 취지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개정을 올해안에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회에 차원에서도 박대출의원 대표발의안을 포함하여 총 8건의 중대재해처벌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제출되어 계류 중에 있다. 그리고 최근 검찰은 중대재해처벌법 ‘1호 기소’ 사건으로 두성산업 대표이사를 기소하여, 이제중대재해처벌법은 논쟁의 차원을 넘어 법원의 본격적 해석·적용의 장으로 넘어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의 해석론과 관련하여 형사법적 쟁점으로 중대재해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산업재해치사상)죄의 법적 성질, 행위주체로서 경영책임자등, 중대산업재해의 의미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하고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그리고향후 중대재해처벌법의 발전방향이라는 관점에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중대산업재해 관련 7건의 일부개정법률안의 내용을 상세히 검토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면 충분한 논의를 통해 법과 시행령을 개정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기업이 최대한의이윤창출이 아닌 노동자의 생명존중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안전보건경영 시스템을 확립하여 중대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에 따른 기업들의 대응방안 등에 대한 검토

        강영기(Kang, Young Ki),이창대(Lee, Chang Dai),이성남(Lee, Sung Nam)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과기업연구 Vol.11 No.2

        대형 산업재해가 빈발하는 상황을 계기로 중대재해에 대한 기업책임자의 처벌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논의가 거듭되었고 우여곡절 끝에 2021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었다. 따라서 2022년부터는 산재나 사고로 노동자가 사망하면 해당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 징역이나 10억 원 이하 벌금을 부과할 수 있게 되었다. 동법의 입법목적은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 또는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조치 등 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법인, 사업주, 경영책임자 및 공무원의 처벌에 대하여 규정하고 시민과 노동자의 생명과 신체의 보호 및 공중의 안전 확보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동법은 사업주의 책임범위를 일반 시민에게 발생한 재해까지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의 형사처벌을 강화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을 부과하는 내용까지 포함하고 있다. 7월 12일부터 8월 23일까지 40일간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정안의 입법예고를 거치면 시행령이 확정되게 된다. 2022년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 기업들에게 과도한 책임이 부과되어 기업 활동이 위축될 것이라는 견해가 있고, 기업들이 대응해야 할 사항에 관한 법조문이 모호한 상황이라는 문제를 지적하는 견해도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는 그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는데, 새로 제정된 중대재해처벌법의 규범적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도 이와 관련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본고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입법 경위를 시작으로, 해외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살펴보며, 기업 경영자 입장에서의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리스크 최소화 가능성과 함께 특히, 중소기업 차원에서의 산업안전관리 대응방안에 대하여 검토한다. In the wake of the frequent occurrence of large-scale industrial accidents, there was a growing voice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unishment of corporate managers for serious accidents, and discussions were repeated. Therefore, from 2022, if a worker dies due to an industrial accident, etc., the business owner or manager can be sentenced to imprisonment for at least one year or a fine of not more than 1 billion won.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is Act is to prepare grounds for punishment for corporations, business owners, business managers, and public officials responsible for serious accidents. This is because they are responsible for causing casualties by violating their obligations such as safety and health measures when operating a business or workplace,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r handling raw materials or products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protect the lives and bodies of citizens and workers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ublic by doing so. This Act not only extends the scope of business owners" responsibility to disasters that occur to the general public, but also strengthens criminal punishment in case of serious accidents and includes the imposition of punitive damages. From July 12 to August 23, 2021,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Act will be finalized after passing through the notice of enactment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etc.” for 40 days. There is an opinion that i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s enforced from 2022, excessive responsibilities will be imposed on companies and business activities will be contracted. There are also views pointing out that the legal text on matters related to corporate responses is ambiguous. In particula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end to think that the burden will be further increased.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review the newly enacted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order to secure the normative effectiven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this study begins with the legislative process, and compares it with overseas cases to examine the countermeasures to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In particular, it reviews the countermeasures for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at the level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이 기업의 프로스포츠 구단 운영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안

        정태린,홍상민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부상과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프로스포츠산업의 특징을 고려할 때,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은 기업 의 프로스포츠 구단의 경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업이나 선수 등 프로스포츠 산업의 구성원들 을 포함한 어떤 분야에서도 이와 관련된 이해의 노력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2022년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 의 시행이 기업 운영의 프로스포츠 구단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기업의 시각에서 법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며,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대재해처벌법」은 크게 적용대상,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 구성요건, 안전·보건 확 보 의무,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에 처벌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둘째, 기업의 프로스포츠 구단 운영 환경을 고려할 때, 「중대재해처벌법」은 프로스포츠 구단을 소유한 기업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단서 조항의 활용, 안 전·보건 확보의 상시적 이행, 적절한 사후 조치를 대응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sports industry where injuries and safety accidents continuously occur, the enforcement of th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management of corporate professional sports clubs. However, including the professional sports industry, such as companies and players even the teams, efforts to understand this are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gally approach and analyze the impact of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in 2022 on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sports clubs from the corporate perspective,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s for this. are leav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jor contents of th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include the subject of application, the components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and major civil accidents,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and punishment for business owners and management managers. Second, consider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corporate professional sports clubs,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can also be applied to companies that own professional sports clubs. Third, in this study, the use of provisions, regular implementation of securing safety and health, and appropriate follow-up measures were suggested as countermeasures.

      • KCI등재후보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과 향후 과제

        김진영(Kim, Jin-Young)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4

        우리나라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자 산업안전보건법을 시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나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사고로 기업이나 정부의 안전에 관한 구조적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어 오면서 중대재해처벌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2022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특히 중대산업재해의 경우에는 원하청 관계에서 오는 구조적 문제로 ‘위험의 외주화’라는 말까지 생길 정도로 사망사건이 발생해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구조적인 문제도 지적되어 왔다. 새로 제정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에게 안전 및 보건을 확보할 의무를 부담하게 하고, 이를 위반하여 사망자나 질병자 등이 발생하면 엄중한 처벌을 하고 있다. 이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 목적에 따른 처벌주의에 주안점을 두고 궁극적으로는 사업주 등 기업의 안전보건조치의 강화 및 이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중대재해처벌법은 아직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의 내용 및 그 수범자에 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점, 처벌의 수위가 상당히 높아 산업재해의 예방이라는 입법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점, 중대산업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5명 미만의 사업장을 일률적으로 적용예외로 하고 있는 점 등이다. 따라서 중대재해처벌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서는 아직 법 시행 이전이긴 하나 이를 고려한 보완입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입법목적이 기업의 처벌을 통한 중대재해의 사전방지에 있으나, 처벌만을 강화한 나머지 사전예방의 기능을 등한시 하고 있어 보인다. 안전 ・보건 관계 법령의 범위조차 명시하지 않은 것도 경영책임자등의 의무이행 가능성을 축소시키는 결과로 중대재해의 사전예방이라는 입법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재해의 예방적 기능에 방점을 두고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의 내용과 이를 부담하는 주체에 관한 해석상의 논란이 없도록 명확하게 규정해야 할 것이다. The Republic of Korea implement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Nevertheless, as structural issues related to the safety of companies and governments have been steadily pointed out due to accidents at industrial or social disasters, the Act on the Fatal Industrial Accidents Punishment Act has been enacted and is set to take effect in January 2022.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structural problems have also been pointed out that no one is responsible for the death case to the extent that it is a structural problem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of subcontractors. The newly enacted the Fatal Industrial Accidents Punishment Act requires business owners or management managers to bear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and severely punishes deaths or sick people in violation of this. This focuses on punishmentis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nacting the Fatal Industrial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ultimately seeks to actively induce the reinforcement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owners. However,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still has many problems. The contents of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the regulations on the recipients are not clear, the level of punishment is quite high, which does not meet the legislative purpose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uniform application of workplaces with less than fiv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the Fatal Industrial Accidents Punishment Act, supplementary legislation considering this is necessary, although it is still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Act.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Fatal Industrial Accidents Punishment Act is to prevent serious disasters through corporate punishment, but it seems that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m is neglected because only the punishment has been strengthened. The fact that even the scope of safety and health laws and regulations is not specified is consider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preventing serious accidents as a result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of obligations by managers. the Fatal Industrial Accidents Punishment Act should clearly stipulate that there is no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of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and the subject responsible for it, focusing on the preventive function of serious accidents.

      • KCI등재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에 대한 검토 - 해상기업을 중심으로 -

        이상협 ( Sang Hyup Lee ) 한국해법학회 2021 韓國海法學會誌 Vol.43 No.2

        국회는 2021년 1월 26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중대재해처벌법은 2022년 1월 27일부터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의 체계 하에서는 기업의 사업장에서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사업의 대표자가 아닌 현장소장, 공장장 등이 제재를 받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대한 반성적 고려에서 사업주, 경영책임자 등, 법인 등에 대한 형사상·민사상 강화된 책임을 부과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에는 기업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종사자 등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경영책임자 등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책임 유무가 빈번하게 다투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기업과 관련해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의 해석상 쟁점 외에 장소적 적용범위, 외국인 종사자에 대한 적용 여부, 선박의 이용관계에 따른 적용 범위, 선박관리의 위탁, 운송물의 선적 및 양하, 각종 보험에 의한 보상 가능성 등이 해운기업 특유의 쟁점으로 문제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령이 제정되었으나, 현재로서는 해운기업에 대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이 어떠한 방식으로 운용될 것인가는 구체적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해운기업 역시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기 이전까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과 해사안전법 등 안전·보건 관계 법령의 입장을 검토하여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 이행을 위한 조치가 제대로 취해지고 있는지 점검하여야 하고 미흡한 사항에 관하여는 보완하는 등 만반의 조치를 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n January 26, 2021,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Act on the Punishment, etc. of Serious Accidents (hereinafter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ccordingly,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s set to take effect on January 27, 2022. Under the existing system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mposes stricter criminal and civil liability on business owners, managers, and corpora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site managers and factory managers, not representatives of the company, are often punished when industrial accidents occur at workplaces. After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akes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e liability of managers, etc. under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ill be frequently disputed in the event of casualties at a company's workplace. As to shipping companies, other issues than the interpre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uch as the scope of application to place, applicability to foreign employees, scope of applicability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ship use, consignment of ship management, shipment and unloading of cargo, and possibility of compensation by various types of insurances, are likely to be raised as issues unique to shipping enterprises. Although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as recently enacted, it is difficult to predict at this point how the Act will be operated for shipping companies. However, as shipping companies cannot avoid the application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t is advisable to review the stance of safety and health-related laws, such a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Act and the Maritime Safety Act, etc.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to check whether measures are being taken to ensure safety and health in order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and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규모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

        허정(Huh, Jeong),신만중(Shin, Man Joo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23 공공사회연구 Vol.13 No.2

        현재 건설현장의 추세는 산업안전과 보호에서 중대재해의 예방과 처벌의 강화로 변화해가고 있고, 중대재해는 최근 마련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건설업의 중대산업재해는 대부분이 영세업체가 시행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21년 산업재해 현황을 보면 건설업의 중대산업재해는 전체 산업재해의 50.4%, 그 중 50인미만 소규모 사업장은 42.5%, 5인미만 초소규모 사업장은 38.4%이며, 공사금액별로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현장은 71.5%로 중대산업재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4년부터는 소규모 건설현장들도 중대재해처벌법을 전면적용하게 되는데, 소규모 건설현장은 중·대규모 건설현장들과는 달리, 안전관리자 배치기준의 미적용 등 안전관리체계가 미흡하고 건설업에 미등록된 업체의 시공 참여, 고령 및 외국인 근로자의 미흡한 근로체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부족 등 다양한 제한적인 특성이 있다. 이렇듯 건설산업재해 대부분을 차지하고, 법 및 제도, 예산적 제한 등 다양한 문제를 갖고 있는 소규모 건설현장에 중대재해처벌법을 전면 적용하기에는 많은 전제조건을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는 ’21년까지의 중대산업재해 현황과 유사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 중대재해 처벌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소규모 건설현장이 갖는 구성의 취약점과 법·제도, 예산, 근로체계의 미흡함 등의 특성과 ①보호·적용대상 범위의 확정, ②산업안전보건법과의 관계, 사업주·법인의 중대재해 발생시 안전경영책임자 선정여부, ③경영책임자의 역할과 책임, ④실질적인 지배의 의미해석 등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체계의 문제점에 맞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대산업재해 발생시 예방보다는 처벌에 중점을 둔 중대재해처벌법이 영세한 건설업체들이 대부분 종사하고 있는 소규모 건설현장에 전면 적용되기 전에 예상되는 문제점별로 사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규모 건설현장에 적합한 중대산업재해 저감방안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the trend of construction sites is changing from industrial safety and protection to prevention and strengthening of punishment for serious accidents, and serious accidents require more special attention due to the recently established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particular, most of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mplemented by small businesses.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21, maj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 for 50.4% of all industrial accidents, of which less than 50 people Small-scale businesses accounted for 42.5%, micro-scale businesses with less than 5 employees accounted for 38.4%, and by construction amoun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5 billion won accounted for 71.5%, accounting for most of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Starting in 2024,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ill be ful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Unlike medium- and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have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s, such as non-application of safety manager placement standards, and construction by companies not register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are various limiting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ipation, insufficient labor system of elderly and foreign workers, and lack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As such, it seems that many prerequisites must be resolved to fully apply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that account for most of the construction industrial accidents and have various problems such as laws, institutions, and budget limitations. Here, in order to apply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by 2021 and similar research da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nd the lack of laws, systems, budgets, and labor systems and ①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protection and application, ② Relationship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hether or not a person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is selected in case of a serious accident of the business owner or corporation, ③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④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practical control, etc.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suitable for the problems of the application system. In the event of a major industrial accident,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focuses on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is ful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most of the small-scale construction companies are engaged. Suggested measures to reduce major industrial accidents.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상 기업의 형사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한성훈(Han, Sung Hoon)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과기업연구 Vol.12 No.1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산업재해 사망통계에 따르면 하루에 2.4명의 노동자가 출근했다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행 중인 중대재해법의 제정은 그러한 비극을 더 이상 간과하지 않겠다는 최소한의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중대재해법의 입법과정과 시행령의 제정 이후, 법 시행 전 까지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특히 그러한 논란은 입법과정에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더라도 이해당사자뿐만 아니라 국민적 합의를 통해 입법의 정당성을 확보한 뒤, 사전입법평가를 통해 입법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필연적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동법에 대한 논란의 또 다른 이유로는 중대재해법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 인한 것이라고 본다. 즉 중대재해법은 기업의 안전보건 조치를 강화하고, 안전과 관련된 시설 등에 투자를 늘려 중대재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대재해법은 중대재해 발생 시 사업주, 경영책임자 그리고 기업이 무조건 처벌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물론 중대재해법상 안전보건확보의무의 주체인 사업주, 경영책임자가 의무를 위반하였을 때 형사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그러나 사업주, 경영책임자, 기업이 처벌되는 경우는 동법 상 그들에게 부과된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만 처벌된다. 즉 사업주,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등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이행한 경우에는 중대재해가 발생하더라도 형사책임을 부담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중대재해법은 사업주, 경영책임자, 기업에게 형사책임을 부담케 해야 하는 틀의 운영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동법에 따르면 최고안전책임자(CSO•Chief Safety Officer)가 안전보건업무에 관해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에 준하는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았다 하더라도 그 권한과 책임은 특정업무에 대한 일부권한을 위임받았을 뿐, 그것만으로 사업주, 경영책임자와 같은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중대재해법은 기존의 산안법과 달리 중대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기업과 경영책임자에게 형사책임이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중대재해법의 올바른 이해의 시작은 사업주, 경영책임자, 기업 등을 처벌 또는 처벌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 아니라 중대재해 발생에 대한 ‘실질적인 책임자를 처벌’하는 것에 있다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현재 중대재해법에 대한 여러 가지 면에서 비판적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결코 실패한 법률이라고 속단할 순 없다. 왜냐하면 현재 중대재해법은 시행 초기 단계이고, 모든 법률들이 겪게 되는 과도기적 상황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향후 우리나라 중대재해법도 그러한 과정을 겪고, 견디면서 더욱 단단해져 동법의 본래 제정목적인 중대한 산업재해와 시민재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industrial accident death statistic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4 workers a day go to work and cannot return home. Accordingly, the Major Disaster Act promulgated on January 26th seems to have expressed the minimum will to not overlook such a tragedy any longer. However, the controversy continues from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Serious Disaster Act to the time when the enforcement ordinance was enacted. In particular, it is thought that such controversy arises because, although legislative legitimacy was secured through national consensus as well as stakeholders, the inevitable process of enhancing legislative efficiency through pre-legislative evaluation was not properly performed. So, it has been less than two months since the Serious Disaster Act was enacted, but the controversy is still not fading. On the other hand, another reason for the controversy over this law seems to be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about the Serious Accidents Act. The purpose of the Major Accidents Act is to fundamentally prevent major accidents by strengthening safety and health measures of companies and increasing investment in safety-related facilities. Nevertheless, in the case of a serious accid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business owner, manager, and company are unconditionally punished. Media reports also imped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erious accident law with provocative words, such as ‘a serious accident that catches a company while covering up an employee’s fault’ and ‘the employer punishment law that makes even a small accident imprisoned’. Under the Serious Accidents Act, employers and business managers, who are the subject of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are held criminally responsible when their obligations are violated. However, business owners, business managers, and companies will be punished only in cases where a serious accident occurs in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secure safety and health” imposed on them. In other words, if a business owner or manager fulfills their obligations to secure safety and health, such as establishing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even if a serious accident occurs, they are not liable for criminal responsibility. Furthermore, in the case of corporations, Articles 7 and 11 of the same Act provide immunity from immunity.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Serious Disaster Act, it is necessary to first recall the purpose of its introduction and legislation. This is because this law was enacted in the reflective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n the event of a serious accident, the actual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is insufficient because criminal punishment is mainly imposed on the person in charge (supervisor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and working person (director of field management) at the unit business si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ajor disaster, it was difficult to prove a causal relationship due to structural problems in the corporate organization, so that the employer or company could not be held criminally responsible. However, under the Serious Accidents Act, business owners, managers, and companies must bear criminal responsibility.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ct, even if the person in charg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has been given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equivalent to that of the employer or manager in relation to safety and health work,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re only partially delegated to a specific task,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y have the sam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In this respect, the Serious Accidents Act clearly clarifies that companies and those in charge of management have criminal responsibility when a serious accident occurs, unlike the existing Industrial Safety Ac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jor Disaster Act starts with ‘punishing t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