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중년기에 수술을 받은 여성의 단일 사례

        김현숙,김봉환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iddle-aged women’s experience of death anxiety, to help them develop more existential middle-age and old-age attitudes, and to provide vivid information about middle-aged women’s death anxiety to counselors assisting these women,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question set up as “What is the death anxiety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and what is its intrinsic meaning?” To this purpose the study adopt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n research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 female participant in her 50s to define the essential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experience of death anxiety. The study defined 3 main themes of middle-aged women’s experience of death anxiety; ‘body thrown into the tim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passing through the unknown world, carrying the weight of relationship’ and ‘living as a true adult with the wisdom of time.’ The intrinsic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experience of death anxiety was defined as “the process of being existentially matured through existential crises.” The study was meaningful, first as it provides basic data to help counseling for middle-aged women experiencing death anxiety wi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their experience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Seco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middle-aged women, moving away from the quantitative study of the elderly’s anxiety about death. Third,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The study also presente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체험을 탐색함으로써, 중년여성이 보다 실존적인 중년 기와 노년기의 삶의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중년여성을 조력하는 상담자들에게는 중년여 성의 죽음불안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 정된 연구문제는 “중년여성이 체험한 죽음불안은 어떠한 것이며, 그것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 가?”이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 방법 중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체험이 지니는 본질적 의미를 찾기 위해 50대 여성 참여자 심층면 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삶과 죽음, 경계의 시간으로 던져진 몸’, ‘관계의 무게를 지고, 미지의 세계를 통과하기’, ‘시간의 지혜를 품고, 진짜 어른으로 살아가기’로 총 3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실존적 위기를 관통하며 존재론적으로 성숙해 가는 과정’으로 귀결되었 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체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해함으 로써 죽음불안을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상담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시하였고, 둘째, 노인중 심의 죽음불안 양적연구에서 벗어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했다는 점, 셋째, 중 년여성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후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광고에 표상된 중년 여성의 이미지와 그 의미

        황지영(Hwang, Ji 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재현은 중년 여성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어떤 존재가 되어야하는 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에서 중년 여성들이 표상되는 방식과 중년 여성이 내포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기호학분석을 수행했다. 기호학분석은 의미화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준다. 중년 여성이 모델로 사용된 6개 광고를 분석한 결과, 중년 여성은 유혹자, 이상적인 아내, 의존적인 존재 그리고 자아도취적 존재를 의미했다. 또한 제품은 젊음, 이상적인 아내, 모성 그리고 여성성을 의미했다. 광고에서 재현된 중년여성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문제를 겪고 있는 존재, 의존적인 존재, 경쟁적인 존재 그리고 분열적인 존재들이었다. 중년 여성들은 이질적인 2개의 집단, 즉 상대적으로 젊은 중년 여성과 후기모성기 중년 여성으로 분할된다. 그들은 유혹자와 같은 젊은 여성에게 기대되는 규범을 따르거나 의존적인 존재와 같은 노인 여성에게 기대되는 규범을 따르고 있었다. 이러한 의미구성의 과정은 중년 여성에게 자기부정과 왜곡된 자아검열을 강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지닌다. 요컨대 광고에서 중년은 부정적인 것이며, 불가능한 것 그리고 금지된 것이다. 중년 여성은 엄마이고 아내이고 영원한 여자로 호명된다. 그녀는 변화, 즉 나이듦을 거부하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그리고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와 같은 낡은 이데올로기 속에서 살아가길 원한다. 광고 속에서 중년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녀의 정체성은 모호한 상태로 남아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중년 여성에 대한 왜곡된 표상이 저지되어야 하며 유동적인 정체성의 구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representation determines who middle-aged women are and what they might be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way in which middle-aged women are represented and the meaning that they connotate through the semiotic analysis. The semiotic analysis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the process through which meanings are produced. The analysis of 6 ads in which the middle-aged women models are used showed that they mean the seducer, ideal wife, the dependent and the narcissist. And products have meanings such as youth, ideal wife, motherhood, and femininity. The middle-aged women which are represented in ads are persons which have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re dependent on others and/or have a competitive aspect. Worst of all, they deny the fact they are middle-aged women. They separat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ey accepted the normative rules for young women or elder women. In fact, the problem is that this representation forcers middle-aged women to deny and to control themselves. To sum up, the mid-life is something negative. impossible and forbidden. The middle-aged women are mother, wife and everlasting women. They rejected change, namely aging, and want to live in old ideologies such as patriarchy ideology and capitalism ideology. In ads, they do not exist. The identity of middle-aged women remains ambiguously. In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distorted representation of them might be destroyed and identity in flux should be built.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의 골프운동과 골프웨어

        최성진(Choi Seong Jin),정유림(Jung Yu Rim) 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21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3 No.1

        중년여성들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골프를 즐기고 있으며 과거 중년여성보다도 주체적인 삶을 살고 있었다.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삶을 즐길 줄 아는 라이프스타일로 자신의 건강과 문화에 관심이 많다. 이러한 활발한 여가활동은 골프웨어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주된 소비층으로서 전체적인 골프 시장에 활력을 주고 있었다. 현재의 40~50대 중년층은 평균수명 연장과 함께 자연스레 인구비율이 높아졌고 이러한 현상은 다운에이징 현상을 함께 가지고 왔다. 젊게 보이고 싶고, 이들의 즐기는 운동 중 골프는 대표적인 취미가 되면서 남성 중심이었던 골프산업에서 중년여성의 비중이 자연스레 늘었다. 골프산업의 발전과 함께 골프웨어 시장의 규모 역시 커지고 있지만, 기존 연구를 통해 보았을 때 중년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들은 그들의 니즈에 맞지 않는 디자인으로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에서 구매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년여성인 4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중년여성의 변화된 특성과 골프 라이프에 대해 조사하여 다운에이징이 된 골프산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골프웨어 시장에서 그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디자인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중년여성의 체형을 보완하면서도 젊은 느낌을 주는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중년여성이 골프운동을 하는 이유에는 자기 과시적 성향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중년여성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골프산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 의의를 두며, 중년여성의 골프에 대한 만족도 및 골프웨어에 대한 관심 등을 평가하지 못한 점이 본 논문의 한계점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가 주된 소비집단인 중년여성의 골프 문화와 산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길 기대하며,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In modern times, middle-aged women have enjoyed golfing from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Compared to the past, they have more subjective lives. With active and energetic lifestyles, they have shown an interest in their health and culture. Their active leisure activities have influenced the golf wear market. These middle-aged women have invigorated the overall golf market. With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e middle-aged population (40-50s) has correspondingly increased, bringing a younger trend to the golf industry. In the past, golf was primarily enjoyed only by men. Under such a new trend, the number of middle-aged women enjoying golf has been on the rise. Along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golf industry, the golf wear market has also expanded.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conventional golf brands targeting middle-aged people have released designs that do not meet their needs. In fact, such consumers have bought golf wear for those designed for 20-30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golf industry by investigating changes in middle-aged women’s characteristics and their golf lifestyles against domestically inclined women in their 40-50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golf wear makers need to release various designs which can meet middle-aged women’s demands and needs. Second, they must develop brands that can make them look younger and youthful, corresponding to their body shape. Third, middle-aged women tend to enjoy golf to show off their superior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s results will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the golf industry by analyzing middle-aged women’s needs. However, in terms of limitations, it has failed 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with golf and their interest in golf wear. In sum,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used in analyzing golf culture and the industry for middle-aged women, and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 KCI등재

        중년기여성 강박증의 심리적 갈등의 해소 - 안아주기 이론을 중심으로 -

        문경임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본 연구는 중년기 강박증 여성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중년기여성에 게서는 심리적 갈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 심리적 갈등이 중년기여성의 강박 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는 중년기의 강박증 여성에게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중년기여성에게 강박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인생의 중년기는 삶 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 본 연구는 욕구불만과 심리적 좌절에 초점을 둔다. 욕구불만과 심리적 좌절은 중년기의 여성, 특히 강박증의 여성에게 반복적 행동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미래에 대한 초조감은 중년 기 강박증의 여성에게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심리적 좌절로 인한 미래의 초조감은 신 경증을 유발시킨다는 점에서다. 더 나아가 중년기여성의 강박증은 자기 허탈감으로 심리적 좌절을 겪는다. 이러한 중년기여성의 강박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위니캇의 안 아주기 이론을 적용해야 한다. 안아주기 이론은 중년기여성 강박증을 해결하는 방법 이 되기 때문이다. 안아주기를 통한 존재의 수용과 인정이 중년기여성의 심리적 문제를 치료한다. 이 는 심리적 결핍을 해소하는 원리이다. 안아주기를 통해 새로운 삶의 목표를 발견하는것 또한 가능하다. 안아주기는 중년기여성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때문이다. 더 나 아가 안아주기를 통해 가치관의 재정립도 가능하다. 안아주기를 통해 심리적 갈등이 해소되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conflict of middle- aged obsessive-compulsive women. Psychological conflict emerges as a serious problem in middle-aged women. This psychological conflict acts as a factor that causes obsessive compulsion in middle-aged women. This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must be solved for middle-aged obsessive-compulsive women. There are several causes of obsessive compulsion in middle-aged women. This is because the middle age of life is the result of the com- plex factors of life.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frustration. This is because frustration and psychological frustration induce repetitive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especially women with obsessive compulsion. The resulting anxiety about the future is dominant in women with middle-aged obsessive compulsion. The anxiety in the future due to psychological frustration causes neu- rosis. Furthermore, the compulsion of middle-aged contributors suffers psychological setbacks due to self-depression. In order to relieve this obsession with middle-aged women, Winnikat's theory of hugging should be applied. This is because hug theory is a way to solve middle –aged women's obsessive compulsion.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existence through hugging treat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middle-aged women. This is the principle of relieving psychological deficiency. It is also possible to discover new life goals through hugging. Hugging gives middle-aged women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define values through hugging. This is because psychological conflicts are resolved through hugging.

      • KCI등재

        중년여성의 어머니를 향한 분노: 오토 컨버그의 관점에서

        전금정 ( Kumchung Jeo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이 논문은 “기독교 중년여성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화를 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목회상담적 응답으로 시작되었다. 중년여성은 화를 억압하여야 하고 자신의 어머니를 사랑하고 잘 돌보아야 한다는 관점이 어머니에게 화가 난 중년여성을 목회 상담의 장에 나오기 마저 힘들게 한다. 이 연구는 자신의 어머니를 사랑하고 잘 돌보는 중년여성들이 아니라, 자신의 어머니에게 화가 나서 한쪽 그늘에서 괴로움을 감추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위한 연구이다. 중년여성의 어머니를 향한 분노는 대상관계 학자로 중년여성의 심리구조를 설명하는 오토 컨버그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컨버그에 의한 심리구조 형성과정을 탐구하면서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를 향한 분노가 대상관계의 내재화와 내재화된 대상관계의 발달단계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구한다. 그리고 중년여성의 무의식적 심리적 특성을 컨버그의 중년 여성 심리 이론 가운데 찾고, 그 특성이 어머니를 향한 분노를 어떻게 활성화시키고 증폭시키는지 저자의 사례를 통하여 설명한다. 그 결과, 중년여성의 어머니를 향한 분노는 있을 수 있음을 이야기함으로 어머니를 향한 분노를 지닌 채 그늘에 있었던 내담자를 목회상담의 장으로 나아오게 한다. 그리고 분노하는 자신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환경을 만듦으로 분노를 다룰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가 목회상담자에게도 그들의 내담자를 안아주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자신의 어머니에게 분노하고 있는 중년여성을 위한 기독교 전통과 인간 과학의 대화의 장을 위한 심리학적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What is pastoral counseling’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y middle-aged Christian women get angry with their mothers? The standpoint that they should suppress their anger, love their mothers, and take good care of them as a matter of course causes them to become angry with their mothers, and it is difficult for them to decide to seek pastoral counseling. This study offers a pastoral counseling approach not for middle-aged women who show love and care for their mothers, but for those who are still angry with their mothers and feel pain under the moral conscious’ shadow. This study of middle-aged women’s anger at their mothers is focused on the perspectives of Otto Kernberg who, as an objective relations theory scholar, explains the psychological constituents of middle-aged women. For this purpose, while inquiring into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constitution as explained by Kernberg, this study researches the evolution of middle-aged women’s anger at their mother in the course of internalization of object relations as well as in the internalized stages of object relations thereafter.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are found in Kernberg’s statement on the psychology of middle-aged women. Also, the activation and amplification of anger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through cases from the researcher. Consequently, by stating that the anger of middle-aged women toward their mothers is justifiable, counselees who cover this anger at the mother under the moral conscious’ shadow are encouraged to attend pastoral counseling. Also, they are aided to manage their anger properly by creating an environment of acceptance and embracing their anger.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counselors to embrace their counselees and to propose psychological ground in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human science.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김수진 ( Su Jin Kim ),김세영 ( Se Young Kim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부부친밀감 정도를 파악하고, 부부친밀감과 우울, 갱년기 증상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부부친밀감, 우울, 갱년기 증상의 특성과 이들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중년여성이 인식한 부부친밀감의 평균값은 5점 척도에서 3.19점으로 나타났다. 부부친밀감을 측정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Koo (2008)의 연구에서 40~60세 여성의 부부친밀감 점수는 3.32점, Woo와 Lim (2010)의 연구에서 40~59세 기혼 남녀의 부부친밀감 점수는 3.56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부부친밀감 점수가 선행연구의 결과보다 낮게 나타난 이유는 본 연구가 40세부터 65세 미만의 넓은 연령 범위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Kim (2008), Pak과 Kim (2010), Woo와 Lim의 연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부부친밀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부부친밀감을 나타낸 것은 남성과 여성의 부부친밀감을 함께 조사한 것이 아니라, 남성을 제외한 여성만을 대상으로 부부친밀감을 조사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연령 집단별 부부친밀감 비교를 보면, 40~44세 미만 집단의 부부친밀감 점수가 3.56점으로 가장 높았고, 50~54세 집단의 부부친밀감 점수가 3.09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55세 이상 집단에서 40대 집단 보다 부부친밀감이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부부친밀감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연령이 부부친밀감의 주요 관련 요인이라는 Lee와 Ok (2002)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부부친밀감과 연령의 관계에 대하여 Woo와 Lim (2010)의 연구의 결과에서는 40대 부부의 부부친밀감이 50대 부부보다 유의하게 높았던 것에 비해, Jang, Chung과 Lee (2011)의 연구에서는 30대의 부부친밀감이 40대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한편 결혼만족도는 20대 연령 집단과 결혼 기간 10년 미만인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Lee & Ok; Son & You, 2008). 즉 결혼 만족도는 연령과 결혼 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한 것에 비해 부부친밀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은 있으나 연령 집단별 차이에 대하여 결과가 일치되지 않았다. 이러한 부부친밀감의 특성에 대하여 Moss와 Schwebel (1993)은 부부친밀감이 결혼만족도 보다 부부 간의 상호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밀접함과 헌신의 측면을 중요하게 다룬 것으로 인함이라고 했다. 이러한 부부친밀감에 대하여 Cutrona (2004)는 배우자와의 관계란 타인과 맺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친밀감이라고 했으며, 일생을 함께 살아온 부부사이에 느끼는 매우 가깝고 공유된 밀접함을 반영하는 부부친밀감은 중년여성에게 더욱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과 중년 부부를 위한 다양하고도 효과적인 부부친밀감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하겠다.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 중 부부친밀감과 유의한 관련 변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최종학력(F=6.88, p = .001)이 대졸 이상일 경우가 중졸 이하인 경우보다 부부친밀감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Woo와 Lim (2010)의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부부친밀감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과 비슷한 결과이다. 또한 교육정도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부부친밀감이 높은 친밀형 부부관계 유형이 교육수준이 높았다는 연구(Jang et al., 2011; Lee & Ok, 2002)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이는 교육 수준이 높은 여성일 경우 자아정체감이 높고,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부부 중심의 평등한 부부관계에 밑바탕이 되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있을 것이기에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종교가 있을수록 부부친밀감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Kim과 Choi (2007)의 연구에서 중년여성에게 있어 종교생활을 하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부부친밀감이 높게 나타난 것과 비슷한 결과로 이는 부부에게 있어 통제하기 어려운 부모·친지·자녀·재정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보다는 종교적인 초점에 맞추어 의사소통하는 경우에 생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다. Woo와 Lim(2010)의 논문에서는 직업군에 따라 부부친밀감 정도가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전문·관리직군이 생산·서비스직보다 친밀감이 높았고, 사무직 군이 생산·서비스직보다 높은 부부친밀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본인직업(F=4.47, p =.012)이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일 경우가 서비스직, 생산직, 자영업일 경우보다 부부친밀감이 유의하게 높다는 결과와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 본인 월평균소득(F=3.01, p =.019)이 200~300만원 미만인 경우가 100만원 미만인 경우보다 부부친밀감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배우자 월평균소득이 200만원 이상인 집단이 100~200만원 미만인 경우보다 부부친밀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 났다(F=6.72, p<.001). 이는 대체로 가계소득이 높을 때 부부친밀감이 높다는 연구(Jang et al.,; Park, 2006; Pak & Kim, 2010, Woo & Lim)와 유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배우자와 함께 여가활동을 하는 집단의 부부친밀감이 유의하게 높았는데(t=-5.05, p<.001), 이는 가족의 지지가 많을수록 부부친밀감이 높았다는 연구결과(Koo, 2008)와 비슷한 결과이다. 또한 현재 질병을 치료하고 있는 경우(t=2.22, p =.027)와, 현재 질병이 있는 경우(t=2.53, p =.012)에 부부친밀감의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년부부의 건강상태가 부부 친밀감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부부친밀감은 우울(r=-.61, p<.01), 갱년기 증상(r=-.39, p<.01)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친밀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갱년기 증상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Lee와 Choi (2007)의 중년여성의 우울과 부부관계 만족도에서 부부사이의 관계가 만족스러웠던 그룹에서 우울감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Yeo (2004)의 연구에서 가족과 사회적 관계의 지지를 받는 중년여성일수록 폐경 증상을 적게 느끼며 가족 간의 문제가 없을수록 중년여성이 폐경 관리를 잘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는 배우자와의 친밀감이 강할수록 갱년기증상을 적게 호소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우울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을 살펴 본 결과, 대상자의 우울 전체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44.11점을 나타내었다. 이는 동일한 우울 측정도구를 사용한 Park(2006)의 중년여성 우울 평균점수 47.38점에 비해 본 연구의 우울 점수가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우울 수준이 비교적 낮게 나타난 것은 30대부터 50대까지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Park의 연구에 비해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연령이 중년으로 제한되어 있었으며, 종교생활 비율이 Park의 68.7%에 비해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77.5%로 비교적 높을 종교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 총점은 40점 만점에 15.16점, 문항평균값은 0.76점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인 갱년기 증상 요인별 평균값은, 성적 증상 0.86, 신체적 증상 0.79, 정신적 증상 0.67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Han (2004)의 연구에서도 성적 증상이 1.2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신체적 증상 1.22점, 정신적 증상 1.19점으로 나타난 결과와 같아, 중년여성에게 있어 갱년기 증상이 표현될 때 성적증상이 가장 많이 호소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우울은 갱년기 증상 전체 평균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우울이 높을수록 갱년기 증상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Sung (2001)의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 호소가 높을수록 우울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과, 갱년기 증상과 우울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과 같은 결과이다. Kang과 Shin (2002)의 연구에서도 폐경증상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폐경증상 항목 중 정서장애 증상이 우울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서장애 증상을 경험하는 대상자의 우울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처럼 중년여성에게 있어서 부부친밀감과 우울과 갱년기 증상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중년여성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지금까지 배우자와의 정서적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중년여성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문헌들(Koo, 2008; Lee & Ok, 2002; Son & You, 2008; Woo & Lim, 2010)이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부부친밀감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갱년기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던 연구는 많지 않았다. Deeks와 McCabe (2004)는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은 심리적 측면을 포함한 통합적 시각으로 이해해야 하며, 중년여성의 건강문제를 다룰 때는 폐경 증상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건강증진 전략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부부친밀감이 우울과 갱년기 증상과 더불어 중년여성의 건강을 사정하고 중재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하여 중년여성의 긍정적인 삶의 질과 건강을 위해 효과적인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또한 부부친밀감과 우울과 갱년기 증상에 있어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난 배우자와 함께 여가활동(t=-5.05, p<.001)을 적극적으로 중년여성을 위한 부부친밀감 향상과 우울과 갱년기 극복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health promotion of middle-aged women. Methods: A sample of 231 middle- aged women was recruited from four cities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July 9 to November 11, 201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of marital intimacy score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ducational background (F=6.88, p=.001), religion (t=3.96, p<.001), own job (F=4.47, p=.012), own salary (F=3.01, p=.019), spouse`s salary (F=6.72, p<.001), ownership of residence (t=4.00, p<.001), leisure with spouse (t=-5.05, p<.001), current treatment of disease (t=2.22, p=.027), and current disease (t=2.53, p=.012). Marital intimacy was correlated with depression (r=-0.61, p<.01) and menopausal symptoms (r=-0.39, p<.01). Conclusion: Marital intimacy in middle-aged women is closely related to both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The nursing program that improves marital intimacy will be useful to promote the health of middle-aged women.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An, Eun-mi),허정무(Hurh, Jeong-moo) 한국노년교육학회 2015 노년교육연구 Vol.1 No.1

        In this study, by searching for them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mpa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middle-aged woman,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women's lifelong lear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on the basis of subjective results. This study will vary by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lifelong learning in a middle-aged woman, was determined by a process comprising causing the overload of interaction are influenced by these three factors. Extrac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s subjective factors on the basis of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verified. The findings from the age of 40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survey questionnaire appeared to target the middle-aged woman of 59 years results. First, most important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subjectiv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motivatio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indirectly affect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und that to give. This was the biggest impact on the lives of middle-aged women subjective factors directly affect lifelo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followed by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Showed that a larger influence of indirect rather than direct effects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 factor. Second, to describ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factor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the proportion of large path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 subjective quality of life’of middle-aged women' path. Because it wa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than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need to run a program to develop a customized strategy and may consider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differently motivated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women target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is effort is being supported when such involvement leading to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and enhance the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middle-aged female students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may increase. Second, it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the practice education program targeting middle-aged women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upport the positive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learning gran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middle-aged women.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그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제고를 위한 여성 평생학습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평생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40세 부터 59세 까지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영향을 미 치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이며, 개인배경특 성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를 거쳐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였으며, 그 다음으로 는 평생학습 만족도였다. 개인배경특성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관련요인의 간접적 인 영향 중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설명하는데 가장 비중이 큰 경로는 ‘개인배경특 성 → 평생학습 참여동기 →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경로였으므로, 개인 배경특성 보다는 평생학습 참여동기 및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 성대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들의 개 인배경특성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고객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 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들은 학습지향적이고 활동지향적인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젊은 여성과 중년 여성의 차와 음료 소비 비교에 관한 연구

        조현주(Hyun-Ju Jo),정소형(So-Hyoung Jung),정윤정(Yun-Jung Jung) 한국차학회 2023 한국차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젊은 여성(20대와 30대)과 중년 여성(40대와 50대)의 세대 차이가 차와 음료 소비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만 20세 이상 59세 미만의 대구⋅경북지역 성인 여성 147명을 대상으로 차가 포함된 음료류와발효도가 따른 4가지 차(녹차, 홍차, 우롱차, 보이차)에 대한 평소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차를 섭취하는 이유와 마시지 않는 이유 및 녹차와 홍차에 대한 효능 인식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젊은 여성군의 평균연령은 24.97세, 중년 여성군은 49.49세였다(p<0.001). 젊은 여성군은 커피를 평소 가장 즐겨 마시고, 두 번째로는 탄산음료를 가장 많이 마신 반면, 중년 여성군에서는 커피를 평소 가장 즐겨 마셨으나 두 번째로는 우유 및유제품을 즐겨 마셔 유의미한 세대 간 차이가 나타났다(p<0.001, p<0.01). 최근 1년간 섭취한 음료 섭취빈도에서탄산음료(p<0.001)는 젊은 여성군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커피(p<0.001), 우유 및 유제품(p<0.05) 과 전통차(p<0.001) 섭취는 중년 여성군에서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젊은 여성군은 녹차 다음으로 홍차를, 중년 여성군은 녹차 다음으로 보이차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고, 중년 여성군의 녹차 섭취 비율이 젊은 여성군 보다 높았다(p<0.05). 홍차, 우롱차, 보이차의 섭취빈도는 세대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젊은여성 군은 차를 마시는 이유와 마시지 않는 이유에서 모두 ‘맛’과 ‘향’이 중요하였고, 중년 여성군에서는 ‘건강관리’, ‘다이어트’, ‘카페인’ 같은 건강과 관련된 이유들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녹차의 효능 인식도는 ‘건강증진’, ‘성인병 예방’, ‘체중조절’, ‘피부미용’에 대한 효능 항목에서 젊은 여성군이 중년 여성군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두 군 모두 평소 커피 보다 차의 선택비율이 현저히 낮았고, 젊은 여성군에서는 중년 여성 군 보다 녹차의 효능 인식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섭취 빈도는 더욱 낮아 연령에 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차를 마시는 이유와 기피 이유에서도 기호성을 중요시하는 젊은 여성과 건강을 중요시하는중년 여성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ea and beverage intakes of young and middle-age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of beverages and four teas (green tea, black tea, oolong tea, and Pu'er tea), the reasons for consumption and avoida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icacy of green tea and black tea. The young women enjoyed coffee the most, followed by carbonated beverages. The middle-aged women enjoyed coffee the most, but milk and dairy ranked second, resulting in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p<0.01). In the frequency of beverage intake over the past year, the percentage of carbonated beverages (p<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women, while coffee (p<0.001), milk and dairy products (p<0.05), and traditional tea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ddle-aged women. The young women preferred black tea over green tea, and the middle-aged women preferred Pu’er tea over green tea. The middle-aged women's green tea intake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 women (p<0.05). In the young women, ‘taste’ and ‘scent’ were important in both the reasons for tea consumption and avoidance, and the proportion of health-related reasons, such as ‘health care,’ ‘diet,’ and ‘caffeine,’ was high in the middle-aged women (p<0.001). Recognition of the efficacy of green t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women than in middle-aged women in the areas of ‘health promotion,’ ‘adult disease prevention,’ ‘weight control,’ and ‘skin beauty.’ In conclusion, the tea intak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ffee in both groups. Although the young women group had a higher awareness of the efficacy of green tea than the middle-aged women group, the frequency of green tea consumption was lower, showing a difference due to age. In addition, differences appeared in the reasons for drinking tea and avoiding it between young women who value preference and middle-aged women who value health.

      • KCI등재

        위기의 중년 기독교 여성을 위한 여성주의 목회 상담 : 세 명의 내담자 사례를 중심으로

        권진숙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9

        이 연구 논문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여성주의 목회 상담을 받았던 세 명의 한국 중년 기독교 여성 내담자들의 사례를 분석한 논문으로 한국 중년 기독교 여성이 삶의 위기를 경험할 때 여성주의 목회 상담이 여성들의 위기 극복과 영적 성숙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그 동안 여성주의 목회 상담학자들은 여성들의 삶의 이야기를 목회 상담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분석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 목회 상담 연구 논문 중에는 중장기 여성주의 목회 상담을 받고 치유 경험을 한 중년 여성의 사례들을 분석한 경우는 많지 않다. 이 연구 논문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내담자들의 공통적인 호소 문제는 첫 번째로, 내담자들이 죽음의 고통을 겪었던 질병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신장 이식 수술, 두 번의 암 투병, 수차례 입원을 거듭한 극심한 우울증을 통하여 죽음의 고통을 경험했다. 이들은 모두 신실한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기독교 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질병을 교회에서는 말할 수 없었고 오히려 삶의 위기가 신앙의 수치심의 근원으로서 작용을 하게 되었다. 질병은 신앙의 긍정적인 상징이 아니라는 주관적 혹은 객관적인 신앙적 분위기 때문에 교회는 위로를 받는 것이 편하지 않았다. 두 번째로, 내담자들은 모두 우울증을 앓고 있었는데 이 우울증의 중요한 원인으로써 가부장적 억압이 자리 잡고 있었다. 따라서 이런 내담자들을 위한 치유의 접근법으로 여성주의 목회 상담 이론들이 사용되었다. 첫째, 브레네 브라운의 수치심 회복 탄력성 이론을 사용하여 여성의 우울증의 근원이 되는 수치심을 회복하여 용기와 긍휼을 통해 여성들의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었다. 둘째, 관계 문화 이론을 사용하여 내담자와 상담자간의 치유적 관계 형성을 위한 취약성, 진정성, 상호성의 가치를 조명하였다. 관계 문화 이론은 여성의 관계적 자아 형성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가부장적 억압에 상처받은 여성들의 관계성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크리스티 코자드 누거의 여성주의 이야기 상담을 통하여 가부장적 억압의 해체가 여성 치유에 필수적이 역할을 했음을 조명하고 가부장적 억압을 통해 형성된 여성들의 삶의 이야기를 해체적으로 경청하고 다시 상상하고 이야기함으로써 중년의 위기를 겪고 있는 여성들의 해방과 치유의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여성들의 다시 이야기하기의 주제는 정서적, 심리적인 것을 넘어서 그들의 내적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것에 이르렀다. 결국 이런 여성들의 하나님 이야기 다시하기를 통해서 중년의 삶의 위기를 통해 깊은 영적 성숙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주의 목회 상담은 삶의 위기 속에 있는 세 명의 한국 기독교 중년 여성 내담자들에게 우울증 극복과 영적 성숙의 계기를 가져 올 수 있는 목회상담과 목회적 돌봄의 자원으로서 긍정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as a means to help Korean, Christian women overcome their midlife crises. In order to do so, I will use three case studies from 2014-2018 detailing how three long term, Christian, female clients faced and overcame their midlife crises with the support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eir crises often included, but were not limited to, severe physical and mental illnesses, such as, kidney malfunction that required a permanent transplant, reoccurring cancer, and severe depression that led to many hospitalizations. These narratives will address the lack of literature depicting how Korean Christian women have found healing through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lthough Korean feminist theologians have focused on exploring the diverse life experiences of Korean women that were previously ignored by male based theories, there is still a scarcity of published articles regarding the healing process grounded in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us, this paper is centered around these clients’ life stories and how they found healing amidst their midlife crises. Furthermore, this paper explores how Korean churches have not provided sufficien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faithful Christian women who have suffered from physical diseases. In the midst of these desperate times requiring psychological and spiritual support, these women were unable to approach any church leader due to their shame stemming from the belief that their illness was a sign of their lack of faith. Although they were not able to find healing within the church, they were able to turn to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s the main source of support and healing. For these three long term clients, three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eories were applied: Brené Brown’s shame resilience theory, Relational Cultural Theory and Christie Neuger’s feminist narrative counseling theory. These theories empower females to share their shame, help them realize how they have been oppressed by the patriarchy, and deconstruct their oppressed identity and life stories. Through these theories, the clients reconstructed their feminist identity by “re-imagining”and “re-telling” their stories that have been oppressed by the patriarchy. Furthermore, these women,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an oppressive God, were able to cultivate a new healing connection with God. Therefore, this paper illuminates how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can be a powerful a healing resource for Korean Christian women who experience middle life crises.

      • KCI등재

        여성주체적 자기해방을 위한 상담방법으로서 ‘포커스그룹 토론 상담’ 사례 - 한국교회 중년여성교인들의 젠더의식이 집단적으로 각성되고 변화할 가능성 -

        장미나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연구는 한국교회 중년여성교인들의 젠더의식이, 중년여성교인들 자신의 경험과 이해를 나누는 집단역동성을 통해 어떻게 드러나며 이에 따라 인식과 태도의 변화 가 능성이 어떠한지를, ‘포커스그룹 토론 상담’ 접근을 통해 알아본다. 연구의 배경으로서 본 연구는 두 가지 기본 문제를 전제한다. 하나는 여성주의는 현대사회에서 신학계를 포함 전영역에서 주요담론으로 자라잡았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한국교회는, 양적 질적으로 여성교인들의 참여와 헌신에 의해 지탱되어 왔음에도, 현재 한국사회의 어 느 섹터보다도 여성주의에 관해 침묵한다는 점이다. 이 침묵은 교회의 공식적이고 표 면적인 입장을 결정하는 남성주의 교권의 태도를 뜻할 뿐인가? 아니면 교인의 절대다 수를 차지하는 여성 교인들 자신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여성주의에 대한 한국교회의 침묵이 여성 교인들 자신에게서 나오는 것이라면 그것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여성 주의적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이 같은 질문이 제기되는 공간이 상담학적으로도 중요 하다고 보며,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성교인 자신들의 상호대화를 통해서만 의미 있 게 얻어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행적 연구방법으로서 ‘포커스그룹 토론 상담’을 택했다. 이 방법 은 종래의 정보획득 중심의 ‘포커스그룹 연구’와 달리 참여자들의 대화 속 상호작용과 이에 따른 각성과 변화에 초점을 두는 해방적 접근이다. 또한 이 방법은 기존의 상담 자중심의 집단상담과도 구별된다. ‘포커스그룹 토론 상담’은 근래의 포스트모더니즘 상담, 철학 상담, 여성주의 상담 등과 맥을 같이 하는, 내담자 주체적 상담이기 때문 이다. ‘포커스그룹 토론 상담’은 내담자가 처음부터 자신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 니라, 문제의 각성 과정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학습과정과 같은 접근이란 점 에서도 특별하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 중년여성교인들의 대표적 프로필을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연구참여자들을 엄밀히 객관적 조건에 의해 선정하였고, 참여자들의 개입되지 않은 토론과 그 결과에 대한 코딩 분석을 거쳐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study examines how gender consciousnesses of middle-aged church women in Korean churches and their possible changes in perception and attidues are disclosed through group dynamics, in which they share their own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in terms of a ‘focus group discussion counseling’ approach. As the background, the study presupposes two basic problems. One is that feminism has bocome a major discourse in all areas, including theological community, in modern society. The other is that the Korean church, despite being supported by the participation and dedication of women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is now more silent about feminism than any other sectors of Korean society. Does this silence only mean the attitude of the male-centered teaching authorities that determines the official and superficial position of the church? Or does it show the attitude of female believers, who make up the absolute majority of the church members? If the Korean church's silence on feminism comes from the women themselves, what may it mean?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space where such a question is raised is also meaningful in terms of counseling, and assumes that the answer to the questions can be meaningfully obtained only through the women’s mutual conversation. Accordingly, the study chose 'focus group discussion counseling' as a performative research method. Unlike conven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oriented ‘focus group research,’ that method is a liberating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inter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and the resulting awakening and change. The method is also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counselor-centered group counseling. The ‘focus group discussion counseling’ is a client-centered counseling that is in line with recent postmodernist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feminist counseling. However, ‘focus group discussion counseling’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a kind of learning process; the clients do not raise his or her problems at the outset, but gradually experience awakening process of the problem. The study set up the representative profiles of middle-aged church women in Korea,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according to strictly objective conditions, and drew conclusions through non-intervention discussions and coding analysis of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