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해석에서 주체성 논의의 필요성 및 헌법상 실존하는 주체성에 관한 고찰 ― 국민주권의 관점에서 ―

        박찬권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4

        Because each positive law is prescribed by detailed rule, it can secure a legal stability with a propriety or soundness to some extent if it is not contradictory to formal logic. However, a constitution that is prescribed by abstract and open principles can hardly secure that type of stability, even if it is not contradictory to formal logic. The logical contradiction in constitution has significance for the whole process of the constitutional performance that realize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Through this proces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s done properly. When evaluating performance of a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objects, the principles and the system, which are interpreted, but also the subjects who realize them. The latter refers to the subjects who form a constitution. It is an issue regarding the subjects of sovereignty, the people and the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the individual. A matter of the subject itself that is the premise of the constitutional subject. Above all, it is considered how each individual's reflective thinking, self-identity, is elevated to the subjectivity of Volk, which is an integrative field in which each subject's thinking is realized for itself on the basis of common sense. Constitutional law is discussed, which is the formulation of every single aspect of norms that are revealed in the integrative process of the subjectivity of Volk and of the principles and the system that are immanent in this process. It is considered what the subjectivity of Volk means in relation to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ough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reveals the individual personality through the decisions of the state organ at the highest level, it exists as an organic state because its members that are mediated by the will of Volk unite together. Nevertheless, if the normativity is limi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e subjectivity of Volk has only a psychosocial effectiveness and ends in a standard of judgment whether the powerful action of the state is valid or not. The normativity of the subjectivity of Volk is therefore also forced to be acknowledged. In this case, the will that is formed by Volk exists as a public opinion and the starting ground for every subject's thinking. But the subjectivity of Volk should be convert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so that each individual's thoughts for oneself are condensed with authority as the center, in order to become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ivity of the Nation faces the risks of power abuse because a decision-making authority emerges as the specific will, not the general will. It reveals the sound subjectivity when it is complemented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lity through a reflective thinking on a level of Volk. In this way, the subjectivity of Volk realizes popular sovereignt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nd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has democratic legitimacy. The subjectivity of the state reveals the sound subjectivit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Nation and Volk. Furthermore, the realization of popular sovereignty is reconfirmed after the state organization has been established when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interact with each other. 상세한 내용으로 규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형식적 논리의 모순이 없는 것만으로도 구체적 타당성을 갖춘 법적 안정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 개별 실정 법률과 달리, 추상적이고 개방적인 원리들을 중심으로 규정된 헌법은 형식적 논리의 무모순만으로 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헌법에서 논리적 모순은 헌법원리를 실현하는 전체적 수행과정에서 그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통해 헌법해석은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한 올바른 해석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행과정은 해석의 대상인 원리 및 체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를 해석하는 주체에 대한 고찰을 함께 요구한다. 이는 헌법을 형성하는 주체에 대한 고찰이며, 주권의 주체인 국민과 기본권의 주체인 개인이 이러한 헌법상 주체에 해당한다. 헌법상 주체에 대한 문제의 전제로 주체 그 자체의 문제를 먼저 고찰한다. 특히, 주체로서 각 개인들의 자기동일성의 반성적 의식작용이 어떻게 공동의 의사를 토대로 각자의 의식작용이 실현되는 통합의 장인 Volk의 주체성으로 고양되는지를 살펴본다. Volk의 주체성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규범의 개별적 측면으로서 헌법과 그러한 헌법 안에 내재한 원리와 체계의 공식화로서 실정헌법을 논한다. 국가의 주체성과의 관계에서 Volk의 주체성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정점에 있는 기관의 결단에 의해 개체적 인격을 발현하는 국가의 주체성도 국가의 구성원들이 배후에 있는 Volk의 의사를 매개로 하나로 수렴됨으로써 유기적 국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주체성에만 규범성을 인정할 경우 Volk의 주체성은 사회심리적 실효성만을 지니면서 국가의 권력작용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그치게 된다. 그러므로 국가의 주체성과 함께 Volk의 주체성에도 규범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Volk의 의한 의사형성은 공론으로 존재하면서 국가에 있어서 모든 의식작용의 원천적 기반으로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Volk의 주체성도 국가의 주체성으로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권위를 중심으로 개인들의 대자적 의식작용들이 응집된 Nation의 주체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Nation의 주체성 실현은 결단을 통한 특수한 의사로 나타나므로 남용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Volk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성적 의식작용을 통한 보편성의 확인을 통해 보완될 때 온전한 주체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olk의 주체성은 진정한 국민주권의 실현으로 작용면서 국가의 주체성에 대하여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Nation과 Volk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온전한 주체성의 근거 위에 국가의 주체성이 발현됨은 국가가 조직된 이후에도 헌법에 규정된 각 조항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국민주권의 실현으로 재차 확인되어진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계곡 장유의 주체성과 창조정신

        김세정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8 No.-

        본 논문에서는 양명학 전래 초기에 양명학을 수용한 대표적 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谿谷 張維((1587∼1638)에게서 보여지는 주체성과 창조정신이라는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세 가지 측면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당시의 학문적 답습과 맹목적인 교조주의에 대한 장유의 강한 비판에서 그의 주체의식을 찾아 볼 수 있다. 장유는 당시 조선에는 오로지 정주학만을 칭송하는 획일성과 교조주의만이 존재한다고 본다. 이는 내면적 實心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외적인 권위, 즉 정주학만이 귀하다고 하는 당신의 외면적 평가와 흐름에 편승한 결과로서, 이러한 몰주체성과 획일적 교조주의로 인해 참된 학문은 물론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학문이 나올 수 없는 폐단이 야기된다고 비판하고 있다. 참다운 학문은 주체적이면서도 비판적인 자세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창조적 삶의 토대로서의 주체적 良知와 실천성이다. 장유는 인간 누구나 ‘靈靈明明’한 것을 내재하고 있으며, 이 ‘靈靈明明’함이 바로 주체성의 근거가 된다고 주장한다. 靈靈明明한 양지는 선천성과 보편성을 지니며, 평등한 인간관의 근거가 되고, 외물에 이끌리지 않는 주체성이다.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삶의 구현은 반드시 실제적이고 능동적인 실천이 수반되어야 하는 바, 장유는 인간 실천성의 근거를 양명의 知行合一說과 致良知說에서 찾고 있다. 장유는 양명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靜的인 공부가 아닌 실질적인 일에서 자기 성찰을 통해 본심양지를 확충해 나가는 역동적인 학문과 실천적인 공부를 중시한다. 셋째, 주체성에 근거한 창조정신의 전개이다. 먼저 주희 『중용장구』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해석이다. 장유는 인간은 누구나 선천적 양지의 발현과 실현을 통해 참다운 인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聖人에 의한 品節은 물론 禮樂刑政과 같은 외형적인 도구에 의한 교화나 지배가 불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품절과 예악형정 같은 외재적인 방법들은 인간의 주체성과 능동성을 억압·말살시키고 비주체적이고 종속적인 인간으로 전락시키는 폐해를 야기한다. 장유는 주희의 주장처럼 성인에 의한 일방적 교화가 아니라 인간은 누구나 자발적인 수양을 통해 참다운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아 인간에게 주체성과 능동성을 부여하고 인간을 창조적인 삶의 주체로 새롭게 자리매김 시키고 있다. 장유는 因時制宜적 태도를 중시하면서 ‘時勢를 살피는 일’과 ‘人心을 수습하는 일’을 정치의 요체로 규정한다. 時勢가 중요한 이유는 時勢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고정불변한 옳음에 집착하기보다는 변화하는 인심과 시세를 잘 살펴서 인심과 시세에 부합되도록 기준과 제도를 새롭게 제정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치의 요체라는 것이다. 장유는 양명의 양지철학을 단순히 관념과 사변의 차원이 아니라 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인 대안으로 발전시켜 나갔을 뿐만 아니라 몸소 실천을 통해 이를 실현해 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양명학을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한국적 양명학으로 새롭게 탄생시키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從看到的論文中,陽明學傳入初期受到陽明學的代表學者從溪谷張維身上看到的關于主體性和創造精神特征的觀察,其內容是和下面的從三個側面加以槪述。第壹,的敎條主義的張維最爲批判中可以조到他本人的主體意識,張維在當時的朝鮮時期只稱贊程朱理學的淸壹色和敎條主義的存在。這個不是從內在的實心爲基礎的,而是外在的權位。卽,只說程朱理學貴重的當時,外在的評價和曆史的繼承的結果爲基礎。這樣因無主體性的劃壹的敎條主義,因正的學間當然是獨創性創造性的學問不能出現的引起麻煩的批判,眞實的學問不僅是主體性也是對自身批判的後援第貳,以創造性的生命的基礎的主體性的良知和實踐。張維提出不論是誰都靈靈明明,這靈靈明明正是成爲主體性的依據。靈靈明明的良知是實踐性和普遍性的過渡,平等的人生觀的依據,外物不領導的主體性和創造性生命的均衡。壹定是實際的和能動的實踐的隨同,張維的人間實踐性的依據是從陽明學的知行合壹說和致良知說中得到的。張維代辯陽明的立場不是靜的學習的實質的事情通過自身的省察擴充自身的良知得到具有動感的學問和重視實踐性的學習。第三,以主體性爲根據是創造精神的展開。首先是對朱熹的中康章句的批判和新的注釋,張維認爲不論是誰都可以通過實踐性良知的發現和實現的原因,依據聖人的禮節,當然是禮樂行政和共同的外在的爲主的敎化或主配的不必要性,這樣品質的장罰等目的外在的方法們是人間的主體性和能動性的壓迫和非主體性的和中小性的人間喜樂的迫害,張維像朱熹的主張壹樣不是通過聖人的壹般性的敎化而是不論是誰通過的修養成爲眞正的人。這樣可以看到人間的主體性和能動性,人間創造的人命的主是才會不斷的邁進,張維是以因時制宜的態度爲中心,同時察看時勢和穩定人心的事成爲政治的主體。重視時勢的理由是時勢不是固定不變的而是而是因爲在不斷的變化著,對固定不定的眞理的執著,相比變化的人心的附和的基礎和制度重新制定和希望處理事情是政治的要素。張維不是單純地陽明良知哲學觀點和事變的根源,不僅僅是解決實際問題的實際的發展方法而且通過親身實踐處理現實問題的觀點上不斷從主體性和創造性上不斷推出新的陽明學。

      • KCI등재

        학생 주체성 담론의 이론적 지평 및 쟁점 탐색

        이상은 ( Sange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1

        최근 학생이 ‘배움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개념 중 하나가 ‘학생 주체성(student agency)’ 이다. 이 개념은 OECD가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형 교육과정의 새로운 교육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그 의미와 실천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 글은 학생 주체성 담론을 유행하는 슬로건처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거나 혹은 기존의 유사한 개념과 혼용하여 새로운 정책 아젠다로 만드는 노력을 하기에 앞서, 이 개념을 둘러싼 이론적 지평을 살펴보고, 그 논의에 가정된 학습에서의 주체성 문제를 철학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OECD Education 2030에 제시된 학생 주체성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학생 주체성 개념의 등장 배경과 의미, 학생 주체성 개념의 이론적 토대, 학생 주체성의 유형과 특징, 학생 주체성 발달을 위한 학습 내용과 과정 등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최근 국내에서의 학생 주체성 논의 및 실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교육과정 개혁 동향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위상과 역할 변화 및 학생 주체성 강조 흐름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학생 주체성 담론에 가정된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개인으로서 학생의 자유의지에 관한 이해, 학생 개인의 고유성과 공적 언어로서 교육과정 간의 관계, 학습 주체성립에 있어 책임의 문제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학생 주체성 담론이 주는 매력과 함정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주의 교육과 진보주의 교육의 이분법을 넘어 학생과 교육과정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Student agency’ is a notable concept that derives from the discourse on curriculum reform that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In particular, efforts are being made to clarify and act on its meani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introduced this concept through its ‘Education 2030’ project as a new vision for future-oriented curriculum.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and to criticise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embedded in it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ent’s subjectivity in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I explor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 agency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Next, I examine the recent dominant interpretations of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and its practices in South Korea. Finally, I critically review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underlying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in terms of student’s subjectivity in learning.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it needs to deliberately consider not only positive possibilities but also negative limitations caused by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and to imagine a new language to interpre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curriculum beyond the dichotomy of traditional and progressive education.

      • KCI등재

        학습자 주체성 개념의 교육학적 의의 일고찰

        노철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른바 ‘학습자 주체성’ 개념의 의미와 그 교육학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주지하다시피, 학습자 주체성은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핵심 개념에 해당한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미래 사회가 당면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도전에 대한 교육적 해결책으로 잘삶을 추구하는 데에 요청되는 역량과 그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광범한 연구를 통하여 제안한다. ‘학습 프레임워크 2030’은 그 제안의 요약판이며, 여기서 학습자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고, 잘삶이라는 목적을 위하여 자신의 행위를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존재로 간주된다. 학습자 주체성은 이 점을 부각시킨 용어이다. 그러나 위 프로젝트 및 그 기초를 제공한 몇몇 연구들은 주체성의 개념과 관련하여 한 가지 특정한 관점을 두드러지게 표방하고 있다. 즉, 주체성의 획득이 이미 종결된 상태를 가정하고 이러한 주체성이 적절하게 표현되도록 하는 기능적 조건을 탐색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레드비터가 말하는 주체성의 네 가지 핵심 요소는 그 기능적 조건과 다르지 않으며, 센이 언급한 주체성 자유에 요청되는 기능벡터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주체성은 그러한 기능적 조건 ‘이전에’ 교육을 통해서 학습 또는 발달하는 것으로 보지 않으면 안 된다. 반듀라가 제시하는 ‘사람으로서의 주체성’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한 개인이 언어의 발달과 함께 사회적 자기참조의 표식을 획득함에 따라 어떻게 주체적 존재가 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교육은 이 의미에서의 주체성 획득을 본업으로 하는 활동이며, 이 점은 주체성의 기능적 조건을 획득하도록 하는 일 못지않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so-called ‘student agency’, which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recently. As is well known, student agency is a core concept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In this project, we propose through extensive research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pursue well-being and ways to effectively develop such competencies as educational solutions to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challenges facing future society. Learning Framework 2030 is a summary of that proposal, where learners are viewed as beings who actively choose and decide their actions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the capabilit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and well-being. Student agency is a term that highlights this point. However, the above project and some of the researchers who provided its foundations stand out for a particular perspective regarding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In other words, they assume a state in which the acquisition of agency has been completed and explore the functional conditions that allow this agency to be appropriately expressed. The four elements of agency identified by C. Leadbeater are no different from their functional conditions, and the functional vectors required for freedom of agency defined by A. Sen are also no different from these. However, agency must be viewed as something that is learned or developed through education prior to those functional conditions. The personal agency presented by A. Bandura clearly shows how an individual as a social being becomes an agent as he acquires a mark of social self-referen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ducation, in this sense, is an enterprise whose main task is to acquire student agency as personal agency, and this point is as important as the acquisition of functional conditions for student agency.

      • KCI등재

        단재 신채호의 주체성에 관한 상담학적 연구

        이지현,이재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단재 신채호의 생애와 사상을 바탕으로 주체성에 관한 상담학적 지식을 추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단재 신채호의 생애와 사상을 다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주 체성의 다양한 형태를 살펴보면서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 원리를 추출하였고, 그 원리 속에서의 성장전략들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주체성이 형성되기 위한 원리로는 대아(大我) 만나기, 비아(非我)와 마주하기, 항성(恒性)과 변성(變性) 조화로운 상태 이루기가 있다. 대아 (大我) 만나기 전략으로 소아(小我)의 한계성 드러내기, 대아(大我)의 정체성 알아차리기, 모델 링하기, 비아(非我)와 마주하기 전략으로 양심의 천연(天然) 회복하기, 동등(同等)적 태도 갖기 가, 항성과 변성의 조화로운 상태 이루기 전략으로 중용(中庸) 지키기, 공동체와 하나 된 삶 지향하기가 있다. 이 연구는 단재 신채호의 삶과 사상을 통해 동양 상담학적 관점에서 주체 성 형성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들을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오늘날 전 통적 의식과 서구화된 생활양식이 뒤섞여 있는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기존 서양의 상담 이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상담 영역으로 확대,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counseling knowledge about subjectivity based on Danjea shin cheaho’s life and thought of.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the life and thought of shin cheaho’s cas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forms of subjectivity, presents basic principles for forming subjectivity, and summarizes the growth strategies in that principle. Principals for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include meeting Dae-A(대아, 大我), facing Biah(비아, 非我), and maintaining a harmonious state of Natural ability and Metamorphic ability. First of all, the strategy of meeting Dae-A(대아, 大我) is to reveal the limit of So-A(소아, 小我), to recognize identity of Dae-A, and to model it. Next, to achieve a harmonious state of Natural ability and Metamorphic ability, there is a strategy of recovering a Natural of conscience and having an equal attitude. Lastly, to maintain a harmonious state of Natural ability and Metamorphic ability, there is a strategy of maintaining Zhongyong and doing towards a unified life with the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formation principle of subjectivity from Oriental point of view and the specific strategies for it through oriental person named Danjea shin cheaho. This will be an opportunity for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Western counseling theory and to expand and develop it as a new counseling area, in which we live in a time when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Westernized lifestyle are mixed. However, in order to be applied in actual counseling field, it is necessary to apply strategies for combining the subjectivity of Shin, Chaeho to the Western counseling theory and program it and to test it continuously.

      • KCI등재

        반제국적 주체성 : 예수

        류의근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0 No.-

        한국 사회와 사람들을 지배하는 힘의 원천이 경제와 시장의 논리, 언론 권력, 그리고 학벌 체제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동의할 수 있다. 자본 권력, 언론 권력, 교육 권력은 시민을 훈육하고 통제하는 주권 권력이라고 말해진다. 이러한 주권 권력이 훈육과 통제를 통해서 보통 사람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지배하는 논리와 구조가 될 때 제국 또는 제국주의가 탄생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제국적 질서와 권력의 지배를 받는다는 점에서 제국적 현실을 살고 있다. 이 점에서 제국은 우리의 삶의 스타일이다. 사실상 우리는 제국적 현실을 자동적으로 살아가는 제국적 주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자동화된 주체화 방식 말고 다른 주체화의 방식을 찾는 것은 제국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던져진 도전장이다. 이것은 개인의 자유 의지가 반제국적 주체성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아의 테크놀로지를 구성하는 문제이다. 자본 제국과 국가 제국의 현실이 긴박하게 돌아가면 갈수록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체성을 구축하는 일이 절실하다. 세계 제국과 국가 제국의 지배와 통제가 교묘하게 실현되는 만큼 신자유주의적 자아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성의 개발과 형성은 극히 요긴한 과제이다. 제국적 현실에 복종하고 종속하는 예속적인 주체성이 아니라 전지구화된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와 시장 논리에 대항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정치적 주체의 구성이 긴박한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나는 이 글에서 제국적 현실에 대해 포스트모던적으로 주체성을 구성하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기독교의 관점에서 예수의 주체성을 제국적 질서와 현실을 비판하고 부정하는 반제국적 저항적 주체성으로 제시하며 결론적으로 이러한 반제국적 주체성을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대안적 주체성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It is agreeable that what controls Korean society and people in these days is economic power, media power, and school power or educational capital. These powers are called sovereign ones which dominate society and common people in a whole through control and discipline. When they comes to hegemonic influence, they function as empire or imperialism. I think that our country is manipulated and dominated by imperial power and order. Our life-worlds are imperial and in this respect our selves are imperial. Empire is a way of life and automatically we are imperial subjects. At this point, we are going to challenge this imperial-colonized subjectivity. This amounts to seek the technology of self which makes individual shift from imperial subjectivity to anti-imperial one. While global capitalism and state as a empire have been acting deliberately for their own profit, resisting and redeeming self is pressed to be driven to the marginal. So, we are positioned in building a subjective militant to transform the present establishment. To educate and foster these people is extremely necessary to criticize and reform the present dominant world order. This business aims at transforming castrated subject yielded to imperial reality into politically fighting subjectivity awakened for himself by relentless imperial oppression. In awareness of this problematics, I point out what the matter is with the postmodern conception of subjectivity in responding to the issue at stake, and then I propose Jesus as an anti-imperial subjectivity which means to deny and subvert imperial rulers and authorities. This proposal comes to the point where this anti-imperial subjectivity such as Jesus can be both counter-subjectivity and alternative subjectivity over against empire-subordinated one in revolting from imperial world order and making new society.

      • KCI등재

        칼뱅의 인간론에 있어서 ‘주체성(Subjectivity)’ 이해

        장호광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subjectivity' in Calvin 's anthropology, to introduce systematic theological meanings contained in it, and to present the present applicable relevance to Korean Church and Theolog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purpose of writing this paper and its direction for achieving its purpose in Chapter I, 'Introduction', and in Chapter II 'Understanding Concepts of Subjectivity' Before discussing it in detail, I tried to approach the concept philosophically. In Chapter III, 'Understanding of Subjectivity of Calvin' which corresponds to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we introduced 'original subjectivity', 'de-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This named Calvin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of human history divided by the redemptive viewpoint: the created human being, the sinful man after the fall, and the restored man through Jesus Christ. Finally, I conclude this paper with a brief summary of the conclusion, and I have also presented the apologetic effect by comparing it with the subjectivity in philosophy and that of Calvin. Furthermore, I have suggested how to understand the subjectivity of Calvin in Korean church and theology. Its applicability has focused on the Christian 'establishment of religious subjectivity' or 'establishment of subject faith'. 본 논문은 칼뱅의 인간론에 있어서 ‘주체성’을 끄집어내어, 그 속에 담겨 있는 조직신학적 의미를 소개함과 동시에 한국교계와 신학계에 현재적 적용성(relevant)을 제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I 장 ‘서론’에서 본 논문을 쓰게 된 목적과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고, II 장 ‘주체성의 개념이해’에서는 칼뱅 스스로는 주체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주체성을 구체적으로 논하기에 앞서 그 개념을 철학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의 본론에 해당하는 III 장 ‘칼뱅의 주체성이해’에서는 ‘본래주체성’과 ‘탈주체성’, 그리고 ‘상호주체성’으로 구별하여 소개했다. 이것은 칼뱅이 인간사(史)를 구속사적 관점에서 나눈 세 단계인 ‘창조된 인간’, 타락 후 ‘죄인 된 인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된 인간’에 맞추어 이름 지었다. 마지막 ‘결론적 제언’에서는 본 논문을 간단하게 요약해보았고, 철학에서의 주체성과 칼뱅의 인간론에서 나타나는 그것과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변증학적 효과 또한 제시해 보았다. 나아가 ‘칼뱅의 주체성이해’를 현재 한국교회와 신학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제언해 보았다. 그 적용성은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확립’ 내지 ‘주체화된 신앙 확립’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 KCI등재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 중국 내 발행 잡지 자료를 중심으로

        김병민 ( Jin Bing-m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은 다중 주체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일본 인식을 통해 민족 주체성을 확립했고, 중한관계 인식을 통해 이중 주체성을 확립했으며, 세계평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중 주체성을 확립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자신들을 민족해방의 주체, 중국 항일투쟁의 주체, 세계 피압박민족 해방의 주체로 인식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부단히 분화되고 조합되는 복잡한 역사 과정을 경과했다. 그들은 항일투쟁과 민족해방의 기치 아래 역사적인 회합을 이루었으며, 중국의 항일투쟁과 세계적인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를 위해 함께 싸워 나갔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주체성 확립은 일련의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보여준다. 먼저 신채호와 신규식 등의 ‘정신적 자아’, ‘양심적 자아’는 철학사상 면에서뿐 아니라 투쟁실천 면에 이르기까지 주체성 확립에 정초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한국 망명지사들의 민족 주체성, 이중 주체성, 다중 주체성의 삼자 구성 중에서 민족 주체성은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의 확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은 물론 민족 주체성에 의한 민족국가 상상―민족의 해방과 자유 실현을 제일 목표로 삼았다. 한편 한국 망명지사들의 중국체험은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중국 체험은 본토 체험을 가속화하고 승화시켜 주었으며, 중국의 담론 환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의 수용과 창조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민족 문제 및 세계평화 문제에 대하여 직시하게 했다. 한국의 망명지사들은 중국의 담론장을 통해 민족 담론, 항일 담론, 국가 담론을 구축하여 제국담론과 식민 담론을 전복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은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정신적 가치―지식 담론의 참신성과 혁명성을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이다.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Korean exiles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ubjectivity. In other words, it established national subjectivity through Japanese recognition, established dual subjectivity through Chinese-Korean relations recognition, and established multiple subjectivity through recognition of world peace. In other words, the Korean exiles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national liberation, the subject of the Chinese anti-Japanese struggle and, by extension, the subject of the world’s oppressed people. The Korean exiles appeared as various sub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and established a knowledge discourse, and the various subjects continued to divide and combine, but they formed historic convergence under the banner of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liberation, and fought together for the great victory of China’s anti-Japanese war and global anti-fascist wars.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shows a series of unique features and values. First of all, Shin Chaeho and Shin Gyusik’s “spiritual ego,” “conscientious ego” played vital roles i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not only in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in fighting practice. Secondly, among the national subjectivity,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the national subjectivity directly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Therefore, the goal was to realize the nation-state imagination-liberation and freedom of the people, based on not only dual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but also the national subjectivity. Next, the Chinese experiences of Korean exiles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ir East Asian recognition and subjectivity. Their experiences in China accelerated and sublimated the mainland experiences, and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China prepared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new ideas, and went on to face up to the world peace issues. The Korean exiles have built national discourse, anti-Japanese discourse and national discourse through China’s “discussion ground,” which has led to the overthrow of imperial and colonial discourse. The Korean exiles’ recognition of 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subjectivity are vivid records of the novelty and revolutionary nature of the intellectual discourse-the spiritual values of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오문석(Oh Moon-seok)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윤동주를 저항시인으로 규정하는 것은 단일문화적 주체성의 관점이 개입한 것이다. 이것은 근대문학사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 윤동주를 민족문학의 대표주자로 끌어들인 결과이다. 하지만 이때는 윤동주가 만주국 출신이라는 사실이 무시된다. 만주는 식민지 조선의 연장선상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문학의 연구대상이 유·이민자,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 연구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만주를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생겼다. 윤동주가 만주국 출신이라는 사실이 새삼 부각된 것이다. 윤동주가 시인으로 활동할 무렵 조선에서는 '만주 유토피아니즘'이 확산되어 많은 지식인, 농민들이 환상을 품고 만주로 이주하던 때였다. 만주는 조선에서 불가능한 꿈이 성취될 수 있는 낙원으로 상상되었다. 이것은 만주국의 건국 이념인 '오족협화'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에서 파생한 것이다. 만주에서는 조선인이 다른 민족과 평등한 대접을 받고, 고유한 문화를 보존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제국의 이념을 신뢰하고 이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친일의 논리를 이용하여 저항의 가능성을 찾으려는 사람들, 말하자면 협력을 통한 저항이라는 이중적 전략을 구사하려는 사람들도 모여들었다. 하지만 윤동주는 그 무렵 평양 유학의 실패를 통해 만주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목격하였고, 만주에서도 조선인으로 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내선일체가 강화되는 조선에서는 일본인으로 살기를 강요받게 될 것임을 예감하였다. 어디에서건 조선인이 되기 위해서는 만주국민이 되거나 일본인이 되어야 하는 모순적 상황에 처한 것이다. 이러한 모순적 상황을 자신의 주체성의 일부로 받아들인 윤동주는 단일문화적 주체성에서 찾아볼 수 없는 '복수의 주체성'을 경험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일본 유학을 통해서 다시 '공허한 주체성'으로 전환되는데, 이는 조선인도 일본인도 아닌 주체성 부재의 상태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윤동주가 친일도 저항도 불가능했던 데에는 이러한 주체성 부재, 혹은 주체를 결정지을 수 없는 복수의 주체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It is merely with an infusion of a monocultural subjective perspective that Yun Dong-ju is viewed as 'a poet of the resistance.' Especially, it seems inevitable to picture him as the representative poet of national literature in order to fill the gap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he late colonial period. Thus, with emphasis on national literature, it is naturally disregarded that he was born in Manchuria considered a part of the colonized Joseon Dynasty (Korea). As research topics in Korean literature extensively include immigrants, diaspora,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how to define the place comes into question. Accordingly, it results in paying attention to Yun's birthplace once again. When Yun is active in the literary world as a poet, 'Manchuria utopianism' is disseminated in Joseon. As a result of the prevailing belief, many intellectuals and peasants emigrate to Manchuria with a new hope that they consider Manchuria a promised land for their dreams which can be hardly realized in Joseon. It mostly derives from an excessive expectation of 'Five Peoples' Harmony,' the founding principle of Manchukuo. Koreans are told that they are allowed to live on terms of equality and harmony with other peoples and keep their tradition and culture in Manchuria. Indeed, some emigrants, who have trust in the Japanese imperial propaganda, firmly believe that there are the possibilities of resistance even in their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other words, they fancy that they are able to skillfully juggle the duel strategy called 'resistance to the empire through collaboration with it.' However, at that time, Yun comes to be aware of Manchurian ideological falsehood through his experience and failure while studying in Pyongyang. Not only does he observe that it is difficult for Koreans to be Korean in Manchuria; but also he reads that they would be forced to completely discard their Korean identity and transform themselves to be Japanese in Joseon as Japanese colonialistic policies in the name of the 'oneness of Korean and Japan' are reinforced and intensified. Put differently, Koreans are confronted with an conflict situation in which they should become either Manchurian or Japanese to keep their Korean identity anywhere or everywhere. By embracing such the ironic condition as part of his subjectivity, Yun experiences 'multiple subjectivity' in contrast to monocultural subjectivity. In turn, while studying in Japan, he re-experiences 'empty subjectivity,' that is, the absence of subjectivity in which he cannot be either Korean or Japanese. In the end, it is impossible for Yun to be pro-Japanese or anti-Japanese primarily due to the absence of subjectivity or the presence of multiple subjectivity which makes it hard to define the subject.

      • KCI등재

        초등 학습자의 행위 주체성 탐색의 방향과 과제

        노철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which has recently emerged in earnest in the OECD's Education 2030 project,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asks of research related to the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agency and the development of agency measurement tools in relation to elementary school learners. As is well known, the learning framework proposed in the Education 2030 project corresponds to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mpetency education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and in these concepts, the agency that individual learners have or should have occupies a key position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views of several scholars, including C. Leadbeater, agency means not accepting the options decided by others, but deciding the options by oneself. It requests various aspects of ability, such as aware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Recen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show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agency relatively well,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points to be supplemented in that they are not aimed at elementary learners. Considering this point,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two points in relation to the exploration of elementary learners' agency. First,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the meaning of freedom as a 'power' included in the concept of agenc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ive aspects as components of agency: purposefulness, investment, self-reflection, responsibility, and inter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OECD의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본격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학습자 행위 주체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초등 학습자와 관련하여 행위 주체성의 개념 탐색 및 행위 주체성 측정 도구 개발 관련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주지하다시피,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안된 학습 프레임워크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교육의 개념틀에 해당하며, 이 개념들에서 개별 학습자가 지닌, 또는 지녀야 할 행위 주체성은 교육의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레드비터를 위시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행위 주체성은 다른 사람에 의하여 결정된 선택지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주체가 되어 선택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런 만큼 그것은 미래를 향한 지향성, 유의미한 계획,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타인과의 협업 등 다양한 측면의 능력을 요청한다. 최근의 국내외 연구는 행위 주체성 개념이 지닌 이러한 특징을 비교적 잘 보여주고 있지만, 초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보완할 점 또한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 학습자의 행위 주체성 탐구를 위해서는 한편으로 행위 주체성 개념이 지닌 ‘힘’으로서의 자유의 의미를 좀 더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행위 주체성의 구성 요소로서 목적성, 노력, 자기성찰, 책임감, 그리고 상호작용의 다섯 가지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