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제국적 주체성 : 예수

        류의근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0 No.-

        한국 사회와 사람들을 지배하는 힘의 원천이 경제와 시장의 논리, 언론 권력, 그리고 학벌 체제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동의할 수 있다. 자본 권력, 언론 권력, 교육 권력은 시민을 훈육하고 통제하는 주권 권력이라고 말해진다. 이러한 주권 권력이 훈육과 통제를 통해서 보통 사람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지배하는 논리와 구조가 될 때 제국 또는 제국주의가 탄생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제국적 질서와 권력의 지배를 받는다는 점에서 제국적 현실을 살고 있다. 이 점에서 제국은 우리의 삶의 스타일이다. 사실상 우리는 제국적 현실을 자동적으로 살아가는 제국적 주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자동화된 주체화 방식 말고 다른 주체화의 방식을 찾는 것은 제국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던져진 도전장이다. 이것은 개인의 자유 의지가 반제국적 주체성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아의 테크놀로지를 구성하는 문제이다. 자본 제국과 국가 제국의 현실이 긴박하게 돌아가면 갈수록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체성을 구축하는 일이 절실하다. 세계 제국과 국가 제국의 지배와 통제가 교묘하게 실현되는 만큼 신자유주의적 자아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성의 개발과 형성은 극히 요긴한 과제이다. 제국적 현실에 복종하고 종속하는 예속적인 주체성이 아니라 전지구화된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와 시장 논리에 대항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정치적 주체의 구성이 긴박한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나는 이 글에서 제국적 현실에 대해 포스트모던적으로 주체성을 구성하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기독교의 관점에서 예수의 주체성을 제국적 질서와 현실을 비판하고 부정하는 반제국적 저항적 주체성으로 제시하며 결론적으로 이러한 반제국적 주체성을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대안적 주체성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It is agreeable that what controls Korean society and people in these days is economic power, media power, and school power or educational capital. These powers are called sovereign ones which dominate society and common people in a whole through control and discipline. When they comes to hegemonic influence, they function as empire or imperialism. I think that our country is manipulated and dominated by imperial power and order. Our life-worlds are imperial and in this respect our selves are imperial. Empire is a way of life and automatically we are imperial subjects. At this point, we are going to challenge this imperial-colonized subjectivity. This amounts to seek the technology of self which makes individual shift from imperial subjectivity to anti-imperial one. While global capitalism and state as a empire have been acting deliberately for their own profit, resisting and redeeming self is pressed to be driven to the marginal. So, we are positioned in building a subjective militant to transform the present establishment. To educate and foster these people is extremely necessary to criticize and reform the present dominant world order. This business aims at transforming castrated subject yielded to imperial reality into politically fighting subjectivity awakened for himself by relentless imperial oppression. In awareness of this problematics, I point out what the matter is with the postmodern conception of subjectivity in responding to the issue at stake, and then I propose Jesus as an anti-imperial subjectivity which means to deny and subvert imperial rulers and authorities. This proposal comes to the point where this anti-imperial subjectivity such as Jesus can be both counter-subjectivity and alternative subjectivity over against empire-subordinated one in revolting from imperial world order and making new society.

      • 칸트의 이성적 심리학 비판: 칸트의 자아개념

        류의근 新羅大學校 1988 論文集 Vol.25 No.-

        There has been various opinions as to whether there is a realm proper to philosophy and it was the the practical predicament of philosophy as a science. however, it is well-known that the philosophical authentic disciplines were ontology, epistemology, axiology (ethics) traditionally. Among these epistemology was almost considered as philosophy itself in the modern period. It is the same with the present epoch in philosophy. I would elucidate this perennial epistemolological problem, that is, the problem of self by analyzing A cirtique of Pure Reason. Further, I intended to discuss Kantian self in an ontolotgical viewpoint over and above stereotypedly epistemological one. It may as well be an original idea in this article. In a word, what is the ontological status of self in kant? It has been admitted that many scholars are liable to understand Kant's concept of self epistemologically. While admitting that I also won't deviate epistemologically-oriented study line, I don't want to stay with that, either. As a matter of fact, most of the studies in kantian self were focused on the pt. of transcendental deduction. Thus my thought was extended to study the problem by dealing with the pt. of transcendental paralogism as a complement to the former. We recognized Kant's self is a logical subject attained by the condition-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But what is to be pointed out with an effort, if Kant's transcendental self is for explaining ourselves who live daily lives and know things one way or another, is that the self should exist in any way. kant could understand no other self than a logical subject since he investigated it in a logical dimension. Otherwise he might be different. It is here that we begin to play our own role in interpreting kant's self. When Kant thought the subject knowing things or integrating different experences must exist logically, there has already been I really, Partly, this idea in the article dominated Kant's explanation of self and its ontological characteristic was searched. As a result of it, the existence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n which self-consciousness is identified with self-knowledge is real.

      • 先소크라테스적 사유의 본질 : 하이데거의 경우

        류의근 新羅大學校 1989 論文集 Vol.27 No.-

        We'll find a methodological Archimedean point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 in elucidating the essence of early Greek thinking. In this viewpoint, we discussed what Heidegger think of early Greek thinking. Our conclusion is that he interpreted it in Thinking of Being (Denken des Seins). Anaximander's necessity (χρε??), boundless (απε??ρον), Heraclitus'logos (λογοs), the Unifying One (εν), the not setting ever (το ?? ??? νον�ποτε), unconcealment (αληθε??α), nature (φνσ??s), fire (πνρ), Parmenides' Being (εον), Thinking (νοε??), apportionment (Mοιρα), all thises are nothing other than Being which they understood, experienced, and thought in their own way. It is the same with Platon's idea (ιδεα), Aristoteles'actuality (ενερλε??α). In Heidegger's eyes, they are Thinker of Being. Thus in heidegger early Greek philosophical thinking is Thinking of being, and Being & Thinking are the sa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is identity is different from correspondence of thing and understanding. The former is ontological one, the latter is representational one. Heidegger's identity of Being and Thinking is one before being is represented as being, subject is separated from object, and knowledge and reality are dichotomized. The forgetfulness of such an identity is, indeed, both a condition of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al identity and a beginning of representational thought. If the philosophical thought is Thinking of Being, a philosophical knowledge is knowledge of Being, φ??λοσοφ??α i.e., love of wisdom is love of Being. it is to protect, preserve, and unforget being. And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being is truth. Int his way, philosophy which shall be knowledge of truth, love of wisdom means μημοσν??η of ον. Therefore philosophy is the herdsman of being. And philosopher must exist all the time in order to guard Being, because man can be Dasein as the herdsman of Being, in existing or standing under the lighting of Being.

      • KCI등재
      • KCI등재

        예수, 급진적 휴머니스트

        류의근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6 No.-

        이 글은 영국의 종교 철학자 돈 큐핏의『예수와 철학』(Don Cupitt, Jesus and Philosophy, SCM Press, 2009)에 대한 서평으로 쓴 것이다. 이 책은 18개의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 은 예수의 도덕성에 대해 매우 창의적이고 독보적이며 특색 있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 책의 서 평을 위한 서술 방법은 기존의 유형과는 다르게 비판적 사고의 9가지 성찰에 따라 수행된다. 비 판적 사고의 9가지 성찰을 소개한 후 이를 서평 도서에 적용함으로써 본 서평논문을 구성하고자 한다. 비판적 사고의 성찰은 다음과 같은 범주로 진행된다. ①해명하기 ②해방하기 ③자기각성 ④전달하기 ⑤탐색하기 ⑥변화하기 ⑦의미부여 ⑧포치하기 ⑨기쁨주기 예수의 윤리 사상의 핵심 요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큐핏의 탁월한 통찰은 예수가 도덕 성의 원천을 우주의 도덕적 질서나 신의 도덕적 명령에서 찾지 않고 사랑의 개념에서 구한 것으 로 해석했다는 것이다. 사랑의 느낌이 도덕성의 기초이다. 이러한 예수의 윤리는 급진 휴머니즘 으로 나타난다. 예수는 현존하는 실재를 고정 불변하고 고칠 수 없는 것으로 보지 않았으며 현 실을 하나님의 통치 아래 가져오고자 했다. 예수는 우리가 도덕적 열정과 투명성을 가지고 현실 세계를 더 나은 세계로 바꾸기로 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세계에 있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예수 는 우리에게 넘치는 사랑의 정서와 마음으로 세속을 초월하라고 명령한다. 이 초월은 이 세상에 서 자유롭게 사랑을 주고받고 사랑에 따라 사는 것을 방해하는 모든 제약 요소들을 자각적으로 인식하고 극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의 세속적 초월이야말로 예수의 유토피아적 급진 휴머니 즘 윤리의 정식화이다. This thesis is written as a review article. we review Don Cupitt’s Jesus and Philosophy (SCM Press, 2009) under the title of nine topics. This book consists of eighteen essays. The writer interprets Jesus’ morality very originally and exceptionally. It is very exciting and interesting. In this book review, I attempt to analyze Jesus’ ethical theory according to Cupitt. This work is proceeded as nine steps. I call this process critical reflection. Such a reflection is classified as nine kinds of consideration. These are to ①elucidate ②disengage ③self-awaken ④deliver ⑤search ⑥ change ⑦signify ⑧constellate ⑨enjoy. By using this methodology, I show you through Cupitt’ interpretation that the core message of Jesus’ ethical theory consists in a secular transcendence. A secular transcendence means to realize and shake off with self-awareness every obstruction and constraint which disables us to love and be loved freely, and to live by love in this world.

      • KCI등재

        반 고흐의 <낡은 구두> 해석 논쟁

        류의근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6 No.-

        이 글은 하이데거, 샤피로, 데리다 사이에 있었던 반 고흐의 낡은 구두 그림에 관한 논쟁을 (1) 구두의 임자 문제 (2) 그림의 특정 문제 (3) 예술의 본성 문제로 주제화하고 그 순서대로 세 사람의 주장과 그들 사이의 논쟁을 따라가면서 조명하고 그에 대해 각각 비판적으로 논술하고 평가하며 그 함의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 세 사람 사이의 가교를 마련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언급하고 그 현실성을 전망하고자 한다. 첫째, 구두의 임자 문제에 있어서 하이데거는 자신의 존재론적 예술론을 언급하기 위한 대상으로 낡은 구두 그림을 선택했기 때문에 샤피로와 달리 누구의 구두이든 문제 삼지 않는다. 그러나 나중에 아무런 근거 없이 농부의 것이라고 봄으로써 그 문제에 관한 한 맹목적이 되고 논리적 비일관성을 범한다. 데리다는 구두가 누구의 구두인가는 규명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한다. 둘째, 그림의 특정 문제에 있어서 하이데거는 반 고흐의 구두 연작 가운데 어느 구두 그림을 두고서 해석한 것인지를 밝히지 않고 모호한 입장을 취한다. 반면 샤피로는 반 고흐가 그린 여러 구두 그림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데리다는 하이데거가 그 그림을 그 자체로서 기술하는 것이 관심사가 아니라 예술 작품의 존재론적 진리를 지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어떤 그림을 대상으로 했는지는 아무래도 상관없다고 주장한다. 셋째, 예술의 본성 문제에 있어서 하이데거는 예술을 존재의 진리 정립으로 규정하고 샤피로는 예술을 사실의 재현을 통한 영혼 또는 자아의 표현으로 이해하며 데리다는 예술을 고정된 의미로 환원될 수 없는 기호나 텍스트로 본다. 이 세 가지 입장을 통합할 수 있는 길은 예술을 사실을 재현하거나 표현하는 것이면서도 존재의 진리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scrutinize the interpretations among Heidegger, Schapiro, Derrida surrounding Van Gogh’s Old Shoes. Three major focus in these interpretations are as follows: (1) the problem of shoes ownership, (2) the problem of picture identification, (3) the problem of art nature. In terms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 examine critically their positions one by one. What is implicit in their interpretations is clarified. I articulate conjunction and disjunction among them. I appreciate them and then I try to figure out the connecting bridge as an outlook for the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shoes owner, Heidegger does not regard it important, for he refers to the picture as a means to reveal what it is to be a work of art. But contrary to what Schapiro insists with the details, he becomes blind and misled as far as the problem of shoes owner goes. Derrida believes that the first problem can’t be unsolved forever. Second, in the problem of picture designation, Heidegger does not specify which one is to be chosen among a series of shoes picture by Van Gogh. In this context he was very vague and confused. But Schapiro was very clear for this matter. Schapiro did what matters Heidegger failed to do. According to Derrida, Schapiro misunderstood Heidegger’s intention, because what mattered for Heidegger is not a certain picture but an ontological truth in the picture. Fundamentally he was not interested in picture as picture itself. In this review, Derrida is inclined to defend Heidegger’s stance. At last, he concluded that it shouldn’t be a problem which picture he had chosen. Third, for the problem of nature of art, Heidegger defines art work as settlement of truth of Being, Schapiro takes it to be expression of self or soul in representation of reality, and Derrida sees it as a sign or text irreducible to fixed or unchangeable meaning. I suppose the way to integrate these three views lies in how to take an outlook on art or art work as the representation or expression of reality having bearing on truth of Be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메를로 - 퐁티: 시각과 회화

        류의근 한국현상학회 200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6 No.-

        이 글은 메를로-퐁티가 예술과 철학의 관계를 존재의 견지에서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메를로-퐁티는 회화를 전통적인 시각 개념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화폭에 그려진 깊이는 평면적으로 이해될 수도 없고 이해되어서도 안 되기 때문이다. 깊이를 깊이로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눈으로 보는 시각도 아니고 지적으로 보는 시각도 아닌 제3의 시각, 즉 육화된 시각을 필요로 한다. 시각을, 사고할 줄 아는 신체의 시각으로 규명함으로써 깊이의 입체성이 해명된다. 이러한 신체에 의해서 사물들은 신체가 그 사물들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규정되기에 이른다. 마침내, 사물들은 신체의 부속 또는 연장이다. 신체의 익명적 일반적 구조는 메를로-퐁티의 후기 철학에 와서 살의 개념으로 발전한다. 그것은 사물의 일반적 본성을 구성한다. 살은 존재의 본성이라는 의미에서 참실재, 즉 존재라고 말해진다. 이렇게 해서 회화는 존재론적으로 접근된다. 회화는 우리의 신체 속에서 일어나는 사물의 비밀스러운 발생, 즉 존재의 열 개다. 따라서 화가는 감각적 시각적 요소들을 통해서 존재를 회화한다. 즉 화가는 존재의 직공이다. 이렇듯 회화는 존재를 형상화하고 확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회화는 형이상학적인 셈이다. 회화는 존재의 창조적인 표현이고 존재를 말없이 말하는 언어며 존재의 말없는 사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