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재론적 전환으로서의 과학 혁명

        천현득(Cheon, Hyundeu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1 No.-

        본 논문은 과학적 개념과 개념 변화를 적절히 다루기 위해서 개념이 표상하는 존재론적 범주에 관한 지식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개념들은 존재론적으로 상이한 범주들과 연관될 수 있고, 그러한 존재론적 차이들은 일상 언어에 반영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의 인지 과정과 개념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존재론적 범주가 과학적 개념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개념 변화에 관해 더 나은 이해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단지 대상 개념들 사이의 분류학적 전환이 아니라 대상과 사건이라는 주요 존재론적 범주들을 가로지르는 존재론적 전환을 동반한 개념 변화는 매우 흥미로운 과학 혁명의 한 양식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분류학적 전환으로서의 과학 혁명이라는 쿤의 통찰이 존재론적 전환으로서의 과학 혁명이라는 관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고 결론내린다. Different concepts may represent different ontological categories, and ontological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our ordinary language. In addition, there is some evidence showing that the knowledge of ontological categories affects our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conceptual learning. It is claimed, in this paper, that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framework for scientific concepts and conceptual changes, we need to take the ontological knowledge associated with concepts seriously. Kuhn in his later writings characterized revolutionary conceptual changes as taxonomic shifts; however, some episodes of conceptual changes include the transformation from object concepts to process concepts - which can be called major ontological shifts. I argue that Kuhn’s insight into scientific revolutions as taxonomic changes should be generalized as a view of “scientific revolutions as ontological shifts.”

      • KCI등재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

        양천수(Chun-Soo Ya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전통적인 법적 삼단논법과는 달리 법해석학은 ‘선이해’와 ‘해석학적 순환’을 바탕으로 하여 법관이 법을 해석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고 주장한다. 법해석학에 따르면, 법을 해석하는 과정은 기존에 존재하는 법을 인식하거나 발견하는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법을 형성하거나 창조하는 과정이다. 1970년대를 전후로 하여 주로 독일 법학에서 성장한 법해석학은 철학적 해석학, 그 중에서도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수용함으로써 이론화되었다. 이 글은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를 밝힌다는 취지에서 가다머가 정립한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분석한다. 이에 따르면,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다머는 딜타이처럼 해석학을 정신과학의 방법으로서 이해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해석학은 <주체-객체 모델>에 입각한 인식론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객체>가 서로 융합된 존재론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이를 가다머는 이해자가 이미 지니고 있는 선입견을 통해 정당화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하이데거가 전개한 ‘이해의 선구조’를 수용한 것이다. 나아가 선입견은 권위와 전통에 바탕을 두고, 전통은 고전이라는 형식으로 존재하게 된다. 한편 가다머는 선입견에 입각한 존재론적-해석학적인 이해는 해석학적 순환이 역사적으로 확장된 지평융합을 통해 진행된다고 한다. 이를 가다머는 ‘영향사적 원칙’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가다머는 이러한 영향사적 원칙이 단순히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하여 심지어는 자연과학 영역에서도 타당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존재론적 해석학은 말 그대로 보편적인 존재론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이후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반향은 문학비평이나 역사해석 또는 고전철학과 같은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법학이나 사회과학 심지어 자연과학에서도 가다머의 해석학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비판이 가다머의 해석학에 제기되었다. 이를테면 가다머와 해석학 논쟁을 전개한 하버마스는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이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Legal hermeneutics asserts that judges intervene actively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based on ‘preunderstanding’ (Vorverständnis) and ‘hermeneutic circle’ (hermenutischer Zirkel), which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legal syllogism. According to legal hermeneutic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is neither the process of perceiving nor discovering the existing laws but that of constituting or creating new laws. Legal hermeneutics has mainly been formulated in the German jurisprudence in pre and post-the1970s, accepting and theorizing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in particular,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that Hans-Georg Gadamer establish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established by Gadamer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bases of legal hermeneutics. According to its theory, Gadamer’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adamer does not advocate that hermeneutics is understood as methodology of humanities (Geisteswissenschaft) just as Wilhelm Dilthey does. This is because hermeneutics does not assum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ontological characteristics. Gadamer justifies this based on the ‘prejudice’ (Vorurteil) that any understander has already had. This prejudice accepts ‘the pre-structure of understanding’ established by Heidegger. Furthermore, prejudice is based upon ‘authority’ and ‘tradition’. Meanwhile, Gadamer states that ontological-hermeneutic understanding is being considered through historically broadened fusion of horizon (Horizontverschmelzung)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hermeneutic circle. Gadamer cites it as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Yet, Gadamer asserts that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is not merely limited to humanities areas but is even applied to natural science areas, using languages as the medium. Taking it into account, ontological hermeneutics is literally established as universal ontology. The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formulated by Gadamer has later created much sensation. However, such sensation has not been limited to humanities areas such as literary critics, history interpretation or classical philosophy. Gadamer’s hermeneutics ha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laws, social sciences and even natural scien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for Gadamer’s hermeneutics. Making the debate about hermeneutics with Gadamer, Jurgen Habermas, for example, criticizes that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ould be distorted by ideology but this is left disregarded.

      • KCI등재

        칼 바르트 신학 속에 내재된 교회와 사회의 관계성에 대한 현대신학의 제(諸)이해: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

        오성욱 ( Oh Sung Wook ) 한국조직신학회 2016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5 No.-

        본 논문은 북미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 연구가들 사이에서회자되고 거명되는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중에서 대표적인 해석을 살펴보고, 각각의 해석들이 지니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필자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를 제안한다.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에 대한 관계성은 다양한 해석의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그래서 헐버그(Will Herberg)는 상응의 관계로, 마르크바르트(Friedrich-Wilhelm Marquardt)는 갈등과 대립의 관계로, 요다(John Howard Yoder)는 배타적인 무관심(평화 공존)의 관계로 그리고 벤더(Kimlyn J. Bender)는 비대칭적 기독론중심주의의관계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 해석하고 있다. 상술한 학자들이 제출한 해석은 상당한 강점을 지닌 해석임에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재론적 계층 구조"라는 또 다른 틀로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전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싶다.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이해한다는 것은 교회와 사회에 있어서 존재론적으로 교회에 우선순위가 매겨져 있는 존재론적 차이를 바탕으로 엮이어 있으며, 동시에 조화적 공존을 지향해야 하는 관계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와 사회 사이의 존재론적 위계질서를 전제하고 사회에 대한 교회의 우선성을 인정한다면, 교회는 사회에 대한 비폭력적 감독자이며, 실천적 본보기와 평화적 조정자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는바르트의 주장이 한결 수월하게 이해될 것이다. 동시에 교회의 간섭과 향도(響導)가 전제되지 않고 자신만의 자율성을 가진 세속적인영역은 결코 존재할 수 없다는 결론에까지 이르게 된다. 필자가 주장하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읽기``는 어느 특정 시기의 어느 특정 저서에만 나타난 바르트의 관점이 아니라 바르트 신학 전체의 기저에 흐르는, 희미하지만 일관된관점이라는 논지이기 때문에 이 논지를 증명하기 바르트의 대표적인 저서들 속에 나타난 ``야곱의 교회와 에서의 교회,`` ``그리스도인공동체와 시민 공동체`` 그리고 ``형제애적 그리스도의 통치``라는 개념의 배후에 놓여있는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존재론적 계층 구조``의 관점에서 집중탐구해야 한다. 존재론적 계층 구조라는 관점으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읽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신학적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기독론중심주의라고 알려진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Neo-Orthodoxy)는 교회론중심주의 신학이라고 규정된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와 교회론적 대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견지에서 볼 때 기독론 중심주의 신학과 교회론 중심주의 신학이 서로 만나서 대화하고 소통할 때, 더욱 건설적인 신학체계가 수립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기독론이 씨앗이라면, 그 씨앗이 줄기와 가지를 내고꽃을 피워 맺은 열매가 ``그리스도의 몸``, 곧 교회라고 말할 수 있기때문이다. Karl Barth`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has been interpreted from many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Will. Herberg suggests that Barth understands this relationship as a correspondent, Friedrich-Wilhelm Marquardt argues the constant conflict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Karl Barth. On the other hand, John Howard Yoder portray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as "both a mutual indifferent and a peaceful coexistent." Kimlyn J. Bend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from the "asymmetrical Christocentric" perspective. Bender`s asymmetrical Christocentric perspective focuses on Barth`s venn diagram which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s theology: At the center Jesus Christ is fixed, inner circle is the church, and outer circle is a secondary society. In this structure, the Church plays an important role of the bridge between Jesus Christ as the center and society, and the Church has a priority over the society. Hence, The Church and society in Karl Barth are an "asymmetrical Christocentric" relationship. Based on Bender`s asymmetrical Christocentrism, howev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relationship of the ontological hierarch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Karl Barth. In the God`s redemptive economy, society is ontologically next to the Church. This ontological hierarchy max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and illumines Church`s ontological responsibility for the society. This means that the Church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o-political issues raised by society. In the process of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hurch into society, the Church should show a good model for society and serve as a peaceful superintend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ontological hierarch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this paper intends to reinterpret Barth`s theology from the Christocentric perspective to the ecclesio-centric perspective. In additions, This paper also seeks to find the nature of Radical Orthodoxy within Barth`s neo-Orthodoxy.

      • KCI등재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으로 보는 불교 실존심리학

        윤희조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i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which studies the problem of existence in a Buddhist psychological viewpoint. In Buddhism, existential problems are a matter of suffering. Centering on the human, the being, the world, and the viewpoint of time revealed through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present a Buddhist psychological alternative to the problems posed by Western existentialism. Existence precedes essence, which is revealed in Buddhism as the ontology of here and now through the nature of dhamma. Buddhism's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the connectivity show the viewpoint of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about the meaning of existentialism, freedom, anxiety, death, alienation, healing, and choice.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layman is revealed as five aggregates of clinging. Meaning is developed centered on oneself in the five aggregates of clinging. It moves on to the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deconstruction of oneself. Through this, only the connectivity remains, and the meaning of this connectivity is as diverse as that of the connectivity itself. In the meaning of connectivity, freedom is not from one’s own, but freedom as libe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being. Ontological anxiety is an existential and fundamental anxiety about death. This is because death and birth are seen as disconnection. However, ontological anxiety is anxiety caused by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here and now, not death. Knowing these characteristics is an answer to anxiety. Ontological non-rigidness cleanses anxiety and does not make anxiety more anxious. In existentialism death is the last bearer of meaninglessness. This is because death is seen as a disconnection. When death is regarded as a change of existing modes, death becomes a kind of existence, and the connection of meaning is secured. Death is now involved in life here. Human beings are not beings that have been conquered by birth and death. The connection of birth, life and death is secured. In this way,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are merely false views and discrimination in terms of ontological connectivity. The awareness of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connectivity leads to Buddhist healing of the existence. Healing results in a problem of existential choice. This choice is connected by mind. One of the representative functions of the mind is the choices. And the mind become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At this point,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is connected with Buddhist psychology. 불교 실존심리학은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실존의 문제를 연구하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 실존적 문제는 괴로움의 문제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통해서 드러난 인간, 존재, 세계, 시간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서구의 실존주의가 제시한 문제에 대한 불교심리학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테제는 불교에서는 법의 생멸성을 통해서 지금 여기의 존재론으로 드러나고 있다. 불교의 존재론적 특징인 삼법인과 연기의 연결성은 실존주의가 제시하는 의미, 자유, 불안, 죽음, 소외, 치유, 선택의 문제에 대한 불교 실존심리학의 관점을 보여준다. 범부인 인간의 실존적인 상황은 오취온으로 드러난다. 오취온적 상황 하에서 의미는 나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나의 해체를 통한 의미해체론으로 나아간다. 이를 통해서 연기의 연결망만이 남게 되고, 이 연결망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한 의미가 관계적 맥락하에서 성립한다. 의미의 연기성에서 보면 자유는 나로 인한 것이 아니고 존재론적 흐름에 따른 자유이다. 존재론적 불안은 죽음에 대한 실존적이고 근원적인 불안이다. 이는 죽음과 탄생을 단절로 보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나 존재론적 불안은 먼 죽음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존재론적 특징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불안이다. 이러한 특징을 아는 것 자체가 불안에 대한 대처가 된다. 존재론적인 비고정성은 불안을 비고정화시키고 불안을 더 이상 불안으로 성립시키지 않는다. 실존주의에서 죽음은 의미없음의 최후의 담지자이다. 이는 죽음을 단절로 보기 때문이다. 죽음을 존재 양태의 변화로 볼 경우 죽음은 일종의 존재가 되고, 의미의 연결성은 확보된다. 죽음은 지금 여기에서 삶에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탄생과 죽음으로 인해서 피투된 존재와 기투될 존재가 아니게 된다. 탄생과 삶과 죽음의 연결성이 확보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소외와 단절은 존재론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보면 단지 전도된 사유이고, 분별된 사고가 된다.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에 대한 자각은 실존에 대한 불교적 치유로 나아간다. 연기성으로 인해서 인간은 원래 소외될 수 없는 존재이고, 나 중심의 의미는 해체되고, 자유가 아니라 해탈로 나아가고, 죽음이 아니라 존재 양태의 변화로 나아간다. 이처럼 치유는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결국 오취온을 기반으로 할 것인가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을 자각한 오법온을 기반으로 할 것인가 하는 실존적 선택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선택은 마음으로 연결된다. 마음이 가지는 대표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가 결택 즉 선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은 불교심리학의 주제가 된다. 이 지점에서 불교 실존심리학은 불교심리학과 연결된다.

      • KCI등재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합리주의의 비교연구(1) : 과학관과 언어관을 중심으로

        박찬국 ( Chankook Park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7

        본 연구는 하이데거와 가다머를 중심으로 한 존재론적인 해석학과 포퍼와 한스 알베르트를 중심으로 한 비판적 합리주의를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합리주의를 상세하게 비교 연구한 사람으로는 한스 알베르트 정도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지나치게 비판적 합리주의에 경도되어 있어서 양자를 제대로 비교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존재론적인 해석학에 대한 알베르트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방식으로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합리주의의 유사성과 차이 그리고 각각의 통찰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논문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첫 번째 논문인 본 논문에서는 일단 양자의 문제의식을 고찰한 후 과학관과 언어관을 비교하고 있다. 본 논문은 존재론적 해석학에 대한 알베르트의 비판이 존재론적 해석학에 대한 몰이해에 입각해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면서, 존재론적 해석학의 문제의식과 사상적 내용을 제대로 드러내는 것과 동시에 비판적 합리주의와 존재론적 해석학의 차이점을 분명히 제시하려고 했다. 또한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을 드러냄으로써 양자 사이의 생산적 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히려고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compare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centered on Heidegger and Gadamer and the critical rationalism centered on Popper and Hans Albert. Only Hans Albert conducted a detailed comparative study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the critical rationalism, however, his research is too biased toward the critical rationalism. This present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the critical rationalism, as well as the insights and limitations of each, in a way that critiques Albert’s criticisms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This study comprises three papers, and this paper - the first paper - examines the fundamental issues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the critical rationalism and compares their views on science and language. This paper reveals that Albert’s criticism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is based on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issue and the contents of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to clearly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the critical rationalism. Additionally it reveals the commonalities that exist between them in oder to reveal that productive dialogue between them is possible.

      • KCI등재

        김춘수 초기 시에서 나타난 존재론적 사유의 흔적

        전세진(Joen, Se-Ji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본 논문은 김춘수의 초기 시에서 나타나는 존재론적 사유의 흔적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1950년대 김춘수가 꽃 피운 존재론적 시로 나아가기 이전 그가 가지고 있던 사유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김춘수의 존재론적 시를 특정 사상과의 영향 관계 속에서 해명하려는 관점에서 나아가 김춘수 초기 시에서 형성되고 있던 시 세계를 조망함과 동시에 그가 어떻게 존재론적 사고를 구축해나갔는지를 단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릴케’ 혹은 ‘하이데거’와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전제로 두고 김춘수의 시를 해석하려는 시도는 지양할 것이다. 이는 ‘존재론적 사유’라는 것이 특정한 사유의 계보 속에서 밝혀질 때에 가장 유효한관점을 마련해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남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의 계보학적 탐색보다는 실제 김춘수에 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본질적인 존재론적 양상을 고찰할 것이다. 김춘수는 언어와 존재 사이의 좁혀지지 않는 틈을 인식하는 데에서 오는 딜레마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극복해나가려는 시인으로서의 자각이 분명한 시인이었다. 이러한 자각은 한 순간에 발생한 것이 아니기에 오랜 시간에 걸쳐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남겨온 존재론적인 사유에 대한 흔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그의 첫 시집 『구름과 장미』(1948)를 시작으로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1959)에 이르기까지 10여 년의 시간 동안 그는 총 7권의 시집과 시선집을 내며 부단히 시를 썼고, 하나의 시집에서 다른 하나의 시집으로 넘어갈 때에 스스로가 물었던 질문들이 정리되고, 또 새로운 질문이 제기되며 사유의 폭이 넓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그 사유가 변화하는 과정을 따라가며 김춘수의 초기 시에서 존재론적 사유의 흐름을 발견한다. 즉 ‘바로 봄’을 통해 ‘존재 물음’이 시작되고, 이것이 ‘존재 의미’의 문제와 깊에 연관되며, 결국은 ‘관계 맺음’을 통해 ‘현존재’로서의 ‘본래적 자기’를 찾게 되는 일련의 흐름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어떠한 특정 계보 속에서 김춘수의 시를 해석하기보다 김춘수의 시 자체에 내재적으로 생성되고 있는 사유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Kim, Chun-Soo"s early poems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s before Kim, Chun-Soo wrote ontological poetry in the 1950s as finding out the traces of ontological thoughts in Kim, Chun-Soo"s early po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go further in an attempt to clarify Kim Chun-su"s ontological poetry in relation to certain ideas, it will look at how Kim, Chun-Soo’s early poetry world wa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how he built his own ontological thought.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will avoid to interpret Kim, Chun-Soo"s poetry as a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 with "Rilke" or "Heidegger". This is because there is a question as to whether the "ontological thought" is revealed in the genealogy of a particular thought, and whether it will provide the most effective viewpoint to look into the thought of a poet. Therefore, rather than the genealogical exploration of these influences, I will examine the essential ontological aspects of Kim, Chun-Soo’s poetry. Kim, Chun-Soo was aware of the dilemma in recognizing the narrow gap between language and existence, and was aware of the need to overcome it. This awareness can be confirmed not only by a moment but by a trace of ontological thinking that has bee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left over for a long time. In effect, for over a decade, from his first book of poems Clouds and Roses(1948) and to the death of a girl in Budapest (1959), he wrote a total of seven poem books, When he moved from one poem book to another book, it is able to see that the questions he has asked are sorted, new questions are raised, and the breadth of thought is expanding. As following the changing process of the thought, I find the flow of ontological thought in Kim, Chun-Soo"s early poems. It has a series of flows which is from ‘question of being’ through ‘look right’ to how it is deeply related to ‘meaning of being’ and it eventually finds "original self" as "Dasein" through "making relationship". Through this,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poems of Kim, Chun-Soo in any particular genealogy, there was an intrinsic thought for Kim, Chun-Soo"s poetry itself, and this can be a basis for explaining Kim Chun-su"s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world.

      • KCI등재

        베다우의 약한 창발은 존재론적 창발인가?

        차봉석 ( Cha Bong-seok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본 논문은 베다우가 제시한 약한 창발 개념과 그것에 가해질 수 있는 비판들을 살펴보고, 베다우 스스로가 주장하듯, 약한 창발이 존재론적 창발일 수 있는지 확인한다. 유효한 창발론은 의존성, 자율성, 실용성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전통적 창발 개념(강한 창발)은 각각을 수반, 환원 불가능한 하향식 인과력, 심신관계의 설명을 통해 충족한다. 특히 환원 불가능한 하향식 인과력은 강한 창발을 존재론적 창발로 만들어준다. 하지만 배제 논변에 따르면, 물리주의 하에서 강한 창발의 환원 불가능한 하향식 인과력은 유지되기 어렵고, 그에 따라 그 창발 개념 전체가 문제시된다. 반면에 베다우의 약한 창발은 각각을 환원가능성, 설명적 자율성, 복잡계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충족한다. 그는 복잡한 미시 구조를 가지는 실재와 약한 창발적 속성이 가지는 설명적 자율성을 이용하여 물리주의, 환원주의와 일관되면서도 동시에 존재론적인 창발 개념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약한 창발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완전한 시뮬레이션의 문제, 도출의 문제, 실재론적 가정의 문제가 그것이다. 이 같은 비판들이 타당하다면, 존재론적 창발로서의 약한 창발은 성립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필자는 완전한 시뮬레이션의 문제와 도출의 문제는 베다우의 논의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며, 실재론적 가정의 문제는 베다우에게 지나친 비판이라는 것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베다우는 창발성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설명을 통해 약한 창발을 존재론적 창발론으로서 정립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한 창발이 확실하게 존재론적 창발이라고 하기에는 미진한 부분들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약한 창발론에서 미시수준과 거시수준을 구분하는 복잡성의 실재성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이후의 연구 과제로서 남겨둔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weak emergence proposed by Bedau and the criticisms that can be applied to it and checks whether weak emergence can be an ontological emergence, as Bedau himself claims. A valid emergence theory must satisfy the conditions of dependence, autonomy, and practicality. The traditional concept of emergence (strong emergence) is fulfilled through a supervenience, downward causal power, and its irreducibility, and an explanation of the mind-body problem. In particular, the irreducible downward causal power makes a strong emergence into an ontological emergence. But according to the ‘exclusion argument’, under physicalism,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trong emergence and irreducible downward causal power, and accordingly, the whole concept of emergence is questioned. On the other hand, Bedau's weak emergence is satisfied through reducibility, explanatory autonomy, and the explanation of complex system phenomena. Using the reality of the complex microstructur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weak emergent properties, he makes an ontological concept of emergence that is consistent with reductionism and physicalism. However, weak emergence has several problems. These are the problem of full simulation, the problem of derivation, and the problem of realist assumptions. If these criticisms are reliable,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weak emergence as an ontological emergence. In this regard, I show that the problem of full simulation and the problem of derivation do not significantly detract from Bedau's discussion, and the problem of realist assumptions is an excessive criticism of Bedau. In conclusion, Bedau establishes weak emergence as ontological emergentism through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explanations of emergence.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questions as to whether a weak mergence is certainly an ontological emergence. This is because the reality of complexity that distinguishes micro-level and macro-level in weak emergentism is ambiguous. These issues are left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

        박병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4

        It was Martin Heidegger who brought a new interest in metaphysics to the era of, so called, “anti-metaphysics.” In his book “Being and Time” (originally titled “Sein und Zeit”), Heidegger once diagnosed that questions of being were buried in oblivion. He cited “ontological difference” as the reason behind such diagnosis. In order words, metaphysics had never sought separation being from beings. Accordingly,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Heidegger’s criticism is reasonable in light of the academic purpose of metaphysics. Thomas Aquina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Scholasticism, distinguished essence from being and being from beings, by understanding beings through being-in-itself. Despite that, Heidegger did criticize Scholasticism by adopting the concept of ontological difference since there was a big methodological gap between the two scholars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being. From the very departure of their understanding of being, they showed sharp differences: while Heidegger understood the meaning of being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ward Dasein, Thomas Aquinas concluded being in itself through essence/instinct-based approaches toward beings. Such differences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and examine Heidegger’s criticism of Scholasticism with respect to ontological difference. Two philosophers had different grounds for metaphysical methodology, interpretations of being, and understandings of being-in-itself as ground. Only after understanding such differences, we are able to construe what Martin Heidegger meant by saying ontological difference. From the two philosophers’ philosophical grounds for being, we can recognize that being and beings are not exclusive from one another whe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being, despite the ontological gap between two concepts. This is also found in the two philosophers’ notion that being and beings are complementary and defining each other. Being without beings is hollow, and beings without are at risk of losing the ground for being in itself. 반형이상학의 시대라 일컫는 현대에 형이상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철학자가 하이데거이다. 그는 『존재와 시간』에서 오늘날 존재에 대한 물음이 망각 속에 묻혀버렸다고 진단한 바 있다. 그리고그 이유를 이제껏 형이상학이 존재자로부터 존재를 구별하여 묻지 않은 결과, 즉 “존재론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본다. 본고는 하이데거의 이런 비판이 형이상학 본래의 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타당한 것인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 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일찍이 본질과 존재를 구별하고, 존재 자체로부터 존재자를 이해함으로써 존재와 존재자를 구별한 바있다. 그럼에도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를 통하여 스콜라 철학을 비판할수 있었던 것은 이들 사이에 근본적으로 놓여 있는 방법론적으로 상이한 존재 이해의 방식에 기인한다. 현존재의 존재에 대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하이데거의 존재 이해 방식과 존재자에 대한 본질 직관의 방식을 통하여 존재 자체를 이끌어내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방식은 출발부터가 서로 다르다. 존재론적 차이와 관련하여 하이데거의 스콜라 철학에 대한 비판도 여기서부터 이해되고 검토되어야 한다. 형이상학의방법론, 존재 의미와 해석, 그리고 근거로서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두 철학자의 사유가 서로 다르며, 이런 이해로부터 우리는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를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바의 진의를 깨닫는다. 그러나 두 철학자의 존재 사유로부터 우리는 존재와 존재자 사이에 놓인 존재론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개념이 존재 해명을 위하여 존재론적으로 결코배타적 관계에 있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것은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적으로발견되는 것으로 존재자와 존재가 상보적이며 상호 규정적 개념이라는 것이다. 존재자 없는 존재 사유는 공허하며, 역으로 존재 없는 존재자의 사유는근거를 잃어버린 사상누각이 될 공산이 크다.

      •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

        박병준 ( Park Byoung-ju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존재론 연구 Vol.24 No.-

        반형이상학의 시대라 일컫는 현대에 형이상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철학자가 하이데거이다. 그는 『존재와 시간』에서 오늘날 존재에 대한 물음이 망각 속에 묻혀버렸다고 진단한 바 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이제껏 형이상학이 존재자로부터 존재를 구별하여 묻지 않은 결과, 즉 “존재론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본다. 본고는 하이데거의 이런 비판이 형이상학 본래의 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타당한 것인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 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일찍이 본질과 존재를 구별하고, 존재 자체로부터 존재자를 이해함으로써 존재와 존재자를 구별한 바있다. 그럼에도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를 통하여 스콜라 철학을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사이에 근본적으로 놓여 있는 방법론적으로 상이한 존재 이해의 방식에 기인한다. 현존재의 존재에 대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하이데거의 존재 이해 방식과 존재자에 대한 본질 직관의 방식을 통하여 존재 자체를 이끌어내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 방식은 출발부터가 서로 다르다. 존재론적 차이와 관련하여 하이데거의 스콜라 철학에 대한 비판도 여기서부터 이해되고 검토되어야 한다. 형이상학의 방법론, 존재 의미와 해석, 그리고 근거로서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두 철학자의 사유가 서로 다르며, 이런 이해로부터 우리는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를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바의 진의를 깨닫는다. 그러나 두 철학자의 존재 사유로부터 우리는 존재와 존재자 사이에 놓인 존재론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개념이 존재 해명을 위하여 존재론적으로 결코 배타적 관계에 있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것은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으로 존재자와 존재가 상보적이며 상호 규정적 개념이라는 것이다. 존재자 없는 존재 사유는 공허하며, 역으로 존재 없는 존재자의 사유는 근거를 잃어버린 사상누각이 될 공산이 크다. It was Martin Heidegger who brought a new interest in metaphysics to the era of, so called, “anti-metaphysics.” In his book “Being and Time” (originally titled “Sein und Zeit”), Heidegger once diagnosed that questions of being were buried in oblivion. He cited “ontological difference” as the reason behind such diagnosis. In order words, metaphysics had never sought separation being from beings. Accordingly,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Heidegger’s criticism is reasonable in light of the academic purpose of metaphysics. Thomas Aquina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Scholasticism, distinguished essence from being and being from beings, by understanding beings through being-in-itself. Despite that, Heidegger did criticize Scholasticism by adopting the concept of ontological difference since there was a big methodological gap between the two scholars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being. From the very departure of their understanding of being, they showed sharp differences: while Heidegger understood the meaning of being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ward Dasein, Thomas Aquinas concluded being in itself through essence/instinct-based approaches toward beings. Such differences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and examine Heidegger’s criticism of Scholasticism with respect to ontological difference. Two philosophers had different grounds for metaphysical methodology, interpretations of being, and understandings of being-in-itself as ground. Only after understanding such differences, we are able to construe what Martin Heidegger meant by saying ontological difference. From the two philosophers’ philosophical grounds for being, we can recognize that being and beings are not exclusive from one another whe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being, despite the ontological gap between two concepts. This is also found in the two philosophers’ notion that being and beings are complementary and defining each other. Being without beings is hollow, and beings without are at risk of losing the ground for being in itself.

      • KCI등재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강수휘 한국논리학회 2010 論理硏究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possibility of mereology as philosophically satisfiable metalogic. Motivation for this is straightforward. As I see, a traditional approach to metalogic presented in the name of mathematical logic posits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entities such as sets, functions, models, etc. to give definitions of logical concepts like logical consequence. As a result, whenever logic is used in any individual sciences, this set-theoretical metalogic cannot but add these mathematical entities to the domain of them. This fact makes this approach contradict to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Mereology, however, has been alleged to be ontologically innocent, while it is a formal system very similar to set theory. So it may well be that some people thought of mereology as a good substitute for set theoretic metalanguage and concepts for ontologically neutral metalogic. Unfortunately, when we look into argument for the ontological innocence of mereology, we can find that mereological entities such as mereological sums or fusions are not ontologically neutral. Thus we can conclude that mereological approach to metalogic is not promising at all.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적으로 만족스러운 메타논리학으로서 부분전체론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소위 수리 논리학으로 알려진 메타논리학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은 집합들, 함수들, 모형들과 같은 수학적 존재자들의 존재를 미리 상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논리학을 개별 과학 분야에 적용할 때마다, 이러한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이들 분야의 논의영역에 언제나 이들 특수한 존재자들을 부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상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집합론과 유사한 형식 체계인 부분전체론은 존재론적으로 무고하다고 주장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가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중립적인 메타논리학으로 이 부분전체론을 고려하는 것은 상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부분전체론의 존재론적 무고함을 주장하는 논변들을 살펴보면, 우리는 부분전체론적 합 혹은 융합체와 같은 부분전체론적 존재자들이 존재론적으로 중립적인, 무고한 존재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우리는 부분전체론을 통한 메타논리학 역시도 논리학의 기초로서 올바른 접근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리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