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라남도 강진만에 도래하는 조류의 분포와 갯벌등급

        신용운(Yong-Un Shin),조해진(Hae-Jin Cho),강태한(Tae-Han Kang),김인규(In-Kyu Kim),오홍식(Hong-Shik Oh),이시완(Si-Wan Le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만에 도래하는 조류의 분포와 갯벌 등급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관찰된 조류는 107종 11,060개체였으며 우점종은 흰죽지 청둥오리 민물도요 큰고니 등이었다. 조류들은 봄 가을 겨울에는 강진만 상류지역과 하류의 사내호를 중심으로 분포하였고 여름철에는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등급은 보호지역인 순천만 무안만과 같은 Ⅳ등급으로 판정되어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진만은 하구둑이 없는 자연형습지이며 출현하는 법적보호종도 13종으로 나타나 다른 연안습지에 비해 많고 특히 법적보호종인 큰고니의 주요 서식지로서 그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on birds visiting this area eleven times by season from August in 2009 to July in 2010 to look into the distribution of birds and grading assessment of the tidal flat at Gangjin Bay in Jeollanamdo. This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existed a total of 11,060 individuals of 107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Pochard (Aythya ferina) Mallard (Anas platyrhynchos) Dunlin (Calidris alpina) and Whooper Swan (Cygnus cygnus) in the order of dominancy. In summer birds were observed over a wide area of Gangjin bay and the other season birds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upstream of Gangjin bay and Lake Sanae of outside region. Gangjin Bay grade level was same as the Muan Bay's grade and Suncheon Bay's grade. but Gangjin Bay is natural form wetlands that without estuary weir and wintering sites for Cygnus cygnus. In addition for the total of 13 legally protected species including Whooper Swan (Cygnus cygnus) Gangjin bay has a special function of primary habitat in this area.

      • KCI등재

        임진강 유역의 조류상

        박헌우,백원희,임정철,조광진,추연수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From December 2020 to September 2021, we investigated the status and trends of bird populations in the Imjin River area. The survey area ranged from Dupo Bridge to the confluence of Han River and Imjin River, spanning across adjacent farmland, grassland, and forests. The survey reported a total of 16 orders, 39 families, and 116 species of birds. The dominant species was geese. In farmlands, there were many Animal names are not capitalized in the middle of a sentence, except when an element of the name is a proper noun, as in “Siberian tiger.” red-crowned cranes, white-naped cranes, black-faced spoonbills, and bean geese. Birds of prey were distributed in the mountains and hills. A total of 17 endangered species were identified, most of which were widely populated over the area. Most of the monitored area was part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with well-preserved natural habitat over decades and absence of human intervention. This created an uninterrupted, stable habitat for wild birds. In order to sustain the bird biodiversity,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urrent natural environment. 경기도 파주시 소재 임진강 일대에서 2020년 1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조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범위는 한강 합류부에서부터 두포교이며 강을 중심으로 주변 농경지, 초지, 임야로 하였다. 조사결과 총 16목 39과 116종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기러기류였으며 농경지가 많은 곳에서는 재두루미, 두루미, 저어새, 큰기러기 등이, 야산과 강변에는 맹금류가 분포하였다. 멸종위기야생동물은 조사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총 17종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은 민간인출입통제지역(CCZ)으로 시설물이 없고 서식지 보존상태가 우수하여 조류가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조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

      • 드론 예찰을 위한 겨울 철새의 서식지 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이춘구 ( C. G. Lee ),김준용 ( J. Y. Kim ),박동혁 ( D. H. Park ),이중용 ( J. Y. Rh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최근 5년 동안 지속적으로 거대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겨울 철새의 분변과 혈액을 채취하고 폐사체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대부분 인력에 의지하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조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와, 접근이 어려운 곳에 대한 조사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드론을 활용한 조류예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하여 조류 폐사체의 유무와 위치를 예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드론의 체공 시간이 주요 이슈인 만큼 최적 예찰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조류의 위치에 대한 공간분포 확률맵을 만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한 선행 연구로 조류의 서식지 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주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검역본부에서 제공하는 mbird 시스템과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일자, 시간, 토지피복도, 종(species), 서식지로부터 거리 등의 인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에 대한 경향성도 분석되었다. 다만 조사결과는 대부분 지역별로 차이를 나타내어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GIS와 Maxent를 활용하여 확률 분포맵을 작성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광릉숲 일대 관람객이 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성근(Sung-Keun Park),황근연(Geun-Yeoun Hwang),권영수(Young-Soo Kwon)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2005년 2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광릉숲 일대의 관람객이 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년간 광릉숲 일대를 방문한 관람객들은 한해 평균 402,484±284,023명이었다. 이들에 의한 소음도는 오전에 개방지역에서 평균 61.3±4.3dB, 비개방지역에서 평균 49.3±4.5dB이었으며, 오후에는 개방지역에서 평균 80.6±5.1dB, 비개방지역에서 평균 53.6±1.0dB로 나타나 오전과 오후 모두 개방지역에서 높았다(t=7.50, P<0.001, t=20.21, P<0.001). 관찰된 조류는 총 76종이었으며 비개방지역과 개방지역에서 각각 17종(16.8%) 및 8종 (7.9%)이 확인되었다. 단위면적당 관찰된 종수는 비개방지역(평균 19.51±1.0종/ha)이 개방지역(평균 15.69±0.8종/ha)보다 더 많았다(t=2.95, P<0.01). 밀도(개체수) 역시 비개방지역(평균 126.39±11.2개체/ha)이 개방지역(평균 83.67±6.1개체/ha) 보다 더 많았다(t=3.33, P<0.01). 인공소상에서의 번식률은 비개방지역(14.0%)이 개방지역(2.0%)보다 높았다(χ²=4.180, df=1, p<0.05). This study conducted from February 2005 to October 2006 to investigate effects of disturbances by visitors on bird distribution in Gwangneung Forest. During 10 years,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in Gwangneung forest were 402,484±284,023/year. The noise levels of opened area were higher than restricted area in all the time (t=7.50, P<0.001, t=20.21, P<0.001). In the morning, the average noise level of opened area was 61.3±4.3dB and the restricted area was 49.3±4.5dB. In the afternoon, the average noise level of open area was 80.6±re1dB and the restricted area was 53.6±1.0dB. Th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common area of restricted area and open area was total 76 species. 17 species and 8 species were observed in only restricted and opened area,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restricted area (19.51±1.0/ha) was higher than open area (15.69±0.8/ha) (t=2.95, P<0.01). The average number of birds observed in restricted area (126.39±11.2/ha) were higher than open area (83.67±6.1/ha) (t=3.33, P<0.01). In the breeding success, nest boxes in restricted area (14.0%) was higher than open area (2.0%) (χ²=4.180, df=1, p<0.05).

      • KCI등재

        도심 하천 대구 신천의 조류 분포특성과 변화

        윤종호,박창언,박희천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irds in Sincheon, Daegu. The monthly bird distribution from May 2021 to April 2022 is categorized into upstream (mountainous area), midstream (urban area), and downstream (wetland area) areas. A total of 15 orders, 34 families, 67 species, and 16,714 individuals were observed.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highest in February with 2,078 individuals of 39 species, wherea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May was the lowest with 673 individuals of 23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by section were observed as follows: 2,818 individuals of 51 species upstream, 10,519 individuals of 46 species midstream, and 3,377 individuals of 38 species downstream. The species distribution was as follows: 33 species of mountain birds upstream, 7 species of herons midstream, and 8 species of ducks downstream. The most dominant species are Columba livia var. domestica and Passer montanus, which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stream in Daegu. Among the water birds, Anas platyrhynchos and Anas zonorhyncha had the greatest distribution. During the study, the natural monuments Falco tinnunculus and Otus sunia were observed. Additionally, Falco subbuteo and Charadrius placidus, which are class II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observ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2007 study,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from 82 to 67.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upstream, and downstream. However, the number of species increased, and the distribution of specie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urban midstream area. 본 조사는 2021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월별로 대구 신천의 조류 분포특성을 상류(산지권), 중류(도심권) 및 하류(습지권) 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조류는 총 15목 34과 67종 16,714개체 관찰되었으며 종수와 개체수는 2월이 39종 2,078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5월이 23종 673개체로 가장 적었다. 구간별 종수와 개체수는 상류 51종 2,818개체, 중류 46종 10,519개체 그리고 하류 38종 3,377개체가 관찰되었고, 상류는 산새류 33종으로 가장 많고 중류는 백로류 7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류는 오리류가 8종으로 가장 많았다. 최우점종은 집비둘기와 참새로 나타나 도심 하천 특성을 보였으며 수조류 중에서는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로 조사되었다. 조사 기간 중 천연기념물은 황조롱이와 소쩍새,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Ⅱ급은 새호리기와 흰목물떼새가 관찰되었다. 2007년 조사 결과와 비교연구에서는 종수가 82종에서 67종으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간별로는 상류와 하류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도심 통과구간인 중류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종 분포 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 KCI등재

        야생생물 보호구역인 대구시 안심습지 일대의 조류 분포와 다양성

        윤종호,박희천,박창언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2

        대구시 야생생물 보호구역인 금호강 안심습지 일대(인근 가남지, 점새늪, 금호강 포함)에서 2021년 5월부터 2023년 4월까지 2년간 매월 2회 조류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본조사에서 총 13목 33과 84종 43,857개체 관찰되었으며, 수조류가 38종 31,698개체(72%)로 나타났다. 텃새는 48.6%, 겨울철새 47.0%, 여름철새 4.3% 그리고 나그네새 0.2%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물닭과 청둥오리로 나타났고, 멸종위기야생생물은 총 8종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별 알파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도지수 결과에서, 종다양도(H')는 안심습지, 종풍부도(R')는 금호강, 종균등도(E')는 가남지가 가장 높았으며, 감마다양성은 안심습지, 가남지, 점새늪, 금호강 순으로 종다양도(H')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천연기념물 큰고니, 멸종위기종 큰기러기의 월동개체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안심습지 일대가 금호강 유역에서 가장 중요한 월동지로 나타나고 있다. The distribution of birds was surveyed twice monthly for two years from May 2021 to April 2023 in the Ansim Wetland area (including nearby Ganam Reservoir, Jeomsae Swamp, and parts of the Geumho River) of Geumho River, a wildlife protected area in Daegu City. A total of 43,857 individuals of 13 orders, 33 families, and 84 species were observed, with water birds accounting for 31,698 individuals of 38 species (72%). Additionally, resident birds accounted for 48.6%, winter birds 47.0%, summer migratory birds 4.3%, and passage migrants 0.2%. The dominant species were Eurasian Coot (Fulica atra) and Mallard (Anas platyrhynchos), and a total of 8 species of endangered wildlife were identified. Alpha diversity indices of individual survey sites demonstrated that species diversity (H') was highest in Ansim Wetland, species richness (R') was highest in Geumho River, and species evenness (E') was highest in Ganam Reservoir. Gamma diversity showed the same results as species diversity (H') with the following ranked order: Ansim Wetland, Ganam Reservoir, Jeomsaeneup (Swamp), and Geumho River. The wintering population of natural monument Whooper Swan (Cygnus cygnus) and endangered species Taiga Bean Goose (Anser fabalis) is increasing, and the Ansim Wetland area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wintering area in the Geumho River basin.

      • KCI등재후보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현황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ummary Among Natural monument birds, a total of 11 species and 2,209 individuals were found in Nakdong river estuary from March 2007 to February 2008 including Eurasian Oystereacher (Haematopus ostralegus; No. 326),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No.327), Tundra Swan (Cygnus columbianus; No.201-1), Whooper Swan (Cygnus cygnus; No.201-2), Black-faced Spoonbilll (Platalea minor; No.205-1), Eurasian Spoonbill (Platalea leucorodia; No.205-2),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No.243-3),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No.243-4), Hen Harrier (Circus cyaneus; No.323-6),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No.323-8) and Swan Goose (Anser cygnoides; No.325-1). Among the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in Korea,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he only place where more than 2,000 individuals of Whooper Swan(Cygnus cygnus) spend winter. Uelsukdo, Myeongji Flat and neighboring tidal flats (Myeongguemmeori, Baikhapdeong, Doyodeung, Jangjado, etc.) are major habitats for natural monument birds such as Eurasian Spoonbill(Platalea leucorodia), Whooper Swan(Cygnus cygnus) and Swan Goose(Anser cygnoides). A colony of aquatic plants such as Common Bulrush(Scirpus triqueter) and Common Reed(Phragmites communis) serves as a feeding and resting place for birds in the Anatidae family including ducks, swans and geese. Plans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habitats and the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are as follows: minimization of water contaminat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plants habitats, protection of sandbanks, security of stable habitats, and consistent monitoring.

      • 변산반도국립공원 고사포·하섬 연안습지의 탐방객이 조류에 미치는 영향

        소민석(Min-Seok Soh),이재원(Jae-Won Lee),김민규(Min-Kyu Kim),이지희(Ji-Hee Lee),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새만금방조제 축조에 따른 고사포·하섬 연안습지의 조류의 분포와 탐방객수의 유연관계를 파악하여 연안습지의 보호·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하섬에서 확인된 조류는 총 17종 2,903개체로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가 1,684개체(58.0%)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재갈매기 650개체(22.4%), 검은머리물떼새 213개체(7.3%), 한국재갈매기 80개체(2.8%) 및 줄무늬노랑발갈매기 69개체(2.4%) 순이었다. 고사포에서 확인된 조류는 총 15종 1,336개체로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가 889개체(66.5%)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재갈매기 213개체(16.0%), 줄무늬노랑발갈매기 82개체(6.1%), 한국재갈매기 53개체(4.0%) 및 검은머리물떼새 42개체(3.1%) 순이었다. 하섬과 고사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와 노랑부리백로였으며 노랑부리백로는 고사포에서만 확인되었다. 검은머리물떼새는 하섬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번식기간인 4월에서 6월까지는 개체수가 감소하다 번식기 이후에는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탐방객이 150명 전후가 되면 조류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서식지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coastal wetland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birds and the number of visitors in Gosapo, Haseom coastal wetland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breakwater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3. Birds confirmed in Haseom totaled 17 species comprised of 2,903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onfirmed to be Black-tailed Gulls, which totaled 1,684 individuals (58.01%); and this was followed by Vega Gulls (Larus vegae) composed of 650 individuals (22.39%) and then in the order of Oystercatchers composed of 213 individuals (7.34%), Korean Vega Gulls (Larus cachinnans) composed of 80 individuals (2.76%), and Heuglin°Øs Gulls (Larus heuglini) composed of 69 individuals (2.38%). Birds confirmed in Gosapo totaled 15 species comprised of 1,336 individuals,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onfirmed to be Black-tailed Gulls composed of 889 individuals (66.54%). This was followed by Vega Gulls composed of 213 individuals (15.94%), Heuglin s Gulls composed of 82 individuals (6.14%), and Korean Vega Gulls composed of 53 individuals (3.97%), and Eurasian Oystercatchers (Haematopus ostralegus) composed of 42 individuals (3.14%). Endangered species which were confirmed in Haseom and Gosapo were observed to be Oystercatchers and Chinese egrets (Egretta europhotes), and Chinese egrets were confirmed only in Gosapo. Oystercatchers were mainly observed in Haseom,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decreas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from April to June, it increased again after the breeding season. In case the number of visitors is around 150, it may affect the inhabitation of bird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the management plans for their habitat.

      • KCI등재

        위험 매트릭스(Risk Matrix)를 활용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위험지역 평가

        박성대,유대성 한국가금학회 2023 韓國家禽學會誌 Vol.50 No.1

        Over the last decade, avian influenza (AI) has been considered an emerging disease that would become the next pandemic, particularly in countries like South Korea, with continuous animal outbreaks. In this situation, risk assessment is highly needed to prevent and prepare for human infection with AI. Thus, we developed the risk assessment matrix for a high-risk area of human infection with AI in South Korea based on the notion that risk is the multiplication of hazards with vulnerability. This matrix consisted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n poultry farms and the number of poultry-associated production facilities assumed as hazards of avian influenza and vulnerability,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HPAI in poultry farms at the 229-municipal level as the hazard axis of the matrix was predicted using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ith nationwide outbreaks data from 2003 to 2018. The two components of the matrix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using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and multiplied, consequently producing the area-specific risk level of human infection. As a result, Naju-si, Jeongeup-si, and Namwon-si were categorized as high-risk areas for human infection with AI.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designing the policies for human infection to minimize socio-economic damages. AI인체감염증은 한번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있으므로, 사전 예방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위험도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방역을 강화하고 사람, 동물, 환경 등 소관 부처 간 분산되어 있는 방역정책 및 관리를 원헬스 차원으로 협업․연계한다면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험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연계하여 AI인체감염증의 발생 위험지역을 평가하고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AI인체감염증은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가금관련 산업 종사자가 가장 감염에 취약한 위험군이기 때문에, 위험 매트릭스는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평균 발생 건수와 감염에 취약한 가금 관련 축산시설 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 시․군․구별로 가금농장의 HPAI 평균 발생건수를 예측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형 중 과대산포가 있는 가산자료를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음이항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시․군․구별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건수와 축산시설 수를 적용한 위험 매트릭스 분석 결과, AI인체감염증의 발생위험이 높아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전남 나주, 전북 정읍, 전북 남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I 인체감염증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는 가금농장의 저병원성AI 발생건수, 닭과 오리의 사육 밀도, 축산차량 등록 수로 확인되었다. 가금농장에서 저병원성AI가 1건 발생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1.687배 증가하고, 닭과 오리의 밀도가 1,000 두/km2 증가할 경우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각각 1.618배, 10.252배 증가하며, 축산차량의 경우 100대 증가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이 1.1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인체감염증의 예방을 위해 HPAI의 발생주기인 2∼3년 간격으로 위험평가를 실시하고 환경․동물․사람에 대하여 원 헬스(One Health)적 관점으로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관리한다면, AI인체감염증에 대한 방역정책 수립과 사회․경제적 비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