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여권신장·남녀평등 운동으로 시작한 초기 페미니즘은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을 거쳐 21세기에 들어와 젠더 이데올로기(gender ideology)로 변천함으로써 인류문명을 위협하고 있다. 나는 급진적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사상적 결합인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을 전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양자를 함께 조망해야 이 시대의 위기를 근원적으로 파헤치고 실효성 있는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젠더-페미니즘을 논의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글로벌 세계에서 여성 주도 성혁명을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주도 성혁명의 핵심 전략 및 주요 특징으로는 1. 성별 해체의 젠더 주류화: 파워 엘리트 & 젠더-페미니스트 주도 위로부터의 혁명, 2. 성규범 해체의 성애화: 사회문화 전체에 타락과 패륜의 확산,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를 해체하는 비혼화: 여성 간 파행적 연대와 레즈비어니즘(여성 동성애) 강화를 들 수 있다. 여성 주도의 성혁명이 글로벌 세계를 횡행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 사회에서는 남녀 간에 극심한 대립을 통해 사회갈등 및 국민분열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치닫고 있다. 양성(兩性) 간에 조롱과 혐오가 극단화되다 보니, 이성(異性)에 대한 견제와 경계가 나날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급기야 남녀가 서로를 생존에 해로운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남과 여로 양극화되는 ‘성(性) 양극화’, 소위 ‘젠더 전쟁’이라 불릴 만큼 남녀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천부적으로 부여된 남녀 고유의 신체적 기능은 물론 남녀가 결합하여 이루는 결혼 및 가정이 지난 50여년 사이 급속도로 해체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성혁명의 폐해가 성규범의 해체로 이어지고, 이것이 인류문명사에 어떤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게 될 것인지는 너무나 명약관화한 일이다. 이러한 위기상황 속에서 21세기 한국 기독교는 1. 남녀의 성별 해체를 넘어 무수히 많은 성정체성의 다원화를 추구하는 젠더 주류화의 실체 및 폐해를 파헤치는 연구자들을 양성함으로써 건강한 성정체성 형성을 공론화해야 할 것이다. 2. 패륜적 성혁명이 강타한 21세기 문명사에서 사회 전체를 성애화(sexualization)시키는 흐름에 저항하고 사회적 성화(social holiness/santification)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에 가장 적대적인 시대적 흐름에 저항하여 건강한 가정공동체 구축과 건전한 세대 전승의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여성 주도 성혁명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상생하는 남녀관계와 진정성 있는 양성평등을 구현해야 할 21세기의 시대적 요청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제 21세기는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관계를 확립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는데, ‘성별 해체-성윤리 해체-가정 해체’로 치닫는 젠더-페미니즘에서 벗어나서,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중심주의, 남성을 억압하는 여성중심주의를 모두 내려놓고, 남성과 여성 모두의 존엄성이 회복된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Feminism in its initial stage, which started as a movement for empowerment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s threatening human civilization by transitioning from radical feminism to a gender ideology in the 21st century. I argue that ‘gender-feminism’, an ideological combination of radical feminism and gender ideology, should be discussed as a whole. This is because only when we look at both sides together can we understand the crisis of this era at the root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important reason we need to discuss gender-feminism today is that a female-led sexual revolu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world. The key strategi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are as follows: 1. Gender mainstreaming of gender deconstruction: a revolution from above led by power elites and gender-feminists 2. Sexualization of deconstruction of sexual ethics: corruption in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nd the spread of infidelity, 3. Immortality that dismantles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strengthening of abnormal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of lesbianism(female homosexuality). In a situation where women-led sexual revolution is rampant in the global world, in Korean society, social conflicts and divisions between men and women occur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leading to a social pathology. As ridicule and hatred between men and women are intensified, checks and vigilance against reason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men and women perceive each other as harmful to survival, gender conflict is intensifying to the point of polar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which is polarized into men and women, and so-called ‘gender war.’ As gender-feminism expands its influence, marriages and families made by combining men and women, as well as inherent physical functions, have been rapidly dismantl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evils of the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have led to the dissolution of sexual ethics, and it is very clear what kind of gloomy shadow this will cast o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In this crisis situation, the task of Christianity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s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 healthy sexual identity should be publicized by training researchers who reveal the true and harmful effects of gender mainstreaming, which seeks to diversify gender identity. 2.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hit by the sexu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resist the trend of sexualizing society as a whole and spread social holiness/santification. 3. We must resist the trend of the times most hostile to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and fulfill the mission of building a healthy family community and passing on a sound generation. Finally, it should be accepted as a request for the 21st century to realize co-prosperity relations and sincere gender equality while concluding discussions on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Now, the 21st century is at a turning point where men and women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something to do. It is necessary to put aside both androcentricism that oppresses women and feminism that oppresses men, and move toward a community in which the dignity of both men and women is restored.

      • KCI등재

        혼인 상태별 한국사회의 다차원적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

        문지선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4

        Using latent class analysis on the respondents by the marital status to the five gender role norms: ‘women’s family care norms’, ‘women’s childcare norms’, ‘women’s housewife identity norms’, ‘male-breadwinner norms’, and ‘dual earner norms’, this article shows the gender ideology of Korean society is composed of ‘pro-work familialism’, ‘egalitarianism’, and ‘traditionalism’ for both married and unmarried people. Although ‘pro-work familialism’ exists centered on wo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ithin ‘egalitarianism’ a new gender ideology called ‘flexible egalitarianism’ can emerge by men who accepts the ‘male-breadwinner norms’. This suggests that the diversification of egalitarianism is not due to women’s parenting role and work-family conflict, but rather from the attitude of accepting men’s traditional role. As such, the multidimensionality of gender ideology in Korean society i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egalitarianism like 'flexible egalitarianism’, in addition to ‘pro-work familialism’. In the case of married people, high-educated, high-income households tends to be supportive of egalitarianism, and low-educated, low-income households tends to traditionalists. And regular workers show more egalitarianism in comparison to the unemployed. In addition, female-breadwinner households and dual earner households and so on, where women’s relative income is higher than that of husbands, are more likely to be gender equal couples than male-breadwinner households. Therefore, the more women are regular workers and the weaker their economic dependence on their husbands, the more likely couples are to pursue egalitarianism, so for the gender equality it is important to provide women with jobs, such as regular position that can be possible stable employment and income enough to lead the household economy. In the case of the unmarried, as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particularly oriented toward egalitarianism, it is required to help them by systematizing the feminist education to strengthen their gender egalitarian tendencies without being swayed by adaptation and compromise.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이데올로기의 다차원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다섯 가지 젠더 규범을 반영한 성역할 태도 문항들을 모두 이용하여 잠재집단분석을했다. 한국사회의 젠더 이데올로기 지형은 기혼자의 경우 ‘일지향적 가족주의, 전통주의, 성평등주의’, 미혼자는 ‘성평등주의, 일지향적 가족주의, 전통주의’ 순으로 강하여, 미혼자가 상대적으로 더 성평등주의적 가치를 지향했다. 성별로도 보면, 기혼여성은 기혼남성보다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을 제외한 젠더 규범들의 수용률이 높았지만, 미혼여성이 미혼남성보다 더 젠더규범에 순응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일지향적 가족주의’는 여성이강했고, ‘성평등주의’는 남성생계부양자 규범에 순응하는 남성에 의해 내부에서 ‘유연한 성평등주의’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불안정했다. 이는 성평등주의의 분화가 여성의 육아역할과 일ㆍ가정 갈등 외에도, 남성의 생계부양 역할을 유지하려는 전통적 태도와 관련된 것임을 의미한다. 이렇듯 한국사회에서 젠더 이데올로기의 다차원성은 ‘여성 주도의 일지향적가족주의와 남성 주도의 유연한 성평등주의’라는 성평등주의의 분화에서 비롯됐다. 젠더 이데올로기 유형별 특성을 보면, 기혼자의 경우 고학력 고소득 가구의 기혼자가 성평등주의를, 저학력 저소득 가구의 기혼자는 전통주의를 지향했고, 정규직도 비취업자보다 더성평등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 남편 대비 여성의 상대소득이 높은 여성생계부양자 가구와 맞벌이 가구 등이 남성생계부양자 가구보다 더 성평등적인 부부일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여성이 정규직이고 남편에 대한 경제적 의존성이 약할수록 부부가 함께 성평등주의를 지향할 가능성이 커서, 성평등한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서라도 여성에게 정규직같이 고용이 안정되고가계경제를 이끌 정도의 소득이 보장된 일자리를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미혼자를 중심으로 20~30대 청년층이 성평등주의를 지향한 만큼, 청년층의 페미니즘 교육을 체계화하여 이들이 자율성과 합리적 선택으로 포장된 적응과 타협에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성평등주의 성향이 강화되게끔 돕는 대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집’의 장소성과 젠더

        홍혜원(Hong Hye-weo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장소와 젠더에 대해 사고하고 재현하는 방식은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이것은 유동적이고 불확실한 경계를 지닌다. 또한 장소와 젠더는 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권력 관계를 재현하거나 사회공간적 실천을 통해 경계를 가로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이논문은‘집’의장소성과여성/남성의젠더가 상호작용하는양상을 염상섭의단편집 [일대의 유업]을 대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삶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일대의 유업은 ‘집’이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여성 주체가 자아를 인지하는 과정과 남성성의 약화 양상을 서사화하였다는 점, 또 세속의 가혹한논리에의해여성들의삶이좌절될수밖에없었다는점을드러냄으로써가부장이념의 해체와 재응집을 보여 주고 있다. <일대의 유업> 연작에서는 폐쇄되었던 집의 장소성이 개방되면서 공/사적 영역이 서로 혼재되고 여성적 젠더의 속성 역시 유동적 양상을 보인다. 나아가 공간의 이동에 따라 새롭게 구성된 장소성은 여성의 잠재된 욕망을 표출하게 한다. 이는 곧 장소와 젠더의 상호규정성에 의해 여성 욕망의 발견이 장소의 의미망을 확장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가부장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는 그 속성상 젠더의 경계를 끊임없이 확정짓고 내부의 질서를 규범화한다. 이에 따라여성적 젠더는 다시 가부장의 이념에, 또 자본의 논리에 속박당한다. 또한 <굴레>와 <절곡>에서처럼 집의 장소성이 부정적으로 형상화될 때 남성성의 혼란과 약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남성 젠더 역시 경계가 모호하며 다층적 의미망이 충돌하는 불확정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순정의저변> 등일대의유업에속한일군의단편들은대부분불행한결말이거나문제가전혀해결되지않고갈등이반복되는상태로마무리되고있다. 특히여성인물이불구적사랑의양태를보일때더욱그러하다. 이때‘집’의장소성은주로‘부재’로서기표화되고있으며 완강한 내구성을 지닌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 속에 여성 인물은 비극적 상황으로 내몰린다. 한국전쟁 직전과 1950년대 염상섭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장소와 젠더의 유동적 양상은 여성인물의 정체성 구성에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는 동시기 다른 작가에 비해 염상섭의 젠더 인식이 상대적으로 진보적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을 향한냉정한시각을보유하였던작가의태도는결국당대사회를지배한가부장적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고 이를 전면화한다. 그렇기에 [일대의 유업]에 실린 작품들에서경제적인 자립을 시도하거나, 적극적으로 사랑을 찾아 나선 여성들은 ‘집’과 ‘돈’을 잃어버리고 사랑에서조차 실패하는 것이다. How to thinking and reflection about place and gender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has the fluid and uncertain boundaries. And the place and gender representation and reflects the ideology and power relations in society. And it crosses the border into parameters of the social-spatial practic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will argure the aspects that interact about sence of place and female/male gender. Target 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of Yeom Sang-seop.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selects the lives of women as the main material, and was the home of a place in the background. And the author was describing a process of self - conscious women-subject and aspects masculinity weakened into a novel. It also shows the aspect of women's lives are frustrated by the capitalist patriarchal domination. After all the work shows the reunion and dismantling of patriarchal ideology. When I analyzed a series of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a sense of place in the home that was closed was op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 public experience and private experience, gender characteristics of women will have a flexible nature, women have also been found to self-identity. However, the dominant ideology is inherently continue to build fixed the boundaries of gender, it attempts to standardize the order of the interior. The female gender is thus redeemed back to the ideology of patriarchy. In addition, as in “Bondage" and “Fasting", when the spatial sense of the home is to be shaped in the negative, features of men are weakened. This shows that the male gender also implies uncertainty so that multiple layers of meaning networks are in conflict with one another. The short story that belongs to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are mostly unhappy ending or the problem is finished in a state where there is repeated conflict is not resolved at all. Especially when the person is female commit adultery, and when there is no house, and she is a figure of tragedy in the logic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The fluid aspects of place and gender appeared in the 1950 short story of Yeom Sang-seop implies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identity construction of female characters. This shows that gender awareness of Yeom Sang-seop is relatively advanced compared with other writers. But Yeom Sang-seop maintain an objective attitude when describing reality. So he accept the ideology of capitalist patriarchy of contemporary society, and it shows in the work. Therefore, in the novel published in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women should try for economic self-reliance or actively trying to get the love, but the girls are losing their homes and economic power, it fails in love.

      • KCI등재

        미디어 재현에 나타난 남성성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정치학

        김미선(Mi-Sun Kim),이가영(Kayoung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3

        최근 ‘쿡방’은 여성 영역으로 한정되던 요리 분야에 남성 출연진들이 주요 캐릭터로 배치되면서 새로운 예능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장르이다. 기존 요리 프로그램의 역사를 살펴볼 때 젠더 담론이 강하게 작용했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대표적인 요리 예능 프로그램 중 하나인 〈삼시세끼 : 어촌편〉에서 재현되고 있는 젠더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서사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메인 캐릭터들은 전통적인 가부장제가 상정하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유지 및 재생산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남성의 공적영역과 여성의 사적영역이 철저히 구분되면서 남녀 성 역할의 정형성이 강화되고 있었고, 사회적으로 규정된 남녀 성 역할을 수행할 때 안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체계를 견고히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내부를 살펴보면 여성에게 한정되던 가사영역에 남성이 진입하는 것을 자연화 하거나, 신세대 남성들이 연성화된 남성성을 보여주거나, 기존 젠더 담론 보다 협동적인 남성상과 진취적인 여성상을 제시함으로써 지배적인 가부장제에 균열을 시도하는 모습 역시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텔레비전이 문화적 공론장으로 기능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삼시세끼 : 어촌편〉은 우리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지배적인 젠더 권력을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젠더 이데올로기의 가능성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다의적인 해석을 제공하여 새로운 논의를 이끌고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Recently, ‘Cook-Bang’, which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cooking’ and ‘broadcasting’ has emerged as a new trend in the television entertainment genre as male casts play main role in the field of cooking that was limited to female casts. To look back on the history of cooking shows in Korea, it is significant that its narrative has been highly affected by a discourse on issues of gender. Focusing on this fact, this study analyzes its narrative how the gender ideology is represented within the context of 〈Three Meals a Day : Fishing Village Episod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oking entertainment shows in Korea.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ain characters are still maintaining and reproducing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ystem. Gender role stereotype was reinforced by the complete division between man’s public domain and woman’s private domain in particular. In addition, it was strengthening its ideology that people can maintain stable lives only if they perform the gender role defined by the society. Meanwhile,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context attempts to overthrow the dominant patriarchal system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s including the male casts’ involvement in houseworks, softened masculinity of younger male generations, and the images of male as more cooperative and female as more enterprising. Thus, 〈Three Meals a Day : Fishing Village Episode〉 not only reinforces the underlying dominant male power in our society, but also provides viewers a chance to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new gender ideology. From a perspective that television functions as a cultural public sphere, it has a great significance since it brings up new issues by providing diverse interpretations on the gender role ideology.

      • KCI등재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과학과 젠더 개념

        하정옥(Ha Jung Ok)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1

        이 글은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핵심 개념인 과학과 젠더를 켈러와 하딩, 하러웨이의 논의를 비교하면서 검토한다. 켈러는 본격적으로 과학과 젠더를 하나의 분석틀에서 다룸으로써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가능성을 열었다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젠더 개념은 여전히 이데올로기이자 개인적 정체성에 머물고, 젠더 없는 과학으로 대안을 설정함으로써 “나쁜 과학”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하딩은 젠더의 다차원을 설정하여 기존의 젠더 논의의 혼란을 정리하였고 나쁜 과학이 아닌 “일상 과학”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분석 대상의 경계를 제거하였다. 그렇지만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이 인식론적 특권을 가질 수 있는 공통의 지반을 찾으려는 노력과 서구백인중산층여성의 중심성을 탈피하고 여성들간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론적 성공을 거두지 못해 후반기에는 결국 생물학적 차이에 기반한 “여성적 입장”이라는 미완의 분석으로 남았다. 하러웨이는 “상황적 지식”의 부분적 시각 특권을 제시함으로써 다시금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을 질적으로 전환시켰다. 또한 그의 구성적 젠더 개념은 젠더를 고정된 주어진 변수로 다루지 않고 끊임없이 구성되는 변수로 다룸으로써 과학기술과 젠더를 상호 역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science and gender, the two most crucial concepts in the feminist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mainly by comparing E.F. Keller, S. Harding, and D.J. Haraway. Keller is well said to create the potentiality of feminist STS to be an individual sector by analyzing science and gender in one frame in earnest. However, her gender concept still only stayed on ideology, individual-focused identity, and criticism over "bad science." Harding, on the contrary, recognized the multi-aspects of gender, settling down the traditional confusions around the gender discussion, and focused on "science as usual" rather than bad science for analysis, clearing off the boundary among what to analyze in the feminist STS. However, as her efforts to find out a common ground to hold epistemological privilege and her attempts to get out of focusing on the Western/middle class/white women and to take differences among women into consideration could not bring a theological success, her elaboration dropped into a biological difference-based "women's standpoint" in the later. DJ. Haraway upgraded the feminist STS into another quality of dimension again as she presented a partial perspective privilege of the "situated knowledge." Moreover, she made it possible to make a dynamic analysis of science and gender by regarding gender as a constantly-in-the-making variable rather than a fixed given one.

      • KCI등재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의 판타지적 요소와 젠더 이데올로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윤식당>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우정화(Jung-Hwa Woo),이오현(Oh-Hyeon Le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0 No.-

        이 연구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의 판타지적 요소와 젠더가 구성하는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윤식당> 시즌1과 시즌2를 채트먼의 서사구조이론과 토도로프의 서사진행구조를 분석틀로 삼아 서사분석을 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윤식당>은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충실히 재생산하고 있었다. 특히 <윤식당>은 가부장적 젠더 규범을 기반으로 하는 이항대립적 서사구조를 견고하게 함유하고 있었다. 인물과 인물간의 관계를 재현하는데 있어서 여성들은 의존적, 순종적, 수동적, 감성적이며 의사결정의 주변부적 존재로, 남성들은 능동적, 적극적, 진취적, 이성적이며 의사결정의 주체적 존재로 재현하였다. 또한 주요 임무와 활동 공간을 재현하는데 있어서 여성들은 가사 및 사적영역에 한정짓고, 남성들은 사업경영 및 공적영역에 배치하였다. 둘째,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으로서 <윤식당>이 지니는 텍스트적 특징인 판타지적 요소는 프로그램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특히 스토리 진행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차지한 판타지적 요소는 <윤식당>에서 가부장적 젠더 규범에 따른 이항대립으로 (서사구조적) 긴장과 갈등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희석하고 무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즉 <윤식당>의 판타지적 요소는 <윤식당>의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 재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청자들의 불쾌한 느낌이나 비판적 생각을 희석하고 방지하는 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This research exams the relations between TV fantasy entertainment shows and gender ideology. Then, it executes a narrative analysis on Yun’s Kitche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Yun’s Kitchen fully reproduces the patriarchical gender ideology. In representing the characters and the relations among them, Yun’s Kitchen describes women as dependent, submissive, passive, emotional and marginal and contrarily men as active, positive, progressive, rational and central. In representing major jobs and main activity space, it restricts women within housework and private space but distributes business and public space for men. Secondly, the fantasy elements of Yun’s Kitchen constantly and repeatedly appear in the show and are one of its major components. Then, they play a role as diluting and removing the tensions and conflicts that are produced by the dual oppositional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patriarchical gender norms that Yun’s Kitchen has. In other words, the fantasy elements of Yun’s Kitchen play a role as diluting and blocking audience’s uncomfortable feelings and critical thinking that can be taken place by its representations of patriarchical gender ideology.

      • KCI등재

        젠더 내 세대격차인가, 세대 내 젠더격차인가?: 청년 여성의 자기평가이념과 정책태도 분석

        박선경(Sunkyoung Park)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2

        한국의 세대정치연구는 청년세대의 진보성과 중장년세대의 보수성이라는 세대 간 이념 차이를 주장해왔다. 또한, 최근의 젠더이슈의 부상과 함께 청년세대 내 여성과 남성 간 대립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젠더 내 세대 간 이념차이와 세대 내 젠더 간 이념차이를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된 한국종합사회조사 누적자료를 사용하여 상호작용모델을 분석한 결과, 청년 여성은 다른 집단에 비해 스스로를 진보적이라고 생각할 확률이 높았다. 구체적으로 청년 여성과 장년 여성과의 이념 차이가 가장 커서 젠더 내 세대 격차가설을 검증할 수 있었지만, 청년세대 내 젠더 간 이념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정책태도에서도 대북 인식에서 세대 간 차이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뿐 성별에 따른 청년세대 내 차이는 없었으며, 경제이슈에서도 세대 및 성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젠더이슈에서 청년 여성들일수록 전통적 성역할을 가장 반대했지만, 가부장적 문화는 청년 남성이 가장 비판적이었다. 즉, 자기평가이념과 다양한 정책태도를 종합했을 때, 최근 일부 연구에서 언급되는 청년세대 내 남녀 간 이념 격차는 근거가 부족한 진단임을 확인할 수 있다. Recently, salient political conflicts in Korea are generation conflict and gender conflict. In this political environment, key political players, who have not been focused on, are young females. How different are they either from young males or old females, in terms of ideology and policy attitude? Using cumulative data of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from 2003 to 2018, this paper finds out that young females are more likely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progressive. The ideological gap is the largest between young females and old females, but the modern gender gap among the young generation is not found. In terms of policy attitude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s a generational gap in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In gender-related positions, young females have the strongest negative opinion on the traditional sex role, while young males are the most critical group against the patriarchic culture. In sum, this paper demonstrate that recent arguments on ideological gender gap among young generations is groundless.

      • 여성 대상 범죄보도에 대한 프레이밍 연구

        최현주(Hyun-ju Choi)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09 젠더와 문화 Vol.2 No.1

        일반적으로 뉴스는 외부에 존재하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인지되어왔다. 그러나 뉴스 보도에 관한 많은 선행 연구들은, 뉴스가 외부세계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뉴스 조직의 규범과 제작지들에게 내면화된 이데올로기에 따라 특정한 현실을 구성해 낸 것임을 밝히고 있다. 젠더의 관점에서 이률 적용하면, 뉴스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졌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쇄살인과 같은 범죄 뉴스에서조차 남성중심적인 이데올로기가 내포되어 있을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여성대상 범죄뉴스에 젠더편향적인 시선이 내재해 있는지, 어떠한 장치들을 통해 남성우월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발현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처럼 뉴스에 내재된 젠더 담론을 분석해 내는 방법으로 프레이밍 연구가 갖는 특장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여성 대상 범죄뉴스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고찰한 결과, 뉴스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에 따라 성차별적인 장치를 통해 남성중심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 dealt with women in the crime news. The assumption of this paper is that news reporting is not to reflex reality, but to construct reality through the selection and exclusion of news in the process of news making. Thus, news produces and reproduces a specific dominant ideology.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news is assumed to reproduce the male-oriented perspectives. Based on the scrutinized investigation of the articles on this issue, this study reveals that crime news reporting also produces the gender discourse based on male-centric perspective and patriarchal ideology by the blaming women who are victims of crimes.

      • KCI등재

        자녀를 둔 한국 기혼 여성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정책적 함의

        안미영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0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4

        This article examines gender ideolgies of mothers and its relationship with husbands’ perception on women's paid work. We drew a sample from Korean Women & Familes Panel data in 2016. At descriptive level, Korean mothers held traditional motherhood ideolgy. Proportion of mothers who disagreed with gendered divsion of paid and unpaid work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who agreed. More than half of mothers disagreed that women needed to particpate in labor market for gender equality. By contrast, majority believed that dual-earner couple should divide housework equally. We estimated the effect of the husband's perception by employing endogenous probit modeling. Result show that endogenity maters only for motherhod ieolgy and husbands’ gender-role ideolgy had a positve relationship In contrast, considering the husbands’ perception as an exogenous varible, we found the positv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and wives’ perception in the models for ideolgies on the divsion of paid and unpaid work, gender equality through women’s paid work involvement and gender equality through equal divsion of unpaid work albeit weak. 본 연구는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여성의 일에 대한 남편 인식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여성가족패널 2016년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성이데올로기는 매우 전통적이였고, 여성이 노동시장에 참여해야 부부관계가 평등하다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으며, 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다에 동의와 비동의 비율은 비슷했고 맞벌이 부부는 가사노동을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에는 동의가 높았다. 남편 인식의 영향을 내생적 프로빗 모델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설명변수의 내생성과 도구변수의 적합성을 보았을 때 모성이데올로기에서만 내생성을 고려한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인식이 진보이면 아내의 모성이데올로기가 진보일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외생성을 가정한 다른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무급노동을 통한 젠더평등 이데올로기의 약한 관계를 포함하여 여성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남편의인식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쯔베따예바 작품의 사포 형상에 나타난 젠더관

        이한주(Lee Hanju)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1

        경직되고 편견에 가득 찬 젠더 정체성의 혼란과 재정립 시도는 인류가 역사상 사회 모든 영역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한 변화를 경험했던 20세기에 들어와 보다 활발하게 이뤄진다. 특히 젠더는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절대주의적 사고나 신념의 붕괴, 가치의 상대성을 드러내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개념들 중의 하나로 주목 받으면서, 현대 문학비평에서도 중요한 관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고전을 비롯한 이전에 쓰인 작품들까지도 이 관점에서 확대, 재해석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주의적 젠더 관점에서 성의 문제를 새롭게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쓰여 지고 있다. 그 중에서 여성 동성애는 인습적인 젠더관을 떠받들고 있는 주요 관점들 중의 하나인 이성애만을 정상적이고 자연스런 사랑의 유일한 형태로 믿는 사회일반의 시각에 근본적인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제시되면서, 젠더에 대한 구성주의적 시각을 강조하는 문학 비평이나 작품들에서 관심을 모우고 있다. 여성 동성애는 러시아 여성 모더니즘 작가들에게도 가부장적인 구태의연한 젠더관에 머물며 여성들의 창작 능력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폄하까지 하려들었던 남성 작가들의 부당하고 편협한 시각에 맞설 수 있는 효과적인 소재들 중의 하나로서 그들의 관심을 끌었다. 20세기 초 전복과 저항을 미학적 강력으로 삼고 있는 러시아 모더니즘 계열의 여성 시인을 대표하는 쯔베따예바 또한 작품에 나타난 여성 동성애를 상징하는 사포 형상을 통해 구시대의 성 정체성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에 도전하고 보다 새로우면서도 바람직한 젠더관의 정립을 시도한다. 치열하게 혁명기 현실을 살아낸 그녀의 삶과 그 속에서 경험한 사랑은 모든 사회적 금기와 제약을 넘어 폭 넓은 수용력을 보여주는 그녀의 젠더관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쯔베따예바 작품에서 동성애자를 대표하는 사포의 형상은 현대 젠더담론에서 이상적인 젠더 형상으로 제시되고 있는 남성의 신체적, 정신적 강인함에 여성의 감성적 부드러움과 지혜로움이 이상적으로 조화롭게 결합된 양성구유적 특징을 띠고 있다. 쯔베따예바의 이러한 사포 형상은 이미 고대에 사포와 같은 남성 문인들마저 칭송해마지 않았던 훌륭한 여성 시인이 존재했음을 상기시킴으로써 남성작가 위주의 문단에서 여성시인들의 창작능력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거나 폄하하려고만 드는 당대 남성작가들의 편협한 시각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다. 쯔베따예바의 젠더관은 자신 안의 여성성을 아예 부정하거나 남성/여성의 이분법에 기초한 전통적 젠더관을 완전히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 모두 불완전한 인격체이기에 각각에게 결핍되어 있고 불완전한 부분을 서로 보완하여 온전한 자아실현을 달성할 수 있는 성숙한 인격으로 함께 나아가고자 하는 바람을 나타내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