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여자 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9 No.-

        This thesis is the Comparative research regarding affec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ender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puissance of ungovernables and the fear against the 'la foule de femme'. Almost every affect studies produce in Western part and East Asia emphasize th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In contrast with this 'general' tendencies of affect studies some studies of Korean 'left' group are eliminat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This tendency of affect studies in Korean academic world is the historical effect of sexism and colonialism in scholarly field. 정동 연구가 일종의 ‘붐’을 이루면서 최근 꽤 많은 논문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진행된 정동 연구와 한국에서 진행된 정동 연구 경향을 비교 검토하면서 한국의 정동 연구의 이론과 현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서구에서 정동 연구가 페미니즘과 젠더 이론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이어받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페미니즘 연구를 부정하는 입장이 강하다. 이런 경향은 한국 지성사의 식민주의와 성차별주의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논점이다. 한국에서 최근 산출된 논문의 경향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유형화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기존의 문학 연구나 문화연구 영역에 감성 연구와 정동 연구를 도입하는 경향이다. 두 번째로는 예술 존재론과 이미지 정치에 대한 논의에 입각하여 정동 논의를 전개하는 연구이다. 세 번째로는 에토스와 정동에 대한 논의로 세월호 사건 등을 비롯한 재난과 트라우마, 애도의 윤리와 정동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 네 번째로는 정동 경제와 사회적인 것에 대한 논의이다. 다섯 번째는 혐오발화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 사회의 혐오 발화에 대한 논의는 정동 이론과 페미니즘, 젠더/퀴어 연구가 결합한 전형적 사례라고 할 것이다. 미국과 유럽,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정동 연구가 다양한 이론적 원천을 계승하고 페미니즘을 모든 이론을 재검토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이론으로 재정립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달리 한국의 정동 연구는 페미니즘 이론을 역사적이고 이론적 원천에서 삭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지식장과 학문장, 그리고 공론장에서 여전히 작동하는 식민주의와 성차별주의에서 비롯된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페미니즘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야말로,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의 역능을 문란, 퇴폐, 부적절함, 근본주의적 불순분자로 배제하면서 구축된 근대적 주체성과 공론장의 한계가 반복되는 전형적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시민적 공론장의 형성과 재생산 과정에서 정동의 힘이 ‘여성화’의 방식을 통해 부적절한 힘으로 억압되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여기서 ‘여자 떼에 대한 공포’가 정동의 힘과 ‘다스릴 수 없는 자들의 역능’을 제어해온 역사와 현실을 정동 이론의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또 이런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오늘날 이론의 재구성에서 정동 연구와 페미니즘의 결합은 가장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제공할 거의 유일한 역사적 이론적, 실천적 원천이라는 점을 밝혔다.

      • KCI등재

        정동을 통한 장소의 사유와 경험의 공감각-로니 혼과 레이첼 화이트리드 작품 중심으로

        이재원 ( Lee Jaewon ),고경호 ( Ko Kyung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예술작품은 정동의 응결체로 볼 수 있으며, 예술가가 작업의 과정에서 작품과의 관계 속에서 정동하고 정동되기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정동은 신체의 이행이라는 과정의 상태로써 지각으로 포착되기 이전에 신체가 대상에 영향을 주고 영향을 받아들이는 상호관계적 변이를 이르는 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결정체로서 정동의 잠재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장소, 공간을 다루는 예술작품에서 신체의 경험이 가지는 공감각적 지각을 정동 개념으로 분석한다. 예술가가 작품의 개념적 접근과정에서 주목하고 있는 체화된 경험의 마주침의 지점들을 살펴보고, 작품이 내재하고 있는 정동의 잠재성이 관객과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방법은 우선 2장에서 정동의 개념을 스피노자, 들뢰즈, 마수미의 계보를 따라 살펴보고 신체의 경험이 가지는 정동의 잠재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장소와 공간을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사용하는 두 작가 로니혼과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작업을 분석한다. 두 예술가의 작품분석을 통해 동시대 미술에서 정동이 응결되고 드러나는 지점을 확인하고, 또한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정동적 사유가 중요한 감각이자 잠재적 능력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작업 과정을 비롯하여 관객이 작품을 체험하는데 있어 정동적 영역에서 비의식적 마주침이 촉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개체와 개체가 연결되고 공감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한 정동의 확장된 이해를 도울 것이다. Artworks are inherently the concretion of ‘affect’. That is, artworks are the product of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in the continuous interrelationship between an artist and their work in the process of creation. In the spontaneous or enduring process of body transformation, ‘affect’ refers to the interrelated transition that the body of artist/audience and the object(s) of artwork are affecting and being affected each other even before the artist/audience consciously perceives this transformation proces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potential nature of ‘affect’ and examine multi-sensory awareness for physical experiences that are embedded in the artworks of place and space by using the concept of ’affect’. To do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countering moments of embodied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dopts a conceptual approach that an artist focuses on the artwork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potential nature of ‘affect’ in the artwork can affect and be affected by audienc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Chapter 2 reviewed the passage of discourses on ’affect’ by Spinoza, Deleuze, and Massumi in order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n the potential nature of ’affect’ in physical experiences. Then, Chapter 3 analized the artworks of Roni Horn and Rachel Whiteread who used place and space for their main ideas of artwork creation. The analysis of these two artists’ works represent the moment of congealing and revealing ‘affect’ in the contemporary art.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that affective thoughts are an important sense and potential 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artwork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unconscious contacts are provoked in the realm of ‘affect’ when artists create their works and audiences experience them. By doing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ended understanding of ‘affect’, which includes the potential nature of connecting and sympathizing individuals as the outcome of appreciating artworks.

      • KCI등재

        정동적 문학 읽기의 가능성

        조강석 ( Cho Kangsok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8 No.-

        스피노자는 정동을 “신체의 행위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신체변용이자 그것의 관념”으로 규정한 바 있다. 그의 평행론에 입각해 이를 원용하자면, 인지적인 것이 정서에 작용하는 것과 같이 정념이 인지적 작용의 연쇄로 이어지기도 한다. 어떤 관념의 연쇄는 신체변용과 정서적 변이를 수반하며 정동적 반응의 도화선(trigger)이 될 수 있다. 텍스트-관념-신체변용-정동적 동요로 이어지는 연쇄를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학 텍스트는 정동을 단지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효과적으로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독자의 정동적 반응을 촉진한다. 즉, 문학 텍스트는 재현과 표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연쇄적으로 생성중인 텍스트-정동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텍스트가 재현이나 표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텍스트-정동이 된다면 우리는 텍스트의 전언과 더불어 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선의 경우 이미지는 기성의 인식을 뒤흔들면서 정서적 변이와 정동적 동요를 촉발시키는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한편, 정동적 문학읽기가 단지 정서적 태도나 정동적 주제를 탐색하는 것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도 우리는 텍스트의 이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는 세상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배치를 만들어내며 그 자체로 사회적 삶을 살기 때문이다. 정동적 문학 읽기는 명료한 정보와 사회사적 이해에 기반한 비판적 독서가 아니라 삶의 구체성을 전달하는 정동적 언어의 효과를 드높이는 독서에 가깝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1980년 광주를 다룬 황지우의 시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룬 김숨의 연작 소설을 예시하여 정동적 문학 읽기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중요한 것은 텍스트의 정동이 여러 신체의 연동의 결과이며 나아가 그 스스로가 여러 신체에 연동된다는 사실이다. Spinoza explained the concept of ‘affect’ as follows. “By affect I understand affections of the body by which the body’s power of action is increased or diminished, aided or restr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ideas of these affections.” To use this definition based on his parallelism, affects may lead to a chain of cognitive actions, just as cognitive things act on affects. A chain of ideas involves affections and emotional variations and can be a trigger for affective responses. It is possible to assume a chain that leads to text-concept-affections-affective fluctuations. The Literary text promotes the reader's affective responses. In other words, the literary text is not for representation,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ext-affect itself that is being generated in a chain. 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s along with the message of the text if the text does not remain in mere reproduction or representation, but turns in text-affect itself. In the best case, images shake the pre-assumed recognition and trigger emotional variation and affective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for affective literature reading not only explores emotional attitudes or themes, but we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 of the text. This is because the image creates a new perception and placement of the world and lives a social life. Reading emotional literature is not a simple critical reading based on clear information and soci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but rather a reading that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affective language that conveys the tangibility of life.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ading literature affects by exemplifying Hwang Ji-woo's poems dealing with Gwangju in 1980 and Kim Soom's serial novels dealing with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What is essential is the fact that the affect of the text is the result of the linkage of various bodies, and furthermore, it is linked to the reader's body.

      • KCI등재

        동아시아 에코페미니즘적 글쓰기와 ‘자연-정동’의 구조화 과정

        신진숙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4

        Emotionality —feminist emotion and affect— has been regarded as women's primary agency in contemporary feminism. Affect and emotions are rendered as important keys to enable feminists to construct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is differently situated. This reorientation named ‘affective turn’ in feminism can renew ecofeminist writings and perspectives, which also can help to think of ‘the East Asian’ ecofeminism discerned from the Western. In this sense, this essay surveys writings and structuring the affective life and emotional engagement with nature(human and non-human) labelled ‘nature-affect’ in the East Asian ecofeminist literature, focusing on works written by East Asian Woman Writers, such as Korean writer Han Kang’s novel Black Deer, Chinese writer Chi Zijian’s novel At the Peak and Japanese writer Tsushima Yuko’s works I. This essay illustrates how the affective life as bodily capacities which can ‘affect and be affected’ in encountering others and the ‘affect-nature’ (bodies affected by nature) as the material and symbolic interrelation between women marginalized and nature (non-human or animals), both act and transform the existing world. In the conclusion, it suggests why different and dissonant affect and emotions rather than the empathetic sameness are necessary to construct feminist solidarity for future. 이 글은 동아시아 에코페미니즘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한중일 문학작품에서 자연과 여성이 조우면서 생성되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정동과 감정들에 주목하고, 정동적 차원들이 글쓰기를 통해 이러한 정동적 관계들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공통적인 것으로 생산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감정, 즉 페미니스트의 감정(emotion)과 정동(情動, affect)에 관한 이론은 페미니즘 이론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정동과 감정을 기반으로, 국가와 민족, 상황과 위치의 차이들을 지닌 페미니스트의 연대를 재개념화하고 새로운 실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정동적 페미니즘의 경향은 여성과 자연의 관계성에 기반을 둔 에코페미니즘적 사유체계와 실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고는 이러한 가능성을 정동적 에코페미니즘(affective ecofeminism)이라는 관점으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문학 작품들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문학작품을 통해 에코페미니즘을 사유한 것은, 젠더와 자연을 연결시키는 에코페미니즘의 대표적인 실천 전략이기도 한 ‘글쓰기’가 감정 그 자체를 다른 어떤 실천 전략에서보다도 중요하게 다룰 뿐만 아니라 여성의 자연-정동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조화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글쓰기는 여성 주체의 정동적 삶과 자연의 조우,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정치-경제-문화의 콘텍스트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동아시아라는 공간에서 사유하였다. 이 글에서 다룬 작품은 정동적 에코페미니즘의 함의를 풍부하게 지닌 한중일 여성작가의 작품들 중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주요 모티브로 활용하면서 자연과 여성 사이의 정동적 감응 과정을 풍부하게 반추할 수 있는 최근의 소설들로 하였다.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작품의 배경을 동아시아의 변방(환동해지역)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압축적으로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을 거친 한중일 국가에서 역사적으로 주변화 되어온 장소에서 여성 존재들(소수 민족/소수자)들의 자연-정동을 살펴보고, 이를 공통적인 것의 생태학이라는 관점에서 의미 부여하였다.

      • KCI등재

        정동의 잉여적 사유들 -브라이언 마수미 논의를 중심으로

        김민지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6

        We now pay attention to the "affect" itself, not to the static. Continuing to raise questions about static, the spectrum of static is expanding. From Spinoza and Deleuze to Massumi, the concept of Affect is becoming more accurate and explicit than before. Brian Massumi expects that politics will go beyond the realm of emotions, from specific objects to the unconscious realm. Massumi examines A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not from learning, but through "Affect politics," and finds and discovers various rituals that can be found in life, and seeks to find the essence that humans should pursue in this discovery. Massumi likens Affect to a navigational movement across the sea and sees that it can take a step forward in a political manner because it provokes when encountered with an object. Through Massumi's argument of encounter,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the issues of hope, memory, and ethics in a way in which politics embodies in literature. Viewing hop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we focus on the transition to hope rather than on the meaning of hope itself. When you think about the situation where you wish for hope, it starts with the feeling of sadness in the whole stage of hope. In order for the chute of grief to be carried out in Affect of joy, it must cross the threshold. The idea of hope generates the moment you cross the threshold, and the process of this creation includes not only the unique meaning of hope but also its causes. Memory, like hope, is not recalled in our minds as a simple image of the past. Memories of the past are expressed with Affect when brought to the present, and through Affect, make past-present-future invincible relations possible. Affect is a mixture of memory patterns and can be seen as Affect itself, which continues to accumulate and move. Finally, ethics begins with laughter. Laughter is, in a way, the noblest aspect of politics, which guarantees equality for all subjects in the most functional area. Laughter is not considered as a play but an act and an expression of emotion that can embrace the values of extremes and twist the situation. Laughter can also be a practice beyond the threshold, and it is a form of chastity with the potential to represent all memories fairly. You can obtain the possibility to creatively account for the relationships that cannot be completely defined through a motor. Besides hope, memory, and laughter, Affect will implement 'accept' in all areas and make what Deleuze calls '-becoming' feasible. The moment of liberation and temporary equality created by balancing, without leaning on any cross-section, ends up as the final destination that must be reached through the movement. 우리는 이제 정동적인 것이 아니라, “정동(affect)” 그 자체에 주목한다. 정동에 대한 문제 제기를 계속하면서 정동의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다. 스피노자와 들뢰즈를 거쳐 마수미에 이르기까지 정동은 조금씩 구체화되고 명료해지고 있다. 마수미는 정동이 감정의 영역을 넘어 지각되는 대상과 무의식의 영역까지 아우를 것이라고 기대한다. 마수미는 『정동정치』를 통해 정동을 학문이 아닌 삶의 차원에서 고찰하고, 삶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러 의식들을 찾아내고 있으며 이 발견 속에서 인간이 추구해야 할 본질을 찾고자 한다. 마수미는 정동을 바다를 가로지르는 항해운동으로 비유하며, 정동이 정치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까닭을 대상과의 마주침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정동이 마주침이라는 마수미의 주장은 문학에서 정동이 구체화되는 양상으로 희망, 기억 그리고 윤리의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다. 정동의 관점으로 희망을 볼 때, 희망 그 자체의 의미를 보기보다는 희망으로의 이행에 초점을 둔다. 희망을 바라게 되는 상황을 떠올려보면 결국 희망의 전 단계에는 슬픔의 정동이 자리 잡고 있다. 슬픔의 정동이 기쁨의 정동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문턱’을 넘어야 한다. 문턱을 넘는 순간 희망이라는 관념이 생성되며, 이 생성의 과정에는 희망의 고유한 의미뿐만 아니라 그 원인도 포함된다. 기억도 희망과 마찬가지로, 기억을 과거의 시간 속에서 떠오르는 단순한 이미지로 그리지 않는다. 과거의 기억이 현재로 불러올 때 정동과 함께 발현되며, 정동을 통해 과거-현재-미래의 무경계적 관계를 가능하게 만든다. 정동은 기억의 양태에서 일종의 혼합물이자 계속해서 축적되고 움직이는 정동 그 자체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는 웃음으로부터 시작된다. 마수미는 웃음을 일종의 “난입”으로 보고 있지만, 웃음은 문턱을 넘을 수 있는 일련의 힘으로 작용한다. 웃음은 가장 실천적인 영역으로 모든 대상에게 평등을 보장하는, 어떻게 보면 가장 숭고한 정동의 양상이다. 웃음은 유희가 아니라 극단의 가치를 껴안고 상황을 비틀 수 있는 행위이자 감정의 표현으로 여겨진다. 또한 웃음은 문턱을 넘는 실천적 행위가 될 수 있으며, 모든 기억을 공정하게 대변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정동의 양태로도 볼 수 있다. 마수미의 여러 정동적 시선을 통해 완전히 규정할 수 없는 관계들을 창조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하게 된다. 희망, 기억, 웃음 외에도 정동은 모든 영역에서 ‘받아들임’을 실행하고, 들뢰즈가 말하는 ‘-되기’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어떤 단면에 쏠리지 않고 균형을 이룸으로써 만들어내는 찰나의 해방과 일시적 평등은 정동을 통해서 도달해야 하는 최종 목적지로 마무리된다.

      • KCI등재

        포스트 시대, 다크히어로 드라마〈빈센조〉고찰 :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

        윤복실(YUN BOKSIL)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9

        최근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부상한 다크히어로 드라마는 반윤리적이며 반사회적인 것들을 통해 그 서사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보편적 가치의 변화가 감지됨에 따라 본 연구는 정동 이론을 통해 드라마 <빈센조>를 분석하였다. 정동이론은 스피노자에서 비롯되어 들뢰즈 그리고 마수미로 계승되는데, 구조주의가 집중하지 않는 인간의 감정, 기분, 인지 등에 관심을 둔다. 정동의 관점에서 보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정동 체계를 형성하는 하나의 신체로써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의 드라마 분석 방법은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영웅 여행의 단계를 차용하였다. 이는 연구대상 드라마가 영웅서사를 원형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드라마가 재생산하는 보편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 결과, 드라마 <빈센조>는 영웅서사를 원형으로 하며 주인공 빈센조가 ‘분노’의 정동을 통해 영웅으로 거듭났음을 확인하였다. 주인공 빈센조가 분노의 정동을 갖게 된 것은 그가 맺은 인연과 관계된다. 이는 빈센조의 생모 오경자와 정신적 스승인 홍유찬을 비롯한 금가프라자의 세입자들 그리고 바벨그룹과 관련된 피해자 유가족 등 약자로 대변되는 이들이 적대자 장준우와 그림자 최명희의 사주로 살해당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마피아 콘실리에리인 빈센조가 영웅으로 인정받은 것은 약자로 대변되는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의 호명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이 강한 리더를 원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은 빈센조에 정동됨으로써 잠재된 저항의 정동을 이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다크히어로 <빈센조>가 영웅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관계를 통한 분노의 정동 발현과 약자로 대변되는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의 공포와 희망의 정동이 주효하였다. 이를 통해 선(善)이 악(惡)을 이긴다는 보편적 가치의 전복을 확인하였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의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의 메시지가 유지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The emergence of the dark hero drama in Korean television series has been a recent phenomenon. This genre employs themes that challenge ethical and social norms to tell its story. This paper examines the drama Vincenzo using affect theory, which views universals as fluid and ever-changing. Vincenzo is considered to be a pivotal work that brought about the popularity of the dark hero drama. Affect theory, derived from the works of Spinoza and developed further by Deleuze and Masumi, is concerned with human emotions, attitudes, and the ability to perceive fundamental structuralism that is not usually emphasized. From an affective perspective, television dramas are an important subject of discussion as they form an affective system. The method used to analyze the drama was borrowed from Christopher Voglers Heros Journey, which confirms that the study drama has a heroic narrative as a prototype and confirms the universal value reproduced by the drama. The study concluded that Vincenzo is a heroic narrative, and the protagonist, Vincenzo, became a hero through the emotion of anger. Vincenzos anger is linked to his relationships with the tenants of Geumgaprazza, including his biological mother Oh Kyung-ja, his spiritual mentor Hong Yoo-chan, and the families of the victims associated with Babel Pharmaceutical and Babel Chemical. Those represented by the weak, such as Vincenzos birth mother Oh Gyeong-ja, spiritual teacher Hong Yoo-chan, the tenants of Geumga Plaza, and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victims associated with the Babel Group, are killed by the antagonist Jang Jun-woo and the shadow Choi Myung-hee. The fact that Vincenzo, a mafia consigliere, was recognized as a hero was due to the tenants of Geumga Plaza, who are represented as the weak. The tenants of Geumga Plaza wanted a strong leader, and Vincenzo fulfilled their latent effect of resistanc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dark hero〈Vincenzo〉was able to become a hero because the expression of anger through relationships and the fear and hope of the tenants of Geumga Plaza, represented by the weak, were effective. As a result, the drama challenges the universal value that good overcomes evil, and the message of good and punishment and karmic retribution is maintained.

      • KCI등재

        혐오와 절합하고 경합하는 정동들: 정동의 인클로저를 넘어서 혐오에 대해 사유하기

        손희정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6 No.-

        This is the era of affects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capital and the state. To this end, affects have been treated and discussed as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Such epistemology has been formed in a “steady projects that assu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e world can be explored mathematically,” which is connected to the 'happiness industry' excessively pathologizing depression and worshipping happiness as the most powerful ideology in the service of the capital. In this paper, such a management process of affects is definedas enclosure of the affects. First, this is made possible from the imaginationof spatialization by building ‘fence’ among the affects, secondly, this process of ‘fencing’ is obviously capitalist and liberalist project, and thirdly, the effect is dismantling the ‘emotional commons’ between people. In addition, it has been one of the ‘new primitive accumulation’ methodologies to overcomethe crisis of the capitalism of the late 60’s. It seems to be around IMF(1997) that the latest new primitive accumulation has started in South Korea. To deal with the disgust, not being entrapped by the enclosure of affects, we need to understand disgust as the affiliation of various affects. For example, disgust gets nourishment from the culture of contempt and continues its effects in the form of fun forcing shame to others when the pleasure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mission to accomplish. Only when we approach to the disgust as a whole, we can avoid serving the affects management of our days. 자본과 국가의 필요에 따라 정동이 관리되는 시대다. 이 과정에서 정동은 변별 가능한 것으로 다루어져 왔는데, 이런 인식론은 “마음과 세상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탐구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꾸준한 프로젝트” 안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 우울증을 병리화하고 행복을 강력한 이데올로기로 만들어 자본에 복무하도록 하는 ‘행복 산업’과도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정동의 관리 과정을 ‘정동의 인클로저’라고 명명한다. 이렇게 이름할 수 있는 이유는 첫째, 이것이 정동에 ‘테두리’를 쳐서 공간화하는 상상력으로부터 가능해지고, 둘째, 이런 ‘테두리치기’가 명백하게 자본주의적, 자유주의적인 기획 안에서 진행되었으며, 셋째, 그 효과가 인간들 사이의 ‘감정적 공유지’를 해체하고 ‘원자화된 개인’을 자연화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동을 자원화, 자본화하는 정동의 인클로저는 1960년대 말 자본주의의 위기를 타계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시초축적’의 한 방법론이었다. 정동의 인클로저를 넘어서 혐오와 적대하기 위해서 우리는 혐오를 다양한 정동들의 복합체로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혐오는 ‘모멸’의 문화에서 자양분을 얻고, ‘즐거움’이 지상 최대의 과제가 된 시대에 ‘재미’라는 형식을 빌어 타인에게 ‘수치심’을 강요함으로써 그 효과를 지속시킨다. 이렇게 접근할 때에야 정동을 이론화하는 작업들이 정동의 관리에 복무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 KCI등재

        현대문학 연구에서 정동 이론의 성과와 활용

        안미영(Ahn Mi you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현대문학에 등장하는 정동 이론의 성과를 확인하고 점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정동’의 개념과 연구 범주를 살펴보고, 학술연구의 장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와 활용을 확인하였다. 이데올로기 시대에는 주체화 과정에서 지식과 지각이 중시되었으나, 포스트 이데올로기 시대에는 주체의 인지하고 감각하는 힘이 강조된다. 정동(情動)이론은 변화과정에 있는 대상의 특징을 세밀하게 파악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론이다. 관습화된 일상과 삶의 구조를 미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정동은 언표화 할 수 없지만 에너지(힘)를 지니고 있다. 정동은 언표화 할 수 없는 힘과 강도로 정의되는 만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효과는 정동 주체와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 정동 이론은 주로 정치적인 관점에서 혐오문제에 관심을 보였으며, 한국 문학에서 정동 이론은 시와 페미니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정동이론을 주로 정치적인 관점에서 다루게 된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한국 연구자들은 있어야 할 미래와 인간의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정동이라는 에너지의 방향성 설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정동은 소설이라는 구조에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인물의 형상화를 비롯한 주제 구현에 기여한다. 최근 소설은 특정 인물과 사건을 부각시키기보다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건, 인물과 세계를 둘러싸고 상호간 부대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동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독자들은 인물, 사건, 세계에 잠재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읽으며 인간과 세계를 구성하는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변화와 역능의 잠재성을 읽어나간다. 정동 이론은 이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문화와 현상을 비롯하여 대상이 지닌 변환 가능한 에너지를 분석하고 방향성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있어야 할 현실을 구상할 수 있는 유효한 담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cept and research categories of ‘Affect’, analyzing the achievements of Affect theories in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and confirm that the novel is the root genre of the Affect. In the ideological era, knowledge and perception were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but in the post - ideology era, the power of perception and sense of subject is emphasized. Affecti is equivalent to Latin affectus and affect of English and French. “Affectus / affect” is a re-interpretationand appropriated by Deleuze, the concept of Spinoza. The theory of Affect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useful for finel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the process of change. It is a methodology that can microscopically approach customized daily life and structure of life. In Korea, Affect theory was discussed mainly in relation to politics, especially in the problem of aversion. Affect is unexpressed but have power. As Affect is defined as a power and intensity that can not be expressed,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are bound to be influenced by the situation and Affect itself. In Korea, the interest of Affect theory in the political sphere is also due to the ethical efforts of intellectuals to set the direction of energy in Affect. Affect theory should be used to realize the future and form the human to be. Affect is implemented in the novel structure to organize the subject as well as to shape the character. In recent years, novels have shown the effects of Affect in characters and characters, characters and events, characters, and the world. Readers read the potentials of people, events, and the world, and read the potential of change and capability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universal way of life that makes up the human and the world. The theory of affect emerges as a discourse that can be read in terms of analyzing the various energies of the object, including the culture and phenomena that make up the world, and suggesting a meaningful direction to it.

      • KCI등재

        김수영의 「꽃잎」에 내재된 운동성과 정동

        이미경(Lee Mi-kyo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7 No.-

        This paper explores the motility inherent in the poem Flower Leaves written by Kim Soo-young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 First, we want to consider what determines the affect of a poetic subject, and discuss what variations the poetic subject exhibits by the affect that arise from it, and how it forms poetic meaning. Kim Soo-young dreamed of a revolution that changed the reality by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was obscured by ideological order throughout his life and increasing his existential ability from that perception. His poems are a figment of such a revolutionary process and an act of freedom. This is why Kim Soo-young s poems are constantly struggling in terms of no consciousness and existence as political ide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 such struggles are a process from new perceptions to the realization of power that has arisen. This is inherent in Kim Soo-young s poetry as motility. Flower Leaves consists of three chapters. Chapter 1 unfolds the potential world due to the inner agitation of the poetic subject. Chapter 2 requests that active variations of poetic subjects be conscious of the recognition of new reality. This request applies not only to the poetical subject himself but also to the community as a whole. In Chapter 3, the poetical subject is affetted by Sunja , resulting in a different time penetration into the Chronos. As a result, soonja becomes an eventful being and the poetic subject realizes a new poetic truth. This realization is that the people who have been victimized by modernity are constantly changing, creating and latent. Also, the revolution is only possible with the added vitality of the people. These poetic reasons unfold through chapters 1, 2 and 3 are expressed from the affect of the poetic subject. In each chapter, the poetic subject is affected by obtaining a suitable recognition from notio communis , which shapes Simulacre . Thus, the motility inherent in flower leaves can be attributed to the affect of poetic subjects who desire creative improvement. 본고는 김수영의 「꽃잎」에 내재하는 운동성을 정동의 관점에서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시적 주체의 정동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그로부터 발생한 정동으로부터 시적 주체가 어떤 변용을 보이며, 그것이 어떻게 시적 의미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김수영은 이데올로기적 질서에 의해 가려진 현실을 인식하여, 그 인식으로부터 존재론적 능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현실을 바꾸어 나가는 혁명을 꿈꾸었다. 그의 시는 이에 대한 형상화이며, 그러므로 자유의 이행이다. 그는 “진정한 참여시”를 지향하였기에 그의 시 텍스트에는 무의식과 실존의 차원에서의 부단한 고투가 벌어진다. 정동의 관점에서 보면, 그 고투는 어떤 질서 속에서 관계들이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 즉 통념-관념에 의해 정동된 시적 주체가 정동적 사유를 통해 시적 진리-행동에의 계시-에 이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 텍스트에 운동성으로 내재한다. 「꽃잎」은 총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은 형성하고자 하는 시적 의미에 따라 발화 양태를 달리한다. 1장에서는 1인칭 독백체의 형식으로 “옥수수잎”에 정동된 시적 주체의 내적 동요와 그로 인해 열린 잠재적 세계가 펼쳐진다. 2장에서는 일상적인 혁명이 공동체의 혁명으로 현실화되는 일종의 방법론이 펼쳐진다. 존재 내부의 변이와 생성의 힘이, 새로움의 인식으로 의식화되어 공동체 전체로 확장됨으로써 공동체의 혁명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이전 질서에 대한 잊음과 새로움의 인식에 대한 믿음도 요구된다. 이러한 시적 전언은 “꽃”의 이미지 운동에 의해 형식적으로도 구현된다. 2장의 발화 형식이 청자를 특정하지 않은 대화체가 사용된 것 역시 이러한 의미 구축과 관계가 깊다. 3장에서는 시적 주체가 “순자”와의 불일치하는 통념-관념에 의해 정동된다. 주체의 정동으로 ‘다른 시간’이 틈입하고 이로써 “순자”는 사건적 존재가 되어 타자로서의 ‘민중’을 제유하게 된다. 시적 주체는 이를 통해 혁명을 완성시키는 것은 현재에 잠재된 ‘민중’의 생명력을 발견하고 결합하는 것이라는 시적 진리를 발견한다. “순자”를 특정하여 대화체로 시상을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의미의 형성과 관계된다. 1, 2, 3장을 통해 전개되는 「꽃잎」의 내용은 시적 주체의 정동과 그로부터 발현된 정동적 사유라 할 수 있다. 시적 주체는 다른 신체와 일치, 혹은 불일치의 통념-관념에 의해 능동적으로 정동되어 잠재적 세계를 형상화하면서 시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꽃잎」의 텍스트에 내재된 운동성은 시적 주체의 정동으로부터 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동은 주체에게 무엇을 하는가? : -한 게이남성의 자기기술지를 통한 시론적 접근-

        임동현(Dong Hyeon Lim) 한국문화연구학회 2021 문화연구 Vol.9 No.2

        이 글은 하비투스의 재/생산이나 변용, 그리고 주체화에 정동적 차원이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분석한다. 그간 정동의 문제는 주체화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으나, 정동개념이 이론적인 수준에서 발전되어온 탓에 구체성 있는 경험 연구에서 활용하기엔 난점이 따른다. 이 연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모색으로서 인지과학 분야의 정동 개념을 부르디외의 실천론과 적극적으로 절합하는 시론적인 접근을 구상하고 한 게이남성의 자기기술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킨다. 여기서 정동을 인지과학적 개념으로 접근하면서 ‘느낌’으로 존재하는 정동을 패턴화하여 ‘번역’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 글에서 다루는 연구참여자는 게이 남성인 동시에 저소득 계층에서 성장한 이중적 낙인을 지니고 있다. 그가 일상에서 겪게 되는 정동적 충격은 소수자로서의 주체화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에 따른 주체 내부의 정동경제는 주체의 사회적 실천을 구조화하는 핵심적인 변인이 된다. 이때 주체의 하비투스는 정동적 경험을 통하여 재생산되거나 변용될 가능성을 지니는데, 이는 그가 놓인 사회적 조건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결과적으로 이 글은 이 같이 정동을 패턴화한 척도로 번역하여 활용하는 시론적 접근을 제안하고 이것이 주체화 양식과 사회적 실천에 대한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을 가능케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affective dimension intervenes in the re/production, transformation, and subjectivation of Habitus. The affec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ubjectivation. Yet,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in empirical studies since the concept of affects has developed at a theoretical level. As a way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comes up with a theoretical approach to actively articulate the concept of affects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with Bourdieu’s practice theory and develops theoretical discussions through analysis of a gay man’s auto-biography. The process of patterning and translating the affects existing as a ‘feeling’ is performed by approaching the affects as a cognitive scientific concept.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double stigmatized existence as a gay man and grown in low-income family. The affective impact he experienced in his daily life strongly influenced subjectivation as a minority, and the affective economies within the subject become a key variable to structure his social practice. In this sense, Habitus of the subject can be reproduced or transformed through his affective experienc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conditions he is placed in. As a result, this article proposes an exploratory approach to translate and utilize the concept of affects, and argues that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more persuasively about the subjectivation and soci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