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양철학 : 당대(當代) 중국(中國)의 전통문화(傳統文化) 복원운동(復原運動)의 철학적 함의와 그 전망

        연재흠 ( Jae Heum Ye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30

        중국 대륙에서 傳統文化와 思想은 근 100여년의 시간동안 역사의 격변을 거치면서 타도의 대상에서 계승해야할 遺産으로 탈바꿈 되었다. 오늘날 중국 정부와 학계, 민간에서는 빈부격차, 가치관의 부재, 정신적 의지처의 상실 등 경제발전이 남긴 부작용을 儒學을 중심으로 한 전통사상과 문화의 복원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중국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사회주의 이론체계들을 고수하면서도 儒學을 이용하여 사회적 안정과 통합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버팀목으로 삼고자 한다. 민간의 경우 경제발전을 통해 민족적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자 전통문화 복원과 선전을 통해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중국문화를 세계에 선양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와 사상의 복원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전통 속에서 문화적 통일성과 정신적 안식처 그리고 새로운 가치체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비판적 계승론자나 당대 문화보수주의자들은 전통문화와 사상이 현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전통사장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을 통해 현대화의 부작용을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전통과 문화를 일종의``力量``(power)으로 간주하는 대륙의 비판적 계승론자나 문화보수주의자들의 관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우리에게도 전통문화와 사상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현실문제 해결의 계기를 모색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Over 100 years in Mainland China,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past must be sublated`` to ``the heritage must be preserved.`` Today, China hopes to deal with the negative effects of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absence of common values etc.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especially that of Confucianism. The Chinese government superficially accepts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the social stabilization and ongo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y keep the Socialism as the nation`s ideological system. In the private sectors, there is endeavoring move to make the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global paralleled to their economic growth. There are also scholars who find the cultural unification and the spiritual comfort from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They, so called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believe that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could play a role in the Chinese modernization, and the new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ir tradi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ir future. In my view, we need a careful survey on the view of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who regard tradition and culture as a power (力量). With this, we are required to investigate our own problems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 KCI등재

        전통문화유산의 계승・발전 및 세계화의 헌법적 정당성에 관한 소고

        남정아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1

        Korea currently has 15 UNESCO-registered world heritages. Of them, 13 are cultural heritages and two are natural heritages. These world heritages are not only valuable cultural and natural assets for our people, but also valuable asset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global citizens.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especial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register UNESCO, an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Korea becomes a country with world-class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scovery, inheritance,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because it aims to evaluate the nation's efforts to combine the perspective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ng tradition and globaliz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the state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rediscovering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ng new values. If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s list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hrough efforts of countries and the private sector, it will be the object of cultural enjoyment by people around the world and realize the globaliz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uch national efforts can be said to be a cross-section that shows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as a cultural policy. In a broad sense, we will look at what such national efforts are and how they have constitutional legitimac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ulture. In particular, the state's specific and active duty of protection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national culture can be sufficiently derived. In addition, Article 69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president's obligation to carry out and achieve national tasks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national culture, so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inherit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e has a very specific basis. In addition,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right to enjoy culture as a specific basic right of the people and cultural state principles based on Articles 9 and 69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premised. 이 글은 우리 전통문화유산의 계승・발전과 세계화에 대한 국가적 노력을 헌법적인 관점에서 평가해 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전통문화유산의 발굴과 보존 및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이 특히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15개의 유네스코 등재 세계 유산이 있다. 이러한 세계 유산은 우리 국민들의 소중한 문화적・자연적 자산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 시민들에게도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진 귀한 자산이다. 국가, 특히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등재를 위하여 다방면으로 여러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자연 및 문화유산을 보유한 나라가 되었다. 우리의 전통문화유산이 국가와 민간 부문의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다면, 전 세계인의 문화향유의 대상이 되어 우리 전통문화유산의 세계화를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국가의 노력은 헌법 제9조에 근거를 둔 민족문화창달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잘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국가적 노력이 문화기본권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정당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살펴보기로 한다. 문화기본권의 자유권적 성격과 사회권적 성격을 함께 강조한다면,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의 계승 및 발전을 위한 국가의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실현의무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헌법 제69조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 창달을 위한 국가 과제를 수행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을 다할 대통령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문화와 민족문화 유산을 보호하고 계승・발전시키며 지방문화를 육성하여 문화 분권을 실현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는 구체적인 헌법적 근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헌법 전문, 헌법 제9조 및 헌법 제69조 등에 바탕을 둔 문화국가원리는 독자적인 헌법 원리로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문화적 차원에서의 최저수준의 보장까지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헌법 제10조 및 헌법 제37조 제1항 등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는 문화기본권은 총제적인 성격의 기본권으로 봐야 한다.

      • KCI등재

        전라도 무형문화재 옹기장의 융복합적 환경변화에 따른 전통옹기공방 운영현황

        조성남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succeeding the expansive pottery culture based on the tradition of Jeolla-do pottery. The Western culture adopted with the modernization has brought the ground-breaking changes in the traditional lifestyle.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raw materials and power, and the development of machines, the large quantity of industrial products replacing the traditional household items like pottery was spread. The flow of change was led to the decreased demand for pottery. With the decrease of pottery workshops and pottery masters, diverse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pottery were implemented. The designation of pottery master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could be a part of this preservation policy. Currently,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ttery masters in Jeolla-do include Jeong, Yoon-Seok, Lee, Hak-Soo, Ahn, Si-Seong, and Lee, Hyeon-Ba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ttery masters are facing the situation of inheriting the pottery tradition and also adapting themselves to the changed manufacturing consumption environment of modern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succession and modernization of Jeolla-do pottery trad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raditional pottery succession done in the actual field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workshops based on Onggija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Jeolla-do. The detai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of heavy equipments in the clay process of pottery workshops was the measures for replacing the labor force, which was the change for the succession of pottery tradition. Second, the Surejil technique in the pottery shaping was an important process containing the strong tradition of handwork, compared to other processes. Third, the production of board fence as a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 of the shaping technique of Jeolla-do pottery showed the crossed will to stick to the tradition and also to pursue the efficiency of pottery production through the coexistence of production by handwork and wedging table. Fourth, the improvement of pottery spinning wheel and shaping tool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culture based on the practicality by pursuing the practicality in the selection of spinning wheel and tools. Fifth, as the pottery masters performed the whole processes of pottery production, the omission of hand-painting accompanied in the glazing process reflected the simplific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hange of production items like daily dishware. Sixth, the efficiency of pottery production was sought for by adjusting the production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d products, reducing the size of kilns for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r utilizing the modern-style kiln. Seventh, the traditional pottery like pots was standardized with less items while the small-size living pottery and work pottery emphasizing the formative elements were diversified, which showed the changes in pottery products considering the changes of consumption pattern. The purpose of succession of tradition is toestablish the identity of pottery culture, and also to create the new cultural value, instead of simply maintaining the old stuff.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come a prac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of pottery workshops and for succession of future-oriented pottery tradition. 본 연구는 전라도 옹기의 전통을 토대로 발전적인 옹기문화의 계승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근대화와 함께 수용된 서양의 문물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의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새로운 원료 및 동 력도입, 기계의 발달로 옹기와 같은 전통 생활용품을 대체하는 산업제품들이 대량으로 보급되었다. 변화의 흐름은 옹기 수요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옹기 공방과 옹기장이 줄어들면서 전통옹기의 보존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실시되었다. 옹기장에 대한 무형문화재 지정은 이러한 보존정책 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재 전라도 무형문화재 옹기장은 정윤석, 이학수, 안시성, 이현배 옹기장이 있 다. 무형문화재 옹기장은 옹기전통을 계승하면서 현대 의 변화된 생산 및 소비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옹기전통 계승과 현대화를 위한 토대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라도 무형문화재 옹기장을 중심으로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옹기 계승과 공방현황에 대한 조사·연 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옹기공방의 점토가공에서 중장비의 활용은 노 동인력을 대체하는 방안이며 이는 옹기전통의 계승을 위한 변화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옹기성형에서 수레질은 각 무형문화재의 옹기 제작에서 다른 공정에 비해 수작업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는 중요한 공정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라도옹기 성형기법의 차별적 특징인 판장제 작은 수작업과 토련기에 의한 제작이 공존함으로써 전 통고수와 옹기제작의 효율성을 추구하려는 의지가 교 차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옹기물레와 성형도구의 개량은 물레와 도구의 선택에서 실용성을 추구함에 따라 실용성을 바탕으로 한 옹기문화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섯째, 옹기장이 옹기제작 전 과정을 수행함에 따 라 시유과정에서 수반되는 수화문의 생략은 생산 공정 의 단순화와 일상식기류 등 생산품목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생산수량의 감소에 따른 생산주기 조정과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하여 가마크기를 줄이거나 현대식 가마의 활용을 통해 옹기번조의 효율성을 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항아리류와 같은 전통적인 옹기는 획일화되 고 품목이 줄어든 반면 조형적 요소를 강조한 작품옹 기와 작은 규모의 생활용기가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패 턴의 변화를 고려한 옹기생산품의 변화양상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전통계승의 목적이 단순히 옛것을 고수하는 것이 아 닌 옹기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 운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옹기공방의 현황을 이 해하고 미래지향적인 옹기전통 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전통공연예술의 글로벌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김용범(Kim, Yong-Bum)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1 문화예술콘텐츠 Vol.- No.7

        전통 무형문화유산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하나의 상품으로서 유용한 고부가가치 재화를 창출할 수 있는 창작소재이다. 그러나 이에 불구하고 문화재보호법을 전제로 하는 전통문화의 원형 보존에 대한 시각은 절대적인 문화적 가치를 고수하고 또한 보호한다는 의미이므로 원형의 활용이라는 것은 그러한 본질적인 가치를 상실하게될 여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 훼손의 관점으로 비춰지고 있다. 이에 반해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은 당대의 중심적인 문화 향유양식에 발맞추어 능동적인 적용, 적응을 바탕으로 새로운 포맷을 창출함으로써 대중들에게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상품적 가치를 띠도록 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에서의 법적 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을 재화 창출의 원천으로 삼는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인가에 대한 모순도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화적 원심력과 구심력의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 전통문화예술 원형의 보존과 창조적 계승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였다. 또한 본 논제인 전통 무형문화유산의 글로벌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법적, 제도적 장치로 보호받고 있는 가장 성공적으로 글로벌 콘텐츠화 된 공연예술종목인 사물놀이를 예시 분석을 바탕으로 국가 문화브랜드 측면에서 현재 국제적 공인이 이루어진 8대 유네스코 등재 무형문화유산들을 고찰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가 도모해야 할 전략적 지향점을 제시해보았다. 이들은 한국을 대표하고 문화적 우수성을 선양하는 대표 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적 정책 어젠다로 발전할 수 있으며, 경제적 이윤 생산과 국가 이미지 확립이라는 두 가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국가 브랜드 이미지의 원천이자 국가의 핵심역량인 국가 정체성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해 타 문화권에서의 기대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며, 이를 브랜드 관리차원에서 재해석하여 응용한 것이 국가 브랜드이다. 이는 한 국가가 포함하는 국민, 기업, 정부, 상품 등과 관련된 국가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는 가치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심도 있게 발현하는 국가 브랜드인 전통공연예술의 글로벌 콘텐츠 경영 전략은 그 자체가 상당히 중요한 국가적 어젠다가 되는 것이다.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source of creation for producing high value goods in industrial aspect. However, existing another standpoint, significantly taking values to preservation of cultural archetype with the prerequisite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gives emphasis on maintenance of absolute, essential cultural values judging that the use of archetype can be regarded as cultural impair. On the other hand, the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s the method which guarantees easy public accessibility as well as value of the commodities by the creation of a brand-new format that is in the mass based on adjustment and application to the contemporary culture. Therefore, this thesis plentifully deliberates the contradiction arising from the potentialities of turning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to source of wealth, and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tection and the creative succession is explained through the suggestion of relevance between cultural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 In order to establish global management strategies of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amulnori', one of the most successful and representative case in domestic performing art, is analyzed in the pursuit of further tactics for other eigh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previously registered on UNESCO. Those assets are able to be cogitated as important policy agendas, which conduce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interests and brand images on behalf of the country. National identity is the key factor and the competence of national brand images that generates cultural expectancy by a variety of communicational method. And national brand is a definitive edition of national assets, which is reinterpreted the national image in the perspective of brand management. So accordingly, the global contents management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hich reveal the national identity in depth have potentialities to be significant national agenda in itself.

      • KCI등재

        세계화시대 한국 전통회화의 계승・발전에 관한 연구

        김대열(Kim, Dae-yeoul)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2 No.2

        ‘문화’가 전 지구적 의제의 하나가 되면서 세계 선진국들은 예술의 연구와 계승발전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자국의 문화예술 발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화단에서도 미술 관련기관의 확대와 국제미술제의 개최 등 미술계의 인프라(infra)와 패러다임(paradigm)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그리고 국제화 및 다원문화주의의 기치(기치)아래 기존 가치의 해체가 본격화하면서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수성이나 담론 역시 그 만큼 확대 되는 양상도 아울러 출현시키고 있다. 미술은 모든 문화에 출연하여 그 성질을 조장하고 이를 받쳐주며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언어로 표출해 내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다시 말하자면 미술은 아주 자연스럽게 인류 문화 활동 중에서 조화와 통합을 이루며,전체문화의 맥락 속에서 문화를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각종 문화를 받쳐주는 가장 유력한 버팀대이다.따라서 우리의 모든 문화 활동을 받쳐 주고 변화 발전을 이끄는 미술의 역할이 없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 문화의 창달’은 다만 공허한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미술의 특수성 담론에서 수묵화는 20세기 초부터 줄곧 논의의 중심에 있어 왔다.즉 20세기 100년 동안 서구 미술의 유입 속에서 자국 미술의 민족성과 근현대성을 모색하는데 수묵화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자국미술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보급하기 위해 세계 선진국들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역시 이를 전담하는 국가 연구기관을 설치하여 21세기 문화다원주의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화단의 경우 1910년 일제침략과 더불어 조선왕조의 화원제도인 도화서가 폐지된 이후 지금까지 이렇다 할 국가 연구기관을 마련하지 못한 채 21세기를 맞고 있다.특히 우리 화단은 일제 강점기에는 36년간 일본 전통회화와 일본에 의해 수용된 서구미술을 재수용해야만 하는 왜곡된 상황에 직면해 있었고,20세기 후반에는 동족간의 전쟁과 분단으로 인한 냉전 이데올로기(ideology)의 제약을 어느 지역보다 첨예하게 강요받으면서 근?현대성을 모색해야 하는 특수한 전개과정을 갖고 있었으며,80년대와 90년대는 국제양식의 모방에 급급한 나머지 오늘의 다원문화주의 공간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많은 이들이 그동안 팽배한 서구의 물질문명의 위기를 동양의 정신문명에서 찾으려하고 있다.21세기 한국 수묵화의 나아갈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찾는 다면 그 전망은 아주 밝을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한글신문의 조선문화운동론

        조규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1

        In 1930s, Dongailbo and Chosunilbo carried often articles about national culture. They introduced ‘Chosun culture’ in an editorial or articles. Occasionally they emphasized preservation of historical remains, which were connected with historical heroes of Korea. Sometimes they stressed on protecting picturesque places in Korea, for example Keum-gang Mountain. So they developed Chosun culture movement. Writers of Dongailbo and Chosunilbo expressed their hopes of developing Chosun culture. But their thoughts about the methods of developing Chosun culture were not in accordance. First group of them, who thought ‘Chosun culture’ as all Korean’s aggregate power, wanted to increase Korean’s power of all parts. They intended to increase all sides of Korean’s power. Second group wanted to chang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to the Occidental culture. Namely they unfolded new culture movement. They accentuated on freedom, independence, self-control, and vitality instead of dependence and laziness. The representative person of this group was Lee Gwang-soo. They succeeded to the cultural movement theory in 1920s. Third group intended to develop traditional cultures and characteristic sprit of Korea. So they lay stress on ‘Dangoon’who was the founder of Old Chosun, and the science of Chosun. The representative persons of this group were Ahn Jae-hong and Moon Il-pyeong.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rticles of Chosun culture were disappeared little by little. On the contrary, articles of national sprit come into view step by step. In this times, Dongailbo and Chosunilbo followed the tone of articles of Maeilshinbo. 1930년대 한글 신문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전시체제 하 조선총독부의 동화정책이 진행되던 상황에서 민족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양 신문은 조선과 조선민족의 실상을 파악하라고 역설하고, 조선문화의 발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두 신문의 기사의 내용과 논조는 동화정책의 강화와 전시체제의 공고화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양 신문은 1930년대 초 이충무공ㆍ을지문덕ㆍ권율 등 위인의 유적보존에 관한 글과 조선의 정취, 민족정신, 조선의 독자성에 관한 글, 그리고 조선의 사상과 학문에 관한 글을 자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양 신문은 조선의 정신을 고취하고, 조선의 역사와 사상의 계승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의 문화를 유지 혹은 발전시키려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1930년대 후반에는 조선문화에 관한 기사의 내용이 변하였다. 위인과 관련된 유적의 보존에 관한 사설이 점차 사라지고, 대신에 勝景과 국토의 보존에 관한 글이 여러 차례 소개되었다. 또 1937년 이후에는 민족주의와 민족정신에 관한 사설을 대신하여 국민주의와 국민정신에 관한 글이 다수 실렸다. 두 신문의 사설에 소개된 조선문화 관련 기사의 내용이 이렇게 변화를 보인 것은 1930년대 초 우가키 총독이 ‘內鮮融和’의 정책에 따라 조선인의 자유로운 활동을 어느 정도 용인한 데 반하여, 1936년에 부임한 미나미 총독이 內鮮一體의 정책으로 동화정책을 강화한 것과 관련이 깊었다. 또 1937 중일전쟁 이후 국민총동원체제가 강화됨에 따라 조선인에게 忠良한 일본 臣民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강요한 데에 영향을 받았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사설에 보이는 조선문화운동론은 사상적 기저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민족의 실력양성을 주장하는 민족문화발전론이고, 둘째는 서구의 근대문화 수립을 지향하는 신문화건설론이다. 그리고 셋째는 우리 민족문화의 독특성을 찾아 이것의 계승을 주장하는 전통문화계승론이고, 넷째는 일본국민으로서의 도덕을 발흥할 것을 요구하는 국민정신작흥론이다. 민족문화발전론은 1920년대 실력양성론의 주장을 계승한 것으로 이광수로 대표되는 이른바 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한 이론이었다. 이 운동론의 입장을 지지한 논자들은 현재는 민족경쟁의 시대인 만큼 저급한 수준의 우리의 민족문화를 발전시켜 민족의 번영을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민족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민족 모두가 각기 문화적 역량을 발전시키고, 특히 지식인과 유산자를 중심으로 한 중심세력이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주문하였다. 신문화건설론은 서구의 자율적 합리적 사상에 입각하여 조선의 사상과 문화를 혁신하여 서구의 근대문화를 수립할 것을 주장한 이론이다. 이는 1920년대 자유주의적 문화운동론을 주장한 민족주의 우파의 견해를 계승한 이론이다. 전통문화계승론은 우리의 역사에서 독특한 민족정신과 전통을 찾아 이것을 계승할 것을 주장한 이론이다. 이 이론을 주장한 사람들은 조선 말과 조선 글의 사용을 주장하였고, 조선학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등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이 이 이론을 주장한 대표적 인물이다. 국민정신작흥론은 1936년 미나미 총독이 부임하여 내선일체론에 입각하여 황민화정책을 강화하고, 국민정신총동원운동에 따라 국민정신작흥을 강요함에 따라 ...

      • KCI등재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성향과 변화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시각과 함께 민속문화를 통해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고 확대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가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문화와의 조화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주체가 개인인가 집단인가에 따라 목적과 방향이 확연히 구분되는데, 분명한 것은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 극대화``인 반면에, 집단주의는 ``집단 이익의 극대화``라는 점이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개인을 확대하면 집단이 되고 집단을 축소하면 개인이 되듯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끝임 없이 개인과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중요한 의미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집단의 범위와 정도를 어떻게 보는가의 문제도 중요하며, 그 준거에 따라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살폈다. 이를 토대로 민속문화 가운데 세시풍속에 담긴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한 의미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나``라는 개인이 존재하면서도 ``나``를 포함한 집단의 상호성이 긴밀하다. 즉개인적 목표가 내집단에 종속되며, 상호의존적, 내집단이 심리적 장의 중심이 되며 결과적으로 행위를 통해 ``우리``라는 의식이 비교적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나와 우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독립적이면서 상호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가정신앙과 마을신앙 그리고 풍수에 기반 한 조상묘와 입석의 사례 등에서도 확인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민속문화에 나타난 집단주의는 집단(마을)을 위한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마을사람들)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있는데, 다만 개인과 집단 가운데 어디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가에 차이 일뿐 그 명확한 경계선은 없다. 이외 장자못전설과 유교이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도 민속문화에서 지향하는 개인과 집단이 결코 개별적이거나 독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살폈다. 또한 문화형태가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개인과 집단이 결국 하나의 세트가 되어 맞물려 있고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문화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외적 혹은 내적요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는 상황 속에서 민속문화를 통해 앞서 제시한 전통적 가치의 장점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상호보완적인 관계 즉, 조화를 이룰때 가장 이상적인 이념체계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ism is shown and groupism is expandedthrough folk culture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cceeding to traditional values and harmony with modern culture based on them. Among folk culture, there is an individual called me and close group interaction including ``me`` in seasonal customs. That is, it can be found that me and u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not existing individually. This point was found in household religion, village beliefs, and the graves of our ancestors and menhir(立石) based on feng shu.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groupism shown in folk culture just depends on cultural forms which is focused on. It was found thatindividuals and groups seek for mutual harmony as a set. Finally, it again emphasized the ideal ideology when traditional values continue to develop through folk culture and individualism and groupism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s they continue to chang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성향과 변화

        서해숙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This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ism is shown and groupism is expanded through folk culture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cceeding to traditional values and harmony with modern culture based on them. Among folk culture, there is an individual called me and close group interaction including ‘me’ in seasonal customs. That is, it can be found that me and u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not existing individually. This point was found in household religion, village beliefs, and the graves of our ancestors and menhir(立石) based on feng shu.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groupism shown in folk culture just depends on cultural forms which is focused on.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and groups seek for mutual harmony as a set. Finally, it again emphasized the ideal ideology when traditional values continue to develop through folk culture and individualism and groupism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s they continue to change in modern society.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시각과 함께 민속문화를 통해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고 확대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가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문화와의 조화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주체가 개인인가 집단인가에 따라 목적과 방향이 확연히 구분되는데, 분명한 것은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 극대화’인 반면에, 집단주의는 ‘집단 이익의 극대화’라는 점이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개인을 확대하면 집단이 되고 집단을 축소하면 개인이 되듯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끝임 없이 개인과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중요한 의미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집단의 범위와 정도를 어떻게 보는가의 문제도 중요하며, 그 준거에 따라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살폈다. 이를 토대로 민속문화 가운데 세시풍속에 담긴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한 의미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나’라는 개인이 존재하면서도 ‘나’를 포함한 집단의 상호성이 긴밀하다. 즉 개인적 목표가 내집단에 종속되며, 상호의존적, 내집단이 심리적 장의 중심이 되며 결과적으로 행위를 통해 ‘우리’라는 의식이 비교적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나와 우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독립적이면서 상호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가정신앙과 마을신앙 그리고 풍수에 기반 한 조상묘와 입석의 사례 등에서도 확인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민속문화에 나타난 집단주의는 집단(마을)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마을사람들)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는데, 다만 개인과 집단 가운데 어디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가에 차이 일뿐 그 명확한 경계선은 없다. 이외 장자못전설과 유교이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도 민속문화에서 지향하는 개인과 집단이 결코 개별적이거나 독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살폈다. 또한 문화형태가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개인과 집단이 결국 하나의 세트가 되어 맞물려 있고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문화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외적 혹은 내적요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는 상황 속에서 민속문화를 통해 앞서 제시한 전통적 가치의 장점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상호보완적인 관계 즉,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이상적인 이념체계임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 중국 사상계의 현실 인식과 사회변혁론 ― 위원魏源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이철승 동양사회사상학회 2002 사회사상과 문화 Vol.6 No.-

        과학 기술로 무장한 서양의 제국주의가 중국에 진출하던 19세기 중엽, 중국의 사상계는 다양한 가치관이 혼재하고 있었다. 중국의 학자들은 각자의 관점에 따라 전통 사상의 우수성만을 말하거나, 서양의 천주교 사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고자 하거나, 전통의 새로운 변용과 서양의 사상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등 중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대안을 제시하였다. 위원은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전통 사상과 서양 사상을 경직된 자세로 대하지 않았다. 그는 한편으로 전통 사상 가운데 한대의 훈고학이나 송대의 성리학적 이론 체계가 지나치게 관념적이기 때문에 당시의 중국 상황에 실제로 적용시킬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여 비판했고, 다른 한편으로 전통 사상 가운데 자연에 대한 인간의 능동적 작용을 인정한 ‘인정승천人定勝天’ 사상·‘변화’ 사상·‘행선지후行先知後’ 사상·‘행중지경行重知輕’ 사상 등 실제적이라고 생각한 각종 사상을 계승했다. 또한 그는 서양으로부터 전파된 각종 과학 기술 사상과 민주적인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중국의 상황에 실제로 적용시키려 하였다. 이와 같은 위원의 학문적 자세와 생활 태도는 그를 당시의 완고한 수구 세력과 구별되게 하였다. 그는 당면한 현실에 대해 항상 실질적으로 사고하고 실제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이러한 위원의 실제를 중시하는 사상은 이후의 중국 사상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비록 그의 철학 이론이 시대적인 한계로 인해 곳곳에서 관념적인 부분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그의 ‘전통’에 대한 비판적 계승과 ‘서양’에 대한 방법적 수용은 ‘전통’과 ‘현대’ 및 ‘동양’과 ‘서양’의 가치가 여전히 혼재하고 있는 오늘날의 중국은 물론 우리의 사상계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19世紀中期科學技術發達的西方帝國主義經常侵略了中國. 當時中國思想界混在了多種多樣的價値觀. 有一些學者仍然只談傳統思想的優秀性, 有一些學者吸收西方天主敎思想然后想建設新世界, 另外有一些學者爲了克服中國危機狀況傳統思想的新變形與西方思想有機地結合起來. 這樣當時學者們按照自己觀点提出了多種多樣的方案. 魏源在尋找方案過程中對傳統思想與西方思想不採取頑固態度. 他一方面批評了漢代訓詁學與宋代性理學. 因爲他把漢代訓詁學與宋代性理學的理論系統認爲是非實際理論系統的. 他另一方面繼承了傳統思想中 ‘人定勝天’思想·‘變化’思想·‘行先知后’思想·‘行重知輕’思想. 因爲他把這種思想認爲實際思想. 還有他積極地吸收了從西方傳來的科學技術思想與民主思想. 他把這種西方思想爲實際地運用中國努力工作. 這樣魏源的學問姿勢和生活態度與頑固保守派使他區別開來了. 他面臨現實一直想採取實際思考與實際行動. 這樣魏源的哲學思想對以后的中國思想界産生了很大影響. 雖然他的哲學理論中有一些非實際部分, 但是他對‘傳統’的批判繼承與對‘西方’的方法論性的收容是很有意義的. 我認爲他的這種思想對‘傳統’與‘現代’及‘東方’與‘西方’的思想因素仍然混在的如今中國與韓國思想界具有肯定的意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