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이승억,설문원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2

        In consideration of the drastic transformation of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at a national level. First, it clarifies the four implicit objectiv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since the 2006 amend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uch as comprehensiveness for ensuring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any type of digital records, digital-friendly processes for records management, proper management for guaranteeing the evidential value of digital records,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Second, it examines the challenging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eas since 2006. Third, it reviews the achievement of the policies as well as failures based on analyzing the policy documents and data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urth and finally, it suggests core areas and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emphasizing the inclusiveness for data-type electronic records. 이 연구는 기록관리의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전자기록관리정책이 전면 재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재설계 영역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그간의 전자기록관리정책조사를 통해 전자기록관리대상의 포괄성, 프로세스의 기술 친화성, 전자기록의증거력 보장,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이 주요 추진목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러한 정책목표 추구과정에서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환경 변화를 검토하였다. 셋째, 앞에서 정리한 정책목표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현행 전자기록관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국가기록원의관련 문서와 보고서, 데이터를 토대로 검토하였다. 넷째, 정책 현황과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재설계되어야할 정책 영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데이터형 전자기록’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기록을 핵심 관리대상으로 설정할 것을 강조하면서 정책 재설계 영역을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절차적 관점에서의 신뢰 보장, 지속가능한 관리체계의 조성으로 잡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사전자기록 위작의 개념과 허위작성의 법적 평가 -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진의 가상화폐 임의충전 행위에 대한 사전자기록등위작죄 성립 여부 - - 서울고등법원 2019. 7. 23. 선고 2019노396 판결 -

        金珍 ( Jin Kim )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4

        문서에 관한 죄의 발전사는 사회 발전과 사회현상의 변화를 반영한다. 전자기록이 문서의 기능을 대체하자 입법자는 관련 규정을 신설하였지만, 위작·변작의 의미를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아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이후 대법원은 공전자기록 위작에 권한을 일탈·남용하여 시스템 설치·운영 주체의 의사에 반하는 허위작성도 포함된다고 해석함으로써 규율 범위의 불명확성을 보완하였고, 이제 사전자기록에 관한 판단을 앞두고 있다. 형법의 해석을 통해 가벌성의 영역을 확대할 경우 죄형법정주의의 한계를 준수하여야 한다. ‘위작’의 용법, 입법제안이유서에서 위작에 허위작성이 포함된다고 명시한 점 등 입법배경, 공·사전자기록 공통의 구성요건인 위작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해석 등에 비추어, 사전자기록의 위작 역시 권한 있는 사람의 허위작성을 포함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나아가 문서죄 보호법익의 발전사, 전자기록의 특성과 보호 필요성, 공·사 구별 실익의 약화, 사적자치의 제한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형사정책상 공·사전자기록의 허위 작성을 처벌할 필요성이 인정되며 사전자기록의 진실성에 대한 공공의 신용도 보호법익의 범주내로 해석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하지만 사문서에 대해 가벌성이 없던 허위 작성을 전면적으로 처벌 대상에 포함시키려면 수범자의 예측가능성과 죄형법정주의 관점에서 입법으로 명확히 하여야 한다. 현단계에서는 권한의 일탈·남용으로서 시스템 설치·운영 주체의 의사에 반하는 경우와 같이 권한 범위의 해석을 통해 제한적으로 처벌이 가능하다고 봄이 상당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상판결에서 피고인들의 행위는 정해진 권한의 범위를 벗어나 시스템 설치·운영 주체의 의사에 반하는 허위 사전자기록을 작성한 것이므로 공전자기록에 관한 대법원 판결, 전자기록의 특성과 보호법익 등에 비추어 위작에 해당한다. 나아가, 가상화폐 거래소 고객들과 시스템 운영 주체 사이에 권한의 범위에 대한 제한사유가 있으므로, 사안과 달리 운영 주체가 행위자인 경우라도 권한을 벗어난 허위작성은 위작에 해당한다. The history of criminal behavior relative to documents has reflected the societal development and the transformations of social phenomena. As the electronic records came to replace the function of written document, legislators created new rules to deal with this change. Nonetheless, there exists controversy for it has failed to clearly define what ‘creation’ of false electronic records means. Ever since, the Supreme Court compensated the existing defect in the definition of the range of such crimes interpreting that allowed to include creation of any false documents against the will of those in charge of operation of the system by deviating from or abusing the legitimate power in the category of creation of false public electronic records. Now, 15 years since the decision, the Supreme Court is expected to render judgment as to the private electronic records. To expand the range of punishm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criminal law, one must abide by the principle of legality(nulla poena sine lege). In light of the common usage of the term, ‘creation’ of false electronic records, as specified in the statement of legislative intention, and decisions made by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dealing with the concept of ‘creation’ as a common element of both public and private electronic records, the creation of false instrument by a person with authority in private sphere may also viewed as so. Moreover,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related to crimes involving written instrument, the need to protect special features of electronic records, and the declining practical utility of differentiating public and private electronic record, it is necessary to protect public trust by punishing the creation of false private electronic records. From the standpoint of criminal justice policy, ultimately, the need to punish creation of false electronic records regardless of it being public or private should be duly recognized. If, however, creation of false electronic records with authority of private document is to be subjected to punishment, it should be specifically so stated by legislative act in accordance with viewpoint of the predictability of the criminal and the principle of legality. At present, an act committed as a form of deviation from and abuse of given authority against the will of those in charge of operation of system only may be punished according to the range of authority in question. From this viewpoint, the current case should be looked upon as creation of false private electronic records outside the range of authority determined by both the users of the virtual currency exchange service and those in charge of operation of the system in question, in view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on public electronic records and the special features and benefit protected by law regarding electronic records. Furthermore, because there exist certain restrictions concerning the range of authority to create records between customers and those in charge of system operation, falsification even by system operators may also constitute creation of false private electronic records outside the authority so restrained.

      • KCI등재후보

        전자의무기록의 운용 및 그에 대한 민·형사상 문제점

        류화신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5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32

        2002. 3. 30. 의료법 개정으로 의료인은 종이형태의 진료기록부 외에도 전자서명이 기재된 전자문서로 의무기록을 작성·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의료법 제21조의 2에 근거하고 있는 이러한 전자의무기록의 운영 현황 및 운영상 문제점, 그에 대한 현행법상 법적 평가에 관한 부분을 다루고 있다. 전자의무기록은 1990년도 후반에 국내에 도입되어 현재 수준에서는 1개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정보가 전산화되고 있는 단계이지만 향후에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채택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방식을 확대·도입함으로써 의료기관간에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의무기록의 전송 및 공유화 단계를 꾀하고 있다. 아직까지 전자의무기록에 대해서는 규제적인 측면보다 기술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으며, 의료법이 서둘러 법제화한 것에 비해서 실제 전자의무기록은 활발히 운용되고 있지 못한 것 같다. 그 이유로는 전자서명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증료 부담과 같은 사실상 문제, 전자의무기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의료법시행규칙이 규정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하는 백업저장시스템과 같은 법해석상 문제, 그리고 환자 사생활보호를 위한 지칭 및 의료정보 표준화를 위한 보건복지부장판의 고시 등의 마련과 같은 제도상 문제 등을 지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자의무기록의 발전을 위하여 이상과 같은 현행법의 개정과 제도 보완에 관하여 언급하고, 더 나아가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위작·변작, 훼손, 접근·보존·출력 등의 운용상 문제점 및 진료정보 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 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delves to the article 21-2 of the Medical Act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It examines the general developing pace, the current situation of applying EMR in Korea, and legal effect.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some problems that we might face when we operate EMR, for example, some problems of the authentication by licensed certification authority in the process of digital signature, and some ways of solving the problem of forgery or alteration in the existing laws. Further to this, this study mentions not only operating problems of accessing, keeping, printing out of EMR information but also countermans of protecting the information on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will provide brief assertion and make some legislative proposals to enhance the status of EMR.

      • KCI등재

        전자기록 정보패키지 구축 사례 연구 -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기술규격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김성겸 한국기록학회 2007 기록학연구 Vol.0 No.16

        Those days when people used paper to make up and manage all kinds of documents in the process of their jobs are gone now. Today electronic types of documents have replaced paper. Unlike paper documents, electronic ones contribute to the maximum job efficiency with their convenience in production and storage. But they too have some disadvantages; it's difficult to distinguish originals and copies like paper documents; it's not easy to examine if there is a change or damage to the documents; they are also prone to alteration and damage by the external influences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and electronic documents require enormous amounts of workforce and costs for immediate measures to be taken according to the changes to the S/W and H/W environment. Despite all those weaknesses, however, electronic documents increasingly account for more percentage in the current job environment thanks to their job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production costs.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have made efforts to come up with plans to maximize their advantages and minimize their risk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methods is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which is described in the study. There are a couple of prerequisites for its smooth operation; they should guarantee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administrative aspects and first secure the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technological aspects. Responding to those needs,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which were the two main bodies to drive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project, revised the Electronic Commerce Act and supplemented the provisions to guarantee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2005 and conducted researches on the ways to preserve electronic documents for a long term and secure their reliability, which had been demanded by the users of the center, in 2006. In an attempt to fulfill those goals of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this study researched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of the center and applied the ISO 14721 information package model that's the standard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data. It also suggested a process to produce and manage information package so that there would be the SIP, AIP and DIP metadata features for the produc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by users points of electronic documents and they c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enter's policie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study introduced the flow charts among the production and progress process, application methods and packages of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at the center and suggested some issues that should be consistently research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예전에는 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모든 기록들은 종이 형태로 작성, 관리했었으나 최근에는 전자적 형태의 기록이 종이를 대신하고 있다. 전자기록은 종이기록과 달리 생산과 보관의 편리성으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을 갖고 있는 반면에 종이기록처럼 원본과 사본의 뚜렷한 구분이 어렵고 변경, 훼손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전자적 환경에서 외부 영향에 의해 변경, 훼손될 수 있으며 S/W, H/W 환경이 변화할 때마다 즉각적인 조치를 취함에 있어 어느 경우에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무의 편리성과 생산비용의 효율성으로 인해서 현재 업무 환경에서는 전자기록 생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민간 영역에서는 전자적 형태의 기록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그 방법 중의 하나가 본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사업(이하 공전소 사업)이다. 원활한 공전소 사업를 위해서 행정적으로는 전자기록의 법적 효력 보장과 기술적으로는 전자기록의 신뢰성, 진본성 보장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했다. 그래서 공전소 사업 주체인 산업자원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은 2005년 전자거래법 개정을 통해서 전자기록의 법적 효력 보장 규정을 보완하고 2006년에는 공전소 이용자의 요구인 전자기록의 장기보존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진행됐다. 이러한 공전소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공전소 전자기록 정보패키지 연구에서는 디지털 형태의 장기보존을 위한 표준인 ISO 14721 정보패키지 모델을 적용하여, 전자기록이 생산 시점의 SIP, 보관 시점의 AIP, 이용자 활용 시점의 DIP 메타데이터 기능을 마련하고 이들이 공전소 정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도록 정보패키지를 생성,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공전소 전자기록 정보패키지의 생성, 진행 과정과 적용 방법, 패키지 간의 흐름도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이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웹기록물 보존을 위한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 확장 설계

        박병주(Boung-Joo Park),차승준(Seung-Jun Cha),이규철(Kyu-Chul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4

        웹기록물은 공공기관의 업무활동이나 전자상거래에 대한 법적증거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존할 가치가 있는 정보이지만 웹기록물의 특징 중 하나인 ‘휘발성’으로 인해 소실되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사라지는 웹기록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한 장기보존포맷이 정의되어야 한다. 웹기록물은 전자기록물의 일종이기 때문에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에 보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표준으로 제시된 포맷은 웹기록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의되었기 때문에 웹기록물을 보존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심층 웹기록물 문서보존포맷으로 연구된 KoDeWeb/KoSurWeb과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기록물을 보존할 수 있는 확장된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을 정의하였다. 정의된 포맷을 활용하면 웹기록물도 전자기록물들과 같이 보존되어 활용될 수 있고,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공공기관의 웹기록물을 보존함으로써 전자 상거래에 대한 법적 증거로서 활용될 수 있다. Web records is valuable information to preserve, because it can be used as a legal evidence about business or e-commerce of a public institution, but it is easily disappeared because of its volatile characteristic. Therefore, archival information package should be defined for long-term preservation. Web records can be stored in the archival information package for electronic records, because web records is a kind of electronic records. However, the NEO(NARS Encapsulation Object), the archival information package for electronic records in Korea, can’t able to store web records, because it was develop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web records. In this paper, we define extended NEO based on the analysis of KoSurWeb and KoDeWeb, that archival information package for document of surface and deep web as well as the NEO. Web records can be preserved and utilized along with electronic records by using the extended NEO. Also it can be used for record and legal evudence by archiving web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 about e-commerce.

      • KCI등재후보

        전자기록의 영구보존을 위한 이관 방안: 미국의 사례

        김병록 한국거버넌스학회 200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3 No.1

        Government documents are changing from paper-based to electro nic form. Electronic records have problems inhered in the step of transfe rring them to permanent preserve place such as the nature of electronic media , the fragility 정부문서들은 종이위주에서 전자형태로 바뀌고 있다. 전자기록은 전자매체의 성질, 전자기록의 손괴 용이성, 전자기록의 조작용이성과 보안 문제, 기술적 종속성, 그리고 기록의 맥락성으로 인하여 영구보존을 위한 이관 단계에 있어서 여러 문제들을 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국립기록관리청(NARA)의 전자기록이관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전자기록을 이관하는데 내재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전자기록을 기술적으로 무한히 보존하는 방법, 그리고 행정의 책무성, 전자기록에의 접근성, 그리고 정보자원으로서 전자기록의 이용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그리고 이관되는 전자매체의 표준화 또한 전자기록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접근방법으로 다루어진다.

      • KCI등재

        전자기록 장기보존 전략으로서의 에뮬레이션 사례 분석

        김명훈,오명진,이재홍,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In response to the current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 storing electronic records for necessary long terms have been the topic of the times. Especially, the method to preserving original form such as original functional property and bit stream becomes the key to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Until now in Korea migration methods were chosen as long term preservation strategy for public records, but the limitations were that the functionality and the original bit stream could not be maintained. Among the strategies for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emulation has significant strengths in that it can replicate the original form of electronic records without changes in the bit stream, and that unlike migration it can establish a single preservation strategy without needing to apply individual strategies according to type of electronic record. Especially because it can replicate the functional components that cannot be implemented in the current long term preservation format,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he studies of electronic record types currently used by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to explore the methods for applying emulation as a strategy for the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reviews the latest study cases from the west about emulation as base study, and tries to analyze the specific cases about the feasibility, target, and methods of emulation. Through this the study trie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application as well a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mulation. To do this, the study analyses the concep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mulation as a long term preservation strategy, the analyses the latest best cases of emulation in the west; CAMiLEON, KB, Planets, and KEEP project. Based on thes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methods for electronic records in the future in Korea. 전자기록 환경을 맞이하여 필요한 기간 동안 장기적으로 전자기록을 보존하는 것은 시대적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전자기록이 지닌 본래의 기능적 속성 및 원래의 비트스트림을 유지하며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은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핵심 관건이 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공공기록을 대상으로 마이그레이션 방식을 장기보존 전략으로 채택해 적용해 왔지만, 기능성 및 원래의 비트스트림을 원래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노정되어 왔다.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은 비트스트림의 변화 없이 전자기록의 원형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울러 마이그레이션처럼 전자기록 유형별로 개별적인 전략을 적용할 필요 없이 일괄적인 보존전략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강점을 지닌 보존전략이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포맷에서는 구현해 주지 못하는 전자기록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재현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공공기관에 보유 중인 전자기록 유형 조사를 기반으로 그 실현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에뮬레이션에 관한 서구의 최신 연구 사례를 검토하고, 에뮬레이션의 타당성과 대상,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고찰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에뮬레이션이 지닌 장단점과 더불어 국내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에뮬레이션의 개념과 함께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이 지닌 장단점을 분석한 다음, 에뮬레이션에 관한 서구의 최신 선진 사례로 CAMiLEON, KB, Planets, KEEP 프로젝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전자기록에 대한 시사점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電子어음제도의 현황과 법제도적 과제 -한국의 電子어음법과 일본의 電子債權記錄法의 비교에 기초하여-

        안수현 한국상사법학회 2017 商事法硏究 Vol.35 No.4

        In Korea, one of most popular traditional financing scheme is an issuance of promissory notes and a discounted assignment of its claims. However this scheme requires the payment of costs related to the issuance, delivery and storage of promissory notes, and is a susceptible to the theft or loss of notes/bills. Considering these problems, the Electronic Promissory Notes Act was enacted in March 2004 in Korea. With this Act, the electronic notes system electronically establishes bills and notes and provides a method a perfecting claims. It is known that this Act is the first law of its kind internationally. Japan enacted the similar law regarding electronic notes and electronic claims. However, two systems between Korea and Japan are substantially different in practice. In Japan, the Electronically Recorded Monetary Claims Act was enacted on June 20 2007 and took effect in December 2008. The system of electronically recorded claims established by the new law provides for new types of monetary claim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existing ones. As a means of raising funds by utilizing monetary claims, a business operator can assign its accounts receivable and bills/notes drawn to another company that has a business relationship with the business operator or pledge them as collateral to such company. However, the problem with assigning accounts receivable or pledging them as collateral is that it costs time and money to confirm the existence and the identity of the owner of receivables to be assigned. Likewise, the problem with assigning bills/notes or pledging that as collateral lies in the custody costs, risk of loss, etc. inherent in the bill/notes in paper format. The electronically recorded monetary claims system seeks to eliminate the aforementioned shortcomings of bill/notes and nominative claims and facilitate business operators/ financing activities by creating a type of monetary claim that is different from nominative claims and bill/notes receivable, and thereby ensure the security and liquidity of transaction. Accordingly electronically recorded monetary claims can fulfill the same function as substitutes for bills/ notes, as measures similar to those for bills/notes have been taken to ensure the security of transactions. To compare the Korean Electronic Promissory note system with Japan's electronically recorded monetary claims system, there is following common features. First of all, neither type of claim is affected by the existence or validity of the legal relationship that substantially created the claim. Second, neither type of claim is recognised without a electronic records. Third, the obligations and rights under both types of claim are determined only by what is recorded in electronic records. Both system has no written documents issued for the claims. This lack of written documents results in the elimination of costs associated with the issuance, delivery and storage of written documents as well as the elimination of the risks of theft or loss of written documentation. Forth, partial or full satisfaction of claim or endorsement is allowed in both system. That means that they can be used for making payments to multiple secondary supplier. One key difference between electronic promissory note system and electronic recorded monetary claims is the fact that endorsement is not needed in later system. Instead that, guarantee scheme can be used to establish guarantee obligation under the law. In addition, Japan’s law establishes principles of acquisition in good faith and inability to claim affirmative defences to ensure the certainty of transactions of electronically recorded claims. However, there is some controversial debates regarding whether acquisition in good faith is recognized In electronic promissory note system in Korea. Considering the function of note/bill issuance scheme, Electronic Promissory Notes Act should guarantee to facilitate financing for businesses by ensuring the certainty of t... 서면증권이라는 유체물을 근간으로 하는 어음은 어음의 수수와 추심을 위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분실과 위·변조 등의 취약점을 갖고 있다. 때문에 전자화의 필요성은 일찍부터 인식되어 2004년 3월 22일 『전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현재 전자어음의 이용은 종이어음의 지급제시건수를 초과하고 있어 중요한 상거래결제수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발행인 등록건수는 2만 건을 갓 넘은데 그치고 있어 기업의 자금조달 및 유동성 강화와 지원을 통해 전자어음제도의 이용을 확대하는 방안들이 다양하게 모색될 필요가 있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어음제도의 전자화 유도차원에서 전자기록방식이라는 전자화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전자기록채권법을 제정하였다. 이를 통해 전자어음 유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처럼 상거래의 지급결제수단중의 하나인 전자어음제도를 둘러싸고 유가증권 정합성과 효율성차원에서 각국의 입법방식은 상이하다. 전자어음법과 전자기록채권법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적 정보를 등록하는 것의 법률 효과가 다르다는 점이다. 일본의 전자기록채권법은 권리발생의 기록을 효력요건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전자어음법은 전자어음을 전자어음관리기관에 등록하도록 요구하고 있을 뿐 등록에 특별한 효력을 부여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일본의 전자기록채권법 역시 유통성 확보를 위하여 선의취득, 인적항변의 절단, 지급면책, 전자기록보증채무의 독립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전자기록채권은 어음이 아니기 때문에 배서라는 제도는 있을 수 없다. 즉 양도의 기록밖에 인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본의 전자기록채권의 경우 선의취득제도를 인정하여 등록된 정보를 신뢰하여 전자기록채권을 거래한 제3자를 폭넓게 보호하고 있음은 어음제도와 동일하지만 당사자의 특약에 의해 선의취득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탄력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그외에 전자어음법에서는 분할양도의 경우 최초의 배서인에 한해서 5회 미만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제한한데 비해 일본의 전자기록채권은 자유롭게 분할할 수 있는 점도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권리 소멸측면에서 전자어음의 경우 어음에서 요구되는 방식을 따르도록 하고 있는 반면에 전자기록채권의 경우 채무이행의 방식에 대해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다. 이처럼 상거래결제수단으로 이용하는 어음과 관련하여 전자화방식은 상이하지만 두 제도의 관건은 어떻게 하면 자금유동성과 유통성 그리고 신뢰성을 강화할 것인가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법에서 직접 규제하는 조치보다는 기업의 자금유동성을 지원 및 확대하는 방안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전자어음거래의 안정성 확보 및 이용자보호를 위하여 의무를 위반한 전자어음관리기관에 대해 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는 근거를 법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밖에 전자어음법상의 약관과 관련하여 전자금융거래법과 정합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어음의 무권화를 위한 제도적 조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이질적 전자기록물로 구성된 복합전자기록물 장기보존에 관한 연구 조사 및 분석

        황윤영(Yun-Young Hwang),이규철(Kyu-Chul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4

        우리나라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는 매우 많은 양의 전자기록물을 생산하고 있는데, 그 종류도 다양하다. 또한, 이질적인 전자기록물이 결합하여 하나의 전자기록물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를 복합전자기록물이라고 부른다. 복합전자기록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기록물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부부처에서는 페이스북을 이용하여 각 정부부처의 정책 공지 및 국민의견을 수렴하는 등 그 활용도와 가치가 높다. 이 외에도 많은 복합전자기록물이 우리나라 정부부처로부터 생산 및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들에 대한 보존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많은 정보가 유실되거나 방치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정부부처에서 생산 및 유통되는 복합전자기록물의 종류 및 특성을 살펴보고, 복합전자기록물 보존 관련연구를 조사?분석한 뒤 장기보존 전략을 제안한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in Korea,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 sectors produced a diversity of electronic records. In addition, they generated new electronic records (we are called composite electronic records(CERs)) which are composed of disparate electronic records. Typical examples of CERs are the records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Currently, most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in Korea uses the Facebook Page to announce their policy and to collect feedback from the people. In addition, many CERs are created and produced. However, the government of Korea has no preservation policies about CERs. It causes problems with losing or neglecting a lot of information. Therefore, we presented th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ERs which are produced by government departments of Korea. Moreover, we analyze and represent the researches of CERs preservation. Finally, we proposed the mechanism to preserve of CERs in Korea.

      • 재판기록 및 조서에 관한 실무 개선 방안 연구

        김형진(Kim, HyungJin) 사법정책연구원 2015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5 No.-

        우리 법원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법원을 만들기 위하여 재판절차의 신속성, 투명성을 높이고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여 왔다. 「민사소송 등에서의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법원이 작성하는 재판서·조서의 전자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민사소송법」에 근거하여 법정에서의 변론내용을 녹음의 방식으로 기록하는 법정녹음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재판서·조서의 전자화 및 법정녹음 시행이라는 재판환경을 분석하여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관한 외국의 재판실무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은 후, 이를 바탕으로 재판 기록 및 조서에 관한 실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장에서는 재판서·조서의 전자화, 법정녹음의 시행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과제 를 발굴하였고, 제3장에서는 전자소송, 법정변론 기록에 관한 미국, 독일 등 외국의 재판 실무를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비교법적 검토를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우리 재판실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종이소송사건에서 재판서·조서의 전자화에 따라 하나의 재판기록이 종이기록과 전자기록으로 분리되면, 재판기록 중에서 전자기록은 전산정보처리시스템에 따라, 종이기록은 종이소송사건 처리방식에 따라 각각 이원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원적 기록관리에 따른 가독성 저하 문제는 충실한 조서 작성, 조서목록 및 통합조서 활용 등의 방법으로 극복한다. 둘째, 법정 중심의 충실한 심리를 위하여 참여관, 실무관의 역할을 한층 강화하고 재판 장과의 유기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재판기록 및 조서에 관한 적절한 협업체계를 구축한다. 셋째, 전자소송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안정적이고 편리한 전자소송시스템을 구축하며, 종이문서를 전자기록화하기 위한 예산과 인력을 확보하여 전자소송을 활성화한다. 넷째, 법정변론을 녹음의 방식으로 기록할 때 변론내용을 2중, 3중으로 중복하여 기록 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쟁점목록 및 절차협의안, 요약조서, 증인진술서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효율적인 심리 방식을 정착시켜 나간다. The Korean Court has incessantly tried to secure speediness, transparency, and fairness of the trial procedure in order to have the people trust the court. Under the 「Act on the Use, etc. of Electronic Documents in Civil Litigation, etc.」, the court has been promoting overall electronization of procedure including filing judgment and court reports. Also, the voice recording is now more likely to qualify as documenting method of oral proceeding. Accordingly, this research tried to focus on the measures to improve the trial affairs, in which the trial parties have submitted paper documents to the court. In Chapter 2, it scrutinizes the current state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Chapter 3 introduces electronic pro-cedure and court voice records system in foreign countries including U.S. and Germany. In Chapter 4, it shows the ways to improve the trial procedure using comparative legal approach. Since the court is bound to use of electronic filing even in the paper litigation, the trial records are divided into paper record and digital record. The records are main-tained dually, which means the digital record is managed by the electronic filing system while the paper record is managed by the paper litigation system. The readability dete-rioration caused by the dual record system can be overcome by an earnest attitude in writing reports and utilizing integrated reports and reports lists. The court should reinforce the role of court clerks by grading, and construct proper co-operation system with judges by encouraging communication. The electronic case filing should be phased in step by step and the electronic trial proce-dure should be systemized in a stable and convenient way. Additionally, sufficient budget and human resources need to be procured to convert paper documents to electronic ones. Finally, in documenting court pleadings in the form of a voice recording, it needs to make sure the trial contents are not repeatedly recorded. The court could establish effective trial procedure by the proper use of issue lists, procedure agendas, summary reports, and witness stat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