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 그래픽패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장순석,김필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200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12 No.-

        박물관은 한 지역을 터전으로 하여 살고 있는 그 지역사람들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다시말하면 그 사람들이 처해 있는 자연환경과 역사적 특성을 내포하고는 자료들을 수집, 보존, 연구과정을 거 쳐 전시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보여주고 또 교육하는 공공의 문화시설이다. 박물관은 대중이 참여하는 직접 적인 생활문화, 사회문화의 매체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초창기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은 자료수집과 보존이었으나 차츰 발전하여 전시와 연구로, 또 사회교육의 도 구로 자리잡으면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는 부분이었다. 박물관이 대중에게 공개 된다는 것은 타 문화관련 매체와의 경쟁을 의미하는데, 이에 박물관은 물적 자료 외에 전시자료의 효과적 인 활용과 관람자를 유입하기 위한 매체의 시각적 다양성에도 비중을 두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에 와 있다. 서울이라는 거대도시를 대상으로 건립된 서울역사박물관은 건립목적에도 나와 있듯 세계적 수준의 고급 문화중심의 미학박물관이다. 뿐만 아니라 서울의 대중문화를 대변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박물관이므로 전시 연출요소나 전시매체의 디자인에서도 보다 미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으로 선진적인 문화를 주도해야함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2001년 9월부터 2002년 5월 개관일 까지 약 9개월간 직접 참여하여 수행한 서울역사박물관의 실행사례를 바탕으로 그래픽태널디자인의 전 작업과정을 제시, 체계적인 설명 과 단계마다의 실례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그래픽패널이 기획에서부터 결과물이 완성될 때까지의 일련의 과정, 즉 디자인을 위한 전제 고찰, 컨셉트 추출에 대한 항목별 분석과 후속되는 일련의 과정을 전개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노력은 기존 그래픽패널의 단순 정보전달 기능과 오브제의 보충설명적수단을 벗어나, 그래픽패널 자체로 독자적이면서도 미적 조형성과 오브제와의 조화성을 수행하고 있음을 규명하고, 디자인에 반영해서 그래픽패널이 전시연출의 필수요소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한 차원 높은 전시 장 연출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 무게를 실었다. The museum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people who lives in one specific area. In another words, after collecting, preserving, and analyzing materials containing historical quality and natu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they where placed in, it is shown through a form of an exhibition, an public cultural facilities. .The museum takes the most important role as a media in direct living and social culture that the public share. The function of the museum in an early stage was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 materials. But, it has changed to the implements of exhibition, research and the social education as ft develops gradually. Meanwhile, the most significant change of the museum was opening to the public. It means the competition between many other cultural media. Therefore, now the museum has to attach the importance of visual media for the effective exhibition materials use and to attract people.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one of the highest aesthetic museum in the world. It was erected to object the metropolis, Seoul. Moreover, it is a representative museum in Korea, which shows the pop culture in Seoul. The museum needs to approach more aesthetic and scientific display design to lead advanced culture. It is based on the practical examples of Seoul Museum of History that the researcher directly participated from September, 2001 to May, 2002 - the opening day. The research is progressed by showing all stages of graphic panel design with the systematic descriptions step by step.lt was developed from preconsideration for the graphic panel to itemized analysing about conceptual abstraction and following processes. The Research is concentrated on the graphic panel, performing aesthetic form and the harmony of object individuality. Also, it confirmed that graphic panel is a essential factor in displaying and taking the important roles.

      • KCI등재

        화학 연구분야 홍보를 위한 전시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동준 ( Dongjun Sh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선진국 대열을 위한 국가 차원의 여러 학문지원 분야 중에 과학적 분야에서 경제적 효과가 높은 화학 분야는 산업발전과 직접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국내 화학산업은 2011년 이후 수출부문 1위를 달리는 경제성 있는 산업분야로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화학분야의 연구기관의 새로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화학연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한국화학연구원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관람객의 접근을 최대한 유도하기 위한 홍보전시관을 디자인 하였다. 홍보측면에서 화학분야에 대한 자긍심과 화학연구의 체험을 통한 전시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첨단 전시매체를 적용하여 종합적인 학습공간으로써의 역할을 위한 전시프로그램과 전시공간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홍보전시관 디자인 개발 연구는 화학분야에 대한 자료적 분석을 통하여 전시 공간에 관람객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써 화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키기 위한 전시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화학 역사와 진보를 위한 단위공간과 화학 원리와 개념을 다양하게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교육적 전시공간으로써 공간 내용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화학분야에 대한 학습적 체험 극대화를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전시 매체를 구성하여 제시하였고 또한 전시디자인 프로세스 단계에서 학습체험과 연계하여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였으며 단위공간별 연결성을 고려하여 전체 공간에서 방문자를 위한 동선계획과 학습 연출 프로그램을 디자인프로세스에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결과) 화학분야 홍보 전시관에 개념적, 역사적, 문화적 전시스토리 내용을 중심으로 화학 산업의 선도적 홍보 내용을 미래 지향적 측면에서 방문객에게 전달하므로 화학연구 홍보의 차별화된 전시공간을 제안할 수 있었다. 또한 전시스토리라인에 있어 전체적으로‘Feel-on’을 테마로 하므로 학습적 내용을 전달하는 참여형, 입체형, 세트형, 교육형 방식을 적용 및 제시하였으며 전시관의 홍보적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결론) 화학적 개념의 교육 내용을 체험을 통하여 전시공간에 적용하므로 어렵게 느끼는 화학분야의 자료를 방문객이 흥미를 느끼며 참여할 수 있는 유도적 내용을 적용한 디자인 개발이었다. 이와 같은 홍보 전시관 디자인 구성은 대한민국 화학산업 발전의 비젼적 측면에서 긍정적 이해가 가능하며 화학분야에 대하 문화적 체험 학습장으로서 전시공간을 표출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전시연출 프로그램 적용은 화학분야의 정보제공의 장으로서 역할과 관람자가 화학이라는 분야와 소통할 수 있는 학습공간으로써 전시공간의 의미를 부각시킬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 develop into an advanced country, there has been considerable national support from many different academic areas. Of them, the chemical field has had the greatest economic effect. Since 2011, the domestic chemical industry has become No. 1 in terms of exports. Given chemical research institutes’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infrastructure in the chemical field. In this respect, this study developed a design for an exhibition hall to actively promote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as the foundation for Korean chemical research and attract visitors as most as possibl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exhibition program and a display and space design that will play the role as a comprehensive learning space by applying advanced display media to create an exhibition hall to show the pride of the chemical field and offer experiences with chemical research. (Method) In this design development research on an exhibition hall, data analysis of the chemical field was conducted. As a result, an exhibition design method was suggested to increase visitor interest in chemistry at the exhibition hall as an educational place for visitors. The exhibition hall was displayed as the unit space of chemical history and advancement and the educational space for visitors to experience chemical principles and concepts in various ways. The method for maximizing the learning experience related to the chemical field was suggested through multiple display media. In the exhibition design process step, a space was connected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to create a storyline.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of the unit space, visitors' line of flow in the entire space and a learning display program were applied in the design process for developing the exhibition hall. (Results) By delivering the leading promotional messages of the chemical industry on the basis of conceptual, historical, and cultural display stories in the exhibition hall to promote the chemical field,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differentiated exhibition design for such promotion. In terms of the display storyline, “feel-on” was used as the theme. Through learning displays, participation type, 3D type, set type, and education type exhibition zones were suggested to maximize the promotional effect of the exhibition hall. (Conclusions) The suggested design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chemical concepts to an exhibition space in order to increase visitors’ interest in the chemical field, which they have generally fou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uggested design of the promotional exhibition hall made it possible to gain a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chemical industry in terms of its vision and to foster the effect of the exhibition hall as a cultural experience and learning venue in the chemical field. When a variety of display programs were applied, the exhibition hall served as a venue for offering chemical information. In this way, the hall was able to bring about the effect of exhibition design as a learning and promotional space to communicate information to visitors in the chemical field.

      • KCI등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남가림,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As consumers’ interest in the living market has increased, Living Fairs have emerged that cater to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space in their lives' style. Companies participating in Living Fairs display their images through the space in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addition, Living Fairs’participants introduce the current interior design and lifestyle trends to the visitors. Living Fair has a lot of input to boost the market through communication space between consumers and living brands. Starting with "Seoul Living Design Fair," which was first held in 1994, several Living Fairs are now held in various exhibition spaces such as KINTEX, COEX, and SETEC. Living Fairs are held every year in showrooms in various regions to revitalize the living marke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number of visitors who come to the fair may be increased. The fair space is a representative “show design” space, a single site with thousands of booths in which exhibitions are held by many companies. In this study,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is created for Living Fair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the fair. The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study has began. (Method) Since we would like to study the Living Fair and the exhibition design system applied to the space, we will start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ving Fair space and conduct a case study on the type of fair stand to which the exhibition design is applied. In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data survey on the function and role, operation briefing, and guidelines of fair space, the domestic Living Fair cases are distinguished by personality and go through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rawn earlier, it is found that Living Fairs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pace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ing process and operation guidelines before, during, and after Living Fairs. Cases are selected, divided into the components of operation, marketing, and design, and analyzed,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index classifies elements that occur throughout the course of a fair.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of forming an evaluation index for exhibition design in Living Fairs.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which suit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Living Fair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for the Living Fair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리빙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생활 속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리빙 페어에 참관객으로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리빙 페어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해의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공간에 참여한 ‘리빙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리빙 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994년 처음 개최된 ‘서울 리빙 디자인페어’를 시작으로 킨텍스, 코엑스, 세텍 등의 다양한 박람회 공간에서 여러 리빙 페어가 개최되고 있다. 리빙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매년 다양한 지역의 전시장에서 리빙 페어가 열리고 있지만, 페어 공간 내에 참가 업체의 참가율과 참관객들의 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페어 공간은 많은 기업들이 전시를 개최하여 하나의 현장에서 수천 개의 부스가 들어서므로 가장 대표적인 ‘전시 디자인’의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 페어에 있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리빙 페어의 기능/역할 등 배경, 취지에 적합한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리빙 페어와 그 공간에 적용된 전시 디자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므로 리빙 페어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이 적용된 페어 스탠드 유형에 관해 사례 조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어 공간의 기능 및 역할, 운영 브리핑,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후, 국내의 리빙 페어 사례들을 성격 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과정을 거친다. 앞서 도출했던 이론적 고찰들을 토대로 리빙 페어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되는 적합한 전시 디자인 전시 디자인 평가 체계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 페어 전·중·후 과정 중에 페어 마케팅 프로세스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여 운영, 마케팅,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 지표는 페어의 모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분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형성하는 것에 필요성을 증명한다. (결론) 이는 리빙 페어의 배경과 취지에 맞는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추후에 개최될 리빙 페어들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물의 속성을 활용한 외모지상주의 타개를 위한 전시계획-책<아름다운 가상>의 `이율배반` 개념을 중심으로-

        엄연정 ( Eom Yeon-jung ),박다솔 ( Park Da-sol ),고유리 ( Ko Yu-ri ),박혜진 ( Park Hye-jin ),이진민 ( Rhie Jin-min ),장미정 ( Jang Mi-jeo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연구 목적은 한국에 만연한 외모지상주의의 사회적 문제를 사람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물의 자연적 특성을 이용하여 외면적 아름다움의 덧없음을 표현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향후 사회문제를 다루는 공간연출 및 공간전시디자인에 기초자료로서 활용 할 가치가 있다. 연구 대상과 범위는 2016년 9월~12월까지 진행된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학과 전시디스플레이디자인 교과목으로 한다. 이는 미술사와 철학을 융합한 `미학 오딧세이` 중 `아름다운 가상`을 주제로 하여 모리츠 애셔의 <낮과 밤>에 나오는 이율배반성의 개념으로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사례조사와 아름다운 가상에서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도출한다. 동시에 이에 맞는 전시 공간 요소에 관해 고찰한다. 둘째, 물을 이용한 전시 디자인 개요(물을 이용한 전시 동향, 사이트 설정, 전시 개요)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물을 이용한 전시 디자인 전략(코딩 다이어그램, 디자인 컨셉, 전시 공간 구성, 컬러 · 메터리얼 계획, 전시 스토리텔링)을 분석한다. 넷째, 전시 컨셉에 부합하는 디자인 표현(로고 디자인, 포스터 디자인, 전시 기념품 디자인, 영상 디자인)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ddress and bring awareness to the prevalent social problem of Korea, lookism. By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lements of water, the study informs the fallacy of outer beauty.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as primary data for the space direction and space exhibition designs of future exhibitions that encompass social problem-solving. The research subject and scope cover the subject of the course Exhibition Display Design in the Environment and Design Departmen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The study limits its focus to the `Antinomy` from Morit Asher`s "Day andNight” along with the topic of `beautiful imagery` found in the art and philosophy harmonized `Aesthetic Odyssey`. To this end,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technique and object elements like the prior study on lookism exhibition and purchase, preference trend in the exhibition types and exhibition space.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design concept of the water exhibition(the exhibition trend, site configuration, exhibition overview).Third, the study analyzed the lookism exhibition design strategy(coding diagram, design concept, exhibition space configuration, color and material, exhibition storytelling). Fourth, the study proposed the exhibition design for the theme lookism(logo, poster, application video).

      • 미학과 사회적 이슈를 연계한 전시디스플레이 작품 연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 프로젝트 "나쁜 엄마, 최고의 아빠"의 전시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강미선,박수빈,윤정원,오정은,이소원,이진민,신은별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 분야에 미학을 기반으로 예술적, 사회적, 디자인적 측면으로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전시 디자인 분야의 색다른 코딩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동시에 기존의 전시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전시 공간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9월-12월까지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교과목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3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학적 개념과 사회적 문제, 전시관련 학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이를 전시디자인에 코딩하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코딩한 작업을 바탕으로 전략적 모티브를 빛으로 선정하고, 전시디자인 전략게획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전시전개구성을 하고 이를 통해 스토리가 있는 차별화된 공간구성을 하였다. 로고디자인, 포스터디자인, 리플렛디자인, 영상 디자인 등 전시디자인 E.I작업을 통해 전시를 표현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미학 + 사회문제 + 전시디자인의 코딩'이라는새로운 창의적 전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이는 미학과 사회문제의 이론적 고찰을 반영한 전시디스플레이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 디자인 방법 연구

        김영욱 ( Youngwook Kim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페어는 제품 판매를 주목적으로 탄생한 장터의 한 개념이다 (Song, 2006, p14). 이러한 페어는 급격한 네트워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정보 습득과 인식을 높여 매출을 증대시키는 전시로 변화했으며, 세일즈 마케팅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시 디자인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기업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 확대와 매출 증대를 모색하고자 체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경험 가치를 감성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사고 전환 프로그램이 전시 공간에서 활용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이 성공적 페어 마케팅 결과를 도출하도록 전시 디자인 측면에서 관람객의 인식 전환과 참여 유도를 위한 디자인 점검 요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고려 사항을 제안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및 범위) 분석 모델은 전시 공간의 동선과 마케팅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페어 사례 중 소비자 접근을 고려한 공간 구조와 참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해외 페어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사례 선정과 연구는 본 연구자가 실제 전시 운영요원의 일원으로 참여했던 전시 운영 사례와 더불어 연구자가 직접 참관했던 페어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가지 공간 구조 사례를 공간 개요, 공간 특성, 디자인 개성, 브랜드 인식 총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5가지 요소의 조화를 통해 관람객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는 성공적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을 완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초대 요소와 참여 요소가 혼재되어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인식의 과정을 만든다는 것에 대해 전시디자인이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구체화 하고, 페어 마케팅의 전략적 장점과 가치를 도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페어 참가 기업의 전략적 목적을 내재한 전시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잠재 고객과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촉발 시키고 이는 브랜드인식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는 상호작용이 발생함을 증명하였다. (결론) 전시 디자인은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표현 방법으로써 관람객의 프로그램 커뮤니티 참여를 돕고 인식의 전환점을 만드는 중요 요소임을 보여주었으며, 성공적 전시 디자인을 위해 페어의 목적, 예산, 통일성, 운영, 사후 개선에 대한 점검 요소와 고려할 요건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의 전시 공간 디자인 전략 수립에 있어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The notion of a fair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selling products (Song, 2006, p. 14). According to the change into a radical network society, it has been converted into “exhibitions” augmenting sales by improving the customers` level of acquiring and recognizing product information. As part of the sales marketing program, the fair has caught audience`s eyes with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including taking advantage of exhibition design. For example, the thought diversion program is utilized for exhibition spaces, which is progressed by companies emotionally delivering brand experience value to customers through experience marketing in an effort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sales. In order to yield successful marketing result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fairs, I have initiated research to suggest a design inspecting point and communication factors by which the participation and the conversion of spectators can be induced. (Method)I selected a series of international fairs containing space structures in favor of customers` approach and the constituents of the participation program as analysis models among cases of fairs creating a synergy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xhibition space flow and the marketing program.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cases and this research are based on my experience in operating an exhibition and the fairs that I attended in person. In light of a customer`s approach, I assorted six space structure cases into four subsections: space outline, space peculiarity, design characteristics, and brand awareness. (Results)By analyzing cases, it was found that exhibition designs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spectators through the harmony of five factors including sense, emotion, awareness, behavior, and relationship. This sets forth the outcome that successful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can complete brand awareness,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Invitation factors and participation factors are intermingl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of those factors and creating awareness, exhibition design materializes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and generates the strategic advantage and values of fair marketing. According to the sorts of exhibition designs containing the strategic purposes of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fairs, it accelerates marketing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customers, which leads to specific interactions and an increase of sales and brand awareness. (Conclusions)Exhibition design is a way of expressing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It helps spectators engage in the program community and represents itself a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a watershed of awareness conversion. In addition, it gives rise to the result regarding inspection and consideration factors for the aim of fairs, budget, uniformity, operation, and post-management. I hope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s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xhibition space design at fairs.

      • KCI등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 연구

        종유지아 ( Yujia Zhong ),남경숙 ( Kyoungsook Na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전시는 단순히 전시품만 진열하는 것이 아니고, 관람객, 공간과 전시품의 상호작용 관계를 중시해야 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전시 형식을 정적인 형태에서 동적인 형태로 발전시키고, 실제 장면에서 가상 장면으로 전환시켜, 전시공간에서의 감각적 체험을 높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 공간에서의 경험의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이후 서울에 있는 두 개 전시회를 선정하여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는 관람객을 아동그룹과 성인그룹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배경 및 요소를 정리하였다. 둘째, 경험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례를 선정하고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관람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만족도를 파악하며,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만족도는 성인그룹이 아동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인그룹은 다양한 형태의 전시, 정보의 공유, 의미 있는 감성형성에 만족하였고, 음악이 없고, 작품을 만질 수 없음에 불만족하였다. 아동그룹은 새로운 경험, 다양한 작품형태에 만족하였고, 작품을 만질 수 없고, 전시주제가 어렵다는 불만족 원인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 적용된 경험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통해 나타나는 참여성, 역동성과 연상성 3가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참여성의 표현특성 중에 시각적>청각적>촉각적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의 청각과 촉각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공간에서도 매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고 직접적인 참여를 유발하면 작품이나 공간에 더욱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역동성의 표현 특성 중에 관람객은 체험을 통해 쉽게 조작하여 전시 공간에 잘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움직임을 통해 공간의 흐름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셋째, 연상성의 표현 특성에서 연상적 표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장면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 유도할 수 있고, 새로운 인식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시주제와 이해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체를 사용하는 방안이 준비되고,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활용한 체험형 전시 공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s and purposes) Modern exhibitions should not merely display exhibits, but should value the interaction between visitors, space and exhibits. The interaction design develops the display format from static to dynamic, transforms the actual scene from virtual scene to enhance the sensory experience in exhibitio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space for visitors in an interactive design-based exhibition space. Through this, we will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interactive design-based, hands-on exhibition space should move forwar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his research method carried out the study in parallel with the methods of literature survey, case study and surve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select two exhibitions in Seoul since 2018 and divide visitors who have visited them into children's and adult groups and conduct them i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lements were sort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we studied the experience design and proposed assessment items based on it. Third, we selected cases and surveyed visitors using assessment ite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identify the satisfaction level, and analyze the causes.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dul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ild group. The adult group was satisfied with various forms of display, information sharing and meaningful sensibility formation, and was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music and the inability to touch the work. The children's group was satisfied with the new experience, various types of work, and showed the cause of dissatisfaction with the inability to touch the work and the difficulty of the exhibition subject.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dynamism and associativity throug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mpirical design applied in interactive design-based exhibition space and looked at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experience design. First, amo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visual, auditory, and perceptual.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dynamism, visitors want to easily manipulate it through experience to make good us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actively utilize various contents to show the flow of space through movement.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associativity, the satisfaction of associative expression was high, and scene expression would have to be able to elicit emotion from visitors and give new recognition. Future research should prepare a plan to use a medium that maximizes the effects of exhibition themes and interests, and provide hands-on exhibition space using various interaction designs centered on visitors.

      • KCI등재

        전시디자인에서 전시참여 속 휴식공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체험형 인터렉티브 시스템 적용을 중심으로-

        이재률 ( Lee Jaelyul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디자인은 전시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는 전시 방법으로 쌍방향 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 중심으로 계획되며, 관람객의 참여는 전시 커뮤니케이션 형식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체험형 전시회 참여로 관람객은 더 많은 정보습득과 이해를 위한 상호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전시에 대한 참여로 피로가 축적된다. 그래서 관람객의 피로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전시디자인 공간 속에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매우 중요한 환경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시공간디자인 속 휴식공간디자인에서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과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공간 내부에 휴식공간디자인 계획이 결합할 수 있는 유형과 상호성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특성과 피로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전시디자인에서 체험형 인터렉티브 유형과 구성요소 및 시스템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의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표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제안한다. 넷째, 국내외에 있는 사례 5곳을 선정하여 분석표에 대입하며 휴식공간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의미한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디자인계획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도출된 특성과 요소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나온 결과를 도출하여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을 제안한다. (결과)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을 할 때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요소 중 휴식선상개념에서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이 다양한 피로요소와 휴식형태를 포함하며 휴식공간의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휴식선상개념이 상위개념인 곳은 피로요소와 휴식형태에서 많은 요소를 포함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전시디자인속에 휴식공간디자인을 결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휴식공간디자인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도출한 결과를 비교했다. 전시공간 내부의 휴식공간디자인은 전시공간을 주된 목적으로 디자인을 하며 휴식공간이 전시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도록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으로 접근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하위 개념과 동급개념이 상위개념보다 많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향후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을 함께 계획할 때 기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exhibition design is increasingly incorporating interactive system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interaction that allows for two-wa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visitor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etting, participation in hands-on exhibitions can create fatigue for individuals due to the desir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art form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fatigue that may b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the design plan of the rest space is an imperative environmental fac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an provi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in exhibition space design, and to study the types and reciprocity of the design plan for rest space. (Method)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rest space and fatigue elements of exhibition design will b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ly, there will be derivation of hands-on interactive types and structural components, and exhibition design system characteristics. Thirdly, the rest space elements in the exhibition space will be divided into three areas: fatigue, resting style, and relaxation concept, which will be proposed by making comparisons based on the analysis table. Finally, f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will be selected, where their rest design plan will be applied to the analysis table an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 meaningful exhibition design plan will be proposed. This will be done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Results) When designing a rest space in an exhib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three elements fatigue, rest type, and relaxation concept included various fatigue elements and rest types. Conversely, where the concept of relaxation is the top concept, it was able to produce results that did not include many factors within the fatigue elements and relaxation forms.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can be combined with the exhibition’s. The elements of rest space desig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atigue elements, resting styles, and relaxation concepts where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analysis table.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was crea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combining it with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se observations, it is ideal for it to be designed with a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 and thus, the rest space can blend naturally in the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sub- and equivalent concept contained more elements than the uppermost concep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hopes that it will provide basic guidance in planning a rest space design together in future exhibition designs.

      • KCI등재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배지혜,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Background and Purpose) In a world that has experienced design industrialization, we now follow a stream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trends. The nature of the design works, based on sustainable designs, should be considered a fundamental element for sustainable life in the future, in the pursuit of pleasant living spaces in a polluted and exhausted ecosystem. The space should be self-generated, and actively cope with changing circumstances. A functional modular system is utilized in diverse ways in conventions and exhibitions, not only to save on costs and time, but also to pursue efficiency. However, as the forms and standards of mass-produced modular systems are limited, materializing its design is complicated. Therefore, one-time designs have been produced, and are primarily made of wood, which requires substantial investment costs. Further, large companies have considered that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inevitable to a certain extent in creating something necessary to human beings. These singular design pieces are typically utilized only for a short period until the exhibition is over, and are then disposed. Although we have experienced economic growth that is typically based on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ture trends will be based on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economy. Therefore, deeper research is required regarding these matters. (Method)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sustainable spaces in convention exhibitions. It not only mentions the simple recycling or green design methods, but also addresses collective strategi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alues, and examines sustainable exhibitions that can easily adjust to paradigm changes. Further, the study does not attempt to view modern space as a natural being that highly depends on given factors, nor does it consider it a symbol for existentialism. This study instead defines the space in a cultural context. (Resul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available and sustainable spaces in convention exhibitions and draws conclusions based on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rends. The results were also analyzed, consolidat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in different exhibition spaces. The methods used to promote a sustainable environment in the exhibition space are ① tight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②diverse functions, ③ material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④ the space’s mobility. These methods delineate the exhibition’s available and sustainable spaces, and the convention’s exhibition design will provide the key to the problems we face by converging diverse methods and an external extension. (Conclusions) We can avoid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by experimenting with sustainable display methods that reflect paradigm changes in the exhibition space. We expect a positive outlook for future sustainable trends with diverse display methods. This change in trends, which perceive the space as a non-physical space based on eco-friendly values, will initiate the development of future sustainable exhibition designs.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 산업화 시대에 우리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문화와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의미 없는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디자인의 성질은, 인류 환경의 오염과 자연고갈의 위협 속에서 삶의 공간을 추구해야하며 스스로 자생하고, 주위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미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근본적인 개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합리성, 비용 및 시간절약을 위해 세계적으로 기능성 모듈시스템을 컨벤션 전시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량생산된 모듈시스템은 형태 및 규격에 제한이 많아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어렵다. 그래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목재중심의 일회성 디자인을 연출하며 기업에서는 인간에게 유용한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환경을 파괴시키고 훼손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일회성 디자인은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다가 전시가 끝난 후 매립, 소각으로 폐기처분된다. 기존의 대량의 생산 및 소비위주의 경제성장을 했다면, 미래에는 환경 친화적으로 전환해 가는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에 대한 고민으로 단순한 재활용이나 그린디자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 환경, 경제적 가치를 통합한 여러 가지 전략으로 연구하여, 컨벤션 전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시방향을 연구한다. 또한 현대의 공간을 자연적으로 주어진 요인들에 의존하는 자연적 존재로 보거나, 공간을 실체론적 표상으로 보는 사고를, 보다 문화적 맥락적 차원과 관련된 공간의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과 개선방안의 도출로 정치, 경제, 사회ㆍ문화, 과학ㆍ기술 등의 트렌드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컨벤션 전시공간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구분하였다.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①환경규제의 강화, ②기능의 다양성, ③소재의 친환경성, ④공간의 이동성이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트렌드에 대한 전시유형 방법으로 컨벤션 의 전시디자인은 현재 직면한 과제에 대한 외연 확장과 다양한 방법의 융합으로 지속가능성의 발전과 문제해결의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결론) 전시공간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시방법을 통해 일회성 전시디자인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위협에서 벗어나, 전시공간의 향후 직면할 환경, 기술, 사회, 문화적 트렌드의 변화로 다양한 전시방법의 촉진과 함께 미래의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비전을 기대한다. 또한 거시적 트렌드로 친환경에 기초한 비 물리적 가치 공간으로의 변화는 전시공간의 패러다임은 지속가능한 미래 전시디자인 발전의 중요한 트렌드로 나타날 것이다.

      • KCI등재

        2009광주디자인비엔날레 유니버설디자인 전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전 「살핌(慮)/Salpim Design to Care」의 전시진행을 중심으로

        노만섭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2009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프로젝트전시 중「살핌(慮)/Salpim_Design to Care」전시의 유니버설디자인전시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UD의 기본적 개념과 함께 일반인과 신체적 조건이 다른 사람의 입장을 헤아리기 위한 Universal Thinking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와 함께 UD의 전시가이드라인 설정과 이에 따르는 디자인 원리를 전시공간과 전시연출로 적용하는 것도 관람객들의 UD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에 따라 PPP의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활용은 전시취지와 목적에 맞는 전시디자인 공간구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안이므로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개선과제로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와 유사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전시기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전시기획서 작성에서부터 전시실행, 전시운영에 이르기까지 재단법인광주비엔날레 전체 전시행사 추진일정에 따라 진행된 전시 프로젝트는 작품 및 전시공간의 철거와 함께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결과보고의 내용정리를 바탕으로 학술적 성격에 맞게 해석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전시내용의 성과로는 전시장에 연출된 제품과 체험교육을 통해 유니버설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조건의 차이를 인식하고 나와 다른 조건에 놓인 사람들의 어려움과 이를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타자(他者)의 눈높이에서 사물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는 바로 획일화된 인간성에 대하여 개개인의 마음과 의식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포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지닌 문화적 전환점의 계기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된 제언은 향 후 보다 체계적인 전시진행을 위해 유니버설의 7가지 디자인 원리에 기준을 두고 좀 더 다양한 연구와 이에 따르는 결과들을 전시장과 행사 운영에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general ideas about the basic concept of Universal Design (UD) and the feature of Universal Thinking that enhances non-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others with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To that end, in this paper, I will review the process of the Universal Design exhibition titled “Salpim_Design to Care” as seen in the Project Design section of the 2009 Gwangju Design Biennale. In addition, I will ensure that it makes a contribution to audiences’ understanding of UD to set up a UD guideline and apply the principle of designs to exhibitions and managements. Accordingly, I will propose the use of the guideline for the ppp evaluation as a future goal that Gwanju Biennale should meet, given that it can help set up exhibition spaces which can fit well with the purpose of exhibitions. By doing so, I ai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planning future exhibitions utilizing Universal Design, or designs similar to it. The project, “Salpim Design to Care”and the work were developed, exhibited, and removed from the exhibition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ster timetable for all of the events of the Biennale. In addition, based on the report on the exhibition process, I will provide my suggestions for Universal Design exhibitions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By reviewing the process,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exhibits and firsthand experience activities drew a shared empathy towar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from the audience. In addition, the exhibition provided the lesson that we need to appreciate diversity, and try to understand those in different conditions by viewing the world from their standpoint. This will bring a cultural turning point with diversity to broadly embrace individual mind and consciousness of unified humanity limitation. In conclusion, I will suggest the need to reflect the results of a variety of existing studies for Universal Design in actual exhibitions and events on the basis of seven principles of design, thereby making exhibition processes more systema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