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방법 이용한 경찰의 산업기술보호 분야 역량 강화 방안

        최익서(Ikseo Choi),김진수(Jinsu Kim),박남제(Namje Park)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The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an investigation team for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t local police offices nationwide with the main purpose of strengthening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ivities. Currently, however, there are less than four industrial technology investigators with experience in most local police stations, and many new investigato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service are also required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s they are difficult to carry out their duties in the field of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on the factors requir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investigation team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enhanced industrial technology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capacity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investigator, and analyzed the required capacity by class by dividing the capacity needed most for the police in the field of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into the first and second layers through the AHP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industrial technical investigators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간의 가변적 유용성을 위한 적응성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진옥 ( Jinok Park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2016년 1월 ‘제 46차 세계경제포럼’이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주목하며 첨단 기술 개발에 따른 초연결성(Hyper-connected), 초지능화(Hyper-Intelligent)를 기반 하에 상호 연결된 지능화 사회로 변화되는 기존 산업 구조의 대변혁을 전망하고 있다. 지금껏 인류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인공지능의 물결 속에서 공간은 보다 확장된 환경적 경험을 제공할 소프트웨어(기술)를 장착하게 되었고 사용자 주도 문명화 시대라는 현 패러다임 속에 공간의 가변적 유용성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는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의 가변적 유용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현 적 단서로서 ‘적응성 환경디자인’을 연구하며, 향후 연구 아이템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21세기 인지적 정보소통 지능과 도구적 인공 환경의 한계를 뛰어넘는 적응성 환경 형성의 기반을 수립하는 단계라 볼 수 있다. (연구방법) 첫째, 공간의 가변적 유용성에 관한 이론 및 연구들을 조사하여 고찰 한 후,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적응성 환경을 미학적, 건축학적, 그리고 공학적 논거에 의해 분석한 후 그에 따른 공간적 가치를 도출한다. 셋째, 적응성 환경의 다양한 가치를 유발하는 9가지 공간적 장치에 의해 가변적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지에 대한 가능성을 사례 분석한다. (결과) 사례분석의 종합 소결을 통해 적응성환경 디자인 연구가 공간의 가변적 유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 할 아이템 및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론) 지능화된 정보기능을 통해 보다 쉽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간을 사용하게 될 2040년 지능화 환경(Intellectual Environment)을 맞이함에 앞서, 2025년 적응성 환경(Adaptive Environment)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공간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공간의 가변적 유용성을 높이는 한 요소로도 작용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해결책이 요구된다. 적응성 환경 형성에 의한 새로운 경험의 확장은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공간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공간의 활용을 높이는 데에 있다. 주어진 환경에 맞춰 살아가는 것이 아닌, 본인을 위한 자율적인 공간에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공간에 대한 자기애를 형성하고, 공간에 대한 인식이 쓰고 버려지는 것이 아닌, 가치 있는 것으로 대체될 것임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46th World Economic Forum that was held in January 2016, we have been focusing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ound the world, which is based on hyper-connectivity and hyper-intelligence and has created an interconnected, intelligent society. In the wav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umanity has never previously experienced, space has been equipped with software (technology) that will provide more extended environmental experiences. In the present paradigm called the user-driven civilization, the value of spatial utility is exp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daptive environmental design as a practical clue to improve the level of spatial utility and to present research item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can be regarded as a step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n adaptive environment beyond the limits of the 21st century regarding intelligence in communication cognitive information and the instrumental artificial environment. (Method) First, theories, research,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spatial utility are described. Second, the adaptive environment is analyzed with respect to aesthetic,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reasons, and the spatial value is derived. Third, we analyze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spatial utility by using nine spatial devices that create various level of value in the adaptive environment (Results) We found that research on adaptive environmental design increases the variable usability of space by comprehensively sketching case analysis. We present the items to be developed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through continuous research. (Conclusion)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intellectual environment in 2040, which will make space easier and more diverse through intelligent information functions, the study of the adaptive environment in 2025 has spatial value from various viewpoints and serves as a factor to enhance the variable usability of space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specific directions of development, and concrete solutions are requir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new experiences from the formation of an adaptive environment will allow individuals and groups to freely select and use their own spac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pac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replaced by a valuable one, where people do not live in accord with a given environment but live in an autonomous space for themselves, forming narcissism with respect to space.

      • KCI등재

        아니쉬 카푸어 과정미술 작품을 통한 상호성에 관한 연구

        오재란 ( Jaeran Oh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조각이라는 미술작품은 시간과 장소에 대한 인간의 반응과 그 관계와 경험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고 관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감상의 이분법에서 탈피하게 된다. 감각적인 지각에 따른 공간에 대한 경험적인 체험은 일방적인 미술작품 전달 방식의 감상에서 벗어나 관객과 작품 감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체험적 공간을 창출한다.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도 아니고 미술작품 혹은 공간에 무한한 가능성과 다양성을 부여하여 상호작용을 이끌어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결과 중심의 작품을 감상해야 하는 일반적인 소통이 아닌 작품의 과정을 작가와 관람자가 적극적인 개입의 작품인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을 분석 하여 예술과 삶이 소통하는 방법을 찾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첫째, 자가생성의 개념을 파악하여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에서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둘째, 과정미술의 이론적 배경에서의 초현실주의 영향에 대한 분석한다. 셋째,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에 영향을 끼친 사물의 본질을 중요시한 미니멀리즘과 포스트미니멀리즘 시간성이 개입되고 관람자의 상호적인 작용인 경험적, 시간적, 공간적 개념을 도출 한다. 넷째,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 속에서 관람객과의 상호성에 대해 연구하여 예술과 삶의 소통을 방법을 알아본다. (결과) 이에 본 연구는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얻은 결과로 관람객의 적극적인 개입은 예술이 일상화되고, 공공미술이라는 또 다른 장르의 작품들을 감상 할 수 있다. 상호작용은 감각의 경험이다. 지각은 감각, 기억, 사고를 포함하고 인식 확인과 같은 의미로 귀결되는 심리적 과정이다. 경험은 작가나 작품을‘이해 ’보다 도 더 중요하다. 과정을 함께 하는 것이 소통과 만족을 이루어 내고, 활력과 생명을 재생 시키게 되어 함께 호흡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아니쉬 카푸어 작품은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감상법이 아니고, 소통하고 공유하고 관람객들과의 적극적인 개입이 상호작용으로 다양한 의미로써 확장되어지고 있다. 아니쉬 카푸어 작품이 왜 대중들에게 공전의 성공을 거두게 되며 우리가 그의 작품에 몰입되고 열광하는지를 알 수 있다.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 앞에서 대중의 일상적인 삶을 반추하고 잃어버린 상실에 대한 숭고한 감성과 감동은 마음을 치유하고 사색하게 될 것이며 마음의 먼지를 닦아내듯 정화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 piece of art, such as a sculpture, allows awareness of the human response to its time and location and of the importance of its relationship and experience. Thus, art sheds the dichotomy of appreciation through the active engagement of viewers. An empirical experience of space according to sensual perception allows escape from the one-way delivery method of artwork and leads to the creation of experiential space in which the viewer interacts with the artwork.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ish Kapoor’s artwork, which requires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artist and the viewer. This active involvement is unlike the case in general communication of artwork appreciation that focuses solely on the resulting piece. Through the analysis of Kapoor’s artwork, the ways in which art and life communicate can be identified. Moreover, Kapoor’s ways to create interactive exhibitions by creating new narratives were examined. (Method) First, the connection among Kapoor’s body of artwork is studied by examining the concept of self-gener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surrealism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ocess art is analyzed. Third, minimalism, the concept the emphasized the nature of the object, and post-minimalism both influence Kapoor’s artwork. Temporality is involved, and the empirical, time-based, spatial concept is drawn out. Lastly, through evaluating Kapoor’s artwork, the reciprocality with the viewer will be studied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rt and life. (Results) The viewer’s active engagement becomes art routinization, through which art pieces from the genre of public art are appreciated. An interaction is a sensory experience. Perception includes sensory, memory, and thinking, and it is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results in the same meaning of confirmation of cognition.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understanding” of an artist or artwork. The viewer and the artist undergoing the process together leads to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so that vitality and life are revived to keep in tune together. (Conclusions) The appreciation of Kapoor’s artwork is not a one-sided delivery but rather expands to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 the viewer; that is, active interaction. Thus,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Kapoor’s artwork and for viewers’ enthusiasm over his artwork can be realized. In front of Kapoor’s art pieces, the viewers ruminate their ordinary life, cure their mind, and meditate through a noble sensitivity and touch towards the loss, and have the time to clear the dust from their mind.

      • KCI등재

        과학관 전시에 있어서 관람자 몰입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가빈 ( Han Gabin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과학관은 전시물을 통해 과학기술과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ᅠ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의 교과목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STEAM 융합교육이 강조되며, 과학전시에서도 다양한 방식의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때문에 과학전시 기획자는 다양한 매체, 공간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흥미로운 콘텐츠로 기획하여 선보이며 자연스러운 학습 분위기 속에서 몰입을 이끌어 관람자로 하여금 즐거운 학습경험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전시에서 학습에 기반한 관람객의 통합적 경험의 필요성과 경험의 단계에 따른 구체적 활동요소를 확립하고,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몰입환경을 분석하여 이를 실제 과학전시 기획과정에서 관람객의 몰입경험을 설계하기 위한 통합적 경험설계 방법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대표적 비형식 학습공간인 과학관에서의 단계적 학습과정과 학습의 효과적 수단으로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과학전시에서 관람객 경험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경험의 구조적 특징과 창조적 사고를 위한 관람객의 단계적 활동요소를 도출하고, 효과적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3가지(직관적, 사고적, 통합적 체험) 단계와 그에 따른 13가지(인지적, 감각적 경험)의 구체적 활동요소로 구조화 한다. 또한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몰입환경의 조건을 살펴보고 이를 종합한 ‘관람객 통합적 몰입경험 구조’를 제시하며, 국립과천과학관의 실제 기획전시를 사례로 삼아 관람객 경험 특성분석을 통해 과학전시 기획과정에서 관람객 경험설계 방법을 구체화한다. (결과) 과학전시에서 관람객은 학습의 관점에서 자신의 경험을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전시 기획자는 관람객 스스로가 적극적인 탐구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인지와 감각을 자극하는 복합적 경험을 제공하고, 적절한 수준의 참여기회를 주어 몰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한 직관-사고-통합의 단계적 경험은 과학적 정보의 이해과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험의 과정에서 인지적, 감각적 활동요소의 반복은 경험의 축적과 성장을 통해 관람객이 정보를 이해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통합적 이해의 단계로 확장시킬 수 있다. (결론) 과학전시에서의 관람경험은 학습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관람자가 보고, 듣고, 만지는 등의 인지, 감각적 참여를 통한 경험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고 효과적인 학습으로 연결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적 몰입경험 구조’는 과학전시를 통한 지식 전달과정을 관람자의 통합적인 경험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구조를 확립하였다. 과학적 개념과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조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고 과학적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관람객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구체적 활동요소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전시기획 방법론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science museums are spaces that provide a window in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various fields through the materials on display. Additional emphasis is placed on STEAM convergence education, which takes an integrated approach to curriculum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to increase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rapidly developing contemporary science technology and expand the convergence thinking power. Furthermore, various type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is required even for science exhibition. Therefore, science exhibition planners need to plan and showcase interesting content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various media and space and induce immersion in a natural learning atmosphere to ensure pleasant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visitor.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a specific activity that could accommodate the visitor’s need for an integrated experience and the phase of experience based on learning at science exhibitions and to analyze the immersion environment necessary for offering an optimal experience, which can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experience structure for immersive experiences of visitors at science exhibitions. (Metho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museums and science exhibitions, and on this basis, analyze the phase of specific experience necessary for immersion of the visitor. To this end,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cience exhibitions differentiated from other museum exhibitions and consider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sitor experience by investigating the phased process of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in the non-formal learning space.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we established a framework for phased structure of an intuitive, thoughtful, and integrated experience with regards to the phase of experience of the visitor, and derived activity elements of specific experience accordingly. Moreover, we examined the conditions for an immersion environment necessary to provide an optimal experience and presented the integrated immersive experience by taking such an environment into overall consideration. (Results) Science exhibitions need to allow visitor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by linking their experience from a learning perspective. Thus, exhibition planners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multi-faceted experiences that stimulate their cognition and senses to allow them to interpret and understand on their own, and create an immersion environment by providing visitors with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t a proper level. If such experiences are accumulated continuously, they will be able to uncover their relationship or laws and gain a truly integrated understanding.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n exhibition planning method through an “integrated immersive experience structure.” This study hopes that such process will help not only merely convey scientific concepts and information but also form new meanings.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exhibition planning to create activity elements conducive to developing a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근린생활권 내 지역주민의 생활반경을 고려한 도시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표승화 ( Pyo¸ Seunghwa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계획과 공공공간을 계획하는 방법들은 다양하게 연구 및 제안되고 있다. 이들 계획에서는 특히 유휴공간이나 유휴부지를 선정해 마을과 지역을 재생하는 사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계획과 실행은 계속되고 있으나 생활반경 내 유휴시설과 공간에 대한 계획을 논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기반으로 유휴공간을 재활용하는 것에 대해 도시공간과 시설의 유휴원인을 밝히고 유휴공간의 잠재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유휴공간의 재활용이 지역주민과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도시유휴공간의 의미와 유형에 대해 연구하고 도시시설과 공간의 유휴화의 원인에 대해 밝힌다. 또한, 선행연구 된 도시유휴공간의 잠재력을 유휴공간의 유형별로 구분 및 사례연구를 하여 현재 도시에서 재활용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근린생활권과 옥외활동을 기반으로 도시유휴공간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국토교통부의 자료를 기반으로 생태환경·도시환경·사회문화 관점에서의 사례별 유휴공간 활용 효과를 분석하여 근린생활권 내 유휴공간 활용이 갖는 가치와 장점에 대해 연구한다. (결과) 근린생활권, 생활반경 내 유휴공간과 시설을 우선으로 재활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근린생활권 내 유휴시설들과 공간을 기반시설로 재활용하는 것은 생태환경의 관점에서 예산 절감, 폐기물의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도시환경적으로 유휴공간과 시설은 지역의 낙후된 환경과 우범지대를 조성하는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물리적 개선을 통해 주민들에게 안정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이들 계획은 지역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자립과 자생을 위한 기반을 만들어 지속 가능한 옥외활동의 거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계획 및 공공공간 계획에 있어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을 고려한 근린생활권 내 유휴시설과 공간을 우선으로 선정하는 것이 유리하며,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 선순환 구조를 기반으로 지역의 공동체나 마을기업이 운영·관리하며 지역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구조를 계획해야 함을 도출하였다. 생활반경 내 문제 공간과 장소에 대해 주민을 위한 시설로 재활용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근린생활권 내 도시유휴 공간과 시설 활용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Urban regeneration plans and methods of planning public space are studied and proposed diversely to solve urban problems. Among them, projects of selecting idle spaces or sites and regenerating towns and regions are especially on the rise. Despite continuing plans and implementation, there is insufficient data discussing plans concerning idle facilities and spaces in living area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reveal causes of idle urban spaces and facilities for reusing idle spaces and research cases of reusing idle spaces on the grounds of precedent studies addressing the potential of idle spaces. Moreover, it intends to analyze how the reuse of idle spaces affects local residents and regions. (Method) Studies the meaning and types of idle urban spaces and identifies the causes of urban facilities and spaces becoming idle. Additionally, the potential of idle urban spaces studied previously is classified by types of idle spaces, along with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phenomenon of their reuse in the cit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using idle urban spaces based on neighborhoods and outdoor activities. Lastly, the effects of using idle spaces per case are analyzed from ecological environmental, urban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based on the data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study the value and advantages of using idle spaces in neighborhoods. (Results) Reusing idle spaces and facilities in neighborhoods and living areas by priority can deri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reusing idle facilities and spaces in neighborhoods as infrastructure can achieve effects like budget reduction and decrease of waste from ecological environmental perspective. Second, since idle spaces and facilities form the cause of creating an underdeveloped environment and crime-ridden districts in the region urban-environmentally, physical improvement of these can provide residents with stable and pleasant environment. Finally,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se plans can become a starting point for settling chronic local problems and build foundation for local residents' self-reliance and self-generation, providing a sustainable outdoor-activity base. (Conclusions) This study derived that, i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space plans, it is favorable to prioritize selecting idle facilities and spaces in neighborhoods considering local residents' accessibility, and for sustainable use, it is necessary to plan a structure where local communities or town enterprises can manage and restore them to local communities based on a virtuous cycl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tudying the reuse of problematic spaces and places in living areas as facilities for residents,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the use of idle urban spaces and facilities in neighborhoods.

      • KCI등재

        지역 정체성 기반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아트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국내 지역 연계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이효연 ( Lee Hyoyeon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적으로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와 발전을 겪고 있다. 그러나 초기 산업들이 쇠퇴하고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개발함으로 인해 지역들이 가지는 고유의 환경과 의미를 상실하는 초래를 가져오면서 지역 정체성은 점차 상실되었다. 도시를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문화 산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었고 사회적 관계와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커뮤니티적 측면에 집중되었다. 또한, 현재 창작스튜디오, 대안공간 등 여러 시설에서 지역 연계 프로젝트와 콘텐츠를 만들어 오래된 지역 환경을 개선하고, 공동체 의식 형성과 지역 발전과 정체성 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국내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추구하는지를 분석하고, 커뮤니티 아트의 중요성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추후 우리나라의 커뮤니티 아트가 지속해서 올바른 방향성을 가지고 질적인 면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바라는 바이다. (연구방법) 제1, 2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서술한다. 또한, 개념의 유형과 필요성을 고찰하고,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다. 제3장에서는 지역 정체성 확립을 목표로 하는 정부가 주도한 커뮤니티 아트의 대표적인 국내 사례를 살피고 파스칼 길렌의 커뮤니티 아트 유형 네 가지에 대입한 후 분류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제4장에서는 총 결론으로 연구를 맺음 한다. (결과) 커뮤니티 아트 유형에 대입해 본 결과‘순응적인’은 전체적으로 포함이었고,‘자기관계적’과‘타자관계적’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시장, 유휴시설 등 중심으로 진행한 프로젝트는‘자기관계적’,‘타자관계적’두 가지가 접목되어 있었다. 반면에 벽화, 공공미술 분야에서는 ‘자기관계적’성향만 가지고 있었다. (결론)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커뮤니티 아트는 작가 지원과 지역 발전 두 가지를 끌어 올리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드러난다. 프로젝트의 기획 의도를 봤을 때 성공적으로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작가 중심적 성향이 많다. 지역 발전을 위해선 지역 정체성 확립과 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향상되어야 하며, 참여가 적극적으로 개입될 수 있는 프로젝트와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작가뿐만 아닌 전문지식이 없는 민간 집단의 의견도 듣고 다양한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 지역의 정체성을 향상 시키는 일은 국내외적으로 도시 경쟁성을 살리는 일이기에 우리 구성원 모두가 지역에 있어서 항상 관심을 가져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Globally, modern society is rapidly experiencing change and development. However, local identity was gradually lost due to the decline of early industries, and indiscriminate development without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resulted in the loss of the inherent environment and meaning of regions.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it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ultural industry gradually expanded, and interest in social relations and local culture increased, concentrating on the community aspect. In addition, we are currently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old local environment by creating local linked projects and contents in various facilities such as creative studios and alternative spaces, and to achieve community consciousness, regional development, and identity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direction our country pursues through domestic project cases using these community art,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problems of community art. Through this, we hope that the Korean community art will continue to improve its quality in the right direction.(Method) Chapters 1 and 2 descri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and concept. It also considers the type and necessity of concept and presents it in a table. In Chapter 3, we examine representative domestic examples of government-led community art aimed at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then substitute them into four types of community art by Pascal Gillen, then draw conclusions through classification and analysis, and in Chapter 4, we conclude the study.(Results)As a result of substituting community art types, “conforming” was included as a whole and divided into two types, “self-organizational” and “type-related.” Projects centered on markets and idle facilities were combined with two types of "self-organizing" and "type-related." On the other hand, the fields of murals and public art only had “self-organizing” tendencies. (Conclusions) Analysis reveals that the nation's community art aims to attract both writer support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project's planning intent seems to be successful, but if you look closely, there are many writer-centered tendencies.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residents should be improved, and the development of projects and content that can actively invol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Also,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private groups without expertise as well as writers and make various attempts. Improving the identity of the region is to revive urban competitiveness both at home and abroad, so all of our members should always be interested in the region.

      • KCI등재

        역사계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곽정은 ( Kwack¸ Jeongeun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수많은 역사계 박물관은 미래세대를 위한 기록의 보존과 지식의 확장, 문화의 향유라는 목적 아래 존재해오고 있다. 세계의 역사적 기록물인 박물관 소장품은 전문적인 보존 및 복원 과정을 통해 미래세대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은 역사계 박물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볼 수 있으며, 이렇게 보존된 소장품들은 박물관 전시의 중심 콘텐츠가 된다. 최근 역사계 박물관에서는 가변성이 뛰어나 다양한 전시 연출이 시도되는 기획전시에서 다방면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활용된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들의 방문을 유도하며 흥미와 체험을 더한다. 그러나 시도에 따라 소장품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소장품 보존에 대한 사전연구가 필수적이며,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이 전시에 부합하도록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 소장품 예방 보존법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역사계 박물관 기획전시에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방안 제시를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역사계 박물관의 소장품 손상 요인 및 예방 보존 방안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대표적 특성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은 역사계 박물관에 활용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부합성 평가와 비교를 위해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활용된 국내 및 해외의 역사계 박물관 전시 여덟가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특성 부합도를 평가한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다섯가지 특성인 상호작용성, 조작가능성, 복합성, 유희적 참여성, 소장품 연출성의 부합성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각 특성의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국내와 해외의 역사계 박물관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연출의 차이를 증명하여 향후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 시 상호보완적 연출이 필요시 됨을 증명한다. (결론)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역사계 박물관의 소장품과 함께 기획전시에 연출되기 위해서는 소장품의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이 역사계 박물관의 전시에 부합하도록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선 역사계 박물관 소장품의 특성과 기획전시의 특성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래의 역사계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 연출 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한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Background and Purpose) Many modern historical museums exist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records, expanding knowledge, and enjoying culture for future generations. Museum collections, which are historical records of the world, are transmitted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professional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ocesses, so this proces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historical museums, and these preserved collections become the central contents of museum exhibitions. Recently, in the historical museums, the interactive media that interacts in various ways from planning exhibitions in which various exhibitions are attempted due to its excellent variability induces visitors to visit and adds interest and experienc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depending on the attempt, it may cause damage to the collection, and based on this fact, preliminary research on the preservation of the collection is essential, and a method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to match the exhibition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pare an index for presenting the method of using interactive media in planning exhibitions of historical museu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and preservation prevention methods. (Method) In this stud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uses of damage to the collections and preventive preservation measures in the history museum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In the case study, eight exhibitions of historical museums in Korea and abroad using interactive media were selected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onformity of interactive media used in history museums, and the results of the interactive media analysis of each exhibition are synthesized and finally compared. (Results) A case analysis of fiv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interactivity, operability, complexity, playfulness, and consistency of collection participation, shows the associations of each characteristic; proves that complementary production is necessary when utilizing interactive media by demonstrating differences of interactive media content production in exhibitions of historical museums in Korea and abroad.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should be reflected in conformity with the exhibitions in history museums in order for interactive media to be directed in planning exhibitions together with the collections of historical museums while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collections first. For this purpose, profession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in history muse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exhibitions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t is meaningful that basic data has been cre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present concrete and systematic utilization measures when producing interactive media contents for the planning and exhibition of history museums in the future.

      • KCI등재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 디자인 방법 연구

        김영욱 ( Youngwook Kim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페어는 제품 판매를 주목적으로 탄생한 장터의 한 개념이다 (Song, 2006, p14). 이러한 페어는 급격한 네트워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정보 습득과 인식을 높여 매출을 증대시키는 전시로 변화했으며, 세일즈 마케팅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시 디자인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기업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 확대와 매출 증대를 모색하고자 체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경험 가치를 감성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사고 전환 프로그램이 전시 공간에서 활용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이 성공적 페어 마케팅 결과를 도출하도록 전시 디자인 측면에서 관람객의 인식 전환과 참여 유도를 위한 디자인 점검 요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고려 사항을 제안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및 범위) 분석 모델은 전시 공간의 동선과 마케팅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페어 사례 중 소비자 접근을 고려한 공간 구조와 참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해외 페어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사례 선정과 연구는 본 연구자가 실제 전시 운영요원의 일원으로 참여했던 전시 운영 사례와 더불어 연구자가 직접 참관했던 페어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가지 공간 구조 사례를 공간 개요, 공간 특성, 디자인 개성, 브랜드 인식 총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5가지 요소의 조화를 통해 관람객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는 성공적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을 완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초대 요소와 참여 요소가 혼재되어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인식의 과정을 만든다는 것에 대해 전시디자인이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구체화 하고, 페어 마케팅의 전략적 장점과 가치를 도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페어 참가 기업의 전략적 목적을 내재한 전시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잠재 고객과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촉발 시키고 이는 브랜드인식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는 상호작용이 발생함을 증명하였다. (결론) 전시 디자인은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표현 방법으로써 관람객의 프로그램 커뮤니티 참여를 돕고 인식의 전환점을 만드는 중요 요소임을 보여주었으며, 성공적 전시 디자인을 위해 페어의 목적, 예산, 통일성, 운영, 사후 개선에 대한 점검 요소와 고려할 요건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의 전시 공간 디자인 전략 수립에 있어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The notion of a fair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selling products (Song, 2006, p. 14). According to the change into a radical network society, it has been converted into “exhibitions” augmenting sales by improving the customers` level of acquiring and recognizing product information. As part of the sales marketing program, the fair has caught audience`s eyes with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including taking advantage of exhibition design. For example, the thought diversion program is utilized for exhibition spaces, which is progressed by companies emotionally delivering brand experience value to customers through experience marketing in an effort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sales. In order to yield successful marketing result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fairs, I have initiated research to suggest a design inspecting point and communication factors by which the participation and the conversion of spectators can be induced. (Method)I selected a series of international fairs containing space structures in favor of customers` approach and the constituents of the participation program as analysis models among cases of fairs creating a synergy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xhibition space flow and the marketing program.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cases and this research are based on my experience in operating an exhibition and the fairs that I attended in person. In light of a customer`s approach, I assorted six space structure cases into four subsections: space outline, space peculiarity, design characteristics, and brand awareness. (Results)By analyzing cases, it was found that exhibition designs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spectators through the harmony of five factors including sense, emotion, awareness, behavior, and relationship. This sets forth the outcome that successful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can complete brand awareness,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Invitation factors and participation factors are intermingl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of those factors and creating awareness, exhibition design materializes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and generates the strategic advantage and values of fair marketing. According to the sorts of exhibition designs containing the strategic purposes of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fairs, it accelerates marketing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customers, which leads to specific interactions and an increase of sales and brand awareness. (Conclusions)Exhibition design is a way of expressing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It helps spectators engage in the program community and represents itself a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a watershed of awareness conversion. In addition, it gives rise to the result regarding inspection and consideration factors for the aim of fairs, budget, uniformity, operation, and post-management. I hope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s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xhibition space design at fairs.

      • KCI등재

        사회적 관계성을 위한 여성성의 건축 설계 특성에 관한 연구-Kazuyo Sejima, Jeanne Gang 작품 중심-

        김형자 ( Hyungja Kim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연결의 공간이 요구되며 유연한 사고와 다양성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공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거주환경은 여전히 과거의 남성과 주류층 사고에 기초한 위계적 공간 구조가 주를 이루며 기계론적 사회 구조와 결정론적 사고 중심에서 변화를 거부한다. 반면 여성은 유연한 네트워크와 창의력에 가치를 두며 결과에 대한 공동의 모색과 변화를 찾는 성격을 띤다고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츠(John Naisbitt)가 밝힌 것과 같이 ‘여성성’은 현대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시할 가능성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성적 가치’를 기존의 남성 중심, 주류 중심의 사고에 대한‘다름’이 아닌 ‘차이’로써의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 고유의 경험과 사회적 관계로 형성된 ‘여성적 환경설계 특성’과‘여성적 공간구성 특성’을 연구하여 ‘여성성의 공간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여성성의 동서양 의미와 사회적 관계성을 위한 여성적 가치의 의미를 고찰하고 둘째. 페미니즘 건축의 흐름을 파악하여 선행 연구된 여성적 설계접근 방식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재정립하여, 사례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셋째. 여성적 설계접근 방식의 특성과 건축 공간 구성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넷째. 동서양의 대표적인 여성 건축가인 Kazuyo Sejima(SANAA)와 Jeanne Gang(Studio Gang)의 건축 작품에서 사회적 공간을 중심으로 여성적 환경설계 접근방식과 공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환경설계 접근방식에서 두 그룹 모두 총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융합성과 감성 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관계성을 중심으로 사용자, 공간의 용도, 공간의 구조를 문화적, 사회적, 물리적 맥락성에 따라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어떠한 감성을 느끼게 할지를 고민하는 설계 접근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공간구성 요소에서 공통되게 프로그램을 통한 공간구성을 중요시하였으며 다양한 관계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은 볼륨과 레벨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비워진 공간으로 유연함과 가변성이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설계하였다. (결론) Kazuyo Sejima(SANAA)와 Jeanne Gang(Studio Gang)은 커뮤니티 공간의 설계방식에서 자연요소, 공원, 놀이터, 운동장, 카페와 같은 익숙한 공간으로 접근이 쉽고 우연을 발생시키는 동선을 유도하였다. 이는 심리적 경계를 낮추고 자연스러운 만남의 관계를 유도하였으며 커뮤니티의‘사회적 관계성’을 높이는 부드럽고 유연한 여성적 설계 접근 방식으로 해석된다. 또한, 설계 진행의 소통에서도 Top-Down으로 이루어지는 권위적 결정보다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아이데이션 회의를 통한 열린 결과를 이끌어가는 유연한 사고의 여성적 설계방법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심화된 여성성의 건축 공간 가치 연구로 유연한 사고와 다양성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공간’ 의 활성화를 높이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paces of multi-layered and complex connectivity, especially “social spaces” that emphasize flexible thinking and diversity,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modern society. However,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full of hierarchical spatial structures based on the past masculine and mainstream thought that denies change at the center of mechanical social structure and deterministic thinking. On the other hand, as futurologist John Naisbitt mentioned, women value flexible networks as well as creativity, and commonly seek change considering the results, which implies that “femininity” may present new values to modern society. In this sense, compared to the existing male-centered mainstream thought,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value of femininity” by perceiving “feminine value” as “distinction” rather than “difference.” (Method) First, the Western and Eastern meanings of femininity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meaning of feminine values for social relationships was examined. Second, the flow of feminist architecture was recognized; the method of feminine design approach mentioned in preceding research was understood, its characteristics were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the case study was then decided. Third, the frame of the case analysi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feminine design approach and those of architectural spatial composition. Fourth, the method of feminine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and the elements of spatial composition were derived from the social space of the architectural works of Kazuyo Sejima and Jeanne Gang, female architects representing the East and West. (Results) First, in the method of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totality was the highest in both groups, followed by confluence and sensibility. In other words, the goal of this method is to focus on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 in order to totally grasp users, the usage of space, and the spatial structure, depending on cultural, social, and physical contexts, and then to consider what type of sensitivity users should feel. Second, all the elements of spatial composition emphasized spatial composition through programs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that were designed as mostly empty spaces of flexibility and variability, though they had differences in terms of volume and level. (Conclusions) With the method of community space design, Kazuyo Sejima and Jeanne Gang induced accessible and accidental traffic lines using familiar spaces such as natural elements, parks, playgrounds, schoolyards, and cafes. They used a method of smooth and flexible feminine design approach to lower psychological barriers, induce natural meetings, and raise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They also used a flexible-thinking feminine design methodology, leading to open results through ideation conferences with various interested persons rather than to top-down authoritative decisions in communication for designing.

      • KCI등재

        언택트 시대의 공공디자인: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이양숙 ( Lee Yangsook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19(COVID-19)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뉴노멀로서 언택트(untact) 시대가 도래하였다. 언택트는 사회 전반에 빠르게 자리잡고 있으며 기술 발전 및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면 중심의 공공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디자인, 그중에서도 공공시설 디자인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첫째, 국내외 기술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산업 환경 변화와 전망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국내·외 기사, 연구자료 및 문헌 분석을 통해 언택트 시대의 특성을 도출한 후, 넷째,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성 양상을 연구 및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다섯째, 앞에서 도출한 언택트 시대 특성 및 공공성의 변화 분석을 토대로 공공시설 디자인 방향 및 역할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가치 제안을 위한 NABC 분석법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결과) 연구를 통해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공공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위기관리를 위한 전방위적 국가 보장 확대, 둘째, 민첩한 상황 대응 및 문제해결력, 셋째, 인간의 존엄성에 바탕을 둔 공공서비스, 넷째, 디지털 영역에서의 민주적 규범 및 상호작용 확립, 다섯째, 협력 및 윤리 책임 공유, 마지막으로 공공공간에서의 접촉 및 밀도 감소, 유연성 강화로 나타났다. 언택트 시대의 사회, 경제, 공공 환경 특성들을 토대로 한 공공시설 디자인 방향 및 역할은 첫째, 서비스 제공과 참여의 측면에서 물리적, 디지털 경험의 융합, 둘째, 탄력적 역할로서 가변적인 공간 활용, 셋째, 지역사회의 완충지역으로서 소규모의 열린공간의 분산 활용, 넷째, 지속가능한 환경 및 운영시스템 구축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한 목표 및 기대효과는 첫째, 공공행정 및 시설 운영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둘째,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에 둔 보다 세분화되고 다양한 계층에 소구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장소의 연결을 새롭게 하고 더욱 확장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지역의 회복탄력성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행정 주체 및 시민들로 하여금 시대 변화에 따른 공공시설의 역할과 활용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할 수 있다. 향후 공공시설을 사용자 중심으로 최적화하여 운영,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 기반 운영시스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era of Untact as a new normal has arrived. “Untact” is rapidly becoming established throughout society a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and the emergence of mutant viruses. These phenomena also affect face-to-face public design and create new challen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present the public design required in the untact era, especially the direction and role of public facility design. (Method) The research first examines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ical changes, and second, reviews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industrial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ird, it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tact era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rticles, research data, and literature. Fourth, the publicness aspect required in the untact era is analyzed through research and examples. Fifth,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ness of the untact era derived earlier, the direction and role of public facilities design are presented. Finally, the validity is verified through the NABC analysis method for the value proposition.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publicness required in the untact era as follows. First, it expands the total national security for crisis management. Second, it is an agile situation response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it is a public service based on human dignity. Fourth, it is the representation of democratic norms and interactions in the digital realm. Fifth, cooperation and sharing of ethical responsibility. Finally, it appears as a result of reducing density and increasing flexibility in public spaces. The direction and role of public facility design based on the social, economic, and publ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untact era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of physical and digital experience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and participation. Second, the use of variable space as a flexible role. Third, regions as a buffer zone for society, and the distributed use of small open spaces is mentioned. Fourth, it could be proposed by establishing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operating system. (Conclusions) The goals and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proposal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facility operation can be expected. Second,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provide services that are more specialized and appealing to various classes based on human dignity. Third, digital technology can be used to renew and expand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s well as humans and places. Finally,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resilience of the region. This study can give public administration subjects and citizens a new perspective on the role and use of public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