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성 발달에서 경험의 역할과 쟁점

        이상훈(李相勳),오헌석(吳憲錫)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경험은 전문성 발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으나 전문성 발달과 경험의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들은 일관성 있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경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전문성의 발달에서 경험의 역할을 경험적 지식, 지식의 맥락적 활용 능력, 암묵지, 자동성 획득의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문성과 경험의 관계에 관한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경험과 지식의 관계, 둘째, 경험과 학습의 관계, 셋째, 경험의 깊이와 폭에 관한 것이다. 쟁점의 분석 결과 전문성의 발달에서 경험은 분석적 지식과 서술적 지식 보다는 절차적 지식에 영향을 미치고, 경험이 학습으로 연계되는 데는 특정 조건이 필요하며, 비구조화된 문제상황에서는 경험이 깊이와 함께 폭이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성과 경험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는 점, 특히 최근 전문성 연구에서 주목되고 있는 적응적 전문성 연구에서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issues about a role of experience in expertise development. The experience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factor in expertise development. However, many empirical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were not consiste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prior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analyzed the related issues. In this study, the role of experience in expertise development was divided four aspects acquisition of automaticity, ability of knowledge contextual utilization, acquisition of tacit knowledge, and construction of experiential knowledge. The issues on experience and expertise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learning, and the breath and depth of experience. Through this issue, I described that experience affects the procedural knowledge, rather than analytic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re are certain conditions required to be linked experience to the learning, and experienced with not only the breath and but depth may be important at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These issues have implications on theories and practice of expertise, especially adaptive expertise research.

      • KCI등재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최주애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usic therapist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ion. A total of 98 certified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or a 46.7% response rate, and 78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ists show a high level of standards for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in general. Meanwhile, the respondents gave their lowest rating on the perception of their occupation as a social service addressing the needs of societ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rated the level of their professionalism as high and they tended to identify individual competen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length of clinical practice and level of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training may contribute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lso, lower levels of perception on social aspects of the professionalism support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Given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in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 for clients and expanding the profession,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and propose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therapists.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전체 210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9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미완성된 응답을 제외한 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기본 정보 10문항, 전문성 인식 27문항으로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전문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를 교육정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와 경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가 전문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과 관련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개인적 측면 외에도 조직적, 사회적 측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치료 교육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인식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방향과 전문성 관리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공무원의 조직지원 및 인적자원개발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개인 가치적합성 및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 차이를 중심으로

        강나율 ( Kang Na Yul ),이지안 ( Lee Ji An ),유정환 ( Ryu Jung Hwan ),박성민 ( Park Sung Min )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공직자의 전문성은 개인의 역량 및 능력이자 나아가 소속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과거 단조롭고 예측 가능했던 행정수요가 변화무쌍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공직사회와 공직자의 전문성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공직사회는 계급제 하에서 이루어지는 순환보직제도 등으로 인해 전문성을 축적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직위분류제적 요소를 적용한 전문직위제도와 같은 개방형 인사제도를 도입함으로써 공직사회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입직 경로를 다양화하고 있다. 최근의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개방형 인사제도가 실제로 전문성을 제고하는지에 대한 효과가 불분명하며, 오히려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이 관료제에서 거버넌스로 바뀌고 있는 시점에서는 일반행정가(generalist)로서의 능력 또한 전문성의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전문성의 개념은 단순히 입직경로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볼 수 없으며 공직사회에서 이바지하고 있는 공직자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및 인적자원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공무원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조직지원과 인적자원개발활동에 대한 인식수준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직무적합성이 개인-조직 적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며,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조직지원 및 인적자원개발활동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가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t-test 분석)과 공분산구조분석 및 다중집단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개경쟁채용자와 경력경쟁채용자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의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 탐색

        장환영,백평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2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일터의 변화는 전문성 개념의 재구조화를 요구하는 것이며 전문성 개념의 영역 의존성과 특수성으로부터의 전환을 의미한다. 전환적 시각은 미래 사회의 전문성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가의 문제, 그리고 인적자원개발 전문성 연구의 새로운 과제들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연구 목적으로서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의 도출을 지향하면서, 먼저 전문성 연구의 현재 검토에서는 전문성 개념과 이론적 접근, 전문성 개발과 발달의 과정, 전문성 영역 간 융합을 중심으로 전문성의 확장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전문성 개념 재구조화의 논점은 크게 맥락의 중요성의 재확인과 전문성 연구의 확장 가능성 탐색으로 정리되었다. 맥락의 중요성 재확인에서는 1) 시스템 사고, 2) 성과공학과 전문성의 연계, 3) 전문성의 전이, 4) 전문가 중심의 미시적 관점 극복을 제안하였다. 전문성 연구의 확장 가능성 탐색에서는 1) 신뢰의 생산성과 새로움의 생산성의 통합, 2) 창의성과의 접점, 3) 문제 해결의 효율성에서 문제 자체의 재구조화의 의미를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미래의 연구 과제를 1) 시스템 관점의 강화, 2)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 3) 미래지향적 전문성 연구 확대, 4) 전문성 활용과 관리의 강조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the challenges the expertise research faces in the context of the future changes represented by Industry 4.0. Those challenges have required the restructuring the concept of expertise, which referred to the transformative stance from domain dependent and domai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expertise research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agenda.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finitions and theoretical approaches of expertise, developments of expertise, and reformulation of the way to view the expertise research in terms of convergence. The second section presented the two arguments for restructuring the concept of expertise. The one proposed re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context of expertise concept formulation. It includes 1) systems thinking, 2) HPT(Human Performance Technology) and expertise, 3) transfer of expertise, and 4) overcoming expert-centered myopic approach. The other discussed about enlargement and diffusion of expertise research. It covers 1) integrating the productivity of trust with that of novelty, 2) expertise-creativity nexus, 3) shift from problem-solving efficiency to questioning the problem itself. Future research agenda were proposed as a conclusion section in terms of: 1) systems view, 2) methodologies, 3) future-oriented research, and 4)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expertise.

      • KCI등재

        광역의회의 전문성과 입법생산성

        朴良雨,安孝鍾,朴明浩 한국의정연구회 2021 의정논총 Vol.16 No.1

        1991년 지방자치제의 재도입 이후 30년의 경험이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의회의 역량에 대 한 회의적인 시각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대체로 지방의회의 낮은 전문성에 대한 비판인데 정작 전문 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객관적인 측정방법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염두해두 고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진행되었다. 첫째, 광역의회의 전문성 논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의회전문성 측정을 위함이고 둘째, 의회전문성 측정을 위한 요소가 과연 의정활동에 있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주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먼저 한국의 광역의회전문성 측정을 위해 의원보수, 회기일수, 사무직원 수와 상임위원회 수 등의 변수등을 통해 전문성을 측정하였다.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의회 중 서 울과 경기도 의회의 전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6년 이후 특별자치도로 지정된 제주도 의회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높은 전문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측정을 통해 드러난 한국 광역 의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의회직원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 1인당 직원수를 1로 봤을 때 전체 광역의회 의원 1인당 직원수는 평균 0.187명으로 광역의회전문성 확보와 의원들의 의정활동 보좌를 위해 의회 직원 확충이 무엇보다도 시급해보인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광역의회전문성 요소가 입법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측정이다. 분석결 과 의원 1인당 조례발의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의원보수, 회기일수, 전문위원수와 상임위원회 소속위원의 수 등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정부 대비 광역의회의 상대적 입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의원 조례발의율을 종속변수로 한 모델에서는 의원보수, 사무직원수, 전문위원수, 상임위원회 소속위원수 등에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Dispite 30 years of experience in local autonomy since its reintroduction in 1991, skepticism about the competence of local councils has not disappeared. It is generally criticized for the low level of professionalism of local councils. However, there has no scholary agreement on a clear definition or an objective measurement of legislative professionalism.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wo purposes. First, it is aiming to develop to measure the legislative professionalis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discuss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local council. Second, we are interested in exploring how the factors consist of legislative professionalism influence on law making activities. To create the measurement of legislative professionalim in local councils, we consider four types of variables: salary, times in session, the number of staffs and the number of committees. Among the 16 local councils excluding Sejong, the Seoul and Gyeonggi-do council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the Jeju-do council, designated as a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ince 2006, has consistently maintained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Through the measurement of legislative professionalim, we found that the biggest problem of the Korean local council revealed was scarce staffs. Considering the number of staffs per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s 1,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per legislator of the local councils is only 0.187 on averag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factors of legislative professionalism influence on legislative productivity: bills introduced per legislator and tha rate of bills introduced by legislators. The results shows that salary, time in session, the number of committee staffs, and the average number of legislators assiged to each committee. The rate of bills introduced by legislature, which is designed for examing the capacity of legislature against local government is associated with the variables of salary,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staffs, the number of committee staffs and the average number of legislators assiged to each committee.

      • KCI등재

        한 초등학교 전문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예술기반 생애사 연구

        이동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술기반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하여 한 초등학교 영화교육 전문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특히, 이 연구는 한 초등학교 전문교사의 고유하고 개인적인 교수 전문성 발달이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조건과 어떻게 조응하는지를 해석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Mandelbaum(1973)의 분석단위(차원, 전환점, 적응)로 타임라인을 구성하고,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8)의 총체적 내용 접근으로 전문성 발달과 의미에 대한 코딩 및 범주화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5개의 하위범주(➀ 초등 영화교육의 방법과 노하우, ➁ 초등 영화교육을 통한 대안적 전문성 추구, ➂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교수적 약점 노출하기, ➃ 조직적 전문성 해체하기, ➄ 6학년 교사로서의 교육적 한계 인정하기)와 2개의 핵심범주(➀ 초등학교 전문교사로서의 대안적 전문성 모색, ➁ 6학년 전문교사 되기)를 생성하였다. 이 연구는 인 비보 코딩(in vivo coding) 통하여 참여자의 생애담을 생동감 있게 재현하고, 분석적 및 해석적 글쓰기를 통하여 전문성 발달과 관련한 참여자의 생애담을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조건에 연결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의 조직적 전문성을 넘어서 개인적이고 직업적인 교수 전문성의 발달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전문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의미에 대한 해석적 논의를 통하여 대안적인 전문성 개념을 재개념화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atively investig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of an elementary expert teacher in film education through art-based life history research. Specifically, this paper interpretatively reviewed indigenous and personal professionalism of an expert teacher in terms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conditions in korea. This study constructed a timeline by analytic unit(dimension, turning point, adaptation) of Mandelbaum(1973), generated five sub-categories(➀ method and know-how for elementary film education, ➁ searching for alternative professionalism through elementary film education, ➂ disclosuring vulnerability as a teacher, ➃ deconstructing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➄ recognizing educational limit as six grade teacher) and two core categories(➀ searching for alternative professionalism as an expert teacher, ➁ becoming six grade expert teacher) through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8)'s holistic content approach. This paper vividly represented participant's life story by in vivo coding, connected a life story with sociocultural contexts and conditions by analytic-interpretive writing. Also,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ideas for developing personal and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beyond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cornerstone to reconceptualize alternativ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illumin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in korea.

      • KCI등재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허주(Hur Ju)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근래의 교육개혁 담론과 교육정책에서 교사와 교사전문성은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전문가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 문제가 제기되고 교사의 탈전문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교직특성 및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교사는 교사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전문성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을 특성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부분적이고 제한적이며, 교사전문성은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관계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이 가치체계의 형성과 유지 및 발전의 기능이 있다고 인식하나,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전문성 개념이 위로부터의 전문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해관계자인 정부,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관계가 균형적이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에 대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가 전문성에 대해 이념적 의미부여를 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형적 관계를 위해서는 교사 자율성이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전문성을 관계성(relation)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사전문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교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 학생 및 학부모, 연구자 등의 교육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regarding education reform treat teacher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thods and tools for achieving the policy goals. With an emphasi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locking with efficiency of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teachers are forced to reach specific targets and evaluated. Behind this i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professionalism which could caus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tempted to identify how teac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and what the concept mea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rait theory based understand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limited and partial, and in knowledge-based society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of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 that Korean teachers conceptualize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 as stability and developing of social system, but recognize that it malfunctions. Moreover, it is foun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formed primarily from above(externally) and the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are imbalanced. This is partly because teachers connotate ideological meaning to professionalism and mostly because limited teacher autonomy which is the key for balance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understood and dealt from a relations approach. In other word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 only with the teachers but also shared by stakeholders of education, such as government, students and parents, and researchers.

      •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의 경향 및 관계

        김해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7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2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Also, it examines relationship amo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7 teachers working at child educational organization in a capital area.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As for career and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b-factors. Also, as for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of the sub-factor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level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As for teachers' age, career and educational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teaching flow and sub-factors. That is, the higher age and career were, the hig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were. In terms of the educational level, teachers with a master’s degree and under the degree performed hig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Second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ing flow. This study suggests that measures for supporti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prepared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improved for increasing their teaching flow that results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교수몰입도 측정을 위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은 보통보다 높은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사의 변인과의 관계에서 경력과 교육정도는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은 전문성발달 전체와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의 발달, 생태적 발달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와 교사의 변인과의 관계에서 연령, 경력, 교육정도는 교수몰입도 전체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 경력이 높아질수록 전문성발달수준과 교수몰입도가 높아졌으며, 교육정도에서는 특히 대학원 재학 이상이 전문성발달수준과 교수몰입도가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전문성발달 모든 하위요인과 교수몰입도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는 서로 간에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과 교수몰입도를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과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 증진과 교수몰입도 향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오헌석,김정아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pproaches and critical issues in expertise research, explore new approach,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Expertise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traditional approach and expert performance approach. Critical research issues in expertise are identified as definition of expertise, componential elements of expertise, measurement of expertise, transferability of expertise, and time length to develop expertise. New approach to expertise research was suggested as expertise development approach. New research agenda in expertise development research include integrative framework to analysis expertise, life-long perspetive to expertise development, learning mechanism of expertise development, developmental strategies to accelerate expertise development.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전문성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문성 연구를 크게 전통적 접근법과 전문가 수행 접근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으로는 전문성의 정의(definition), 전문성의 구성요소(Component), 전문성의 측정(measurement), 전문성의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 전문성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time) 등 5가지 주요 이슈로 분류하여 각각 어떠한 쟁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과제를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전문성 연구의 방향으로 전문성 개발 접근(Expertise Developmental Approach)을 제시하였다. 전문성 개발 접근의 연구과제로서 전문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 연구방법의 도입, 전 생애적 관점의 전문성 연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학 습 메커니즘 분석 연구, 전문성 습득을 가속화 할 수 있는 발달 전략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수업전문성 연구의 대안적 관점: 적응적 전문성

        이상훈(Lee, Sa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교사는 학교 교육의 혁신과 변화에 필수적인 핵심 수행자이며, 수업전문성은 교사의 다양한 역할 중 가장 고유하고 중요한 전문성으로서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주목받아 연구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을 어떤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업전문성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관점을 분류하고, 각 관점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관점은 행동 중심 관점, 지식 중심 관점, 판단 중심 관점, 성찰 중심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관점은 탁월한 수업을 위한 교사의 능력 요소를 개별적으로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나, 오늘날의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 및 교육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업전문성의 기존 관점의 대안적 관점으로 적응적 전문성 개념을 제시하고, 적응적 전문성 관점의 필요성과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전문성 연구와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eachers are key performers essential to the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is the most unique and important specialty of the teacher s diverse roles and has been studied with attention by various researcher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critically reconstructed the existing perspectives on teaching expertise to find out from what perspecti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understood. The teacher s perspective on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divided into behavior-oriented perspective, knowledge-oriented perspective, judgment-oriented perspective, and reflection-oriented perspective. This wa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teacher s ability to excellent teaching. But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 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al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view of teaching expertise, this study suggested an adaptive expertise perspective. Accordingly, the concept of adaptive experti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expertise from the adaptive expertise perspectiv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of teaching expertise and development of teaching expertise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