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경전해석학 : 『대학(大學)』의 해석학적 접근 ; 일본 유자(儒者)의 『대학(大學)』 수용과 해석에 관하여

        한예원 ( Yae Won Han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3 No.-

        본 논문은 『대학』을 일본 儒者들이 어떻게 수용하여 해석하였는가를 사상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대학』의 내용 중, ``明明德``이 실천주체의 修身에 관여하는 범주라면, ``親(新)民``은 실천주체의 사회참여에 관한 범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 儒者들의 ``明明德``과 ``親民``에 관한 해석을 살펴보면, 그들의 수양론과 실천론의 특색을 드러낼 수 있다. 우선 일본의 근세유학 형성기에 해당하는 시기의 儒者로서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의 『대학』 수용과 그 해석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그는 주희의 『대학장구』적 해석을 수용하면서도, 명말 임조은(林兆恩)의 해석을 수용하여 주희의 해석에 異議를 제기하고, 나아가 임조은의 해석으로도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만의 독특한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어서 근세 양명학 형성시기의 나카에 도주(中江藤樹)의 『대학』 해석은 또 다른 특색을 보여준다. 만년이 되기 전까지 주자학에 심취하였던 도주는 주희의 해석을 바탕에 두고, 그 위에 왕수인의 해석을 수용하여 도주 나름의 심학을 이루었다. 특히 도주는 개인의 윤리적 실천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사회개혁의 의지보다는 인간다운 인간, 참된 인간을 추구하는 내용상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일본 유자의 『대학』 해석 자세는 오규 소라이(荻生조徠)에 이르러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주희에게 이의를 제기하게 된다. 그는 古文辭學이라는 문헌학적 해석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주희의 논리체계를 정면에서 반박하고, 새로운 해석을 창출한다. 이 러한 독창적 경학연구는 조선의 정약용도 참조할 정도의 수준이었다. 일본 儒者들은 각자의 관심과 해결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학』 해석 중 취사선택하여 자신들의 해석으로 삼았다. 그런 지적환경에서 개성적 해석이 나올 수 있었는데, 이렇게 되기까지 주자학이든 양명학이든 일본근세사회에서는 교조화 되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is a paper which about how did Japanese Confucian scholar accommodate and interpret 『University』 which was independent with one of the Four Chinese Classics (四書) by Juxi(朱熹) in their thought historians view. In content of 『University』, if ``myeongmyeongdeok(明明德)`` is involved in moral training of doer, `` 親民`` can be defined as social participationcategory of doer. Therefore, you can get to know about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moral culture and the theory of practice, if you look into interpretation regarding ``myeongmyeongdeok`` and ``親民`` of Japanese Confucian scholar. First of all, about characteristic of accept and interpret 『University』 of Fujiwara-seika(藤原惺窩). He is Confucian scholar who corresponded in the Japanese modern times Neo-Confucianism formative period. He was accepted about interpretation of 『College gear(大學章句)』 of Juxi however, he objected to interpretation of Juxi with accept of interpretation of myeongmal Lin Zhaoen(林兆恩). Furthermore, he suggested a unique interpretation in his own way if he did not satisfy with interpretaion of Lin Zhaoen. This is one of characteristic of Japanese Confucianism which objected to Juxi from Neo-Confucianism acceptance stage and, the way that is assemble interpretation in their own way with selected diversity construe. Second, about characteristic of accept and interpret 『University』 of Nakaetoujyu(中江藤樹). He is a person when the modern times philosophy of Wang ShouRen(王守仁) formation times. He constitute a Study of maind(心學) characteristic of him. He is based on interpretation of Juxi with accept Wang ShouRen`s construe. In especial, he focus on the personal`s ethical practice so, he want to show real hunam and true human than social reform will. Last, Japanese Confucian scholar`s construe of 『University』 has reached Ogyu Sorai(荻生조徠) who made a use of philological analysis system which call Gobunjigaku(古文辭學) and took exception to a logical system of Juxi. Chinese classics of Japan`s stage has reached a creative level even JeongYakYong(丁若鏞) of the Joseon Dynasty refer to it. Japanese Confucian scholar are selected of diversity interpretation of 『University』, and made of their own construe to suggest present each interest and solution. That even if what this individualistic interpretation was able to flow from was the Neo-Confucianism or philosophy of WangShouRen, there was the scientific background that did not become doctrinality in Japanese modern history times. When lodge a protest against about interpretation of 『University』 start from Neo-Confucianism formative period to Ogyu Sorai, then it originate the zenith.

      • KCI등재

        1719년 필담창화집 『항해창수(航海唱酬)』에 나타난 일본 지식인의 조선관 -수족병산(水足屛山)과 적생조래(荻生徂徠)의 대비적 시선에 착안하여-

        이효원 ( Hyo Won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航海唱酬』는 1719년 기해통신사행 때의 필담창화집이다. 본고에서는 자료를 충실히 소개하고 역사적 배경 속에서 자료가 지닌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필담창화집에는 「韓客會宴錄」이라는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통신사를 만나게 된 경위 및 필담의 현장을 관찰자 시점에서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이는 여타의 필담창화집에서는 볼 수 없어 주목된다. 필담창화집의 주요 내용은 제술관 申維翰(1681~1752)과 水足屛山(미즈타리 헤이잔, 1671~1732)이 나눈 필담에 담겨 있다. 屛山은 조선에서 간행된 性理書, 조선의 성리학자들, 退溪 李滉과 관련된 사실 등에 대해 물었다. 이를 통해 屛山이 熊本朱子學派 계열에 속하며 조선의 성리학에 대해 존숭의 념을 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屛山은 시종일관 공손한 자세로 필담에 임했으며, 조선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경모의 마음을 표출하였다. 그러나 서문은 필담과는 상반된 내용을 담고 있는바, 이는 작자인 荻生조徠의 의도적인 ``誤讀``이라 생각된다. 그는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기억을 소환한 위에 필담을 ``文戰``으로, 전쟁의 전리품이었던 ``高麗門``을 『항해창수』와 유비시키면서 일본이 文과 武 양면에서 조선을 굴복시켰다는 점을 부각하였다. 이러한 왜곡된 해석의 이면에는 17세기 이래 변화된 조공질서 속에서 자국중심의 華夷意識을 강화했던 일본 유학자들의 조선에 대한 멸시와 폄하의 시선이 존재한다. HanghaeChangshu(航海唱酬) is the 1719 Kihae Diplomatic Envoy [己亥通信使] written communication record. Detailed description from observers point and process to meet are described on this literature which titled Hangekhoeyonrok(韓客會宴錄). It is unusual that can not be found any other written communication record. The main contents of the literature is written communication between Shinyuhan(申維翰, 1681~1752) and Mizutari Heizan(水足屛山, 1671 ~1732). Heizan asked Shinyuhan about book of Sung Confucianism (性理書), Korea`s Confucian and Lee Hwang(李滉). It showed that he is Kumamoto Sung Confucian[熊本朱子學派] and he highly worshiped Chosun`s Confucian. Heizan consistently make written communication on respectful attitude and He expressed the mind of admire about Chosun. One side, Introduction of Sorai saying contradictory information when compare with written communication between Shinyuhan and Mizutari Heizan. This means that it is Sorai`s deliberate misreading. Sorai recalled the memory of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also draw an analogy between written communication and writing battle[文戰] and between Korea gate[高麗門] and HanghaeChangshu(航海唱酬). It means that Japan bring Chosun into submission at the both side of writing battle and milltary force. If such a distorted interpretation, there is a despise and disregard of Japanese confucians who intensified self-centered Hwaiisk(華夷意識) at the changed tribute system in 17th century.

      • KCI등재

        오규 소라이[적생조래(荻生徂徠)]의 『논어』해석의 특징 -「위정」편에 대한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옥균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이 논문은 오규 소라이의 『논어』 해석의 특징을 「위정」편을 중심으로 주자의 해석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소라이의 『논어』 해석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찾아볼 수 있었다. 1. 소라이는 한나라 유학자들이 『논어』 주석에 대해서 『논어』의 본뜻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기도 하지만, 그들이 옛부터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주석을 지키는 태도는 높이 평가한다. 송나라의 유학자들이 억견으로 경전을 주석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라이는 『논어』를 해석할 때 문장 안에서 문장의 뜻을 추구해야지 문장의 밖에서 문장의 뜻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2. 소라이는 德을 `도를 행하여 마음에 얻는 것`이라고 정의하는 주자와는 달리 객관적인 `예악을 몸으로 익혀서 실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논어』를 해석하면서 주자는 개인의 내적 측면을 소라이는 사회적 관계의 외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3. 소라이는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정치의 관련을 부정하고 있다. 4. 소라이는 정치에서 사람을 아는 일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5. 소라이는 학문의 도리는 `자신의 지혜를 쓰는 것`이 아니라 `선왕의 가르침을 한결같이 따르는 것`이다. 비판적으로 본다면 소라이의 이러한 학문관은 학문에서 창의적인 사고를 억누르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6. 소라이는 私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으며, 백성들이 자기 자신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를 보살펴 그들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군자의 公이라고 파악한다. 7. 주자는 마음의 동기를 중시하는 반면에 소라이는 외적으로 드러나는 지향(태도)을 중시한다. 這論文的硏究目標是比較硏究朱子和荻生?徠對論語爲政篇的解釋. 下面 是荻生?徠論語爲政篇解釋的特徵. 1. 朱子把德定義了行道而得於心的. 荻生租徠把德定義了以身習客觀禮樂 而實踐的. 解釋論語的時候, 朱子强調個人內面, 荻生租徠强調個人關係. 2. 荻生租徠否定個人道德修養和政治的親切關聯. 3. 荻生租徠强調在政治上知道人的重要性. 4. 荻生租徠想漢儒經傳解釋態度比宋儒更好. 認爲漢儒固守古代以來經傳 解釋傳統, 可是宋儒以自己的臆見解釋經傳. 所以荻生租徠强調應該在文章之 內求文章之義, 在文章之外求文章之義不是的. 5. 荻生租徠主張學問的道理不是用自己的知慧, 是始終從先王之敎. 荻生租徠的這樣學問觀能抑制在學問上創意的思考能力. 6. 朱子重視心的動機, 荻生?徠重視外的指向或態度. 7. 荻生租徠肯定私的領域. 他想保障老百姓的私就是君子的公.

      • KCI등재

        유고경전해석학 『중용(中庸)』의 해석학적 접근 오규소라이(荻生조徠)의 『중용해(中庸解)』에 나타난 사상적 독자성

        박홍식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5 No.-

        荻生조徠通過『中庸解』的執筆擺脫了朱子『中庸章句』中對『中庸』的解釋, 試圖進行自己獨有的對『中庸』的解釋。조徠在『中庸解』的體裁和內容, 分析形式中事先提示出了明顯的主觀和方法論。조徠解釋經典的最終目標點是安天下。爲了安天下古代聖人和先王所做出來的就是先王之道的禮或禮樂。作爲先王之道, 記載叫做『中庸』之德行的書就是『中庸』。조徠吸收『論語徵』中使用的經驗, 將古文辭的方法還應用於達到『中庸』之原意。조徠通過『中庸解』的著述所實現的學問成果應是, 在江戶幕府社會下爲了達到建設理想社會的實用性目標, 將『中庸』從具體的社會實踐觀點中做了解釋。在此過程中應用了古文辭的獨有的方法論, 不局限於朱子學的權威而展現了他獨有的思想, 爲以後敞開自由的各種思維之路, 形成了思想史的貢獻。

      • KCI등재

        적생조래(荻生?徠)의 고문사학(古文辭學)에 대한 반성적(反省的) 고찰(考察)을 위하여

        이규필 ( Lee Gyu-pil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6

        日本 經學 분야에서 우리나라 학자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학자는 荻生?徠(1666-1728)이다. 그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커져 왔고, 그 연구 열기는 당분간 지속되리라 전망된다. 흐름은 크게 셋, 經學 방면의 연구, 文學 방면의 연구, 文化·思想방면의 연구이다. 그의 古文辭學은 이 경학적 성격, 문학적 성격, 文化·思想的 성격을 모두 지닌다. 이 때문에 일본 유학에 관심을 보이는 학술의 장 여기저기서 ?徠의 古文辭學을 논하고 있다. 그런데 각각의 분야가 완전히 분리되어 따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古文辭學 내에서 이 셋이 어떻게 만나고 연결되는지에 대한 탐토는 간과되었다. 뿐만 아니라 古文辭學의 성립과 형성에 있어 간과되어온 문제적 지점들을 探討의 장으로 소환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 문제들을 다루어 ?徠의 六經 강조와 擬古文 지향이 `선왕과 공자의 道`를 `일본에 재현`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고, 그것은 조선예교에 대한 대결의식과 관련지어 이해해야 할 측면이 있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 하나, 우리는 우리 눈으로 ?徠 또는 ?徠學을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반성적 질문을 제기하였다. 우리나 일본은 17, 8세기 지성계를 연구할 때 `근대성 찾기`에 대한 강박과 오류에 빠지곤 한다. 일본 경학에서의 근대성과 관련하여 집약적 상징성을 지닌 아이콘을 하나 꼽자면 ?徠라 할 수 있다. 우리 학계의 조래에 대한 시각은 일본학계의 시각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일본 학계의 `근대성 찾기` 강박에 우리까지 동원될 필요는 없다. 나아가 그것이 우리 학술사와 사상사 연구에 다소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본다. 조래학의 성격 규명과 함께 이 문제를 학계에 던지고자 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philology of Ogyu Sorai(1666-1728). Sorai is the Japanese scholar who has recently received the most enthusiastic scholarly attention among the Korean scholars of the Chinese classics. The scholarly attention to the Confucian philosopher has been steadily growing, and it will be continued for a while. The critical studies of Sorai have been performed in three major fields, that is, in those terms of Chinese classics, of literature, and of cultural history. His ancient rhetoric known as kobunji shows 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lassics, literature, and cultural history. Because of this tendency, there has been discussions of the Sorai`s ancient rhetoric, especially among those academic groups interested in Confucianism of Japan. However, since each field is completely separated, it has been overlooked how these different fields can be converged and connected in the study kobunji.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mmon the problematic points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e establishment and formation of Sorai`s ancient rhetoric. This paper deals with these problems and suggests that Sorai`s emphasis on the six classics and his stress on the ancient philology are the ultimate purposes to `represent in Japan` of the `doctrines of the late king and Confucius. I also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his kobunji in relation to conscious confrontation with Chosun`s ethical code. Moreover, I raise a reflective question of whether we examine Sorai`s classical studies with our own subjective eyes. When we study the intellectual communitie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in Japan or Korea, we often fall into the compulsive dilemma of being eager to uncover the so-called "modernity." If we can name one iconic or symbolic figure who can show such spirit of modernity in the fields of the chinese classics in Japan, Sorai can be the one. However, the scholars in Korean academy community has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Japanese academia in the study of Sorai. There is no need to press us to join the Japanese academia that is obsessed with `finding modernity` of Sorai`s kobunji. Furthermore, the compulsion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our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classics and philosophies. I would like to throw this question into Korean academia while illuminating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Sorai`s ancient rhetoric.

      • KCI등재

        논문(論文) : 『논어징(論語徵)』에 나타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도(道)인식

        함현찬 ( Hyun Chan Ha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3 No.1

        이 논문은 일본 애도 시대 고문사학자로 알려져 있는 오규 소라이의 『논어징』에 나타나 있는 道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논어징』은 주희의 해석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주희의 도에 대한 인식과 소라이의 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소라이의 도에 대한 특징을 드러내었다. 소라이는 『논어』를 ``先王의 道를 傳한 孔子의 말 가운데 가르침이 될 만한 말을 제자들이 기록한 것``이라고 인식하고, 『논어』를 해석할 때 기본적으로 그것을 배우는 사람이 스스로를 다스리는 일을 말한 것으로 해석하지 말고 天下를 다스리는 일을 말한 것으로 해석할 것을 주문한다. 그리고 그는 주희가 『논어』에서 언급하고 있는 도에 대해 사물의 당연한 이치 내지는 추상적인 우주의 원리, 혹은 인간의 도덕적 법칙이나 우주 만물의 본질로 파악하는 인식 태도와 배움의 방법을 비판한다. 소라이는 도를 사물의 당연한 이치로 파악하는 것은 우선 선왕의 도에 대해 알지 못하고, 고문사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어둡기 때문에 생겨난 잘못이며, 또한 그러한 인식 태도와 학문방법은 불교와 노장으로부터 온 것이지 선왕의 가르침이 아니라고 하였다. 소라이가 말하는 ``도``는 공자가 배운 ``선왕의 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악으로 상징되는 사회의 제도적 장치 전반을 지칭한다. 소라이는 유학이 수양보다는 타인을 다스리고 통치하는 제도의 학문이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학문은 수양론 보다는 정치론에 비중이 크다. 그는 유학의 목적은 성인군자가 되는 도덕수양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정치기술이나 문예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동안 주자학파나 고의학파는 도덕수양에 최고의 가치를 두었으나 소라이는 학문이란 사회의 복지증진을 위한 도구로 보았다. 그런데 소라이의 이러한 『논어』 해석은 너무 지나치게 천편일률적이라는 느낌도 지울 수 없다. 소라이는 주자와 성리학을 배척하는데 오로지 외면의 사물만을 위주로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道는 반드시 禮樂으로 해석하고, 仁은 安民으로 해석하며, 禮는 儀制로 해석하는데, 각 개념이 갖는 다의성에 대한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주자학에 대한 적극적인 반론, 『논어』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고대경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활용은 그가 동아시아의 차원에서도 보통의 학자수준을 넘어서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論語徵』은 中國 淸나라 시대의 고증학자인 유보남(劉寶楠, 1791-1855)의 저서 『論語正義』에 인용되기도 하였으며, 조선의 성리학자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역시 그의 저서를 입수해 인용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Tao (道)`` of Ogyu Sorai(荻生조徠) that appeared in the 『論語征』. 『論語征』 is starts from criticism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Chu Hsi(朱熹). Ogyu Sorai was a Japanese Confucian philosopher. He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influential such scholar during the Tokugawa period. Sorai rejected the moralism of Song Confucianism and instead looked to the ancient works. He argued that allowing emotions to be expressed was important and nurtured Chinese philosophy in Japan for this reason. Sorai attracted a large following with his teachings and created the Sorai school, which would become an influential force in further Confucian scholarship in Japa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gnition of ``Tao`` of Ogyu Sorai,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of ``Tao (道)`` of Ogyu Sorai and Chu Hsi. Sorai thought that 『論語』 is a book that has recorded what can be teachings among the Confucius say. And he also thought that ``Tao`` is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social reign. Moreover, he saw the ancient Chinese sage-kings as concerned not only with morality but also with government itself. And in his mind, Confucianism is the study to rule the world and govern human beings. In addition to this, Sorai thought that the study is a tool for promoting the welfare of society.

      • KCI등재

        18세기 조선과 일본 문단에서의상고적 문학론의 배경과 그 추이

        하지영 ( Ji Young Ha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본고에서는 18세기 한일 양국에서 상고적 문학론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던 요인과 각국의 세부적인 전개 양상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18세기에 송대 성리학과 문학론은 주류 담론으로 양국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상고적 문학론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요청되었다. 이와 함께 이 시기에 고조된 중화계승의식이 상고적 문학론의 논리를 강화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공통적인 배경에도 불구하고 한일 양국은 전범과 창작에 대해 상이한 견해를 제출하였다. 申維翰, 李用休 등은 王世貞의 문학을 선호하면서도 본격적인 전범으로 거론하지는 않았으며, 당송 문인을 포함한 역대 문인들의 성취를 두루 수용, 보완하려는 입장을 보였다. 또 직접적인 문체의 모방을 경계하고, 고문의 학습을 통해 사유의 자극을 받는 것을 추구하였다. 반면 일본의 소라이(조徠) 문인들은 李攀龍의 문학을 선호하면서 필수적인 전범으로 부각시켰으며, 다른 唐宋 문인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 고문을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문체의 직접 모방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들의 견해에는 각국의 한문학 향유 기반, 그리고 ‘道’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차이가 작용한다. 한문학 향유 기반이 탄탄하며 ‘도’의 내면적인 성향을 강조하였던 조선 문사들은 작자의 자유로운 사유를 문학에 반영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반면 한문학향유 기반이 미약하며 ‘도’의 작위성을 강조하였던 일본 문사들은 모방을 통해 고문의 격을 재생하는 것을 당위적 과제로 내세웠다. 18세기 한일 양국의 문사들은 상고적 담론이 가지는 의미에 서로 공감하면서도, 각각 문단의 환경에 맞는 방법론과 목적을 파생시켜 나간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in which antiquarianism was continually developed in both Joseon and Japan in the 18th century, as well as the detailed aspects of development in each country. Neo-Confucianism and the literary theory of the Song Dynasty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countries as the mainstream discourse in the 18th century, and antiquarianism was called for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se issues. In addition, consciousness of Little China that was rising at the time reinforced and expanded the logic of antiquarianism. Despite this common background, both Joseon and Japan expressed different views on classics and creation. While Shin Yu-han and Lee Yong-hyu preferred Wang Shizhen`s literature, they did not discuss his works as genuine classics, but rather tended to broadly accept and complement the accomplishments of all of the writers in history, including thos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Moreover, they were cautious to avoid direct imitations of literary style, and they pursued stimulating thoughts by studying great classics. On the other hand, the writers of Ogyu Sorai`s school in Japan preferred Li Panlong`s literature in Qianhouqizi, emphasizing his works as essential classics, while not being open to other wri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y also emphasized repeatedly studying the classics and directly imitating literary style. These views are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the fundamental percep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Tao” of each country. Joseon writers, who had a firm grounding in Chinese literature and who emphasized the internal disposition of “Tao,” aimed at reflecting their free thoughts on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Japanese writers, who had a poor grounding in Chinese literature and who emphasized the contrived nature of “Tao,” made it their legitimate task to reclaim the dignity of the classics through imitation. Writers of both Joseon and Japan in the 18th century shared common views on the meaning of antiquarianism, while also spinning off methodologies and purpose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each literary world.

      • KCI등재

        17세기 전반 조선과 18세기 에도 문단의 명대(明代) 전후칠자(前後七子) 시론(詩論) 수용

        노경희 ( Kyung Hee Rho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본 논문은 16세기 명문단에서 흥기한 전후칠자의 시론이 17세기초 조선문단, 18세기 에도문단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각 문단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검토한 것이다. 17세기 전반 중국과의 교류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조선문인 허균과 18세기 에도문단 고문사파의 중심인물인 오규소라이[적생조래(荻生?徠)]·핫토리 난카쿠[복부남곽(服部南郭)]를 중심으로 양국 문단의 전후칠자 시론 수용 양상을 살피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후칠자 문학론의 수용 경로, 한시에 대한 인식과 전후칠자 시론과의 접점, 전후칠자 시론 관련한 시선집의 편찬과 간행의 모습을 고찰하여, 양국 문단의 시론의 차이와 함께 중국 문학 수용에 있어 문화적 기반을 함께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후칠자 문학의 수용에 있어 조선문단은 직접적이며 동시대적으로, 에도문단은 간접적이며 단절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17세기초 조선문인 허균은 한시에 대해 성정(性情)의 발현을 중시하고 개성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데 반해, 18세기초 에도문단의 소라이와 난카쿠는 정어(情語)를 재현하고 전범을 존중할 것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후칠자 관련 시선집 편찬에 있어서 허균은 시선자(詩選者)의 선시관(選詩觀)을 최우선으로 두고 독자적인 시선집 편찬에 집중하는데 반해, 소라이 학파의 경우 기존 시선집의 편찬 기준에 대한 신뢰를 보내면서 에도문단에 성당시와 명시를 소개하고 학습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선집을 편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양국 문단의 문학적 성격과 문화적 배경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 추후 다양한 관점에서의 비교를 통해 전통시대 동아시아 한문학 교류의 성격을 총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compared how the literary worlds of the early 17th century Chosun and the 18th century Edo accommodated and developed the poetic theory of the earlier and later Seven Ming Masters differently, reflecting their own situations. The focus was on Heo Kyun from Chosun and Ogyu Sorai/Hatori Nankaku from Edo who were active in literary exchange with Ming in their respective times. I comparatively observed the path through which the Ming literature was accommodated, how it was appreciated, and how the related anthologies were edited and published,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ir poetic theories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two literary worlds contrast in several aspects. The Chosun literary world was more direct and contemporaneous while the Edo literary world was rather indirect and punctuated in accepting the Ming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y. While Heo Kyun emphasized the manifestation of "nature" and characters in interpreting the Ming literature, Sorai and Nankaku regarded it as a standard and emphasized the reproduction of emotional words. In publishing the anthologies of Chinese poems, Heo set the priority on the variety in combining the editions and focused on making his own edition, Sorai group relied on the previous editions and used them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and learning Tang and Ming poetry. This study reveals the contrast in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literary societies. The multi-faceted approach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xchange.

      • KCI등재

        덕천시대(德川時代)의 『논어(論語)』관(觀)과 그 학문정신 -고학파(古學派)의 『논어(論語)』관(觀)을 중심으로-

        신현승 ( Hyun Seung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이 논고는 「德川時代의 『論語』觀과 그 학문정신」이라는 제목 하에 주로 도쿠가와시대에 新儒學의 안티테제로서 등장하는 古學派(Kogakuha)의 학문정신 및 이들의 『論語』觀과 해석의 양상 등을 살펴 본 것이다. 그래서 이 논고는 儒敎의 텍스트 가운데 四書(The four books)의 하나인 『論語』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주석 혹은 해석의 문제점에 관하여 일본 도쿠가와시대의 『論語』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동아시아 유학사에서의 『論語』해석이라는 시점 하에 일본 古學派의 『論語』觀및 그들의 학문정신을 탐구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문은 대략 두 개의 큰틀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의 첫 번째는, 「古學派」의 학문정신이라는 주제 하에 일본 古學派의 중요한 두 인물 Ito Jinsai(伊藤仁齋)와 Ogyu Sorai(荻生組徠)의 학문정신을 다루었다. 더 세밀하게 분류하면 仁齋의 Kogigaku(古義學) 정신과 ?徠의 Kobunjigaku(古文辭學) 정신을 각각 다룬 것이다. 우선 仁齋의 古義學의 두 축이 『論語』와 『孟子(The works of Mencius)』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두 텍스트를 철저히 심사숙고하여 읽는 것에 의해 聖人[孔子]의 뜻과 의도가 명확히 파악될 수 있다는 의미로써 古義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徠의 古文辭學的학문정신으로의 사상적 전환은 宋代의 朱子學과 仁齋의 古義學에서 촉발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古文辭學의 구체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문의 두 번째는 이 두 인물의 학문정신이 드러나 있는 『論語』 解釋書를 통해 이들의 論語觀과 그 해석 특징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under 「the name of standpoint of Confucian analects and its scholastic spirits during Tokugawa era」, will discuss scholastic spirit of Kogakuha appeared as Antithese against Neo-Confucianism and their standpoints of Confucian analects and aspect of its interpretation primarily for Tokugawa era. Therefore, this paper, focusing on discussion and interpretation problems about Confucian analects which is one of The four books among texts of Confucianism during Tokugawa era, will plan for research on standpoint of Kogakuha regarding Confucian analects. For these purposes, main text of this paper consists of 2 frames. The first issue in the main text, under the subject of scholastic spirit for Kogakuha, will discuss scholastic spirits of Ito Jinsai and Ogyu Sorai who were 2 major people of Kogakuha. To speaking more specifically, it will discuss the spirit of Kogigaku for Jinsai and that of Kobunjigaku for Sorai respectively. First of all, this paper confirmed that 2 axis of Kogigaku for Jinsai are Confucian analects and The works of Menciu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gigaku in terms of the fact that meaning and intentions of the saint (Confucius) can be clarified by careful reading of these two texts. This paper, mentioning that philosophical conversion into Kobunjigaku of Sorai was incurred by Juzahak during Song era and Kogigaku of Jinsai, surveye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bunjigaku. The second issue of main text in this paper, through interpreted book of Confucian analects in which scholastic spirits of these 2 people appeared, will discuss the standpoint of Confucian analects and its interpre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