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기준 등에 대한 연구

        김주영(Kim Joo-young),정연수(Jeong Yeon-soo),권명숙(Kwon Myung-sook)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라 교육부장관의 업무로 규정되어 있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를 검토 분석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대상 평생교육기관의 범위와 요건을 제시하였다. 즉,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으로 지정되려면, 「평생교육법」 제2조 제2호의 평생교육기관이어야 하고,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기준과 교육제공인력, 시설·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은 교육과정 운영 유형에 따라 전문기관과 통합기관으로 구분하였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은 내용에 따라 기본교육과정과 각과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 평생교육제공인력으로는 기관운영자, 교육관리자, 교사, 교육보조인력을 두도록 하였다. 시설·설비는 전문기관과 통합기관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정하되, 관리실과 보건위생시설은 기존시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지정 신청 및 교부 절차 등 지정 절차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designat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se duties are defined by the education minister pursuant to Article 26 of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Righ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he review. Also, we interviewed focus groups and consul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ral times. As a result, the scope and requirem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be designated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t must be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under Article 2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must be equipped with the criteria for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os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staff for providing education, and facilities and equipmen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curriculum operation. The education curriculum provided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divided into basic courses and subj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contents. Those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were required to have institutional operators, education managers, teachers, and education assistance. The criteria were set for facilities and equipments divided into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stitutions, while the management office and health and sanitation facilities could share exist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 procedures for design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uch as application and delivery procedure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양인숙(Yang In-sook),안덕근(Ahn Deok-geun),남영란(Nam Young-ran),한정은(Han Jeong-eu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0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양적 조사에서는 서울시 16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181명의 종사자를 대상(전수조사)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센터장 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초점집단인터뷰 녹취 록을 토대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 조사 결과에서는 센터의 기본 운영현황(시설, 대상, 교사, 수업현황 등) 및 종사자의 센터운영에 대한 인식(인력비율, 직원교육 및 슈퍼비전 현황 및 필요도, 향후 센터 이용대상 등)을 제시하였고, 질적 조사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센터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 발전 방안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고유한 기능 수행을 위해 인적 지원체계의 변화와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물리적 환경의 최소기준이 재정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가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센터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지침에 따른 기능정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mixed-methods study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eoul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In the quantitative survey, the survey data collected by targete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o 181 employees of 16 Seoul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in the qualitative survey,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corded transcrip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by targeted to the four chiefs of the center. In the quantitative survey, the basic operation status of the center (the facility, object, teacher, class status, etc.) and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center operation (the manpower ratio, status and necessity of the staff education and supervision, the object of using center in future, etc.) were presented, and in the qualitative survey, the results of the more specific status and problems of center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were drawn. Based on the study results like those, in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op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and improve the human support system for the performance of the unique functions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minimum standard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reorganiz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astly,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function according to clear guidelin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lay a role as the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lf-reliance.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의 쟁점과 현장의 목소리 - 전북 군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이지수(Lee, Jeesoo) 한국평생교육학회 2019 평생교육학연구 Vol.25 No.1

        2016년 「평생교육법」의 개정 이후 우리나라는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을 강화하고 평생교육과의 일원화된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장애인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계획이 수립되고 운영 및 전달체계가 구축되는 현 시점에서 연구자는 세 가지 명확히 해야 할 쟁점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의 개념을 명확화 함으로써 교육대상과 교육내용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평생교육에서 지향하는 통합의 구체적인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운영 및 전달체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학문 분야 및 전문직의 중첩성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논의의 활성화를 위해 이들 세 가지 쟁점에서의 불명확성이 실제 장애인평생교육 현장에서 어떤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군산시 사례연구를 통해 이들 세 가지 쟁점에 대한 장애인 당사자와 평생교육 관련자의 목소리를 담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은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의 삶의 질을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활동으로 개념화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에서 통합의 방식은 성인기 장애인의 생애주기와 욕구를 반영하여 폭넓게 규정되어야 한다. 즉, 비장애인과 함께 교육받는 것 뿐 아니라 장애유형 및 정도의 차이를 고려한 분리교육까지도 욕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성인 장애인의 교육에 대한 욕구는 단지 수업 받는 것에 대한 욕구로 국한될 수 없으며, 소득, 고용, 복지를 포함하는 전체 삶의 영역과 연계되어야 한다. 이를 원칙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전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For the building of operating and delivery system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ee issues should be addressed. These are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 specific meaning of integration aimed at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ways to cope with overlapping and segmentation between various disciplines and professions in the operation and delivery system. Through the case study of Gunsan city, the voices of disabled persons and lifelong education workers were summarized on these three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viewed as educational activitie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Second, integration in lifelong learning should be broadly defined to reflect the life cycle and need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it should be possible to choose both the integrated class and the separated class by their needs. Third, the needs for education of adults cannot be limited to the needs for classes.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disabled adults should be built on the principle that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whole area of life including income, employment, and welfare.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the disabled must cooperate with other disciplines and policy areas such as employment and welfare of the disabled. It is necessary to train lifelong education specialists who embrace experts from other fields.

      • 장애인 평생교육원 설치·운영 추진 방안: 특수학교 전공과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이상익 복지대학교 장애인능력개발원 2016 장애인고등교육연구 Vol.2 No.1

        이 연구는 장애인평생교육 확대에 따른 장애인의 교육권 확보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특수학교의 학 교기업형 전공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중심으로 지적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원을 설치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시설(특수학교 전공과), 직업시설(장애인보호작업장, 사회적기업), 생활시설(재활시설, 주간보 호·단기보호 센터) 등 모든 인력과 공간을 활용해 장애인 평생교육원의 설치할 수 있다. 둘째. 교육과 직업의 중간 단계인 전공과와 직업시설인 장애인보호작업장의 통합적 모델로 장애인 평생 교육원을 운영할 수 있다. 셋째. 전공과는 평생교육의 준비 및 시작 단계로 운영할 수 있다. 넷째.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애인주간보호센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 및 운영할 수 있다. 다섯째. 근로시간 이외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및 오락, 문해교육, 문화예술활동, 일상생활훈 련(e-learning)등이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장애인평생교육원의 운영시간은 전공과 또는 보호작업장과 동일하게 운영하여 졸업 후 교육 서 비스의 단절되지 않아야 한다. 일곱째. 평생교육시설의 사용 비용은 이용자 스스로 근로를 통한 수익의 창출이나 사용 경비 문제로 평 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포기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여덟째. 장애인 평생교육원 설치 신청 및 장애인 평생교육사를 배치해야 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 연계방안

        정연수,박경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8 재활복지 Vol.22 No.4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rol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and to search how rehabilitation counselor attend to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nect. And this article reviewed literatures on significance of act revision and carried out FGI with seven experts. The result was as follows as. First, responsibility of na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mphasized after act revision and was extended. Second, the roles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al promotion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reinforced and extended possibility of attendance and connection. Third, the result of deep interview between experts appeared as necessity of reestablishment about concept. lifelong education support necessity by disability area, restructure and support of work and methods exploration for coexistence. In conclusion, the methods for coexistence are need becaus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ssential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분야에 어떻게 참여하고 또 연계해 갈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개정의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과함께 장애인평생교육 및 직업재활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법 개정이후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개정으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전문인력제공이란 측면에서 직업재활영역과 연계할 때 교육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간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연계방안은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 장애영역별 평생교육지원 요구, 업무의 재구성과 지원의 필요, 상생하기 위한 방안 찾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력배치문제나운영측면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재정립과 함께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토대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담당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요구

        김두영,조창빈,정해동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연구 Vol.25 No.2

        The study aimed to suggest some basic data for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relevant policies in future by recognizing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st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what they deman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m to participate in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which 630 disabled adults living in Gyeonggi-province and having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replied.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respondents’participation in a life-long education after dividing their participation experiences into 6 types among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state, it was appeared that the answer having participated in a lecture in a certain place was the highest as 73.2%. Next, at being asked what kind of institute they were participated, it was appeared that the highest answer was a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s 45.9%, and to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purpose, the highest answer was the happiness (25.1%). Last, it was the identified that the program area which the respondents participated the most frequently was the culture-art education (1.61). Second,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respondents’s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the demands in operating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answer that they would want to participate was highest as 87.6%. Next, at being asked what kind of institute that they would hope to participate in, the answer of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as the highest (34.3%) and followed a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16.4%), and concerning what kind of program area that they would want to participate in,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leisure sports(3.95point) area the most frequently. Last, as to the demands for boosting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e expansion of budget for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 (4.48 poin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develop and boost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담당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이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04개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고 있는 477명의 종사자들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담당자의 38.8%는 2016년 개정된 「평생교육법」의 내용에 대해 전혀 또는 거의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통합이나 분리를 조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80.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에 대해서는 충분하다는 응답이 5.9%에 불과한 반면, 전혀 또는 별로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62.4%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복지관에서 평생교육 업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의 심각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관 외 측면에서는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부족을, 기관 내 측면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 강사의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장애인 평생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에 대해서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예산 지원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평생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장애유형별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복지관이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올해부터 운영에 들어간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정책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현황 및 과제: 장애인야학을 중심으로

        박미진,김기룡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야학에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의 운영 현황과 요구를 조사·분석하고, 향후 장애인야학에서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중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장애인야학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내용에 대한 분석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한 기관의 현직 장애인야학의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대상 학급수는 기관당 2.5개, 학습자수는 17.2명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 학습자는 남자 40대가, 장애유형은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대상 교·강사는 외부 유급 강사가, 경력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강사가 보유한 자격증은 기타 관련 자격증이 가장 많았고, 자체 연수 프로그램으로는 ‘장애이해 및 장애 인권교육’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교육연한은 대부분이 없었고, 운영시간은 주간 전일제가 많았으며, 문화예술교육 및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애인야학의 교사들은 발달장애인에게 질 높은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예산지원과 국가차원의 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상담지원시스템 구축 및 교·강사 교육과 직무연수를 커리큘럼에 따라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해주길 요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야학에서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management situ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subjected to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night sch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managemental method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night sch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Method: In the National Council of Night Schoo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rvey was conducted to 10 night sch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nterview were performed to 5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the night school wher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items and for collecting the opinions on the issues and development methods on managing th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classes subjec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2.5 classes, and the number of students was 17.2 student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age group of 40s was the highest, and the type of disability was mostly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e teachers and instructors subjec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highest ratio was external paid instructors and the work experience of ‘1 year ∼ less than 3 years’. As well, certifications possessed by the teachers and instructors were other related certifications to be the highest, and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self-training program was ‘understanding the disability and education o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ost of the night sch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id not have the educational term for lifelong education subjec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operating hours were mostly full-time. In addition, culture & art education and basic literacy education were most widely managed. Conclusion: The teachers of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quested that to enable high-quality education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table supports of budget, government support in establishing the comprehensive consultation supports system for th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ofessional and systemic education and job training for the teachers and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onsiderations were made on the future development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night sch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김주영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6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2 No.1

        이 연구에서는 2015년 11월 21일부터 시행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6조의 규정에 따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현재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는 평생교육을 통해 받고자 하는 교육, 평생교육의 목적, 희망하는 프로그램 유형, 선호하는 평생교육기관의 유형, 정책개선 요구 등 다섯 가지 분야였다. 이러한 요구를 수렴하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을 구성한 결과 교육과정은 기본교육과정과 각과교육과정으로 하고 기본교육과정에서는 개인생활, 가정생활, 지역생활 등 기초자립생활능력에 관한 교과를, 각과교육과정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정하고 있는 6개 영역의 교과를 다양하게 편성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은 교육기관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종사자의 직무연수 내용 요구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

        박미진,김기룡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basic data for the provision of job training by surveying the requirements of the job training for the workers at the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Method] The study collected the requirements of the job training through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the six categories given by 104 persons who worked at eleven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They are as follows: (1) understanding of lifelong education, (2)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3) support plans for problematic behaviors, (4) understand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ervices for them, (5) understanding of the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6) laws related to people with disabilities. [Result]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workers of the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enerally strongly agreed to the need for job training, and strongly agreed especially to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support plans for problematic behaviors,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ervices for them, and understanding of the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pecifics of their job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ers of the facilities such as age, their experience in working for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 in education for the disabled.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the requirements for the job training for the workers of the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ill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적] 이 연구는 서울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연수 내용에 대한 요구를 설문조사하여 직무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11개의 종사자 10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연수 요구 내용을 다음과 같은 6개 영역의 문항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1) 평생교육에 대한 이해; (2)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3) 문제행동 지원방안; (4) 발달장애인의 이해 및 서비스에 대한 이해; (5)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에 대한이해; (6) 장애인 관련법 등 이다. [결과] 이 연구결과,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종사자들은 모든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높은 연수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문제행동 지원 방법, 발달장애인의 이해 및 서비스에 대한 이해,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에 대한 이해 등에 대한 교육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시설 종사자의 배경변인인 연령, 사회복지 및 교육 관련분야에서 일한 경험, 자격, 장애인교육 경험에 따라 세부항목의 직무연수 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종사자들의 연수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 연구는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전문성과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분석 연구

        명소연 ( Myeong So-yeon ),한경근 ( Han Kyoung-gun ),장철승 ( Jang Chul-se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 분석을 통하여 각 지 자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제 구축을 위한 제정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2곳 지자체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추진체제 필수 요소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지자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제의 일반적인 구조는 지자체장이 장애인 평생교육 사업 추진의 책임자이고, 시·도 지자체인 경기도와 광주광역시에서는 전반적인 평생교육 계획 수립 및 의사결정의 협의·조정·자문 기구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위원회’ 와 같은 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례가 제정된 11개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센터나 학습장의 평생교육시설 설치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사천시와 군산시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시설 운영에 관한 사항의 협의·조정·자문 기구로 ‘운영위원회’와 같은 의사결정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일반과 교육 행정부분의 역할이 상호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도평생교육협의회 구성은 지역사회 내 장애인 평생교육 주체의 대표성과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 시설의 기능과 조직 구성, 담당인력 배치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명시화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관련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예산 확보와 지원 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ach Korean municipality's ordinance on lifelong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through the analysis of it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nalysis. To this end, 12 local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ordinanc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os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romotion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structur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of each municipality is as follows: Above all,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promot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specifically in Gyeonggi-do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councils such as 'Lifelong Education Support Committee for Disabled Persons' are formed as consultation, coordination, and advisory bodies for planning and decision-making for overall lifelong education. And, in 11 cities, provinces and municipalities which have enacted such ordinance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learning centers for the disabled are installed. Lastly in Sacheon City and Gunsan City, decision-making mechanisms such as the 'Steering Committee' are established as consultation, coordination, and advisory bodies for dealing with the issu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First, the roles of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mutually strengthened.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city / provincial education council should be structured so a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he main player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Third, the regulations on the functions, organization and staffing of the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specifi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lated councils for the smooth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ifth, the budget and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spec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