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청각언어재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현아,이준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eriences and main themes of rehabilitation recognized by deaf and hard-of-hearing people and analyz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at appear in individuals, others, and daily life.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2 participants (6 adolescences, and 6 adults). Paying attention to within-group variation, this study focused analyzing the aural rehabilitation process. 5 themes, 11 sub-themes, and 28 concepts were derived using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theme group, five themes were derived: “Started rehabilitation with other’s decision,” “Facing deaf and hard-of-hearing with assistive devices,” “Walking through a dark tunnel called rehabilitation,” “Choose my own wa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Be flexible in accepting and coping with rehabilitation,” and finally, the aural rehabilitation experience recognized by the deaf and hard-of-hearing parties was found to be “To face disability through involuntary rehabilitation process and to have voluntary will to accept and cope with rehabilitation in their own way.”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methods and alternatives for the deaf and hard-of-hearing people and their families were derived.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당사자가 인식하는 재활의 경험과 주요 주제를 발견하고 그것이 개인과 타자,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하였으며, 주제분석을 통해 청각언어재활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상위주제, 11개의 하위주제, 2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주제 묶음결과 타인의 결정으로 재활을 시작함, 보조기기로 청각장애를 마주함, 재활이라는 어두운 터널을 걸어감,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나만의 방식을 선택함, 재활의 수용과 대처에 유연해짐이라는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청각장애인 당사자가 인식하는 청각언어재활 경험은 ‘타율적으로 시작된 재활과정을 거치며 장애를 마주하게 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활을 수용하고 대처할 줄 아는자율적 의지를 갖게 됨’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청각장애인과 그 가족을 위한 재활방식과 대안에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유형 개선 연구

        나운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qualification grade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FGI and literature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ype of qualification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was analyzed as not being appropriate for the type classification of the 3 grade when it is based on the task analysis, Second, the persons who have completed the subject of qualifi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who holds the qualification of the social worker as takes the career of the disabled rehabilitation related organizations is analyzed as having a problem of equity, Third, considering that the rehabilitation counselor's duties and tasks task element,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nd managing professionalism as rehabilitation counselor to give eligibility to those who have not completed the course. In order to improve, First, is a need to reform the qualification grade, which is divided into 3 levels, into a 2 level system, Second, in case of reorganization as a second-level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qualification of the third-level applicant and the qualification of all social workers' is changed to the second level, the level of the second-level applicant is changed to the first level, Third, in the long term, the social worker candidates need to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o those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Finally, in order fo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qualification system to establish a qualification type as an expert, the eligibility for the examination should be based on clear qualifications based on the duties and tasks.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의 자격유형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면접조사 방식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자격유형은 이 직업의 임무와 과업 등을 토대로 할 때 3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는 유형구분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배치방안을 고려할 경우 급수별 임무와 과업 제시에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자격유형에 따른 응시자격에 있어서도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목을 이수한 사람과 사회복지사 자격 소지자로서 장애인 재활관련 기관 경력으로 응시하는 사람과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 직무와 임무, 과업 등을 고려할 때 교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자에게 응시자격을 주는 것은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인으로서 전문성 확립과 관리에 제한 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①3급으로 구분하고 있는 자격유형을 2급 체계로 개편할 필요가 있으며, ②2급 체계로 개편하는 경우 3급 응시 자격자는 2급으로 2급 응시자격자는 1급으로 전환하고 모든 사회복지사 자격소지자의 응시자격은 2급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③장기적으로는 사회복지사 응시자격자는 교과목을 이수한 자에게 한정해서 응시하게 하는 개선이 필요하며, ④마지막으로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가 시행초기인 만큼 전문가로서 자격유형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자격유형에 대한 응시자격을 직무와 임무, 과업을 토대로 명확한 자격구분과 자격제한을 통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기업체 자료를 이용한 고령장애인 고용영향 요인 분석

        전영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the aged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used company-level data,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used individual-level data.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using survey data on the status of the disabled in companies generated by KEA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tatistical effect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input into the regression model differed by age group. For 34 under age group, employment rat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high. For 34-45 age group, the wage variable was positive for employment. For the 55 and older group, employer support showed contributed to employ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employment of the aged disabled include that industry, region, organizational type, company age, number of full-time workers, number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ratio of the severely disabled, ratio of types of disability, ratio of occupations, recruitment considerations, working conditions, welfare benefits, business owner support services. As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ifferentiated employment strategies by age group, strengthening the provision of employment services for employers and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easing the age conditions for hiring,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of employment, and expanding the internship system for the elderly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장애인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고령장애인의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개인 단위의 자료를 사용한 것과달리 기업체 단위 자료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분석방법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생성한 기업체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에투입된 설명변수들의 통계적 영향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4세 미만은 발달장애인의 고용영향이 두드러졌으며, 34-54세는 임금 등 근로조건이 양호할수록, 55세 이상에서는 채용 지원 등의 사업주 지원이 있는 경우 장애인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고령장애인의 고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는 업종, 지역, 조직형태, 기업나이, 상시근로자 수, 장애인근로자 수, 중증 비율, 장애유형 비율, 직종 비율, 채용 배려사항, 근로조건, 복리후생, 사업주 지원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연령집단별 차별화된 고용전략, 사업주 및 고령장애인에대한 고용서비스 제공 강화, 채용 시 연령조건 완화, 고령장애인 고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 고령장애인 인턴제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감염병 시대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대응 방안

        이혜경,송창근,이선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1

        이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의 장애인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 및 고용에서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장애인직업재활 시설의 운영자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중복지원 때문에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지원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비대면 서비스와 관련해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는 비대면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못하였고, 상담 및 평가 보다는 훈련프로그램 중심으로 비대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자체 개발 프로그램 보다는 외부기관의 지원이나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염병 시대에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는 다른 장애인복지시설과의 차이가 있으 므로, 이를 고려한 지원과 감염병 대응 매뉴얼 개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감염병 시대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장애인 고용 및 직업재활서비스 대응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주간보호시설에서의 장애인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종사자 인식

        정연수,김정은,조은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wareness of workers on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for significant daytime and life-capability empower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 which are increased numerical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 workers of day care center which operate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r tried to impos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ewly in Seoul and Kyunggi do. The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literature review and deep interview with five workers. The data analysis for deduction of the result composed of course of conceptualization, encoding, sub-theme and core-them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First, the introduction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which perceived by day care center workers was recognized as one of rehabilitation service areas or one part of independent living education. Second, the operating difficult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by the workers, appeared as operation to need many helpers, poor lecturer fees, poor program quality, and a difference in education and welfare perspectives towards lifelong education.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perating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recognized the workers, appeared as a usable person beyond protected human being, lifelong education as continuing education and education to adapt to the new age.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에서 장애인의 의미 있는 낮 시간 보내기와 효율적인 지역사회 중심 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애인평생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종사자 인식을 탐색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중 현재 장애인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거나 도입하고자 하는 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과 경기에 위치한 주간보호시설 중 장애인평생교육을 재활서비스 영역에 포함시키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는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질적연구방법인 코딩과정을 통해 개념화, 부호화, 핵심주제 도출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애인평생교육의 도입과정은 평생교육을 재활서비스 영역 중 하나로 보거나 자립생활교육을 통해 도입함을 알 수 있었다. 둘쨰, 주간보호시설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애인평생교육의 어려움으로는 많은 조력자를 필요로 하는 운영형태, 열악한 강사비와 강사 비전문성으로 인한 프로그램 질 저하, 평생교육을 바라보는 교육과 복지 관점의 차이로 나타났다. 셋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애인평생교육 운영의 의의로는 보호차원을 넘어 쓰임새 있는 인간으로의 인식 전환, 계속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 새로운 시대에 적응을 위한 평생 교육적 요구와 시도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 연계방안

        정연수,박경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8 재활복지 Vol.22 No.4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rol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and to search how rehabilitation counselor attend to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nect. And this article reviewed literatures on significance of act revision and carried out FGI with seven experts. The result was as follows as. First, responsibility of na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mphasized after act revision and was extended. Second, the roles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al promotion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reinforced and extended possibility of attendance and connection. Third, the result of deep interview between experts appeared as necessity of reestablishment about concept. lifelong education support necessity by disability area, restructure and support of work and methods exploration for coexistence. In conclusion, the methods for coexistence are need becaus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ssential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분야에 어떻게 참여하고 또 연계해 갈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개정의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과함께 장애인평생교육 및 직업재활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법 개정이후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개정으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전문인력제공이란 측면에서 직업재활영역과 연계할 때 교육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간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연계방안은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 장애영역별 평생교육지원 요구, 업무의 재구성과 지원의 필요, 상생하기 위한 방안 찾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력배치문제나운영측면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재정립과 함께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토대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고령장애인 대상 방문재활치료 시 작업치료사의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준수,정민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3 재활복지 Vol.27 No.3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중·고령장애인 대상으로 진행하는 방문재활치료 경험과 역할수행평가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방문재활 치료 환경에 대한 경험과 역할수행평가가 방문재활치료 현장에서 어떤 의미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에서는 6명의 방문재활치료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역할수행평가 사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중·고령장애인 및 보호자에게 역할수행평가를 시행한 작업치료사의 경험을개방형 질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 지오르지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뷰 내용을 통해 방문재활치료 경험, 역할수행평가의 장점, 기존 역할수행평가의개선점 등 3개의 구성요소와 6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역할수행평가는 방문재활치료 시 라포 형성, 목표 설정, 탑다운 접근 등 필요한 사항을 도움으로 제공하였으며, 매뉴얼화를 통한 용어 재선정과 대상자 선정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방문재활 작업치료 시 역할수행평가는 작업치료사가 중·고령장애인에게 중재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받았으며, 대상자의 목표 설정 및 동기부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s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s providing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to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use of role performance measure.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rapists' experiences and examine the application of role performance measure in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Six therapists providing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participated, sharing their experi- ences and perspectives throug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 logical method, revealing three components: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experiences, benefits of role performance measure, and areas for improvement. Role performance measure was found to aid in form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setting goals, and employing a top-down approach.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cluded manualizing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fining participant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role performance measure can be a valuable too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facilitating interventions and motivation during home-based rehabilitation therapy for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 KCI등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조사

        박경영,정민예,최준수,정유경,김정란,공명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3 재활복지 Vol.27 No.3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국립재활원 장애인 운전재활 프로그램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국립재활원에서 운영하는 운전재활 프로그램은 운전체험과 운전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며, 2019 년부터 2021년까지 운전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621명, 운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1.042명으로 수집된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장애관련 특성, 운전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실시하였다. 또한, 운전체험과 운전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전재활프로그램 대상자는 주로 경제활동과 여가활동을 위해 운전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대상자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이었고, 주로 서울과 경인지역에 편중되어있었다. 또한, 운전체험 프로그램 참여자 중 운전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42.5%였고, 운전교육 대상자의64.9%는 운전면허 소지자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전국 각 지역의 운전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높일 필요가 있으며, 국립재활원과 각 지역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운전면허시험장의 역할과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후 지속적인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디지털 기반의 안정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over the past three years.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of 621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riving rehabilitation experience program and 1,04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riving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rom 2019 to 2021,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he paire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before and after driving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required time for driving training.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of subjects selected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o participate in economic and leisure activiti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42.5% of driving rehabilitation experience subjects, needed driving training. 64.9% of driving rehabilitation education subjects were driver's license holders,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before and after driving training,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all driving ability, and driving training required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9.96 hours to 3.52 hour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dr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in each region, and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gital-based stable database to improve continuous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s.

      • KCI등재

        만성뇌졸중환자의 사회참여를 위한 재활중재: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김은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성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재활중재를 적용한 무작위 대조 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중 사회참여의 효과를 제시한 연구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 석을 통해 만성뇌졸중환자의 사회참여를 위한 재활중재를 ICF 영역에 따라 분류하여 효과를 제시하 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국외에 게재된 연구로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검색논문의 참고문헌을 추가하여 이차검색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의 질 평가는 PEDro Scale을 사용하였다. 포함 기준에 맞는 8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메타분석은 RevMan 5.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대상 논문의 실험군, 대조군의 대상자수, 평균, 표준편차값으로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 출판편의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총 903명이였고, 신체기능 및 구조의 효과크기는 .70으로 보통 효과크기(p>.05), 활동과 참여의 효과크 기는 2.27로 큰 효과크기였다( 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만성뇌졸중환자의 사회참여 중재에 신체 기능 및 구조에 초점을 맞춘 중재와 활동과 참여에 초점을 맞춘 중재 모두 효과적이고, 활동과 참여에 초점을 맞춘 중재가 좀 더 효과적임을 알수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참여 증진을 위한 중재에 유용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of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used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database from January 2008 to October 2018, and secondary search was performed by adding references of search papers.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assessed using the PEDro Scale. A total of 8 studie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criteria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RevMan 5.3 software usi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subjects was 903, the effective scores for body function and structure was .70, which demonstrates medium effect size (p>.05) and the effect size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were 2.27 , which demonstrates large effect size(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vention focused on physical function and structure and intervention focused 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were effective and It was found that intervention focused o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was more effective in social participation interven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Based on this study, it can be a useful basis for intervention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뇌성마비아동 보호자들의 재활치료 선택 과정: 근거이론 중심

        김부영,윤영주,이현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8 재활복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optimal selec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and explore a processing model of rehabilitation decision-mak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88)was used. Thus, collecting data was classified into open coding 140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As a result of analysis, we identified that the main phenomenon was ‘finding optimal therapy in trial and error’ and parents experienced 6 stages including ‘embarrassment’, ‘confusion’, ‘maximization’, ‘wandering’, ‘strategy’, and ‘balance’. Furthermore, ‘rehabilitation-daily life balance’ was a key category for continuation of treatment. This qualitative study discribed factors influencing determination of treatment and its continuation, and suggested a processing model of parents' decision- making for rehabilitation of thei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아동 보호자들의 재활치료 선택과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활치료 선택과 중단 과정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Strauss와 Corbin(1994)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140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 코딩의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시행착오 속 최적화된 치료 찾기’였다. 재활치료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과정분석결과 뇌성마비 아동 보호자들은 ‘당황’, ‘혼란’, ‘극대화’, ‘방황’, ‘전략’, ‘균형’ 등 6단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 선택과정의 핵심범주는 ‘시행착오 속 재활과 일상생활의 균형 잡기’로 도출하였다. 뇌성마비아동 보호자들의 재활치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활치료 선택과 중단 과정모형을 설명하고, 재활과 일상생활의 균형 잡기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