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박소연,김한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1

        오늘날의 교육 및 취업 현실을 고려할 때 대학생 시기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자아정체감의 확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한데,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성찰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더욱 깊이 있는 성찰로의 기반을 마련해주는 도구로서 저널쓰기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성찰하는 과정에서 작성한 저널 분석을 통해 그들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은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을 통해 사회에서 보여지는 나의 모습보다 독립적 자아로서 ‘나’ 본연의 가치에 집중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기회피 혹은 자기관대의 경향이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 있는 그대로의 ‘나’를 직시하는 엄격한 자기반성을 하는 모습으로 변모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셋째,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을 통해 형식적이고 개념적이었던 자기성찰이 점차적으로 일상화되고 내재화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When it comes to identity development, many college students has critical developmental task, and critical reflection is one of imperative activities for constructing and adjusting identity. Journal writing has emerged as an useful instruction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reflect oneself as well as one's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urnal writings about "who am I?" on enhancing reflection.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is adopted. Journals that had been produced by an students' self-directed activities in a college lecture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who have written journal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shows three important themes. First, Journal writings helped college students to focus on authentic identity rather than socially constructed identity,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also found that they attempted to see themselves as they are rather than attempting distorting their selves. Third, this study findings address that reflection on oneself becomes gradually a daily, common practice as a result of journal writing activities.

      • KCI등재

        연극놀이를 활용한 신화 지도 방안 연구

        이상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3 No.-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enter the adolescence and require experiences for internal growth to develop their identities. Is there a way to help children who spend much time in school for their internal growth?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olutions to current issues from Korea's oral mythologies and apply it to play to suggest a instructional model for myth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ythology classes using play on children's internal growth for identity. Chapter II discusses the educational value of mythologies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dramaplay,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of instructing mythologies and dramaplay Chapter III discusses a mythology learning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structing mythologies using dramaplay. the model which consists of three steps, was about to use step-by-step strategy. Chapter IV applies the six steps of instructional model of mythologies through play. In the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children’s interests increased in the mythology and showed The scene where main character of mythology overcame adversity truthful heart naturally motivated the virtue in the children. This study enabled the children to have interests in Korean mythologies and shows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of mythology using dramaplay is appropriate for the internal growth of children who are about to enter the adolescence. 초등학교 고학년은 사춘기 초입에 해당하는 시기로,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한내적 성장 경험이 필수적으로 필요할 때이다.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생활에서아이들의 내면적인 성장을 도울 방법이 없을까?본 연구는 우리 구비신화에서 그 해답을 찾고 연극놀이를 접목하여 신화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아동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신화의 교육적 가치와 교육 연극의 효과를 살펴보고 신화지도와 교육 연극의 접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신화 지도의 원리를 바탕으로 신화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모형은 3단계로 구성하였고 단계적으로 점진성 전략을 사용하고자한다. 4장에서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신화 교수 학습 모형으로 6차시를 적용하였다. 수업의 적용 결과 신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하였고, 신화의 주인공이 시련을 극복하고 진실하게 갈등을 해결하는 모습은 아동의 내면에 선한 삶의 가치관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신화에 많은 아동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신화와 연극놀이의 접목이 신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하였다.

      •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 지도 방안 연구

        이상숙 한국어문교육학회 2013 어문학교육 Vol.46 No.-

        초등학교 고학년은 사춘기 초입에 해당하는 시기로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한 내적 성장 경험이 필수적으로 필요할 때이다.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생활에서 아이들의 내면적인 성장을 도울 방법이 없을까 하는 고민에서부터 이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 구비신화에서 그 해답을 찾고 연극놀이를 접목하여 신화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아동의 지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내적 성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 수재 신화의 존재 양상을 살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를 분석해본 결과 7차보다 오히려 신화 수록편수가 2편으로 줄어 들었고, 신화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인식도 부족하였다. 그러나 두 편 모두 구비신화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Ⅲ장에서는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 지도의 원리를 바탕으로 신화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신화지도의 원리로는 감각 열기의 원리, 학습자 중심의 원리, 상상력 구현의 원리, 내면화의 원리, 동심의 원리를 들 수 있으며 1단계는 준비단계로 감각 열기, 2단계는 탐색단계로 인물, 상황, 내용 탐구, 3단계는 내면화 단계로 구성하였다. 구안한 신화 수업 모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점진성 전략이 필요하며 언어과정과 연극 놀이를 중심으로 하는 창의적 활동 과정이 유기적 관련성을 갖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 교수 학습 모형으로 6차시를 적용하였다. 바리 공주를 제재로 선택하고 바리 공주 신화수업에 적절한 연극놀이와 표현 놀이를 단계별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수업의 적용 결과 신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하였고, 신화의 주인공이 시련을 극복하고 진실하게 갈등을 해결하는 모습은 아동의 내면에 선한 삶의 가치관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신화에 많은 이동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신화와 연극 놀이의 접목이 신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시하였다. 또한 신화의 서사구조를 통해 삶은 시련과 극복의 반복과정임을 자연스럽게 인식하고 자신의 삶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 것으로 보아 연극 놀이를 활용한 신화교수 학습모형이 시춘기 초입의 아동의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한 내적인 성장에 적절한 신화 수업 모형으로 보인다.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enter the adolescence and require experiences for internal growth to develop their identities. This study was planned to help children who spend much time in school for their internal growth. Mythologies are the archetype of literature and the spiritual assets of humankind. The sacred stories transmitted through word of mouth contain the universal truth that applies to all humans and the key to treat the spirit lacking in the scientific thinking of modern ti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solutions to current issues from Korea's oral mythologies and apply it to play to suggest a instructional model for myth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ythology classes using play on children's internal growth for identity. Chapter Ⅱ discusses the educational values of mythologies include developing sound identities, learning the epic structure of mythologies, developing creative imagination, and natural participation in national community. In result of analyzing the Korean textbook in the 2007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s, there are only two mythologies which are fewer compared to the 7th Edition and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 of mythologies. However, these two pieces imply the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world of mythologies as both of them are oral mythologies. Chapter Ⅲ discusses a mythology learning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structing mythologies using play. The principles of instructing mythologies include the principle of opening senses, the principle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principle imagination, the principle of internalization, and the principle of childhood. The first step is the preparation step for opening senses; the second step is the exploration step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events, and plot; and the third step is the internalization step. it is necessary to approach gradually in step-by-step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this instructional model. The gradual approach to mythologies, the gradual increase in the difficulty of expression, and the gradual internalization allows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activity programs focused on language programs and role-playing activities. Chapter Ⅳ applies the six steps of instructional model of mythologies through play. Princess Bali was selected for the model to develop an appropriate role-playing and expression activity for learning the mythology of Princess Bari. In the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children's interests increased in the mythology and showed The scene where she overcame adversity and saved her father to resolve the conflicts with her parents with a truthful heart naturally motivated the virtue in the children. This study enabled the children to have interests in Korean mythologies and manifested the combination of mythology with play helped them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mythology effectively as many children said the physical activity made learning the mythology more fun and meaningful. Also, through the epic structure of mythology, it is taught for them that life is a repeated process of overcoming adversities and to be more active in life.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of mythology using play is appropriate for the internal growth of children who are about to enter the adolescence.

      • KCI등재

        중년남성의 성 역할 갈등, 친밀감, 자아정체감, 삶의 질 구조모형에서 자기성찰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전윤미 ( Yunmi Jun ),최한나 ( Hanna Choi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1

        Objective: This study identified the gender role conflict, intimacy, self-identity,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men and formed a parametric model. In this model,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by injecting self-reflection as a control variable. Methods: 443 middle-aged men aged 50 to 65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ere surveyed, and the final analysis was analyz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ubsequently, a multi-group analysis was added. Results: The gender conflict, intimacy, self-identity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men were significant. Also, self-reflection was an influencing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men in this research model. The modulating effect was also examined. Conclusions: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men can be evaluated by empirical studies that identify which psychological processes are effective. In addition, if the setting of counseling goals to help self-reflection is carried out in the counseling field,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richer data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men.

      • KCI등재

        음악과 인문학 코티칭(Co-teaching) 융합 수업 방안 모색

        김혜진(KIM Hey-Jin),황혜영(HWANG Hye-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최근 경쟁력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전공 교육을 강화하는 추세에 자기주도적 인 역량을 배양시켜주는 인문, 사회, 자연 및 예술의 자유학예(Liberal Arts) 교육의 보완을 통해 실무와 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양질의 교양교육 교과와 효과적인 교과운영의 개발이 절실하다. 또한 오늘날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종합적,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학생들에게 길러주기 위해 융, 복합 교육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융, 복합 교육의 기초가 되는 교양교육에서의 융, 복합 교과 개발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과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하고자 창의력, 사고력, 판단력, 자기 주도적 학습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융합 교양 교육을 소개하고 강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코티칭(Co-teaching) 강의 운영 방식을 소개하고 본 연구자들이 소속된 대학에서 2017학년도 2학기에 처음으로 시행한 융합 교양 교과목인 <음악과 인문학> 강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강의는 인문학 전공자와 음악교육 전공자가 함께 수업을 개발하고 설계하여 하나의 콘텐츠로 융합하는 과정을 거쳐 동시에 수업을 진행하는 코티칭 강의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이에 학생들은 기존 한 교수자의 한 영역 중심의 교양강좌에서 벗어나 음악과 인문학 두 영역을 균형 잡힌 융합적 콘텐츠로 새롭게 접근시킬 수 있었으며, 두 교수자의 연구 관점도 다른 학문 영역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더불어 자신의 연구 영역에 다른 전공 영역을 도입해 학문적 지경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학 교양교과목이 창의성 인재양성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 더 나아가 융합교양교육 개발을 위한 출발점이 되길 기대해 본다. With the recent trend of reinforcing and emphasizing major education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professionalism,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quality liberal arts curriculum and effective methods of operation for the curriculum. This must be done in order to nurture human resources with sound personalities and strong competencies for fieldwork by making up for the shortcomings of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s,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art. Moreover, to equip students with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a comprehensive and creative manner and to enable them to flexibly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development of fusion education is desperately needed.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 fusion curriculum for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can be the foundation for fusion education. In order to flexib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demands of the tim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 fusio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an enhance students’ creativeness and their ability to think and make judgments. It also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ims to explore operational methods for fusion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how co- teaching classes are operated by studying a course titled <Music and Humanities>, a fusion liberal arts class, which was first started in 2017, in the second semester,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of the present study work. The class was operated by adopting the method of co-teaching lecturing, where two lecturers, one majoring in humanities and the other majoring in musical education, jointly developed and designed the course curriculum and led the class by converging and integrating the lesson contents into one lesson. As a result, students could approach the two fields of music and humanities through balanced fusion lesson contents. This was a departure from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liberal arts classes, where one lecturer focuses on one field of study, and, consequently, the two lecturers could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other academic areas and widen the scope of their research viewpoint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pioneer a new method for academic research by introducing other fields or majors into their own research area.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upon which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ies can contribute toward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in the future and aims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fusion liberal ar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