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명료화 이론 보완을 위한 ‘자기성찰’발문 적용 방안

        김유란(yuran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가치명료화 이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회관계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는 가치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자기성찰 발문을 가치명료화 이론의 가치화 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치명료화 이론은 학습자가 자유롭게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학습자 개인의 가치 선택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자기중심적인 가치판단을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인간은 세계 내 존재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다양한 가치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관점만을 고려한다면 사회 속에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인격체로서 성장하는 데 제한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명료화 이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기에 대한 올바른 자각을 바탕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자기성찰 개념에 주목하고 자기인식, 불일치, 통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기성찰을 수업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에, 자기성찰 내용을 발문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가치명료화 이론의 가치화 과정의 발문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토의·토론, 글쓰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됨으로써 교육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applying self-reflection questions to the process of valuing the value clarification theory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value clarification theory and to seek a method of value education that can consider the social relational aspect. The value clarification theor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learners to freely form values, but it has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make self-centered value judgments because it overemphasizes individual learners' value choices. Human beings engag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beings in the world. If one only consider their own point of view in various value conflict situations, one may be limited in growing into a person who lives together with others in socie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of self-reflection to understand others based on a correct self-awareness and explored ways to utilize self-reflection through self-awareness, discordance, and integration in class situations. Therefore, the content of self-reflection was composed in the form of an epilogue and applied to the process of valuing the theory of value cla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ork will ensur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being used i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discussion, and writing.

      • KCI등재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이정애,최웅용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 Values Clarifi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efficac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8 college students in Daegu, Korea,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Thes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n=9) and a control group(n=9).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ompleted four instruments in the pretest and the same four instruments in the posttest. The instruments were Identity Scal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 Career Maturity Inventory.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 pre and post- tests were calculated,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values clarification program(CVCP) were effective on increasing the college students' vocational identities. Second, CVCP were effective on increasing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 CVCP were effective on increasing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Finally, CVCP were not significant effects on increasing career decision making efficacy. 본 연구는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 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 정체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결정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 성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1회기씩 2시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진로정체감 척도, 진로결정 검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성숙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 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 결정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넷째,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시대를 대비하는 자기명료화를 위한 온라인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영미(Kim Young-mi),윤재성(Yun Jea-soung),김봉환(Kim Bong-wha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자기명료화 진로교육 프로그램(My Career Story)을 개발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근간이 되는 진로구성 이론에서 기초 원리와 전략을 도출하고, 실제 온라인에서 운영한 후 학습 경험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구성 이론의 내러티브 정체성 원리를 토대로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핵심 주제를 파악하고, 메타 성찰을 도움으로써 삶의 의미와 목적에 비추어 자기명료화를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의 내용적 요소와 교수학습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검토 및 평정을 받았고, 구글 드라이브를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P 시의 고등학교 3학년 227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운영한 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만족도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활동은 핵심가치를 찾는 활동이었고, 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정체성 강화’, ‘진로 목표와 방향성 설정’, ‘긍정 정서의 향상’, ‘진로정보 탐색 행동’으로 테마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구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자기명료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basic principles and strategies from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apply online teaching principle to analyze learner’s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s after operating online in real life, in order to develop online self-clarification program(My Career Story). To this end, the goal was to identify key topics related to one’s career through self-reporting writing based on the narratives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to make self-clarification with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by helping to reflect meta-reflect on oneself. To verify the content elements of this program and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learning model, we received reviews and evaluations from a group of experts, and we used Google drives to establish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fter running the developed program for six weeks on 227 high school seniors in P city, participant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ts learning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satisfy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ose seeking core values, a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strengthening identity’, ‘setting career goals and direction’, ‘improvement of positive emotions’ and ‘action to seek career information’.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are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and expect them to be used as a model in developing blended online and offline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생 진로의사결정 상태의 하위유형 분석

        김계현,고홍월,김경은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types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cluster analysis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for each subtypes of career decision status. 374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re sampl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or Structured Question List: Career Decision Profile, Career Stress Inventory, Vocational Rating Scale,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Work Preference Inventory. This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ly using cluster analysis, two types of each subtypes of career decision status were identifi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of Career Stress Inventory, Vocational Rating Scale,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Work Preference Inventory.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have awareness of career identity were low career stress in comparison with the students have unawareness of career identify. Als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have awareness of career identity were low level of career decision. This study provides an initial taxonomy of career problems not only undecided but also decided. We found difficulties existing in the decided via analyzing the subtype of career decision status. Despite some limitation, this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 and the insight on studying the problematic career decision status, which would provide clear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본 연구는 진로 미결정과 결정 간의 차이를 넘어서 결정자와 미결정자의 하위유형을 파악하고, 각 집단의 구체적인 상태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결정성과 편안성을 기준으로 374명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상태를 2차원으로 구분(김경은, 2011)한 후, 각 진로의사결정 상태(결정-편안, 결정-불편, 미결정-편안, 미결정-불편)별로 직업적 자기개념명료화, 문제해결력, 직업 내․외적가치를 기본 자료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집단 내 하위 유형들이 발견되는지 확인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사례수가 작은 미결정-편안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상이한 특성을 지닌 군집이 각각 2개씩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나타난 하위군집 간의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6개 군집의 진로스트레스, 직업적 자기개념명료화, 문제해결력, 직업 내․외적가치의 변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업적 자기개념이 명료하지 않은 대학생이 명료한 대학생보다 진로스트레스가 높았고, 특히 진로스트레스 중 진로모호성이 높고 직업적 자기개념이 명료하지 못할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