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산 송규 종사의 「일원상에 대하여」와 일원사상 고찰

        허석(許錫)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산 송규 종사가 1937년 9월 『회보』에 발표한 「일원상에 대하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 논서가 갖는 역사적, 사상적 의미를 원불교 교리 형성과정과 근대 동아시아 사상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서는 일원상(一圓相)을 ‘전달력 있고 알기 쉬운 용어와 구성’을 통해 소개함으로써 일원상 교리를 명료화하고, 그 보편적 이해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주요 내용은 일원상진리의 내역과 성격을 철학적으로 개념화 하고, 일원상을 중심으로 한 자력과 타력의 병진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일원상을 생활 속에서 활용하는 방법으로 신앙·숭배·체득·이용을 제시함으로써 실천적인 교리체계를 구성하였다. 불법연구회는 『조선의 유사종교』 발간 이후 유사종교로 분류되었고 총독부의 본격적인 감시를 받았다. 이에 따라 불법연구회 설립 이전에 초안된 『조선불교혁신론』을 1935년 발표하여 불교혁신 사상과 제도의 틀을 정리하고, 불성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공식화하였다. 그 후 정산은 「일원상에 대하여」를 발표하여 일원상교리 체계를 확립해 나갔다. 불법연구회는 일원상 교리의 확립을 통해 『육대요령』의 교리체계에서 일원상을 중심으로 한 『불교정전』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일제의 식민지배로 인한 폭력과 불평등의 모순적 현실로부터 민중들의 정신적 주체성을 수호하고 현실적 억압에 맞서 평등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종교사상적 대응을 펼친 것이다. 이 논서는 일원상의 진리를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의 진리관에 연결시켜 설명하였다. 이는 일원상이 제(諸) 종교의 세계관을 회통하는 상징이라는 의미를 보여준다. 또한 유교에서 주로 밝힌 세간 도덕과 윤리를 불교의 궁극적 진리관과 통합함으로써 불법을 생활화 한 생활종교의 이념을 확립하고자 했다. 또한, 일원상 신앙의 정체성을 전체신앙·진리신앙·사실신앙의 세 가지 측면으로 밝힘으로써 과거의 불합리하고 미신적인 신앙을 일대 혁신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일원상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과 그 교리체계를 관념적이고 사변적 개념 안에 가두지 않고, 신앙과 숭배, 체득과 이용이라는 양 측면의 실천방법에 연결함으로써 우주론과 심성론, 그리고 실천론을 하나의 체계로 밝힌 점이 사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structure and contents of 「On Il-Won-Sang」,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l-Won-Sang. I examine the text’s meaning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octrine in Won-Buddhism. Written in an academic style, this text represents the initial dharma teachings of Master Chongsan, which summarize his perspectives on Il-Won-Sang. 「On Il-Won-Sang」 consists of 7 chapters which was first issued in Won-Buddhist Newsletter during 1937. It outlines the doctrine of Il-Won-Sang,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Image of One Circle"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my examination of 「On Il-Won-Sang」 and its formation of the initial doctrine of Il-Won-Sang. Abstractly and fragmentarily introduced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On Il-Won-Sang」 summarizes the Il-Won Sang theory with easy-to-understand terms and composition while concentrating and clarifying Il-Won Sang. The purpose of this text focuses not only on finding the identity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by establishing the ideological system of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but this text also assists people who were in a crisis of losing their spiritual identity during Japanese colonialization to recover their own true nature and make a world of equality and peace. This text greatly enhances the doctrine of Il-Won-Sang by defining the philosophy and structure of its doctrines, including the truth, faith, worshiping, the modeling on and utilizing Il-Won-Sang. By linking the Dharma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especially through concepts such as Ki, 「On Il-Won-Sang」 clarifies the stance of Won-Buddhism which is tolerant of all religious philosophies while centering the dharma of Buddhism. Additionally, the tex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ity and social reformation by explaining how the Il-Won-Sang and its doctrine combine the realm of ultimate truth with human life. The truth and religious doctrines are not based n ideological or speculative theories but rather pursuing Mahayana and prac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s by presenting more applicable methodologies to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harmoniza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 KCI등재

        원불교의 일원상 신앙 : 진리적 종교의 신앙성

        염승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1 No.-

        In the Won-Buddhist scholarly circle, several arguments have been put forth to re-name the object of faith of Won-Buddhism as Wonbulnim(圓佛님) instead of Il-Won-Sang, the Dharmakya Buddha. Those who hold this position argue that changing the name will strengthen the faith of Won-Buddhism. However, these claims uncritically reflect a Christian perspective on religion and faith and overlook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of Il-Won-Sang.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title, Wonbulnim by discuss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n based on truth.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four topics: First, in the chapter on Matteo Ricci’s Principle and Wonbulnim, logical similarities between Wonbulnim and the Christian perspective on faith are discussed. Second, in the chapter on religion based on Truth and transcendence, religious transcendence and absoluteness are prov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Way (to) that is free from arising nor ceasing and the principle of the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Third, the chapter on the manifestation of faith in truth based on religion, highlights that faith in Il-Won-Sang has an immanent transcendence by internalizing the principle of Il-Won-Sang, which can be different from unidirectional worship for an external object. Fourth, the chapter on the sublime and wonder in the Truth based on religion identifies the emotional aspects of Il-Won-Sang by reviewing how the feelings of the sublime and wonder are expressed in the Fourfold Grace (四恩).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inding out the limitations of using a title that reflects a Christian position, and analyz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of Il-Won-Sang within the system of Won-Buddhist doctrine. 원불교의 신앙심을 강화하기 위하여 ‘법신불 일원상’ 대신에 ‘원불님’으로 신앙의 대상에 위격을 부여하자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호칭에 관한 논리는 신앙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이 무비판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진리적 종교로서 일원상 신앙의 개체적 특징을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격 호칭에 관한 주장의 한계를 밝히고, 이에 대한 반증으로 진리적 종교로서 일원상 신앙의 개체적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주제를 단계적으로 논의한다. 첫째,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이법성과 원불님’에서는 신앙의 호칭에 위격을 부여하자는 주장과 신앙의 대상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의 논리적 유사성이 논의된다. 둘째,‘진리적 종교와 초월성’에서는 일원상의 ‘생멸없는 도’와 ‘인과보응되는 이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종교적 초월성과 절대성을 확인한다. 셋째, ‘진리적 종교의 신앙성 발현’에서는 일원상 신앙이 일원상의 도를 체득하는 내적초월주의의 특성으로, 외적 대상에 대한 일방적 숭배와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넷째, ‘진리적 종교의 숭고와 경이’에서는 사은신앙에서 숭고와 경이의 감정이 어떻게 표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일원상 신앙의 정서적 측면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호칭문제의 기독교적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일원상 신앙의 본질과 특성을 원불교 교학의 체계에서 해석한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소태산의 깨달음과 법신불신앙운동

        노권용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최근세 한국불교의 성격은 시대사명의 자각과 그 실현을 위한 개혁불 교운동이라 할 수 있는바, 이러한 개혁운동의 하나로서 소태산은 26세 (1916년)에 진리에 대한 큰 깨달음을 얻고 원불교를 개창하여 ‘법신불신 앙운동’을 전개한다. 당시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극심한 무력탄압정책 에 억눌려 있던 한국 민중들에, 그것은 한 개인의 깨달음이나 일개 종단 의 신앙운동 차원을 넘어서서 민족구원의 종교적 메시지의 출현이라 볼 수 있다. 그는『조선불교혁신론』의 저술을 통해 종래의 불상숭배의 허구 성과 기복위주의 비합리적 불공법을 비판하고, 법신불신앙과 진리적 불 공법을 제창한다. 신앙, 수행, 교화제도 등 전면에 걸친 소태산의 불교혁 신사상은, 직접 민중의 삶속에서 구체적 실천운동으로 전개되어 오늘에 까지 이르고 있으니 그것이 바로 원불교의 ‘법신불신앙운동’이다. 원불교에서는 최고 종지로서의 ‘법신불 일원상(○)’을 본존으로 모신다. 이때 법신불(Dharma-kāya Buddha)이란 우주의 궁극적 진리(實在) 그 자 체를 佛로 본 것으로서, 그것은 진리의 체성뿐 아니라 무한덕상과 부사 의업용까지를 동시에 포함한 통일자로서의 진여실상을 지칭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태산은 불상숭배를 넘어선 법신불 일원상숭배, 즉 이ㆍ지ㆍ비(理智悲)가 충만한 법신불신앙운동을 주창했던 것이다. 이러한 ‘법신불 일원상’을 원불교에서는 신앙의 대상으로 모심과 동시에 수행의 표본으로 받들어 신앙과 수행의 양문을 열어놓고 있다. 이처럼 불교혁신 운동의 근본이념으로서 소태산에 의해 전개된 원불교의 법신불신앙운동 은 불타관의 발달사에 비춰볼 때 간과할 수 없는 의의와 특징을 지닌다. Won Buddhism has been set up and developed by So-tae-san, Bak Jyung-bin(1891-1943), who had realized Buddha's truth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religious calling in turmoil and suffering in the Korean modern societ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 As one of Buddhistic revolutionary activities, So-tae-san had gotten awakened spiritually and created Won-Buddhism, that was the movement of belief in Dharma-kāya Buddha. To Korean people who had been deprived of sovereignty and suppressed by the ruthless and colonial policy of Japan, this was an appearance of religious message of national salvage beyond an individual awakening or a movement of just one religion. So-tae-san proposed the following in his book Innovation of Chosun Buddhism. ① He criticized the falsehood of worship of Buddha's statue and irrational method of offerings toward Buddha, and suggested faith of Dharma-kāya Buddha and truthful method of offerings toward Buddha as alternatives. ② And he advocated harmonious practices by threefold training, (shīla, sāmadhi, prajṅā), for the way of completion of whole personality beyond deflection and adherence to any particular sectarian practice. ③ By emphasizing on modernization, popularization, and habituation, he encouraged the old traditional unworldly Buddhism to go into people's life and reborn as dynamic and energetic Buddhism that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and the history. In Won Buddhism, the symbol, ○(Ir-won sang), indicates the ultimate truth itself of the universe, and it means Buddha-Tathāgata as unification including essence and virtue and function of truth. Especially it is filled with not only truth but also wisdom and mercy. Won Buddhism considers Dharma-kāya Buddha(〇, Ir-won-sang) as the objects of faith, and the standards of practices. So the worship of Dharma-kāya Buddha in Won Buddhism, consists of two gates of faith and practice. These movements of belief in Dharma-kāya Buddha developed by So-tae-san, as the activity of Korean revolutional Buddhism, has significance and feature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Buddha-worship. On the other hand, there still remains some hermeneutic and practical tasks to be solved in order to establish an ideal faith of Dharma-kāya Buddha in the future.

      • KCI등재

        『대산종사법어』「신심편」의 성찰적 접근

        류성태(柳聖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대산종사탄생백주년(2014)을 기념하여『대산종사법어』가 발간되고, 뒤이어 본 법어집이 원불교의 공식 교서로 확정되면서『대종경』,『정산종사법어』와 더불어『대산종사법어』의 교서적 위상이 확고해졌다. 위의 경전들이 원불교의 정식 교서인 바, 오늘날 교조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경전 사경이나 법어봉독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교서들은 소태산 대종사와 역대 종법사의 언행록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원불교 교리 이해와 신행(信行), 스승관 정립 등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대산종사법어』는 원불교 신앙인의 종교적 감성을 북돋워주고 수행의 지침서로 그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법어는 대산종사 생전 법어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절마다 그의 신앙·수행과 관련한 의미 심대함이 드러나 있다. 하지만 모두 15편에 해당되는 각 법어 문구가 신앙적 감성에 기대어 권위적으로 접근되다 보면 대산종사의 본의가 자칫 맹목적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신심편」25장의 ‘대종사가 곧 법신불’이라는 문구 이해에 냉철한 성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산종사의 법문 이해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관련 법어는 법신불관 및 대종사관 중심으로 해석학적 차원에서 접근한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것으로, 소태산이 전통불교의 등상불 숭배가 갖는 한계를 인지, 불법연구회의 법신불(일원상) 숭배로 혁신했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교조 숭배와 원불교 신앙관의 차별화를 부각시키려는 것이다. 그것은『조선불교혁신론』의 7가지 혁신항목 가운데 ‘등상불 숭배를 불성 일원상 숭배로’라는 항목에 근거한다. 신앙대상의 이해에 대한 교학적 검토와 더불어, 그것이 인격신앙으로 흐를 수 있다는 점을 밝힘과 동시에 진리신앙으로 유도하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 본다. Since the Scripture of Prime Master Daesan published on the commemoration of the Centennial Ceremony of him, it was decided as a formal Sacred Book of Won Buddhism such as a status of Sotaesan’s Scripture and Jungsan’s one. The Scriptures above said is the formal Sacred Book of Won Buddhism, which make the use of writing & reading in succession of Great Master’s teaching. These Books stand for the ha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taesan and prime masters to help understand the doctrine of Won Buddhism, practice, and view of teachers. Accordingly, Prime Master Daesan’s scripture seems to boost a religious sensitivity for Won Buddhists and plays a faithful role of guidelines of practice. This Book reveals a significant meaning in every passages of belief and practice as a his living years, however, 15 parts of his Book lead to an authoritarian personality to the readers, stick to blindly every dharma words against his will. The 25 chapter of devoutness in his Book, “The Great Master is Dharmakaya Buddha”, should be approached as an introspective accession. It should be careful to understand each Dharmas of Daesan Prime Master in which the related Words such as Dharmakaya Buddha and Great Master approached from hermeneutic model of inquiry. This paper is worthy of notice to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ship of the Founding Master and Won Buddhist view of belief by which Sotaesan recognized the limit of worship of the Buddha Statue in revolution to worship of the Dharmakaya Buddha or Irwonsang. It is based on the item such as “to worship of Irwonsang from worship of the Buddha Statue”among 7 items of the Revolution Theory of Chosun Buddhism . It is significant to lead to the belief of the truth from the personal belief by way of doctrinal examination of the object of belief.

      • KCI등재후보

        「교리도」의 교상판석적 고찰

        노권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5 No.-

        교화현장에서 신앙성의 제고와 마음공부의 심화작업 등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현시점에 있어, 원불교리 전반에 걸쳐 상식적이고 대중적인 이해의 차원을 넘어서서 보다 심화된 교학적 검토가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한 작업의 기초는 무엇보다 원불교의 최고지요 본존불인‘법신불 일원’그 자체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에 바탕하여 전개되는 교법체계 전체에 대한 면밀한 교상판석적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원불교교리의 총체적 집약도표라 할 수 있는「교리도」에 관하여,‘ 법신불 일원’을 중심으로 한 교상판석적 검토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우선 본고에서는 이러한「교리도」의 중심축을 이루는‘법신불 일원’ 그 자체의 존재론적 의미와 진리적 구조 등에 관하여 면밀한 분석과 심층적 검토를 시도해 본다. 이에서 볼 때‘법신불 일원’이야말로‘우주만유의 본원’임과 동시에‘인간자아의 본성’이라는 명제는 바로 그 존재론적 내지 인성론적 의미를 밝힌 것이며, 「게송」에 설파된‘구공과 구족’은 바로‘법신불 일원’그 자체의 본질적 성격을 천명한 것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본고는 이러한‘법신불 일원’의 존재론적(내지 인성론적) 의 미와‘구공·구족’의 진리적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전개되는 신앙문과 수행문, 그리고 그들의 상호관계 등에 관하여 교상판석적 시각에서 재조명해본다. 또한 그러한 토대 위에서「개교의 동기」,「 일원상서원문」, 「참회문」등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들을 고찰해봄으로써, 원불교 교리사상의 심화와 그를 통한 신앙성 제고에 일조를 얻고자 한 것이다. Today, the height of the faith and the depth of the study of mind etc. have been seriously requested.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investigate deeply all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beyond the conventional and popular understanding. It is the basic work for us to do deeply understand ‘Il-Won Dharmaka-ya Buddha’itself above all. And first of all, we should investigate minutely the whole system of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based on Il-Won Dharmaka-ya Buddha in a viewpoint of the analysis and judgement of doctrines. In order to do this, we try to study the Doctrinal Chart especially concentrating upon Il-Won Dharmaka-ya Buddha. The Doctrinal Chart is a kind of diagram where the main doctrines of Won-Buddhism are concentrated clearly. In the Doctrinal Chart,‘ Il-Won Dharmakaya Buddha’as the object of worship or the supreme principle is located on the central top of the chart, and the two gates of faith and practice are placed on right and left sides, by arranging the basic doctrine of ‘the Four Great Principles’. In this paper, first, we try to do minutely analyze and deeply investigate‘ Il-Won Dharmaka-ya Buddha’as the core of the Doctrinal Chart. in a viewpoint of the meaning of ontology and the logical structure etc. From the viewpoint of this, the statement that ‘Il-Won Dharmaka-ya Buddha’is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as well a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makes the meaning of ontolog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clear. And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declared in Transmission Verse, elucidated immediately the essential character of‘ Il-Won Dharmaka-ya Buddha itself. Secondly, we try to do closely analyze and critically appreciate those two gates of faith and practic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basing on the meaning of ontology and the logical structure etc.. In advance we attempt to solve some problems that can be proposed in it’s meaning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practical applications, Finally, since we review the problems that must be considered throughout all the doctrines, of , , etc. based on such an analysis and judgement of doctrine, we want to be helpful in deepening of Won-buddhistic thought and in raising it’s religiositi.

      • KCI등재

        원불교의 儒家적 연원에 대한 圖像學的 고찰

        이원진(李圓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1916년 구한말 개창된 원불교는 당시 유교의 봉건적, 시대착오적인 부분을 개혁하고 가장 순수하고 본질적인 유가의 핵심을 발전적으로 수용하는 데 성공했다. 내부적으로는 물질문명과 기술문명이 심각한 정신심리학적 질병을 낳고, 외부적으로는 중국이 국가가 동원한 복고 유학의 바람을 거세게 몰아치는 요즘, 지금 한국사회엔 원불교의 이 작업을 조명하고 계승하는 일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우리 한국사상이 전통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정신의 수행매체로서의 도상에 주목해 시작됐다. 이를 위해 퇴계(退溪)의 「천명도(天命圖)」와 소태산(少太山)의 「교리도(敎理圖)」를 비교 연구했다. 이들 도상은 원형(동그라미)과 방형(네모)으로 표상됐다는 특성에서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특히 이 방원형상은 조선성리학(특히『 주역』적 관점)에서 하늘과 인간 심성이 합치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적 특징을 드러내는 독창적 상징이라는 점을 주장한 후, 이 도상의 특징은 300여 년의 시간적 차이를 뛰어넘어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대종사의 「교리도」에서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제시한다. 「교리도」는 일원상에서 한국사상이 발전시켜왔던 원형의 태극 철학을 계승했을 뿐 아니라 일원상을 둘러싼 신앙문과 수행문의 양대 축 그리고 사은사상을 통해 방형(네모)를 형상화하며 수행에 필요한 마음공부의 특성을 고루 부각시킨다. 이는 「천명도」가 경(敬)을 중심에 두고 이를 일상 속에서 견지하도록 하는 매체였다는 사실과 동일하다. Won-buddism, which was founded at 1916, successfully reformed the feudal and anachronistic parts of Joseon Confucianism and protected the core of the most pure and essential of it. Korean society is now asked to shed light on and continue the work of Won-Buddhism. Because looking a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e crisis is growing in and out of the country: material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s cause severe psychophysical diseases and externally China is pushing for the recovery of the nation"s power by studying Confucianism again.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edigree of Korean thought as a symbol(diagram) of the spirit that Korea has traditionally pursued. For this purpose, Cheonseongdo of Toegye(1501-1570) and The Doctrinal Chart of the Great Master of Sotaesan(1891-1943) were compared. These diagrams are more similar in their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are represented by circles and squares. In particular, after asserting that this figures as ‘circles and squares’ is a unique form in Joseon neo-Confucian philosophy, because it represent the natural harmony between the heavens and the human mind. and it continues to extend beyond the 300-year-old time gap in the The Doctrinal Chart by Sotasan, the founder of Won-Buddhism. Il-Won Dharmakaya Buddha in the The Doctrinal Chart not only succeeded in the original diagram Taegeukdo which has 5 circles in it, but also the big immanent circle in Chonmyungdo. and Fourfold Grace embellishes the shape of the square which is the main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in Confucianism. Above all, the both pillars of faith and practice high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d-practice required to perform in proportion. This is the same as the fact that Chonmyungdo was a medium in which Gyeong(Mindfulness) was situated at center and maintained in dail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