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일본론에서 대마도와 안용복

        정훈식(Jung, Hun-Sik)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9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후기에 전개된 일본론에서 대마도와 안용복이 논의되는 구체적인 실상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조선후기 일본론은 크게 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일본의 침략에 방비하기 위한 제반 논의인 비왜론이다. 둘째, 일본문물론이다. 일본의 문장과 학술이 어느 정도 발달하였으며, 이것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되게 논의하였다. 일본문물론은 18세기 조선 지식인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끈 논의로, 일본의 문풍이 성행하면 조선 침략의 가능성을 떨어뜨린다는 논리가 그 골자다. 셋째로 대마도론이다. 이 논의는 대마도인의 교활한 행위와 흉계를 보고 들은 것과 관련이 깊은데, 대체로 안용복 사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계미통신사행에 참여한 사행원이 목격한 대마도인의 행위에서 논의가 확대되었다. 당시 조선의 대일정책은 교린정책이다. 이 정책은 양국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혜평등의 교류를 추구한다. 그런데 대마도인은 겉으로는 양국 외교의 중개임무를 맡았으나 속으로는 교묘하게 조선 조정과 에도막부 양쪽을 속여 가며 막대한 이득을 취하고 울릉도를 점거하려는 음모까지 꾸몄다. 그러한 실상에 대한 논의가 대마도론을 형성한 것이다. 조선후기 일본론의 흐름에서 대마도론은 비왜론의 한 방편으로 수행된 교린정책에 대한 재검토의 성격을 띤다. 안용복 사건을 다시 논의하면서 울릉도와 독도를 점거하려는 대마도의 야욕을 경계하였는데, 이는 일본의 학술과 문장이 발달하니 일본의 침략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일본문풍론에 대한 우회적 반론의 의미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oncrete facts and meanings of Tsushima and Ahn Yong-bok which has discussed in the Japanese discour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discours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part is Biwaeron(備倭論) which discussed all the matters to prepare for Japan"s attack. Second part is a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It mainly discussed how much the Japanese are developed in culture and academics, and the kinds of influence it has on Chosun Dynasty. It was an big issue among 18th century"s intellectuals of the Chosun dynasty. The main point of this argument was that if Japanese culture were prevalent, it would decrease the possibility of Japan"s attack on Chosun. Third part is the theory of Tsusima. It was originated from what we had seen and heard about wicked actions and tricks of the people in Tsusima. The theory of Tsusima mostly started with the Ahn Yong-bok incident and it was expended after the Tongsinsa participating in the Joseon"s Cultural Mission to Japan(癸未通信使行) witnessed the behaviors of the Tsusimas. At that time, Chosun dynasty had a good-neighbor policy(交隣政策) toward Japan. This policy sought equal and mutual exchange based on the trus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susimas outwardly undertook an assignment of meditation of both countries, however, they internally derived an enormous unfair profit deceiving from both Chosun Dynasty and Edo Bakufu. The theory of Tsusima was formed by these facts and discussions. In the Japanese discourse of the late Chosun, the theory of Tsusima intended to reexamine a good-neighboring policy which was performed as a part of Biwaeron(備倭論). It also discussed Ahn Yong-bok incident again and insisted to keep strict watch on Tsusima"s ambitions to take over Ullenungdo and Dokdo. This theory indirectly argue against an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which argues that there is lower possibility for Japan"s attack since their culture and academics are developing. On Chosun"s perspective, Japan is the place that needs constant guard as long as there is Tsusima.

      • KCI등재

        〈창조적 전통주의〉관점에서 본 일본론

        李珍鎬(Lee, Jin-Ho)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3

        Today, there are many theories on Japan and Japanese people. However, there is no theory that can explain globally unprecedented elements and macroscopic cultural phenomena or systems that exist in Japan today, including the emperor system of the unbroken imperial line existent since ancient times, the Japanese calendar system since the Taika, the number of the world’s best old stores, or the Nō, which is still performed with the same lines since more than 600 years ago. Thus, this paper presents creative traditionalism as a source of such elements and as a universal ideology of another Japan and the Japanese. However, considering the background related to the origin of traditionalism, Japan being a country that actively imported cultures, the main subject of cultural propagation is the voluntary importation of cultures by the upper class and therefore has vitality. This could in turn lead to traditionalism. In addition, Japan has past geopolitical conditions such as being an island country bordered by the Straits of Korea and being a stop-culture or a site of culture associated with the Western winds blowing through Northeast Asia or the seasonal winds. Furthermore, traditionalism retains creativity mainly due to the Japanization of foreign cultures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focusing on trad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creative traditionalism has great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Japan’s status today.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의 일본 언설의 "비틀림" -"객관성"과 "보편성" 문제를 중심으로

        권혁태 ( Heok Tae Kw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객관적``인 일본연구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일본연구가 그 형식에서 독립적인 학문영역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객관성``이라는 것은 그 내용과 관계없이 일본연구의 앞머리에 붙는 수사(레토릭)로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열쇳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객관성``은 이른바 ``가치자유적`` 의미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일본론에서 나타났던 가치목적적 전제에 대한 기계적인 반동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성``을 표방한 일본연구는 19세기 이래의 제국주의 질서에 저항해왔던 장기간의 이의제기(``탈식민``)를 물리침으로써 그 질서 위에서 있는 근대화론과 개발주의에 저항할 가능성을 스스로 포기했다고 볼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일관계의 제도화 시점이라 할 수 있는 ``65년 체제`` 이후, 한국의 일본 언설이 탈(脫)식민과 주체의 형성이라는 과제와 관련해서 어떤 내적 모순, 즉 ``비틀림``의 구조를 내포하게 되었는가를 이른바 ``객관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살펴본다. What does it mean by ``objective`` Japanese Studies?``Objectivity`` is a key word widely used in Japanese studies as a rhetoric since 1980s when the studies began to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However, the term ``objectivity`` does not refer to ``value free`` state. Rather it is a reaction to ``value as a goal`` hypothesis in the established Japanese discourse.Japanese studies embodying ``objectivity`` has given up a possibility of countering the modernization theory and developmentalism by disregarding long-term project against imperial order (postcolonial project) since the 19th century. In this context, I``d like to examine internal contradictions in Korean discourses on Japan since the formation of ``1965 Korea-Japan system``, that have attempted to formulate post-colonial projects and subjects, centering on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 KCI등재

        대한제국기 일본 유학생들의 유학생활과 유학의식

        이태훈(Lee, Tae-ho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1900년대 유학생들은 러·일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일본론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근대화의 성공을 넘어 동아시아 패권국가로 등장한 일본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분야의 일본론이 등장하였고, 자기시각에 근거한 평가도 제기되었다.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주목한 부분은 일본의 역사문화와 근대화개혁이었다. 유학생들은 일본의 역사문화 역시 동양문명권에서 탄생한 것이며, 한국과 중국에 비해서는 후진적이라고 생각하였다. 한국이 근대화에는 뒤쳐졌지만, 역사문화적 전통은 더 우수하며, 언젠가는 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근대화과정은 확연히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일본은 교육개혁과 정치개혁에 성공하여 국가적 통합력을 강화시키고, 인민의 지적능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켰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들에서 속에서 일본인의 민족적 특징을 급속한 성공의 이유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였다. 강국인 러시아를 이긴 힘을 서구문명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일본민족성의 특징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강한 정신인 ‘대화혼’이었다. ‘대화혼’이 무사도와 결합하여 일본의 독특한 정신적 특성을 형성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본의 민족적 특성이 강국을 건설하는데 성공적으로 작용하여 패권국가로 부상했다는 주장이었다. ‘대화혼’이 의미하는 강력한 희생정신, 복종심이 강력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추동했다는 것이었다. 또한 고유의 민족성과 결합된 일본의 근대화과정은 서구의 자유주의적 근대화과정과 다른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자유주의적 근대화의 부작용을 민족정신을 활용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노선으로 극복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를 주장한 인물들은 한국사회의 실패원인도 국가주의적 민족성의 부재에서 찾았다. 일본의 성공에 압도되어 인민의 절대적 헌신을 요구하는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주장하게 된 것이었다. 반면 일본의 침략적 성격과 일본사회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제기되지 못하였다. 일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주체적 시각을 상실하게 된 것이었다. After Russo-Japanese War,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the theory on Japanese society. They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after they witness Japan’s successful modernization and becoming the power of East Asian region. Many suggested various theories on Japan, and some even evaluated Japa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Most interests of them were i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and modernization and reforms. They believed that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were also from East Asian civilization, and regarded them as backward culture. They believed that Korea was far advanced than Japan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and will prosper someday though modernization became delayed. But they thought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was totally different. They evaluated that Japan was successful in consolidating nation through educational and political reforms, and, as a result, enhanced general intelligence of people. From this perspective, some observed Japanese people’s national character as the very reason of rapid success. They thought that the power to win over Russia was not from a mere adapt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hat these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commonly realize was the Japanese people’s strong national character, ‘taehwahon,’ which does not fear even death. They thought that Japanese unique spirit comprise of ‘taehwahon’ and samurai spirit. They argued that this unique national culture affected to build a strong nation, and made Japan as one of the world powers. Taehwahon meant sacrifice and conformity for nation, and functioned to form a state-centered modernization. They also argued that Japanese modernization was different from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because it was strongly related to Japan’s national characteristics. They argued that state-centered Japanese modernization overcame the shortcomings of the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Those who argued this theory also evaluated the failure of Korean modernization in that Korea lacked this state-centered national characteristics. Mesmerized by the success of Japan, these people also argued that Koreans should follow Japanese state-centered model that requires people’s absolute sacrifice for nation. But they did not critically look at Japanese aggressive imperialism and problems within Japanese society. Although their theory came from the initiatives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their study made them lose subjective position as Koreans in effect.

      • KCI등재후보

        『토지』에 나타난 일본

        이정숙 춘원연구학회 2017 춘원연구학보 Vol.0 No.10

        박경리의 『토지』는 ‘소설로 쓴 일본론’이라고 하는데 모두 공감할 정도로 작가의 일본에 대한 생각을 여러 등장인물을 통해서, 때로는 작가의 목소리를 통해서 드러내고 있다. 배경이 1부 동학 혁명 전후로 시작하여, 구한말부터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거쳐 한일강제 합병, 3ㆍ1독립 만세 등을 거치면서 조선 땅을 중심으로 한 주변 여러 나라의 실정을 반영할 수밖에 없었고, 또 만주사변, 중일전쟁, 1ㆍ2차 세계 대전 등 당시의 소용돌이치는 국제 상황 속에서 국제 정치에 대한 일가견과 깊은 이해가 없으면 써내려가기가 어려웠을 부분이 상당하다. 중국과 일본에 대한 정치 외에 문화, 예술, 기질, 배경 등의 설파는 그 해박함과 깊이가 대단하다. 특히 작품의 후반으로 갈수록 일제 강점기 하에서 날로 극심하게 피폐해가는 이 땅의 실상을 비롯, 중국과 일본에 대한 비교, 덧붙여 한국과의 비교 등 한ㆍ중ㆍ일 동양 3국의 민족성과 생태가 어느 작품보다 잘 드러나 있다. 무엇보다도 작가에게서 매우 객관적인 시각과 견해를 곳곳에서 확인한 바, 방대한 자료 섭렵에 감탄하고 이 작품이 문학연구의 보물창고임을 다시 실감하면서도 기존의 문학과 역사 등 한정된 분야의 시각을 넘어서 보다 다양하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도 아울러 강조하게 된다. 사회학/일본학/중국학/러시아학/국제정치/독립운동사/건축학/종교/정원 등 생활사에 대한 타 전공자들의 상호 연구가 이루어져서 『토지』의 연구영역이 그만큼 확장되면서 『토지』의 문화적, 문화사적 의미도 아울러 확대되어 자연스럽게 ‘토지학’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토지』의 일본에 대한 여러 논의는 특히 일제 강점기의 종말을 앞두고 매우 치열하게 설파되고 있는 만큼 어느 특정 시기와 사회에서의 편향된 시각일 수도 있겠으나, 근원적인 부분에서는 현재도 논쟁적인 여러 사건으로 인해 양국 관계가 여전히 편치 않은 만큼 우리 민족이 살아남아야 할 방편으로 작가가 가져오고 싶어 한 ‘일본의 실속주의’와 ‘중국의 그 완곡한 노회성’을 중시할 필요가 있겠다. 세계가 이웃처럼 가깝고 그만큼 얽혀져 있는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참고를 넘어서 진정으로 배워야 할 덕목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 글을 쓰며 평소에 느꼈던 일본의 속성에 대한 의문점에 답을 얻은 부 분도 상당하다.

      • KCI등재후보

        율곡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에 대한 재검토

        이상익 ( Lee Sangi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90 No.-

        인심(人心)·도심(道心)에 대한 율곡 이이의 지론은 ‘인심과 도심은 모두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에서 발한 것’이라는 인심도심일본론(人心道心一本論)이었다. 율곡은 인심과 도심을 일본(一本)으로 규정한 다음, 형기(形氣)의 개입 여부에 따른 중절(中節)과 부중절(不中節) 문제로 인심과 도심을 구분하는 입장을 시종일관 견지했다. 그러나 율곡의 이러한 주장은 수많은 난점을 야기하는 것이었고, 율곡설에 대한 후학(後學)들의 비판도 대부분 여기에 초점이 있었다. 따라서 율곡의 ‘인심도심일본론’ 및 이를 지탱하는 주요 논거였던 ‘천지지화(天地之化)와 오심지발(吾心之發)의 동일성 명제’와 ‘성발위정론(性發爲情論)’도 다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들 명제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율곡의 ‘인심도심일본론’을 기각시키고, 퇴계와 우계의 지론이었던 ‘인심도심이본론(人心道心二本論)을 수용하였다. 다만 ‘마음의 허령지각(虛靈知覺)은 하나일 뿐’이라는 점에서 율곡의 기발일도론(氣發一途論)은 여전히 유효한 것임도 재확인하였다. 논자는 ‘인심도심이본론’과 ‘기발일도론’을 종합하여 인심과 도심을 온건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세 개의 명제로 제시하였다. 이 세 명제는 율곡 인심도심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지양 방향을 모색한 것인데, 이는 동시에 퇴계설과 율곡설을 정당하게 절충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할 것이다. Yulgok’s cherished view of Human Mind and Tao Mind is that both Human Mind and Tao Mind are expressed from human nature. We call it ‘Human Mind and Tao Mind single root theory’(人心道心一本論). Yulgok defines Human Mind and Tao Mind as single root, and distinguishes Human Mind and Tao Mind by interruption of desire or moderation or not.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Yulgok’s cherished view, so many scholars criticized Yulgok’s theory of Human Mind and Tao Mind. Therefore, I rejected ‘Human Mind and Tao Mind single root theory’ and took ‘Human Mind and Tao Mind two root theory’(人心道心二本論) which Toegye’s and Woogye’s cherished view. Nevertheles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re is only one mind, I have reaffirmed that Yulgok’s one-way theory of dynamic Ki(氣發一途論) is still valid. I have presented three propositions that combine ‘Human Mind and Tao Mind two root theory’ and ‘one-way theory of dynamic Ki’ together to explain Human Mind and Tao Mind fairly.

      • KCI등재

        栗谷의 人心道心說에 대한 재검토

        이상익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90 No.-

        Yulgok’s cherished view of Human Mind and Tao Mind is that both Human Mind and Tao Mind are expressed from human nature. We call it ‘Human Mind and Tao Mind single root theory’(人心道心一本論). Yulgok defines Human Mind and Tao Mind as single root, and distinguishes Human Mind and Tao Mind by interruption of desire or moderation or not.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Yulgok’s cherished view, so many scholars criticized Yulgok’s theory of Human Mind and Tao Mind. Therefore, I rejected ‘Human Mind and Tao Mind single root theory’ and took ‘Human Mind and Tao Mind two root theory’(人心道心二本論) which Toegye’s and Woogye’s cherished view. Nevertheles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re is only one mind, I have reaffirmed that Yulgok’s one-way theory of dynamic Ki(氣發一途論) is still valid. I have presented three propositions that combine ‘Human Mind and Tao Mind two root theory’ and ‘one-way theory of dynamic Ki’ together to explain Human Mind and Tao Mind fairly. 인심(人心)・도심(道心)에 대한 율곡 이이의 지론은 ‘인심과 도심은 모두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에서 발한 것’이라는 인심도심일본론(人心道心一本論)이었다. 율곡은 인심과 도심을 일본(一本)으로 규정한 다음, 형기(形氣)의 개입 여부에 따른 중절(中節)과 부중절(不中節) 문제로 인심과 도심을 구분하는 입장을 시종일관 견지했다. 그러나 율곡의 이러한 주장은 수많은 난점을 야기하는 것이었고, 율곡설에 대한 후학(後學)들의 비판도 대부분 여기에 초점이 있었다. 따라서 율곡의 ‘인심도심일본론’ 및 이를 지탱하는 주요 논거였던 ‘천지지화(天地之化)와 오심지발(吾心之發)의 동일성 명제’와 ‘성발위정론(性發爲情論)’도 다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겠다. 본고에서는 이들 명제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율곡의 ‘인심도심일본론’을 기각시키고, 퇴계와 우계의 지론이었던 ‘인심도심이본론(人心道心二本論)을 수용하였다. 다만 ‘마음의 허령지각(虛靈知覺)은 하나일 뿐’이라는 점에서 율곡의 기발일도론(氣發一途論)은 여전히 유효한 것임도 재확인하였다. 논자는 ‘인심도심이본론’과 ‘기발일도론’을 종합하여 인심과 도심을 온건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세 개의 명제로 제시하였다. 이 세 명제는 율곡 인심도심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지양 방향을 모색한 것인데, 이는 동시에 퇴계설과 율곡설을 정당하게 절충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할 것이다.

      • KCI등재

        <창조적 전통주의> 관점에서 본 일본론(2) : 文學史上에 보이는 경향을 중심으로

        李珍鎬(Lee, Jin-Ho)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5 No.-

        一言で言うには難しいが、世界どの国においてもその国民のもつ普遍的イデオロギーはあるもので、それは、その国の歴史や文化、あるいは社会や風土、その他、地政学的な与件などによって決定されるのが一般と言えよう。とりわけ、日本ㆍ日本人のもつ普遍的イデオロギーとして位置づけられる<創造的伝統主義>は、過去以来今日までも多数の制度や現象などに受け継がれており、それはまた過去において彼らの文学史上に観る創作技法の流れを通しても窺えよう。その主たる例としては、まず平安時代の中ごろ、院政期以降にみる歌合における本意思想が挙げられ、これは正に創作技法としての伝統主義を象徴するものと言わざるを得ない。また鎌倉時代の詠作法で、いわゆる定家によって内面化されたとも考えられる狭義的本歌取り手法は、それに創造性が加えられた彼らの性向の決定版といっても過言ではあるまい。ところで、こういった文学史上に観る中世初期の性向は、その他、発生以来今日まで受け継がれてきた多数の制度や現象と共に、中世に求められる現代日本文化の淵源を物語るものといってよかろう。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each country in the world presents a universal ideology shared by people, and it is generally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country’s history, culture, society, climates, and other geopolitical factors. In particular, the creative traditionalism, characterised as a universal ideology in Japan and for the Japanese people, has been reflected in a number of systems and phenomena; this can also been seen in their creative techniques in their literary history. A primary example of this is the thought of real intention in honkadori at the middle of the Heian period. This sheerly typifies the traditionalism as a creative technique. Also,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narrow sense of the honkadori technique, a poetry technique in the Kamakura period, which, we assume, was internalised by Sadaie, as the ultimate creative poetry technique. I argue that these tendencies in the early medieval era, observed in the literary history, portray the origin of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s, together with a number of traditional systems and phenomena.

      • KCI등재
      • KCI등재

        정명도(程明道)역학사상

        천병돈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8 No.-

        송대 유학은 周濂溪張橫渠程明道로 대표되는 道學과 程朱로 대표되는 理學, 그리고 陸象山의 心學으로 나누어진다. 주렴계는 『中庸』과 『易傳』을 통해 자신의 형이상학 철학을 전개한다. 그러나 공자의 踐仁知天과 맹자의 盡心知性知天로 이어지는 유가의 심성론에 대해서는 소홀히했다. 장횡거는 비록 자신의 저서에서 『논어』와 『맹자』를 언급했지만, 그 이론의 중심은 심성론이 아니라, 天道를 중심으로 한 형이상학, 즉 『역전』의 입장에서 『논어』와 『맹자』를 해석한다. 정명도는 仁을 만물과 혼연일체가 된 仁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객관적 실체인 天道와 주관적 실체인 心性이 하나라는 유가 철학의 원융무애한 경지를 정립한 것으로 程明道에 이르러 그 절정에 이른다. 明道의 易學은 『論語』 『孟子』를 시점으로 『中庸』 『易傳』에 이르러 원숙한 완성을 이루는 선진시대의 유가철학을 하나로 묶은 유가 최초의 易學이다. 이처럼 明道의 易學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朱伯崑의 『易學哲學史』는 명도의 易學을 간단히 언급하고, 나아가 `主觀唯心主義` `心學派易學의 선구`라고 한다. 명도는 易學을 통해 天理의 특징을 `寂然不動, 感而遂通`으로 규정한다. 寂感眞幾의 天理는 스스로 존재하는 自存體다. 寂然不動한 天理의 感은 외부에서 온 것이 아니라, 天理자체가 가지고 있는 自感이고 능동적인 느낌(能感)이다. 즉 天理자체에 感이라는 역동적인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天理는 명도철학에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나타나는데, 道·易·神·理·誠·敬·義·仁등이 그것이다. 이들 本體는 不動의 實體가 아니라, 寂然不動하면서 感而遂通하는 `動而不動, 靜而無靜`하는 역동적인 實體다. 宋代儒學可分三大類, 一是周濂溪·張橫渠·程明道爲代表的道學, 二是以程伊川·朱子爲代表的理學, 三則是陸象山的心學. 周濂溪以≪中庸≫ 與≪易傳≫講形上學. 但却忽視了由孔子踐仁知天繼至孟子盡心知性知天的儒家心性論. 張橫渠雖在著述上論到≪論語≫與≪孟子≫, 但他是以天道爲中心的形上學, 也就是站在≪易傳≫的立場解釋≪論語≫與≪孟子≫的, 병未以心性論爲其理論中心. 程明道將仁視爲與萬物渾然同體的. 這意味着程明道樹立了儒家哲學圓 融无涯之境界的, 卽作爲客觀實體的天道與主觀實體的心性是同一的. 如此的發展正可以說到了程明道此人達到頂峰了. 明道的易學儒家最初的易學, 由≪論語≫≪孟子≫及至≪中庸≫≪易傳≫將先秦儒家哲學集大成爲一的. 盡管明道易學如此重要, 但흔少被人囑目的. 朱伯崑的≪易學哲學史≫簡單論及明道的易學, 병說`主觀唯心主義` `心學派易學之先驅`. 明道通過易學將天理的特點定爲`寂然不動, 感而遂通`. 寂感眞幾的天 理是自己存在的自存體. 寂然不動的天理中之感, 不是外來的, 而是天理本身具有的自感·能感. 也就是天理本身就具有動態的特性`感`. 如此的天理是明道哲學有種種名稱如道·易·神·理·誠·敬·義·仁. 這些本體不是不動的實體, 而是`寂然不動, 感而遂通`, 同時`動而不動, 靜而無靜`的動 態的實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