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기종 프로세서로 구성된 모바일 기기에서의 파이프라이닝을 통한 딥러닝 응용 처리량 향상

        박충훈,김장률,하순회 한국정보과학회 202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9 No.7

        딥러닝의 발전으로 딥러닝 응용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기존의 CPU, GPU뿐만 아니라 AI 가속기도 탑재한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기종 프로세서로 구성된 기기에서 딥러닝 응용의 처리량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해당 연구들은 딥러닝 응용을 이기종 프로세서에서 나누어 수행함으로써 처리량 향상을 이루어냈으나 주로 임베디드 보드를 대상으로 하였거나 모바일을 대상으로 하여도 가속기를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속기를 포함한 상용 모바일 기기에서의 파이프라이닝을 적용하여 처리량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서 파이프라인 단계의 매핑을 탐색한다. 해당 방법은 실제 모바일 기기들에서 검증하였으며, 단일 프로세서 매핑 대비 네트워크별로 최소 5%~168%의 처리량 향상을 이루어냈다.

      • KCI등재

        자바 기반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의 삼차원 엔진 성능 향상을 위한 바인딩 구현

        김영옥(Young-Ouk Kim),노영섭(Young-Sup Roh)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0 No.11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에서의 삼차원 엔진은 크게 바이트 코드를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실행하는 자바 기반의 JSR184와 C언어 기반의 OpenGL/ES가 있다. 이들 두 표준에서 자바 객체를 지원하는 JSR184는 OpenGL/E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프로세서의 자원을 사용하여 제한된 연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임베디드 기기에 적용할 경우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반면에 기존 개인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삼차원 컨텐츠는 자바의 장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있고, 또한 그 컨텐츠의 품질이 우수하여 상용 통신망인 GSM 망에서 많이 서비스 되고 있다. 따라서 GSM 망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에 기존의 자바 기반 삼차원 컨텐츠를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지원할 수 있는 JSR184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는 자바 기반 삼차원 엔진은 휴대용 기기가 보유한 연산능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용제품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가 가지고 있는 충분하지 않은 연산능력을 바탕으로 자바 객체의 장점을 수용하면서 삼차원 컨텐츠의 처리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바인딩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바인딩 기법은 자바를 이용한 삼차원 컨텐츠를 지원하기 위하여, JSR184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상위 계층에서 지원하고, OpenGL/ES와 JSR18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기종 코드 변환 언어인 KNI(Kilo Native Interface)를 중간 계층에서 사용하였고, 하위 계층에서 OpenGL/ES의 표준을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바인딩 기법은 모의 실험을 통하여 기능을 검증하였고, ARM을 장착한 FPGA를 사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A 3-Dimensional engine in a mobile embedded device is divided into a C-based OpenGL/ES and a java-based JSR184 which interprets and executes a byte code in a real-time. In these two standards, the JSR184 supporting java objects uses more processor resources than an OpenGL/ES and thus has a constraint when it is used in an embedded device with a limited computing power. On the other hand, 3-Dimensional contents employed in existing personal computer are created by utilizing advantages of java and secured numerous users in European market, due to the good quality in contents and extensive service in a commercial network, GSM. Because of the reason, a mobile embedded device used in a GSM network needs a JSR184 which can provide an existing Java-based 3-Dimensional contents without extra conversion processes, but the current version of Java-based 3-Dimensional engine has drawbacks in application to commercial products because it requires more computing power than the mobile embedded device. This paper proposes a binding technique with the advantages of java objects to improve a processing ps않d of 3-Dimensional contents in limited resources of a mobile embedded device. The technique supports a JSR184 standard interface in the upper layer to utilize 3-Dimensional contents using java, employs a different code-conversion language, KNI (Kilo Native Interface), in the middle layer to interface between OpenGL/ES and JSR184, and embodies an OpenGL/ES standard in the lower layer. The validity of the binding technique is demonstrated through a simulator and a FPGA embedding an ARM.

      • 다중 사용자간의 협력 작업을 지원하는 확장현실 응용 제작용 S/W 툴킷 개발 사례

        주예슬(Yesle Joo),윤제형(Jehyeong Yun),서웅(Woong Seo),박상훈(Sanghun Park),임인성(Insung Ih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논문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그리고 혼합현실 분야의 사용자들이 가상의 공유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협력 작업을 할 수 있는 확장현실 응용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킷의 개발 경험을 기술한다. 본 툴킷은 다중 사용자간의 효과적인 협력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설계하였다. 특히, 서로 다른 현실에 특화된 이기종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원활한 참여를 지원하고 다양한 형태의 협력 작업 상황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모듈화를 통하여 개발하였는데, 이를 통해 향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 개발 툴킷의 구조를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제도의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황의관 법제처 2022 법제 Vol.696 No.-

        Drugs have a larg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business and consumers, and when drug-related injury occurs,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reasons for the remedy such as causality between drugs and injuries, intention and negligence of drug manufacturers. For this reason,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has been in effect since 2014,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rug damage remedy, but several limitations have been pointed out. In this regard, this study research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rug-related injury remedy system, focusing on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And through comparative law study regarding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major countries, this study proposes the legislative improvements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and extending the area of drug consumer’s right. Chapter 1 is an introductory section that cont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drug-related injury relief system. The general system that can be used in case of injury caused by drug i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ss compensation based on the strict liability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cluding the operate system, applicable case for relief, coverage and procedures of that system, would be reviewed. Chapter 3 carries out comparative law study to research and analyze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major countries. Focusing on ‘the operate system and organization of relief’, ‘the object and scope of injury relief’, and ‘the method of financing the relief system’,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Japan and Taiwan. And with comparing these countries’ system with Korean system, this study draws legal policy implications. Chapter 4 deals with th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Problem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and comparative study. Th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for extending the medicine consumer rights include 'guaranteing the applicant's right to appeal the decision concerning whether to pay relief benefits or not', 'diversification of the method of payment of relief benefits', 'legalization of core concepts such as proper usage and adverse reaction', etc. As for the financing of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relief contribution are examine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eserve system for relief benefits payment in the future is also suggested to make the financial fundament of the relief system stable. The last chapter 5 conclude with a summary of the study and deals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이종 현실 간의 가상 및 실제 공간 공유 기술을 이용한 확장현실 응용 제작 사례

        안재풍(Jaepung An),나일영(Ilyoung Na),임인성(Insung Ihm)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최근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그리고 혼합현실(MR)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서로 다른 형태의 현실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가상 및 실제 공간에서 실시간 상호작용을 가능케해주는 확장현실(XR) 기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확장현실 기술 기반의 컨텐츠 개발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할 점으로 공유하는 세상에서의 효과적인 협력작업을 통한 몰입감 증대와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제공을 들 수가 있다. 본 논문은 가상 및 실제 물리 공간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공유케 해주는 기술[1]을 기반으로 한 확장현실 응용 제작 사례에 관하여 기술한다. 특히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장소에 존재하는 이종 현실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통합된 공간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면서 협력 작업(체스 두기)을 수행하는 응용을 제작하여, 지역적으로 떨어진 이종의 현실 사용자들을 하나의 세상으로 묶어줄 수 있는 확장현실 기술의 가능성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