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의류관리기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 -서랍형 모듈러 디자인 중심으로-

        최은수,김은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Due to fine dust and the impact of COVID 19,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interior and household appliances in terms of hygiene and health. Focusing on the MZ generation seeking convenience and personal taste, the smart fusion home appliance market is gradually growing. As people's diverse needs arise, domestic companies are showcasing customizable and modular home appliances. Among them, the smart clothing device's sales rate was rapidly increasing. So, we looked at the tren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targeting smart clothing management devices, but there were insufficient cas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pose a new type of clothing management device design guideline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mart clothing management device and deriving points for improvement. Primarily, the growth background of smart clothing devices was studied. After identify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analysis, product composition and functions were investigated. Later 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nd based on this, an in-depth user interview was executed. The completed survey evaluated elements and problems which smart clothing managers obtained. Also, we were able to analyze people's overall information on clothing management, storage and usage behavior, and their perception of smart clothing managers. The design guidelines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literature surveys, survey polls,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Firstly, folding and storing clothes in the form of a drawer increases the storage rate compared to the existing smart clothing manager and allow comfortable management for a long period. Secondly, the product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through external and internal customization and modular design. Thirdly, the stored clothes can be grasped at a glance. Als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to improve usability.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for improvements to the current smart clothing management device and future research. 최근 미세먼지와 Covid 19의 영향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인테리어 가전과 위생 및 건강에 대한 가전 제품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편리함과 개인의 취향을 추구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점차 성장하는 스마트 융합 가전 시장에서 사람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생겨남에 따라 국내 기업에서커스터마이징(Customizing)과 모듈러(Moduler) 가전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 중, 스마트 의류관리기가 큰 인기를 얻으며 판매율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이다. 따라서 현재 출시된 스마트 의류관리기를 대상으로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동향을 살펴보았으나 제품 사례 및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스마트 의류관리기에 대해 이해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새로운 유형의 의류관리기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선 스마트 의류관리기의 성장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한 후 제품 구성 및 기능을 알아보았다. 그 후설문조사를 통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사람들의 전반적인 의류 관리 및 보관 행태와 스마트 의류관리기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행태를 분석하여 스마트 의류관리기에 필요한 요소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문헌조사,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분석을 종합하여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크게 첫째, 서랍 형태로 의류를 개어서 보관하여 기존 스마트의류관리기 보다 의류 보관율을 높이고 장기간 의류를 쾌적하게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제품 외부 및 내부 커스터마이징과 모듈러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 환경과 용도에 따라 제품을 구성할 수있도록 한다. 셋째, 보관된 의류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하고 제품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자동으로제어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인다. 이를 통해 현 스마트 의류관리기에 대한 개선과 차후 디자인 연구에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사용성 평가 비교를 통한 의류 관리기 개선 방향 제안 -엘지 트롬 스타일러를 중심으로-

        샤오신주(Xiao, Xin Zhu),박소희(Park, So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2011년 엘지 트롬 스타일러 이후, 2018년에는 삼성 에어드레서와 코웨이 의류청정기가 출시되었다. 의류 관리기는 드라이클리닝을 해야 하는 의류를 집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높은 성장세를 보인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류 관리기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그 결과에 따라 사용성의 문제를 찾아내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엘지 트롬 스타일러, 삼성 에어드레서, 코웨이 의류청정기로 정하고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첫째, 이론적 배경을 위해 사용성 평가와 의류 관리기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1차 테스트에서는 기본 기능에 따른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총 9가지 태스크를 수행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T5, T6 태스크를 제외하고 좀 더 간결한 글씨 내용, 버튼에 대한 혼동, 빠르고 명확한 피드백, 효율적인 기능의 배치와 조작방식, 잠금 기능의 안정성, 실내 제습 기능에서의 간결한 메시지 전달, 바지 관리 방식에 대한 니즈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제품의 전체적 사용성 조사를 위해 SUS를 바탕으로 조사내용을 구성하여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US 조사를 통해 코웨이 의류청정기, 삼성 에어드레서, 엘지 트롬 스타일러 순으로 제품을 선호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엘지 트롬 스타일러의 인터페이스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에 참여한 대상의 연령이 비슷하여 연구의 한계가 있을 수 있어, 향후에는 좀 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성 평가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fter the LG Trom Styler in 2011, Samsung Airdresser and Coway Clothing Purifier were launched in 2018. Clothing managers are growing at a high level by allowing them to manage clothing that needs. The scope of the study was determined by LG Trom Styler, Samsung Airdresser, and Coway Clothing Purifier, which are the most sold in Korea.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we studied the usability evaluation and the clothing manager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the first test was based on the basic functi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T5,6, which does not cause any errors, a total of 9 tasks are performed, with the exception of the T5,6, which provides more concise text, confusion about the buttons, fast and clear feedback, efficient function placement and operation, stability of the locking function, and room dehumidification. Was able to convey a concise message and need for pants management. Third, the survey was organized based on SUS for the overall usability survey of the product,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to be tri-cleaned at home.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usability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the clothing manager. The SUS survey showed that the company prefers products in order of Coway Garment Purifier, Samsung Airdresser, and LG Styler. Finally, on the basis of this, we propose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of LG Trom Styler. In this study, the ag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may be similar, so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study. In the future, the usability of users targeting more diverse age groups should be evaluated.

      • 의류관리기 건조 유동 기술에 관한 연구

        김재만(Jaeman Kim),이진욱(Jinwook Lee),김도엽(Doyeop Kim),권선덕(Seondeok Gwon),백주현(Juhyun Baek)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9 No.11

        At present, the demand for the clothing manager is increasing because dust enters the home when going out due to fine dust, and thus, some of the household energy takes up the clothing manager. However, the currently available clothing managers are using more electricity than they think and are less efficient than the actual clothes dryers. Therefore, it is comparable to analyze the mechanism by internal flow in the clothing manager and to grasp the heat and materi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dry air during drying, which enables efficient design of the household clothing mana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