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 및 시간관의 이중매개효과

        김나현,김정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 시간관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인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시간관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6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587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 거나 문항이 누락된 질문지, 외상을 경험하지 않았거나 외상 당시의 고통이 보통 미만으로 기록된 질문지 를 제외하고 총 452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연령, 종교 유무, 결혼 여부에 따라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외상 경험 시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으며, 그 외 미 래지향 시간관, 결혼 여부, 현재쾌락 시간관, 종교 유무, 과거긍정 시간관, 현재숙명 시간관의 순서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성인의 침습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의도적 반추와 시간관(과거긍정, 현재쾌락, 미래지향)은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의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시간관의 이중매개효과를 알 아봄으로써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의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time perspec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hoo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27 adults nationwide. Of 587 collected sets of data, after excluding unreliable copies, 452 were chosen to b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raumatic growth by sex, age, religion, marital status. By period of the traumatic experience, no difference was found in posttraumatic growth. Secondly, concerning the relative effect of each variable on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was found have the biggest influence, followed by future time perspective, marital status,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religion, past-positive time perspective and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 Thirdly, deliberate rumination, and past-positive, present-hedonistic, and future time perspective were found to have complete du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a basis for specific interventions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hood by examining dual medi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tim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 KCI등재

        성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반추 하위유형의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김은하,김보라 한국여성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성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 여성 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성차별경험,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우울을 측정하였고, 성차별경험이 침습적 반추로 가는 경로, 성차별경험이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 그리고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가 포함된 가설적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성차별경험이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모형 1,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 모형 2,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합쳐 반추의 매개효과만 포함시킨 경쟁 모형 3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경쟁 모형 1이 최종모형을 채택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성차별경험은 침습적 반추를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차별경험은 높은 침습적 반추를 통해 높은 우울 수준과 관련이 있지만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로 이어지면 결과적으로 낮은 우울 수준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및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조한로,정남운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2

        This study examines how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clarity after a traumatic event affect the transition into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raumatic experience questionnaires:,-the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n Korean,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nd Trait Meta-Mood Scale. These were administered to 500 adult men and women from their 20s to their 60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A tootal of 465 questionnaires, except for omitted materials,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thways to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clarity are all significant. Deliberate rumin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direct pathways of emotional clarity to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s significant. By verifying the indirect effect of the study model, we found tha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rst, intrusive rumination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by going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Second, intrusive rumination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by going through emotional clarity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at order. Third, intrusive rumination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by going through emotional clarity. Thes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First, emotional clarity affects the transition into post-traumatic growth by mediating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Second, emotional clarity reduces intrusive rumination, and affects the transition into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on the practical meaning of counseling with clients who are experiencing a traumatic event. 본 연구는 외상 사건 이후에 나타나는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후 성장으로 이행하는데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20대에서 60대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설문지, 사건관련 반추 척도, 외상후 성장 척도, 특질 상위 기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총 465개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 정서인식명확성에 이르는 경로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반추는 외상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인식명확성이 의도적 반추 및 외상후 성장에 이르는 직접 경로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간접효과 검증 결과 첫째,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를 거쳐 외상후 성장으로 이행하는 경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상후 성장으로 이행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셋째, 침습적 반추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을 거쳐 외상후 성장으로 이행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사이를 매개하여 외상후 성장으로 이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된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침습적 반추를 감소시키고 외상후 성장으로 이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상경험을 한 내담자와의 심리상담 과정에 대한 실제적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관계상실 경험 대학(원)생의 감사 성향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김채빈,박기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meaning in life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Methods 351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d relational loss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Relational loss, Gratitude disposition, Meaning in Lif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6.0 and PROCESS MACRO v4.0. Results First, gratitude disposition, meaning in lif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meaning in life and deliberate rumination had a sim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meaning in life and deliberate rumination had a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Conclusions These finding suggested that higher gratitude disposition increased the level of meaning in life, and that leads to an increase deliberate rumination, promoting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감사 성향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 관계를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가 부분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원)생(N=351)을 대상으로 상실 경험 관련 질문지,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 삶의 의미 척도(MLQ),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4.0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감사 성향, 삶의 의미, 의도적 반추, 역경 후 성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감사 성향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감사 성향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다만, 순차적 이중 매개모형에서 감사 성향이 의도적 반추에 미치는 영향 및 의도적 반추의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관계상실 경험자의 감사 성향이 높을수록 삶의 의미 수준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 의도적 반추가 활성화되어 역경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높은 감사 성향을 가졌다고 해서 의도적 반추가 곧바로 촉진되는 것은 아니며,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추구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의도적 반추가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감사 성향을 통해 증진된 삶의 의미를 통해서만 의도적 반추가 촉진된다는 점에서 삶의 의미가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송현,이영순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35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질문지, 사건관련반추 척도, 특질 상위 기분 척도, 심리적 불편감 노출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학업·과업문제, 적응의 어려움, 사랑하는 사람의 사망 등의 외상사건을 경험하였고, 이를 주관적인 고통으로 지각한 대학생 4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한 기초통계분석과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경쟁모형 3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지 않은 경로를 제거한 후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투적 반추는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의도적 반추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서인식명확성은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적 자기노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의미만들기가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장유빈,장혜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Participants were 293 college students (109 males and 184 females) who completed a set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trauma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event-related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intrusive rumination positively predicted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ly predicted bo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oreover, intrusive rumination negatively predicted meaning making, and meaning making negatively predict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itively predicted post-traumatic growth. Furthermore,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trusive rumination, the higher the deliberate rumination,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meaning making, and meaning mak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침습적 반추가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훈장학회 후원을 받아 인바이트에서 외상경험이 있는 대학생 293명(남 109명, 여 184명)을 대상으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의미만들기,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외상후성장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의도적 반추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외상후성장을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침습적 반추가 의미만들기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의미만들기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을 부적으로, 외상후성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을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즉, 침습적 반추가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도 높았으며, 이는 더 높은 수준의 의미만들기로 이어져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은 부적으로 예측하고 외상후성장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고통제방략의 매개효과

        곽아름,박기환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1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paths of posttraumatic growth(PTG) model in further detail by examining mediation effects of thought control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related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Data were collected from 505 students and adults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They completed the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ERRI),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PTGI), and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TCQ). The mediation effects of though control strategies were examined using a multiple mediator model approach proposed by Hay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istraction strategies and social control strategie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Unlike the other strategies, reappraisal strategy had not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외상 사건 이후에 뒤따르는 침습적 반추가 어떠한 심리적 변인에 의해 의도적 반추로 이행하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사건을 경험한 대학생과 일반 성인 5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외상 경험 질문지,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사고 통제 질문지(TCQ)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순차적 중다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관계에서 사고통제방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고통제 방략은 의도적 반추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사고통제방략의 하위변인을나눠 분석한 결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사이에서 주의분산 방략과 사회적 통제 방략의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과정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연결하는 심리적 매개 과정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수 있다.

      • KCI등재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및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강혜림,정남운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dentified adult attachment, intentional rumination, and stress coping on growth following the event of romantic breakups for adults in their 20s~40s. The path model in which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two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re were participants consisting of 399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40s with experiences of romantic breakups, who completed the offered survey to find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mediating effec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negatively affecte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hile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rowth.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increased with the effect of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whereas intentional rumination decreased with the incidence of increasing attachment avoidance. Third, both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also was noted to have increased as attachment anxiety increased, and passive stress coping was shown to have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attachment avoidance, only the incidence of active stress coping showed a negative effect. Fourth, attachment anxiety partia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reac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partially mediated. In the path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ttachment avoidance fu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fully mediated. Fifth, the group of those participants in their 30s or 40s showed a mo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f intentional rumination and of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ith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those in their 20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n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s to the study. 본 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실연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실연 경험이 있는 20∼40대 미혼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안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부적 영향을 끼치지만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증가하는 반면,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감소되었다. 셋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 모두 증가하는데 그 중에서도 소극적 대처가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회피애착의 경우 적극적 대처만 부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불안애착이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부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완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30∼40대 집단은 20대 집단에 비해 불안애착이 높아질수록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 및 탈중심화와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차경환,하정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is research uses structural modeling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decentering, and personal growth in college students after romantic separations or breakups. In addition, it attempts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decentering and personal growth after separation.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based survey was conducted with 317 college student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rst, intrusive rumina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intentional rumination, decentering, and personal growth after romantic separ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recent breakup experiences, while deliberate rumination and decentering demonstrated meaningful positive effects. Second, deliberate rumination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ersonal growth after romantic separ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recent breakup experiences. Third, intrusive rumina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ering and personal growth after romantic separ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recent breakup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observation of the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ersonal growth after romantic separ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recent breakup experiences, as well as the processes through which students achieve personal growth after the separation experience.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침투적 반추, 탈중심화, 의도적 반추,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침투적 반추 및 탈중심화와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있는 대학생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별경험이 없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16부를 제외한 총 3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사건관련 반추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탈중심화 척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 탈중심화,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침투적 반추는 이별 후 성장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의도적 반추와 탈중심화는 이별 후 성장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침투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간에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탈중심화와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이별 후 성장에 이르게 되는 인지적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별 후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법들 및 제한점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유형, 지각된 사회적지지,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김시형,권은비,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in 728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or stressful events.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event type (traumatic versus life stress) were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PTSD symptoms, and PTG. Moreover,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PTG. Finally, the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on intrusive rumination was found to be greater in the life stress event group than in the traumatic ev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는 트라우마를 경험한 한국의 대학생 728명을 대상으로 불안애착, 회피애착, 지각된 사회적 지지,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PTG)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반추(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고통스러운 사건의 유형이 트라우마 사건인지 생활스트레스 사건인지에 따라 경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침습적 반추를 지나 의도적 반추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포함된 가설적 연구모형 및 침습적 반추에서 의도적 반추를 지나는 경로가 제외된 경쟁모형을 각각 설정했다. 연구결과 첫째,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 침습적 반추의 단일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이중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불안애착이 침습적 반추에 미치는 효과는 생활스트레스 사건 집단이 트라우마 사건 집단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에 미치는 효과는 트라우마 사건 집단이 생활스트레스 사건 집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