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작권법 벌칙규정의 형사불법- 저작권침해죄의 주관적 요건으로서 의거성과 고의에 대한 형법적 판단을 중심으로 -

        박성민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계간 저작권 Vol.31 No.2

        우리 저작권법은 별도의 벌칙규정을 두어 저작권침해행위를 형사처벌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학계는 민사구제에만 관심을 집중하면서, 형사제재에 대해서는 친고죄의 타당성여부에만 관심을 두었다. 저작권실무에서 합의금 장사를 위한 고소권남용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며, 이것이 저작권법의 친고죄 규정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범죄성립 이후 처벌을 위한 소송조건으로서 친고죄의 타당성을 논의하기에 앞서 범죄성립 이전에 저작권침 해행위의 형사불법판단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가 우선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종종 특별형법의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형사제재를 남용하는 폐단이 있는데, 저작권법상의 벌칙규정도 그런 문제는 없는지 벌칙규정에 대한 불법성 검토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저작인격권침해죄와 저작재산권침해죄의 성격을 규명하고, 개별저작권침해 행위의 불법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저작권침해죄는 거동범이면서 위험범인데, 특별형법의 구성요건은 종종 위험범화함으로써 고의의 인식의 정도를 완화하여 가벌성의 범위를 확대하 려는 경향이 있다. 위험범인 저작권침해죄의 고의판단 역시 고의의 의지적 요소를 부인하고 지적요소의 인식완화를 통한 가벌성 확대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작권법은 저작권침해행위판단과 관련하여 의거성의 선제적 판단을 통해 가벌성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다만 현재 저작권실무에서 나타나고 있는 의거성요건의 입증완화경향은 애써 살린 형벌의 겸억주의를 몰각할 우려가 있기에 보다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저작권법은 그 입법 과정에서 다수의 국제협약과 통상협정(특히 한미 FTA)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국가 간에 법체계나 해석이 다른 것은 나라마다 분명한 역사 적・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조약을 통해 국가 간에 동일한 수준의 규범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더라도, 그러한 입법이 오랫동안 형성된 고유의 역사・문화적 차이를 무시한 채로 진행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형사법체계는 무엇보다도 수범자의 신뢰에 근거하는 법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법역인만큼, 기존의 형사법체계와 부합하지 않는 해석론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e copyright law of South Korea include criminal punishments for acts of copyright infringement by stipulating separate penal provisions. However, interest in academic circles has been concentrated mostly on civil remedies; interest in terms of criminal sanctions has been typically limited to only the validity of crimes subject to a victim’s complaint. The abuse of the right to file a complaint for the purpose of seeking settlements in copyright practice is an age-old issue and it is common knowledge that such abuse stems from regulations in copyright law that require a victim’s complaint for a crime to be committed. However, prior to discussing the validity of crimes subject to a victim’s complaint, which is a condition of legal action for punish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there is a need to first review whether the judgment of the criminal illegality of acts of copyright infringement is appropriately being made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It is often the case that criminal sanctions are abused to achieve the legislative objectives of special criminal laws; in light of this, there is a need to review whether such an issue exists within the penal provisions of copyright law by reviewing the criminal illegality of the penal provision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legal nature of infringements to moral rights and economic rights and further validate the illegality of individual acts of copyright infringement. criminal copyright infringement are conduct crimes and endangerment crimes, however, the requirements of the Special Criminal Law often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endangerment to mitigate the degree of recognized willfulness to expand the scope of punishability. Judgment of willfulness for criminal copyright infringement – an endangerment crime, also denies the volitional element of willfulness and mitigates recognition of intellectual elements to form a tendency to expand the scope of punishability. Nevertheless, copyright laws leave open the possibility of limiting the scope of punishability, through anticipatory judgment of derivation, with respect to the judging of acts of copyright infringement. Doing so, however, comes with the caveat that the tendency to lower the standard of proof regarding the derivation as found in current copyright practice may disregard the principle of last resort of criminal punishment. It is well known that during the process of its legislation, the copyright laws of South Korea have been legislated in a manner of embodying the provisions of a number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rade agreements (especially the KORUS FTA). However, differences in legal interpretations or systems between countries exist due to distinct histor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countries. Despit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ystem of norms at similar levels among countries through treaties, legislation should not proceed in a manner of neglecting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over long periods of time.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criminal legal system is a legal domain that demands legal stability based on the trust of those who have committed a crime, it would be wise to carefully approach interpretati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existing criminal legal systems.

      • KCI등재

        프랑스법상 저작권 침해판단 기준에 관한 고찰

        박수곤,김태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경희법학 Vol.50 No.2

        A judgement of right’s infringement is the main point of each single law, and it is one of the crux of copyright infringement. Especially, the aspect of copyright infringement manifest in various forms, as a characteristic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closely related and affected by a technological advancement. Standards for judgement are to set up a fixed criteria, however, the issue arises when unexpected spectrums are subjected in a case of copyright disputes that deals with creations displays thoughts and sentiments. To date, without substantive enactment, the copyright law of the Korea merely deals with a issue subsequent to conclusion of copyright violation, in reality, judgement of infringement depend on court judgement.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ith accumulation of pertinent precedents, many judgement criteria has been set forth and this influences korean copyright cases and theories on the matter as well. A country's judgement of infringement varies in standards and guideline titles. Even with an equal term used, a title may mean different category. This matter can be compared by supplementing a meaning through individually analysing a precedent. This paper explored a nation known for the advanc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ance, in order to expand the meaning of judgement of infringement. First of all, categorized a infringement case in detail focusing on French precedent. And then delved into considerations for criteria of infringement judgement. The value of this article is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 copyright infringement judgement criteria as the base research for the field by exploring French copyright infringement precedent and legal principles. 개별법의 영역에 있어서 권리의 침해를 판단하는 것은 핵심으로 다루어지는 일이며, 이는 저작권 분야에 있어서도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이다. 특히, 저작권 침해의 양상은 기술 발전에 밀접한 영향을 받는 지식재산권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문제는 판단의 기준이라는 것은 일정한 틀을 정립하는 것인데, 침해의 판단은 이를 적용하는 저작권 분쟁 사안마다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창작물의 예상할 수 없는 스펙트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 저작권법은 저작권 침해의 성립 이후를 다루고 있을 뿐, 침해 판단에 있어서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법원의 판단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관련 판례의 축적이 상당하였고, 그 결과 여러 판단기준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각국의 침해 판단은 나라마다 기준과 지침의 명칭이 다르고, 동일한 표현이라고 하더라도 그 표현이 포함하는 범주는 다를 수 있다. 이는 개개의 판례분석을 통해 의미를 보충하여 비교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침해 판단의 시사점을 넓히기 위하여 저작권의 강국으로 평가되는 프랑스의 판례와 법리를 살펴보았다. 우선, 의거성과 유사성을 들어 침해를 판단하고 있는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저작권 침해행위를 분류하였으며, 침해행위에 대한 판단기준에 있어서의 고려요소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침해판단의 기준을 체계화하고자 주관적 요건과 객관적 요건으로 나누는 우리의 경우와 달리, 요건의 구분없이 의거성과 유사성 아래에서 침해를 판단하는 프랑스 법의 태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음악저작물에 관한 저작권침해의 판단기준

        김준성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文集 Vol.43 No.1

        Today music is like an official language, which can be shared by the whole global community. In the digital era, music is a form of language that spreads all over the earth at the speed of light, and has a powerful effect on the economy and popular culture of a country. In particular, works of music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have become a profound source of economic income. Accordingly, plagiarism is a problem which infringes upon morality. Such plagiarism causes legal disputes between involved par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clearly the criteria for copyright infringement as follows, in order to mitigate and prevent reckless legal disputes of copyrighted works of music in the future by analyzing specific cases. Firstly, criteria for copyright infringemen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moral principles of sharing, for fair use of music and cultural development. Secondly, the plaintiff’s creativity should be recognized prior to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of the plaintiff’s music and that of the defendant. Thirdly, there should be a basis of facts or principles when the problematic parts of music ar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ly, the practical tool to determine plagiarism of copyrighted music, is whether or not there is a substantive similarity. Therefore, melody and its components (rhythm and harmony) should be compared and analyzed with overall flow and tone row of each contrasting area. Moreover, musical composition and proportion of melody combination should be synthetically examined. Fifthly, it is reasonable to make a final determination of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basis of the moral principles of sharing, by applying a division between creative ideas and their musical expression. In addition, we will propose a measure to legislate and utilize the collaboration test process in which professional musicians and audiences jointly determine plagiarism in advance. 이제 음악은 지구촌의 공용어이다. 디지털혁명시대에 음악은 지구 곳곳에 광속으로 전파되는 언어의 또 다른 형태로서 국가 간에 미치는 경제적 가치와 그 대중문화의 파급효과는 대단하다. 특히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음악저작물은 환산할 수 없을 정도의 막대한 경제적 수입원이 되고 있어, 그에 따라 도덕적 차원을 벗어난 표절문제가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표절문제는 종국적으로 당사자 간에 법률분쟁으로 격화되는 양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음악저작물의 법률분쟁을 완화시키고, 남소(濫訴)를 방지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판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저작권침해의 판단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저작물은 공정한 이용과 문화발전을 고려하여야 하며, 도덕적 공유의 원칙에 입각하여 저작권침해의 판단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원고 대비 부분과 피고 대비 부분 간에 비교분석을 하기에 앞서서 우선적으로 원고 음악저작물의 창작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셋째, 원고 대비 부분과 피고 대비 부분을 비교분석할 때 양자 간에 의거성이 있어야 한다. 넷째, 음악저작물에 관하여 표절여부를 판단하는 실질적인 도구는 실질적 유사성의 여부이다. 그래서 가락을 중심으로 리듬, 화성 등을 전체적 흐름과 각 대비 부분에 대한 음렬을 비교하여 대조하되, 음악적 구성과 음률의 배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다섯째, 도덕적 공유의 원칙에 입각하여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을 적용하여 저작권침해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법원의 판결에 앞서서 음악전문가와 청중이 공동으로 표절여부를 판단하는 협업테스트(Collaboration Test) 과정을 입법하여 법제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저작권 침해판단에서 “실질적 유사성” 개념의 재구성- 유사성의 판단기준에 관한 대륙법계 국가와의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

        김경숙 한국저작권위원회 2015 계간 저작권 Vol.28 No.3

        저작권 침해의 성립요건에 관한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견해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는 자가 자신의 작품에 대하여 유효한 저작권을 가지고 있을 것(원고 작품의 저작물성), 둘째, 원고로부터 저작권을 침해하였다고 주장받는 자(피고)의 작품이 원고 저작물에 의거하여 작성되었을 것(의거성), 셋째, 문제가 되는 원고 저작물의 표현과 피고 작품의 표현 사이에 동일성 내지 실질적 유사성이 존재할 것(실질적 유사성), 이상의 세 가지이다. 상기 세 가지 요건 중에서 ‘실질적 유사성’은 저작권 침해의 성립요건 내지 저작권 침해판단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건으로서, 실질적 유사성 여부에 따라 저작권 침해 여부가 가려지게 된다. ‘실질적 유사성(substantial similarity)’은 ‘유사성(similarity)’에 ‘실질적(substantial)’이라는 한정이 붙은 용어로 ‘실질적으로’ 유사하여야 침해를 구성하는 유사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대단히 추상적이고 애매한 개념이다. ‘실질적 유사성’은 미국 판례에서 정립된 법리로서 저작물 유형에 따라 실질적 유사성 판단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지침과 방법들이 존재하고, 그 방법들 또한 미국 내 지역순회구마다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유사성’ 학설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소개되었고, 우리 판례에도 영향을 미쳐왔다. 이에 본고는 실질적 유사성 중 ‘실질성’이 의미하는 바가 추상적이라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법이 대륙법계임을 감안하여, 대륙법계 국가들의 침해판단 기준들을 비교법적으로 검토한다. 본고에서는 실질적 유사성에서의 ‘실질성’을 분석하고, 유사성에 대한 기준으로서 대륙법계의 ‘본질적 특징의 직접 감득성’과 독일과 프랑스에서 침해를 부정하는 법리로 이용되고 있는 ‘자유이용이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며, 저작권 침해판단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음악 표절에 관한 실무적 쟁점: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임우섭 ( Woo Sup Lim ),김진욱 ( Jin Wook Kim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2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6 No.1

        Lawsuits involving claims of music plagiarism have proliferated in recent years. Although there were many cases on plagiarism or substantial similarity in musical works recently, only several judicial decisions in South Korea were reported. In order to prove music plagiarism, a plaintiff must demonstrate: (1) the originality of his or her complaining work, (2) access of defendant to complaining work, (3) substantive similarity between two works. In Korea, there are some cases dealing with music plagiarism. And in generally, the point of view of Korean Court is resonable. But there are some point at issue. First of all, it is not clear where burden of proof in originality and access is on. As a general rule, a plaintiff must have burden of proof in originality and access, but in many cases, it is duty of defendant. Secondly, it is hard for defendant to prove independent creation. Finally, when estimating damage of plaintiff, Korean court does not considerate the importance of plagiarized part.

      • KCI등재후보

        역사적 소재를 이용한 드라마의 저작권침해판단기준에 관한 소고-중국최고인민법원(2013)民申字第1049号판결을 중심으로-

        황선영 중국지역학회 2018 중국지역연구 Vol.5 No.2

        Nationally televised dramas or films are created using historical materials. In general, novels, dramas, and scenarios with historical themes receive much public attention, adding creative contents of the author based on historical facts. Even if the same material is used, it can be a completely different work depending on how the writer expresses his character, background, and plot. However, using the same historical material, some movies, dramas and plays have similar content. As result, more and more related producers are suing for allegedly plagiarized their ideas. It is true that when it comes to historical events, copyright holders can create only a relatively small area. However, as the method of solving individual historical events is very different in China, it is very reasonable that only creative elements are used to judge the substantial similarity.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he recent copyright dispute in China is part of the substantial similarity. Amid an increasing number of dramas and novels that have been exported to China thanks to the Korean Wave, it is deemed necessary to study related cases and trends of china in the future. 국내에 방영되는 드라마⋅영화 중에는 역사적 소재를 이용하여 창작되는 것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역사적 소재를 이용한 소설, 드라마, 시나리오의 경우널리 알려진 사실을 바탕으로 작가의 창작적 내용들이 더해지면서 대중들에게많은 관심을 받는다.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였다 하더라도 작가의 인물 설정, 배경, 줄거리를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저작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역사적 소재를 이용하다 보니 일부 영화, 드라마, 연극의 내용이비슷한 경우가 등장하게 되고 급기야 관련자들 사이에서 서로 자신의 아이디어들을 표절했다고 주장하여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된다.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는 경우 저작권자가 창작할 수 있는 영역이 비교적좁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도 개별 역사적 사건을 풀어나가는 방식은매우 다름에 따라 창작적인 부분만을 뽑아 실질적 유사성을 판단하는 방식을이용하여 저작권 침해를 판단한다는 점은 매우 타당한 방식이라 하겠다. 최근 중국과의 저작권 분쟁에서 가장 많은 쟁점으로 등장하는 것 중 하나가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문제다. 한류 열풍에 힘입어 중국에 진출하는 드라마, 소설, 음악 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저작권 침해 판단 기준에 관한 판례및 동향에 관한 연구가 지속해서 필요하다.

      • KCI등재

        대중음악 저작물 표절의 의미와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김대식 ( Kim Dae-sik ),김미애 ( Kim Mi-a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음악저작물 보호를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현대 음악 저작물이라도 고전음악의 확대 재생산하는 경우도 많고 그 동안의 논의를 통해 앞으로의 관심방향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악저작물에 대한 표절 논란은 대중음악 시장에서 주요 관심사항으로 특히 인기 있는 가수나 엔터테인먼트회사, 작곡가라면 표절 시비에 자유롭지 못할 만큼 대중들의 관심도 뜨겁다. 현재 표절논란에 대해 객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두 저작물 간에 실질적으로 표현이 유사한 경우는 물론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한 경우까지 포함하여 표절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음악 저작물 표절에 대한 판단은 침해를 주장하는 자가 법원에 ‘저작권침해소송’이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통하여 판단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소송절차는 표절여부를 가리기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과 판단의 문제가 걸려있는 만큼 결과의 예측도 쉽지 않다. 최종 판결이 내려지기까지 왕성한 활동을 해야 할 가수나 연주자의 입장에서는 표절작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어서 이미지 실추와 활동의 제약도 가져오는 피해를 입기도 한다. 그래서 음악저작물에 대한 표절에 대한 부분은 좀 더 구체적으로 표절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논문표절예방 시스템처럼 음악저작물도 저작자가곡을 발표하기 전에 음악저작물의 원저작물과 일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starting from when the musical literary works that protec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Because many cases of expanded reproduction of musical works, even modern classical music is because of the debate over the forecast for the future direction of interest. Plagiarism controversy about the musical works to the public interest is hot issue, if this is not a particularly popular singer or free entertainment companies, a major composer in popular music market interest plagiarism fertilization. It is with the objective criteria for the current plagiarism controversy, but if this is similar between the two generally substantially represented asset and determining whether plagiarism, up to and including the case is of course similar to the overall feel. Judgments about musical work insistence that self-plagiarism is an infringement to the judge through 'copyright infringement' or 'claim for damages' to the court. However, the proceedings are also not easy to predict as a result of the issue at stake is whether or not the time to hide plagiarism and judgment. In a final judgment in a position to do vigorous activities for singers and musicians to get put down in a tag called 'Plagiarized work' also wear damage also bring discredit the image of the pharmaceutical activity. So, part of the plagiarism of the musical work is consistent with the more specific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plagiarism, and ultimately, original work of musical works even before the announcement of an author of songs copyrighted work as a thesis plagiarism prevention system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prediction the degree.

      • KCI등재

        저작권과 디자인권의 교차영역에 있는 창작물의 보호 - 실제 건축물을 축소한 입체 퍼즐 모형에 관한 대법원 2018. 5. 15. 2016다227625 판결 사건을 중심으로 -

        양대승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계간 저작권 Vol.31 No.3

        As a stand-alone hobby, building models are probably most popular among enthusiasts of construction toys such as Lego. Famous landmarks such as the Empire State Building, Big Ben and the White House are common subjects of toymakers. Standard scales have not emerged in this hobby. Model buildings are commonly made from plastic, wooden and foam boards or paper. Some models are manufactured like 3D puzzle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supreme court ruling(2016Da227625 Decided May 15, 2018) dealing with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on on a miniature model of an existing architectural structure such as Sungnyemun and Gwanghwamun.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the Plaintiff’s Gwanghwamun model was not an exact miniature replica of the actual Gwanghwamun. Rather, it deemed that the model was created by making not small but relatively noticeable changes in the rooftop/wall ratio, roof height, slope of the eaves, roof color, structural simplification of windows and under the eaves of the second floor tower, gatekeeper size, shape of the inner gate, etc. Based on the reasoning that the original expression manifest in the Plaintiff’s Gwanghwamun model, as seen earlier, also appeared in the Defendants’ Sungnyemun Gate model,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o the effect that the two models shared a substantial similarity. However, if the same creative is filed as a desig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can be registered as a design and protected by design rights. In particular, designs that can easily be crea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n the basis of a shape, pattern, color, or combination there of widely known in the Republic of Korea or in a foreign country can not be registered, and even if registered, the defendant may reject the claim of infringement by the design right holder with Free-to-work design defense. The overlapping protection of different laws on the same subject does not directly lead to a conflict of rights, but there is a risk that it can be exploited as a means to extend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y once again restricting the public domain. 독립형 취미로서 건축물 모형은 Lego와 같은 조립식 완구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빅벤, 백악관과 같은 유명한 랜드마크는 완구제조회사들의 공통된 주제이다. 건축물 모형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목재나 폼보드 또는 종이로 만든다. 그리고 일부 모형은 3차원 퍼즐처럼 제작된다. 본고에서는 숭례문이나 광화문과 같은 실제의 건축물을 축소한 모형에 관한 저작권 침해 사건을 다룬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았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2018. 5. 15. 2016다227625판결)은 원고의 광화문 모형은 실제의 광화문을 축소하여 모형의 형태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실제의 광화문을 그대로 축소한 것이 아니라, 지붕의 성벽에 대한 비율, 높이에 대한 강조, 지붕의 이단 구조, 처마의 경사도, 지붕의 색깔, 2층 누각 창문 및 처마 밑의 구조물의 단순화, 문지기의 크기, 중문의 모양 등 여러 부분에 걸쳐 사소한 정도를 넘어서는 수준의 변형을 가한 것이어서 창작성을 인정할 수 있고, 이러한 원고의 광화문 모형에서 나타나는 창작적인 표현이 피고들의 숭례문 모형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원고의 광화문 모형과 피고들의 숭례문 모형 사이에는 실질적인 유사성도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만일 동일한 창작물이 디자인으로 출원되었다면 디자인으로 등록되어 디자인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특히 주지 형상 등을 기초로 하여 당 업자가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디자인의 경우에는 등록받을 수 없고, 설령 등록되었다고 하더라도, 피고는 자유실시디자인의 항변을 통해 등록디자인권자의 침해주장을 배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동일한 대상에 대한 상이한 법률의 중첩적 보호 자체가 권리의 충돌을 직접적으로 야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공유의 영역을 재차 제한함으로써 지식재산권 보호기간 연장을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