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음원의 흥행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소영,임성준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1 산업혁신연구 Vol.37 No.1

        Grounded in signaling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empirical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digital Korean traditional music A total of 246 songs that entered the top 100 charts at least onc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36 months) were set as a sample using the monthly Korean traditional music chart provided by Melon, the largest music distribution company in Korea.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factors as the signals that influence consumers' choice of listening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vestigated their effect on a song's chart performance; artist's award winning experience, song's association with TV content, collaborations between artists, artist's star power, and song's initial popularity. Results showed that song's association with TV content and artist's star pow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rt succ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other hand, artist's award history,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d song's initial popular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rt succ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ed from a business perspective, an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activate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는 신호이론을 기반으로 디지털 국악음원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최대의 음원유통사인 멜론이 제공하는 국악월간차트를 활용하여 2017년 1월~2019년 12월(36개월)의 기간 동안 차트 100위 내에 한번이라도 진입한 총 246개의 음원을 표본으로 설정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국악음원 청취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아티스트의 수상경력, 국악음원의 방송콘텐츠 연계 여부, 국악음원의 아티스트 간 콜라보레이션 제작 여부, 아티스트의 스타파워, 국악음원의 차트진입 첫 주 상위권 랭크 여부를 설정하고 이들이 해당 국악음원의 차트 상주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국악음원의 방송콘텐츠 연계 여부와 아티스트의 스타파워는 국악음원의 차트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티스트의 수상경력, 국악음원의 아티스트 간 콜라보레이션 제작 여부, 국악음원의 차트진입 첫 주 상위권 랭크 여부는 국악음원의 차트흥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경영학적 관점으로 수행된 국악음원의 흥행요인에 관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로서 후속연구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스테레오 음악 신호에서의 보컬 음원 분리를 위한 통합 알고리즘

        김민제(Minje Kim),장인선(Inseon Jang),강경옥(Kyeongok Ka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7 No.5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형식의 음악 신호에서 가창 신호와 같은 음원을 분리하기 위한 통합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스테레오 형식의 음악 신호에서 특정한 악기 음원을 분리하는 문제는, 획득한 음악 신호가 다양한 악기들이 동시에 연주되는 혼합신호라는 점을 고려하고, 각각의 악기를 음원이라고 가정할 때, 획득한 혼합 신호의 개수가 음원의 개수보다 적은 비결정(underdetermined) 환경에서의 음원 분리 문제가 된다. 비결정 환경에서는 신호가 혼합되는 공간에 대한 가정을 기반하는 전통적 음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기 힘들며, 목표 음원의 특정한 특성을 활용하여 추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통합 알고리즘은 이종의 특성을 활용하는 음악 음원 분리 알고리즘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구조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창 신호와 같은 특정한 음원 추출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던 스테레오 채널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과, 모노 혼합 신호에서 두드러지는 음원의 음정을 이용하여 음원을 추출하는 두 가지 방식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각각의 음악 음원 분리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약점을 해소함으로써, 목표 음원의 복원 신호가 통합 과정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으며, 그것을 실제 상업 음악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A unified method for separating musical sources, singing voice for example, from stereophonic mixtures is provided. We usually have two observed signals in stereophonic music contents, where more than two instruments are played together. If we regard each instrument as source, this problem becomes an underdetermined source separation problem and cannot be solved by conventional methods, which infers the spatial environment of the downmixing process happens. Instead, source-specific information has been exploited to recover a particular instrumental source. This paper provides a unifying structure consists of heterogenious ad-hoc separate algorithms, which are designed for separating vocal sources using stereophonic channel information and dominant pitch information of the sources, respectively. Experiments on real world music contents show that the proposed unification can neutralize the drawbacks of the two ad-hoc separation algorithms and finally enhance the separation results.

      • KCI등재

        혐오음원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혐오표현 음원과 혐오가수 음원 비교

        김서영(Seoyoung Kim),정윤혁(Yoonhyuk Jung) 한국정보사회학회 202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2 No.3

        음악 콘텐츠의 디지털화는 다양한 음악을 손쉽게 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최근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혐오음원’에 대한 접근 역시 용이하게 하고 있다. 혐오음원은 ‘혐오표현 음원’과 ‘혐오가수 음원’으로 구분되며 특정 집단에 대해 편견과 차별을 조장하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혐오표현 음원’과 ‘혐오가수 음원’ 사이의 사용자의 인식의 비교를 통해 혐오음원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국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자 2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응답자는 혐오표현 음원을 혐오가수 음원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성별과 연령, 자기효능감에 따른 혐오음원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혐오음원 연구에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자 연구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플랫폼 사업자에게 혐오음원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With the rise of digital music, ‘hate music’ containing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specific groups are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Hate music is used to spread intolerance, bias, prejudice, and disdain for particular groups held in low esteem by certain segments of society. Hate music is generally divided into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Hate content refers to lyrics that explicitly promote or defend hate or violence against a specific group or individual based on characteristics such as race, religion, gender identity, gender, ethnicity, nationality, and region. Hateful conducts, or delinquent music artists, indicate artists who commit hate crimes such as murder, strangulation, sexual offenses,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fraud Hate music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promoting distort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specific groups, targeting the vulnerable social minority group. However, there are few academic studies that address this issue, despite the magnitude of hate music. Therefore,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its impact, particularly users’ responses to hate mus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 of hate music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It is assumed that users of music streaming services, who directly consume hate music, may suffer mental and physical pain as the primary victims. In addition, due to the increasing spread of smart devices and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more users are likely to become potential victims in that the accessibility to music has been improv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ate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who can be potential victims. Since previous studies on online hate have pointed out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ate content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and self-efficac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users of domestic music streaming platforms for two weeks. A total of 225 people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esting the perception of hate music by comparing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ate content and delinquent singers, and users perceived hate content more negatively than hateful conducts.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ate music according to gender, age,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only female users had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ate contents and hateful conducts, unlike male users. It was recognized that female users were more affected by hate contents than hateful conducts. When it comes to age, 10s were less sensitive to hate contents than those in their 20s and over 30s, and 10s were also less conscious to hateful conducts than those in their 20s. Lastly, only the group that perceived a low degree of self-efficacy showed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They recognized the harm of hate content was more severe than hateful conducts.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domain of hate music but also provides guidelines for managing hate music to music platform operators.

      • 디지털 음원의 재판매와 최초판매원칙의 적용 : ReDigi 사건을 중심으로

        김혜성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3 Ewha Law Review Vol.3 No.2

        In the past, listeners used media like CDs in which a sound source would be fixe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igital music files became popular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Against this backdrop, in many countries it has been discussed whether First Sale Doctrine can be applied over the trade of digital works.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established whether the Doctrine could be applied to the resale of digital music files. In March 2013, the U.S. District Court for the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ruled that the First Sale Doctrine cannot be applied to the resale of digital music files on ReDigi. Although there are no services like ReDigi in Korea, it is possible that we will encounter similar cases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music file resale services. Considering that the Doctrine's underlying aim is to ban double compensation, prohibiting the resale of digital music file is problematic. Therefore, the enactment of a new law is needed. 과거에는 LP 음반, 카세트 테이프, CD 등 음원이 고정되어 있는 매체를 기계적으로 재생하여 음악을 감상하였으나, 20세기 후반 이후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MP3와 같은 디지털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디지털 저작물의 거래와 관련하여 최초판매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있기는 하였으나, 디지털 음원 파일의 재판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던 중 지난 3월, 미국 뉴욕 남부지법은 ReDigi 사이트를 통한 디지털 음원 파일의 재판매에는 최초 판매원칙이 적용될 수 없어서 디지털 음원 파일의 재판매에 의하여 저작권자의 배포권과 복제권이 침해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미국 법원의 판단은 저작권법 제109조(A)의 문언에 충실한 해석이고, 법리적으로는 타당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 부합하는 판단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 아직 국내에는 디지털 음원 파일 재판매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지만 유료 음원 판매 사이트를 통한 합법적 음원 파일 구입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음원 파일의 재판매 사이트가 등장해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크다. 만약 국내에서 ReDigi 사건과 같이 디지털 음원 파일 재판매 사건이 발생한다면 우리 법원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웹사이트를 통한 디지털 음원의 재판매에는 최초판매원칙이 적용될 수 없어 그러한 재판매는 저작권자의 배포권을 침해한다는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최초판매원칙이 도입된 근거는 이중보상금지에 있는 것임을 고려하면, 원구매자의 디지털 음원 재판매를 무조건 금지하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 여기에 새로운 입법론의 필요성이 있다. 디지털화된 저작물 유통을 반영하여, ‘1항의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이 디지털화된 것인 경우, 원구매자가 합법적으로 구입한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을 사본을 남기지 않고 재판매하는 경우에도 1항 단서의 적용이 있다’는 취지의 2항을 신설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음원산업의 흥행요인

        추승엽(Seungyoup Choo),현창민(Chang Min Hyun),임성준(Seong-Joon Limb)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 대중음악 산업의 디지털 음원 제작에 있어 제작시스템, 제작주체의 역량 및 초기 성공이 음원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대중음악 산업은 2000년대 이후 전통적인 음반 시장이 축소되는 반면 디지털 음원 시장이 급성장하는 급격한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음반 산업에서 검증되었던 성과 결정요인 및 대중음악 소비 메커니즘이 변화된 디지털 음원 중심의 산업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유의한지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의 대중음악 공인 차트인 가온 디지털 종합차트에 집계된 2012년 12월에서 2013년 12월 차트 주간 순위 100위에 진입된 1,428곡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원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기존 국내 음반 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임성준과 윤문수(2008), 임성준과 백운선(2004)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시스템의 차이, 제작사의 역량, 유통사의 역량, 스타파워, 차트진입 첫 주의 상위권 여부, 신인가수 여부를 도출하였다. 음원 흥행은 ‘음원의 차트상주기간’과 ‘첫 주 음원차트 진입순위’로서 각각 전체흥행성과와 초기 흥행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제작시스템, 제작사 및 유통사의 역량이 흥행요인으로 분석되었던 국내 음반 산업 대상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작시스템, 제작사의 역량, 유통사의 역량은 디지털 음원의 전체 흥행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입 첫 주 상위권 여부와 스타파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원의 초기 성공여부가 편승효과(Bandwagon Effect)에 기인하여 디지털 음원 전체 흥행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검증된 결과이며, 이러한 영향 정도는 기성가수 및 신인가수에 따라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차트진입 첫 주 순위로 측정된 디지털 음원의 초기 흥행성과에 있어서는 제작시스템과 유통사의 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효과는 음원의 차트 상주기간으로 측정된 전체 흥행성과로는 연결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디지털 음원 중심의 음악산업 환경에서는 그동안 음반산업에서 성공방식으로 가정되고 시도되고 있는 제작시스템과 메이저 제작사 및 유통사의 영향력은 예상과는 달리 흥행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디지털 음원 중심의 산업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음원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새로운 접근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Previous research found that incidence of chart success measured by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of physical music records was affected by the record production system, competences of record companies, and initial popularity.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records produced by the market based system on average outlasts the records produced by the vertically integrated system in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Such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network theory perspective which suggests that as the competition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has become intense the market based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 way for record companies to effectively maintain flexibility and manage risk by accessing to a variety of musicians and creative productions without costly long-term commit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cords produced by either major productions or major record companies on average outlasts the records produced by non-major productions or non-major record companies in the length of chart survival. Such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ource based view of the firm which suggests that major productions and major record companies that possess superior resources should outperform rivals with lesser resources. Confirming bandwagon effect, it was found that initial popularity w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chart survival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However, digital music quickly replaces traditional physical music record in Korea resulting very different business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ditional factors of chart success in physical music equally affect chart success in digital music.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dynamics of chart success in Korean digital music industry over the period of 2012 to 2013 using weekly Korean digital music chart listing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unlike physical music traditional factors of chart success, such as the production system of market based or vertical integration, and the power of major production and distribute companies, were not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digital music. Only the initial popularity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igital music as well as physical music. Such results imply that we need a deeper understanding of distinct environment of digital music industry in order to cultivate effective strategies.

      • KCI등재

        온라인 음악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음원 인식 시스템 개발

        성보경(Bo-Kyung Sung),고일주(Il-Ju K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11

        최근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자원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기반 음악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취향 분석, 음원 추천 및 음악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자 음원인식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태그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음원 인식 후 음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태그정보의 변조 및 삭제 등의 취약점으로 인식 오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보완 방안으로 음악 자체를 이용하는 내용기반 사용자 음원 인식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파형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초로 온라인상에서 사용자 음원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사용자 음원의 내용기반 인식을 위해 구조에 적합한 음원의 전처리 후 특징 추출을 하였다. 추출된 특징은 음악 서버에 특징 형태로 저장된 음원과의 매칭 과정을 통한 인식을 진행하여 태그데이터에 독립적으로 사용자 음원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사용자 음원 인식 방법의 검증을 위해 600개의 음악을 무작위 선정하고, 각각을 5가지 음질로 변화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3000개의 실험음원을 30만곡을 포함하는 음악 서버를 기준으로 인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균 인식율은 85%를 나타내었다. 제안하는 내용기반 음원 인식을 통하여 태그기반 음원 인식의 취약점에 대한 극복을 하였으며, 음원 인식의 성능은 실제 온라인 음악 서비스에 적용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Recently, recognizing user resource for personalized service has been needed in digital content service fields. Especially, to analyze user taste, recommend music and service music related information need recognition of user music file in case of online music service. Music related information service is offered through recognizing user music based on tag information. Recognition error has grown by weak points like changing and removing of tag information. Techniques of content based user music recognition with music signal itself are researched for solving upper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user music recognition on the internet by extracted feature from music signal. Features are extracted after suitable preprocessing for structure of content based user music recognition. Recognizing on music server consist of feature form are progressed with extracted feature. Through this, user music can be recognized independently of tag data. 600 music was collected and converted to each 5 music qualities for proving of proposed recognition. Converted 3000 experiment music on this method is used for recognition experiment on music server including 300,000 music. Average of recognition ratio was 85%. Weak points of tag based music recognition were overcome through proposed content based music recognition. Recognition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show a possibility that can be adapt to online music service in practice.

      • KCI등재

        러시아 음악 산업 현황과 과제 - 디지털 음원을 중심으로 -

        권기배 ( Kwon Ki-bae ),김세일 ( Kim Se-il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최근 디지털 음원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는 러시아 음악시장의 현재적 상황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세계 10위권의 시장 규모를 가진 러시아 음악 산업은, 스트리밍 접속을 통한 디지털 음원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세계 음악 산업의 최근 흐름을 따르고 있다. 러시아의 음악 산업에서 디지털 음원의 성장 배경으로는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 증가, 인터넷 발전으로 인하여 모바일을 이용한 디지털 음원 접속 회수의 증가, 정부의 저작권법 개정 등이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다. 특히 스트리밍 음원 매출은 2020년에 디지털 음원 전체 매출의 85%이상 점유율을 예상할 만큼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로 인한 러시아 국민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즉 별도의 오디오 기기나 디지털 플레이어가 없어도 누구나 쉽게 디지털 음원에 접근하고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연결/접속’의 편리함과 4차 산업혁명의 ‘빅데이터’ 해석을 통한 음원소비자의 성향 분석 등이 이러한 변화를 전위에서 이끌고 있다. 또한 러시아 정부의 ‘저작권법’ 개정과 더불어 불법 복제 음원물의 유통 근절에 대한 강력한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것도 디지털 음원의 가파른 상승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음악은 문화적 자산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면서, 디지털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을 견인하는 효자 콘텐츠이다. 현재 러시아 음악 산업은 과거와 비교했을 때 안정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으며, 여기에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개선안(저작권 보호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의식 강화, 디지털 음원 산업에 빅데이터 활용, 디지털 음원 유통자들의 독과점 개선, 적정한 음원 수익 분배율 제시, 러시아 음악 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이 효과적이고 생산적으로 잘 작동되면 세계 음악시장에서 러시아의 역할과 입지가 확장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 이럴 경우 러시아 음악 산업은 디지털 음원 시대에 단순히 적응하는 단계를 지나 4차 산업혁명의 수혜업종인 ‘스트리밍’에 접속하여 음악을 소비하는 패턴이 시장의 중심이 되는 세계 음악 산업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background of the Russian consumer music market, where digital music sources are making great strides in the noted recent years. In addition, music storage technology, media and change are considered together in this report. Moreover, Russia is the 12th largest music market in the world. The Russian music industry is following the recent trend of the global music industry, where the digital music market is growing rapidly on many different levels. The explosive growth of the digital sound sources in Russia's music industry is attributed to the explosive increase in available consumer downloads, streaming sound source servic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igital sound sources using mobile technologi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e sales of the available and accessible streaming sound sources are expected to grow explosively by the year 2020, which is expected to account for more than 85% of total digital music sales. In other words,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lifestyle of the Russians have created these changes for the global consumer of music. In other words, the time has come for anyone to easily access music and listen to music without a separate audio or digital player. And the fact that the Russian government's strong policy on the eradication of illegal copying of music is becoming an effective deterrent, as is also the factor that led to the increase of the shar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to increase sales in Russia. Today, the Russian music industry is leading this change through the age and process of simply adapting to the digital age. Music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cultural assets, and it is the beneficial content, which drives the overall growth of the digital economy. In addition, if the following five improvements(First,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the Russian people about copyright protection; Second, utilizing the Big Data Internet resources in the digital music industry; Third, to improve the monopoly situation of digital music distributors; Fourth, distribution of fair music revenues; and Fifth, revitalization of a re-investment in the current Russian music industry) are effective and productive, Russia's role and position in the world music market is likely to expand.

      • KCI등재

        탄성파 간섭파를 이용한 음원파형 예측

        장성형,김영완,고진석,서상용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1

        The source signature of seismic reflection data is an important tool for correcting reflector position, amplitude estimation, deconvolution, multiple attenuation, comparing reflection data to well data, seismic modeling, and inversion. There are two methods to estimate the source signature. One is to measure the source signature directly in the field and the other is to estimate the source signature from reflection data.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stimating the source signature from the reflection data, such as deconvolution, assumes the source signature to be minimum phase and the earth responses to be white noise and most of signals except for the primary reflection to be regarded as noise.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source signature estimation based on the seismic interferometry, which can use all recorded signals without any assumptions. Seismic interferometry is used to calculate Green’s function using the recorded signals at two receivers without geological parameters, such as velocity, reflectors, minimum phase assumption, etc. The noise recorded after the primary reflection can be used to get geologic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source signature estimation using the virtual source gather and surface reflection data, which the virtual source gather is the result of summation after crosscorrelation of the records from the receiver corresponding to a virtual source and the records from the other receiver. The numerical model test shows that the wavefield which is calculated by the virtual source signature is the similar to that recorded at surface, and the source signature obtained with using the virtual source gather and the true reflection data is similar to the input source signature. 탄성파 반사자료의 음원파형은 반사경계면 또는 반사파 진폭을 예측하거나 곱풀기(deconvolution), 다중반사파 제거, 반사자료와 시추공 자료 비교, 모델링과 역산 등에 이용된다. 탄성파 음원파형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음원파형을 측정하여 직접 구하는 방법과 탄성파 반사파자료에서 간접적으로 구하는 방법이 있다. 반사자료에서 음원파형을 구하는 전통적인 곱풀기 방법은 최소위상, 백색잡음 등 가정이 필요하고 주 반사파를 제외한 탄성파 이벤트는 잡음으로 간주하여 실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전제조건과 무관하며 수진기에 기록된 모든 탄성파 이벤트를 이용할 수 있는 탄성파 간섭파이론을 이용하여 음원파형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탄성파 간섭파이론은 두 수진기에 기록된 탄성파 이벤트로부터 속도, 밀도, 지층경계면 등 지층모델에 대한 매개변수 없이 그린함수를 구하는 것으로 잡음으로 여겨지는 주 반사파 이후 기록된 탄성파 이벤트까지 이용하여 지층정보를 알아내는데 활용된다. 여기에서 탄성파 간섭파를 이용하여 음원파형을 구하는 방법으로 가상음원과 수진기에 기록된 탄성파 이벤트의 상호상관과 중합으로 가상음원 모음도를 구하여 지표면 탄성파 반사자료와 관계로부터 음원파형을 구하고자 하였으며, 단순 수평 2층 구조에 대한 수치 모형실험 결과 가상음원으로부터 구한 파동장과 실제 지표면에서 기록된 파동장의 반사신호가 거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상음원 모음도로부터 구한 음원파형은 실제 수치모델링시 적용한 음원파형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음원 전송사용료 분배 구조의 공정화 방안

        김혜성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8 Law & technology Vol.14 No.6

        2017년,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이 세계 음악 소비의 38.4%, 66억 달러에 이름으로써 스트리밍 서비스가 처음으로 음악 산업 최대 수입원이 되었다. 스트리밍 방식이 음악 저작물 소비 경향의 주류가 되자, 저작권자 및 실연자가 정당한 몫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더욱 부각되었다. 소비자가 음원 파일 자체를 영구적으로 소유하게 되는 다운로드 방식과 달리, 일정한 기간 동안 재생하기만 하는 스트리밍 방식의 이용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까닭에 자연히 음원 1회 재생당 발생하는 매출액 자체가 낮아지므로,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비중이 높아질수록 저작권자와 실연자에게 돌아가는 몫은 더 적어지기 때문이다. 현재는 음원 창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음원서비스업체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로 인한 수익을 가장 많이 가져가고 있어, 음원 유통 및 수익 분배 구조에 문제가 있다는 견해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40%인 음원서비스업체에게 돌아가는 수익 분배율을 낮춤으로써, 음원서비스업체 스스로 음원 서비스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블록체인 기술 등을 적용한 대안적 플랫폼이 등장 하도록 유도하여 작곡⋅작사가, 실연자의 수익분 배율을 높이는 방안이 실용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2017, the sales of streaming services accounted for 38.4 percent of global music consumption and $6.6 billion, making it the first major source of revenue for the music industry. As the streaming gets increasingly popular, the problem of copyright holders and the performers of not receiving an appropriate share became even more apparent. Unlike the downloads in which consumers permanently own the music files themselves, the streaming type played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osts relatively less and the amount revenue generated per play gets less. So people use streaming service more frequently and the copyright holders and the performers are receiving less. Currently, music service providers, which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creation of music sources, are the most profitable ones, so many believe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songs and royalties. Reducing the royalty which the music service providers receive, which is currently 40% of revenue, music services providers might develop new types of platforms that can lower the cost of providing music services or alternative platforms that are applied with blockchain technologies will emerge. And through it, the share of the profits of the songwriters and the performers will increase, that would be a practical solution.

      • KCI등재후보

        음원시장의 가격전략 유형 비교: 정액제와 종량제

        서영덕 한국문화경제학회 2013 문화경제연구 Vol.16 No.3

        최근(2013년)에 음원 가격의 현실화에 대한 요구와 무제한 정액제에 대한 비판 등 음원의 가격제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 관심에 맞추어 음원시장의 대표적인 가격전략 유형인 정액제와 종량제를 간단한 수리모형으로 접근하여 비교하고 있다.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음원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온라인 음원유통자가 독점임을 가정하고 있으며, 음원의 가격은 독점인 음원유통자가 결정을 하고 수입을 음원창작자와 (외생적으로 주어진) 일정 분배요율로 배분하는 시스템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각 소비자의 예산제약은 존재하지 않으며, 소비자가 음원을 소비하기 위해 추가적인 네트워크 사용료는 지불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음원시장의 가격전략 유형은 가격차별 종량제, 단일가격 종량제, (무제한) 정액제 3가지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적 관점에서 음원유통자의 이윤에는 정액제가 (단일가격) 종량제보다 유리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음악산업의 품질 및 다양성을 위해서는 정액제보다는 종량제가 더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액제 시스템 아래에서는 음원의 품질과 상관없이 음원창작자의 수입이 동일하므로 더 좋은 음악을 창작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으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