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 서울·경기 畵師의 원정활동 일례: 해남 大興寺의 佛畵

        신광희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89

        해남 대흥사에서는 근대기인 1901년에 「삼세불도」, 「석가설법도」, 「치성광여래도」, 「삼장보살도」, 「지장보살도」, 「신중도」, 「수륙회도」, 「십육나한도」, 「명부사자도」, 「나반존자도」, 그리고 「산신도」, 총 11건의 17점의 불화가 제작, 봉안되었다. 제작 기간은 1901년 11월 1일에서 시작하여 12월 15일까지 총 45일이 소요되었으며, 사내 암자인 진불암에서 제작되어 대흥사로 이안되었다. 화사는 총 19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 주관화사인 응석, 긍순, 윤익, 환감, 상규는 당시 서울․경기의 대표적인 화승들로 이들의 화연 관계는 응석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대흥사의 불화는 이들이 원정을 와서 이룬 대표적인 불사이다. 대흥사 불화는 대흥사 승려 외에 당시 전라도 관찰사였던 윤웅렬과 해남군수 이용우 등과 상궁 김씨, 그리고 민영준을 비롯한 여흥 민씨 일가의 참여로 제작되었다. 이 중 불화 불사를 주관, 감독한 윤웅렬은 당시 황실, 그리고 개화파와 긴밀히 교류하였던 인물로 주목되며, 상궁 김씨와 민영준은 황실과 연관이 있는 계층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중앙 권력과 연관이 있는 이들이 불사를 주관하고 후원함으로써 당시 서울․경기의 대표적인 화사들을 대흥사의 불화 제작에 동원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더욱이 대흥사 불화의 화승 중 가장 원로 격에 해당하는 응석은 당시 흥선대원군 일가, 다수의 상궁, 그리고 권문세력가들이 발원한 불화를 다수 제작한 경험이 있었으므로 대흥사 불화에도 참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901년에 제작된 대흥사의 불화를 보면, 화사들이 당시 불화 도상을 선도했던 이들인 만큼 몇몇 작품에서는 새로운 도상을 시도하기도 하였지만, 대체로 서울․경기에서 적극적으로 공유되던 도상을 수용하여 그려졌다. 이는 짧은 제작 기간에 다수의 불화를 그려야 하는 상황에서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화사들은 단순히 선행 도상의 모사에 그친 것이 아니라 계승 과정에서 모티프의 재배치, 생략, 추가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용을 꾀하였고 이를 통해 당시 서울․경기 화승들의 도상 계승 태도와 그들의 역량을 엿볼 수 있었다. 기존에 대흥사와 그 인근 지역의 불화는 해당 지역의 불화 도상을 주로 계승하는 편이었는데, 1901년 대규모의 불화 불사에서는 서울․경기의 화사들이 대거 동원됨으로써 중앙의 도상이 새롭게 수용되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당시 서울․경기 불화 도상의 확산을 가져왔다. 따라서 1901년 대흥사 불화는 근대기 서울․경기 화승들의 원정활동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례인 동시에 도상의 계승과 확산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사례로서 의미가 크다. 주제어 : 해남 대흥사, 근대기, 불화, 서울․경기 화승, 윤웅렬, 상궁 김씨, 민영준, 경선당 응석, 도상 An Example of Other Area Activities of Buddhist Monk Painters from the Seoul․Gyeonggi Region in Modern Era: Buddhist Paintings of Daeheungsa Temple in Haenam Shin, Kwang-hee In 1901, 17 pieces of 11 kinds of paintings were made and enshrined in Haenam Daeheungsa Temple, which included works such as Three Buddhas, Shakyamuni Buddha's Preaching, Big Dipper Buddha, Three Bodhisattvas, Ksitigarbha, Buddhist Guardians, Ritual of Water and Land, Sixteen Arhats, Messenger from Hell, Hermit, and Mountain Spirit. These paintings were painted over the course of 45 days from November 1 to December 15, 1901. They were painted in Jinbulam Temple, a hermitage that is situated inside the temple grounds, and were moved to Daeheungsa Temple. A total of 19 Buddhist monk painters participated in this effort. Among them, Eungseok, Geungsun, Yunik, Hwangam, and Sanggyu led this collaborative effort and were considered to be distinguished Buddhist monk pai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and their relations were harmonized with Eungseok acting in a facilitating role. The Buddhist paintings of Daeheungsa Temple were commissioned by Jeolla Provincial Governor Yun Ung-ryeol, Haenam Governor Lee Yong-woo, Court Lady Kim, and also Min Family. Among them, Yun Ung-ryeol was known as an important individual who closely interacted with the imperial family and the Enlightenment Party, while Court Lady Kim and Min Young-jun wer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distinguished Buddhist monk painters of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could be mobilized for this creative effort, judging from the fact that people involved in the central authoritative apparatus were participating in donations. Among them, Eungseok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senior figure who could effectively lead this effort, based on his abundance of experience of drawing Buddhist paintings that were commissioned by Heungseon Daewongun's family, numerous ladies of the court, and other influential families. Painters who led the iconography of Buddhist paintings of that time tried to integrate new iconography in some Buddhist paintings of Daeheungsa Temple that were drawn in 1901. However, most of them accepted the iconography that was widely shared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It has been deemed that the full intention of the painters were reflected, which sought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pursuant to the drawing of numerous Buddhist painting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 scope was not limited to replication of the past iconography, but the existing techniques were modified in various ways including rearrangement, omission, and addition related to motif. Based on this, the prevailing attitudes concerning the inheritance of the iconography and competencies of Buddhist monk painter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could be assumed. Many Buddhist painters throughout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participated in this large-scale project in 1901 and therefore, the iconography of the region was newly accepted in the Daeheungsa Temple and its surrounding areas, whereas Buddhist paintings in the areas inherited the iconography of their regions. As a result, it helped to spread the iconography of Buddhist painting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to other parts of the country. Therefore, the Buddhist paintings of Daeheungsa Temple that were drawn in 1901 hold significant meaning as examples of the painting activities of Buddhist monk painters throughout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as well as other regions in the modern era. Further to this, they have since become essential research artifacts that help foster the inheritance and spread of iconography. Key words :Daeheungsa Temple in Haenam, Modern era, Buddhist paintings, Buddhist Monk painters of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Yun Ung-ryeol, Court Lady Kim, Min Young-jun, Gyeongsundang Eungseok, Iconography

      • KCI등재

        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해방 대한제국기 광주에 있어서의 오쿠무라(奧村) 남매 진종포교,실업학교 설립을 둘러싸고 -새로운 사료 『메이지31년도 한국포교일기 명치삼십일년도(明治三十一年度) 한국포교일기(韓國布敎日記)』에 의한 통설의 재검토-

        야마모토죠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7 No.-

        本稿は、奧村円心·五百子兄妹が日本政府の支援のもと大韓帝國期の光州においておこなった淨土眞宗の布敎と實業學校設立について、新史料である『明治三十一年 韓國布敎日記』『金蘭集』を中心にしてその實態に迫るとともに、當該活動に關するこれまでの通說を再檢討するものである。眞宗大谷派の僧·奧村円心と妹の五百子は光州における布敎·實業敎育を通じて、當初はアジア主義的な立場から大韓帝國の富國强兵をめざして、ほどなく大韓帝國の滅亡を前提とし「將來の同胞」のためとして、朝鮮人を「誘導」しようとした。彼らの活動にとって朝鮮人は奧村兄妹の描く東アジア像を實現する手段であり、さらに朝鮮人を手段化するための手段としての「敎育と宗敎の力」であったのだ。したがって、大韓帝國期に光州においておこなわれた奧村兄妹による眞宗布敎と實業學校設立は敎育や宗敎そのものを目的としたものではなく、奧村兄妹とその支援者により朝鮮人を對象化し、自己の手段とするための手段としての性格をもっていたといえるだろう。從來の硏究ではこのような活動が、朝鮮人によって「常時投石」があったため、あるいは內閣の交代によって、撤退を余儀なくされ、失敗に追い입まれたとされてきた。しかし、『韓國布敎日記』や公文書など一次資料をもとにこれら通說を再檢討した結果、いずれの理由も妥當では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26 No.-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During the Kapsin Coup of 1884 leaders of the Enlightenment Party such as Kim Okkyun tri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ir coup by rallying close associates of the king within the palace, such as court ladies and eunuchs, to their side. These moves proved to be partially successful as court ladies such as Ko Taesu and many unknown eunuchs participated in the Kapsin Coup, playing specific roles such as keeping tabs on the king's moves or lighting fires within the palace. In this regard, while the eunuch Yu Chaehy?n had initially joined the ranks of the enlightenment forces, he eventually came to oppose the coup launch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and became the king's closest confidante. Representing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pro-Qingfaction, Yu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spatch from Pukch??ng of the military unit led by Yun Ungry?l to Seoul as part of efforts to counter the march of the enlightenment forces. The eunuch Yu Chaehy?n was consequently executed by S? Chaep?l on the morning of the second day of the coup. A close associate of the monarch, Yu Chaehy?n proved to be loyal to his king to the end.

      •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

        장희흥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0 No.26

        갑신정변 당시 김옥균 등 개화파는 정변의 성공을 위하여 궁궐 내 왕의 측근 세력인 궁녀와 내시들을 포섭하였다. 즉 궁녀 고대수 등과, 이름 모를 환관 등은 정변에 동참, 왕의 동태를 살피거나 궁중 내 불을 지르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내시 유재현은 처음에는 개화파에 가입하였으나, 이후 왕의 최측근으로 개화파의 정변에 반대하고 사대파의 입정을 대변하면서 개화파들이 노력으로 서울로 입성한 윤웅렬의 북청군대를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결국 내시 유재현은 정변 2일 아침에 서재필에 의해 처형되었다. 내시 유재현은 왕의 측근으로 왕에게 충심을 다한 인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