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핍의 의식(deprivation cult)과 우울증: 코로나 이후 우울한 영혼 돌봄과 목회상담

        하재성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0 No.-

        Contrary to previous common expectations or concerns, suicide rates did not increase in Korea during COVID-19. Interestingly enough, the worldwide pandemic did not bring about an outbreak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or suicides that medical professionals had warned of due to isolation, fear of infection or death. The result was the opposite: the suicidal rates had decreased, although the change was small. It is true that Korea has kept the disgraceful position of the highest suicidal rates among OECD countries for the many years, and the numbers have continued to grow. However, MDD seems to have maintained independence from the global pandemic, during which most were commonly afraid of the often deadly infection. MDD is not biologically inherited, but clinical observations may lead to a conclusion that it has much to do with the chronic deficiency of childhood attachment or emotional bonds to primary caregivers. The deficiency may come from a wider context of a sociocultural level beyond the individual one, which resonates with the deprivation cult, in other words, the spirit possession, that many women in different cultures are known to experience at a psycho-spiritual level. MDD is closely related to any kind of deficiency, from losses of both childhood attachment relationships outside and love objects inside. It does not come solely from common disasters outside, but with triggers at certain life stages, individual experiences of chronic emotional deficiency contribute largely to the outbreak of MDD. Pastoral counselors are expected to recognize those individualized deficiencies and, together with counselees, seek in hope for the proper expressions in the gospel, which may compensate for their long deprivations at the individual emotional and socio-spiritual levels. 전문가들의 우려와는 달리 코로나 시기에 한국에서 우울한 사람들의 자살률은 이전보다 더 낮았다. 이것은 코로나블루를 염려하던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사뭇 다른 결과로서 세계적인 전염병이 우울증과 자살률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물론 한국에서의 전연령별 우울증과 자살 발생 비율은 7년 전에 비해 계속 증가하고 있고 또 OECD 국가들보다 평균 두 배나 높은 수치여서 경계심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재난 가운데서도 우울증이 큰 변동 없이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한편으로는 다행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특별한 우려를 낳기도 한다. 왜냐하면 우울증이 팬데믹과 무관한 독립적 생존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울증은 유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릴 때부터 경험하는 만성적 공감 결핍은 한 인간의 안정적인 성장을 방해하고 장기적인 소진과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종교·인류학적 결핍증상이라 할 수 있는 ‘결핍의 의식’과 유사하며 정신·영적인 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결핍의 의식이란 사회문화적 특권에서 배제되거나 박탈된 사람들이 비인격적인 상태에서 겪게 되는 비밀스런 통과의례를 가리킨다. 프로이트와 달리 DSM-V에서는 외적 대상의 상실조차 우울증과 연관되어 있다고 진단한다. 우울한 내담자들은 흔히 성장기 자원의 결핍을 겪은 경험자들로서 심신증을 겪으며 삶의 에너지의 고갈을 고통스럽게 느낀다. 청소년, 여성, 노년 등 다양한 계층의 우울증 양상을 살펴볼 때 성장기 결핍은 우울증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며 작용을 한다. 다만 공동의 연대감이 작용하는 자연재해나 전쟁의 상황보다는 관계의 고립과 특권의 배제에서 비롯된 내면의 결핍에서 더 크게 발생한다. 목회상담자는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이같은 개개인의 내적 결핍을 인지하고, 그것을 표현할 언어를 탐색함으로써 우울증의 오랜 시간의 정서적 결핍만 아니라 사회·영적 결핍을 보상하고 회복시키는 소망의 작업자들이다.

      • KCI등재

        주요우울증과 세로토닌수송단백질 유전자의 다형성

        임신원,손성은,김도관,김이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연구목적 : 세로토닌 수송단백질(serotonin transporter, 5-hydroxytryptamine transporter, 5-HTT)은 세로토닌계에서 이루어지는 신경전달을 시냅스전 신경세포로 재흡수함으로써 종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삼환계 항우울제나 선택적인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의 주요 항우울제의 작용 개시 부위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5-HTT 유전자와 주요 우울증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 유전자의 유전자형 특성이 항우울제에 대한 반응정도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42명의 우울증 환자들(주요 우울증과 기분 저하증 환자)과 성별, 나이와 대응시킨 252명의 정상 성인들로 모두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약물에 대한 반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5-HTT에 작용하는 항우울제를 투여하기 전 우울증상의 정도와 투여 후 6주 이상이 지난 후의 우울증상의 정도를 17 항목의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HTT 유전자 다형성은 genomic DNA의 2번째 intron과 조절부위(promoter region)를 PCR 증폭함으로 분석하였고, sequencing하여 염기서열의 copy 수를 확인하였다. 결 과 : Allele의 빈도는 정상 성인군과 환자군 간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STin 2.12, 90.5% vs, 89.9% ; 14-copy 5-HTTLPR, 74.8% vs. 75.2%). 항우울제에 대해 반응을 보이는 군이 반응을 보이지 않는 군보다 intron2 부위의 12 copy allele과 promoter 부위의 14 copy allele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각각 p<0.0001, p=0.0028, by Fisher exact test).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5-HTT 유전자 다형성이 주요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과의 관련성보다는, 항우울제에 대한 반응성이 5-HTT 유전자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Objectives : Serotonin transporter(5-hydroxytrytamine transporter, 5-HTT)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termination of serotonergic neurotransmission into the presynaptic neuron and represents an initial site of uptake inhibiting antidepressants, including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the 5-HTT gene and major depression, and examined whether there are genotypic characteristics in 5-HTT gene that result in treatment nonresponsiveness to uptake inhibiting antidepressants. Methods : 5-HTT gene polymorphisms are analyzed with the primers flanking the second intron and regulatory region from genomic DNA. We genotyped 142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nd dysthymia, and 252 age and sex matched normal subjects. All individuals were Korean. Results :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e frequency(2nd intron, p=0.941 ; promoter, p=0.122)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However, in association studies between antidepressant responsiveness in depressive patients and allele frequencies of 5-HTT gene polymorphism in intron2 and promoter regions, there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0.0001, p=0.0028, respectively by Fisher exact tes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major effect of 5-HTT gene polymorphisms on the susceptibility to major depressions, while antidepressant nonresponding is related with genotypic alteration in 5-HTT gene.

      • KCI등재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에 관한 통합적 연구

        김홍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Nowadays people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reason why depression is serious issue. it causes suicide. The symptoms both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are very similar each other.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are come from same roots and different expression. One side, there is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which process of spiritual maturation in the other side. Not only these two things reveal on man individually, but sometimes those appear simultaneously on same person. The persons have Depressed Tendency is more sensitive on religion. So they tend to immersed deeply in religion. People who have depressed disposition more easily experienced Dark night of the soul. Further the state of depression means one type of Dark night of the soul itself. Therefore, Depression could be opening the gate of spiritual awakening and it is process of spiritual journey at the same time. A seeker of Dark night of the soul faces with Solitary always. But depressed patients can not feel Solitary only they felt Loneliness. Solitary means physically alone but the object of love is internalized inside. So full with Solitary inside of man gives us creativity. But Loneliness is not contained on inner side of object. It causes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s defense mechanism.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give an alternative for depression treatment by researching integrated Psychoanalysis and Dark night of the soul. We try to understand by “View of Psychoanalysis, Existentialism, and Dark night of the soul on Depression”. And we will introduce some cases Overcoming De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Dark night of the soul” without drug treatment and psychotherapy. From these, I tried to prove possibility of Spiritual Psychotherapy on Depression.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으로 고통하고 있다. 우울증이 심각한 이유는 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에서 나타나는 많은 증상들은 매우 유사하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은 동일한 원줄기에서 나온 열매이며, 같은 연장선상에 있는 다른 표현이다. 그 한쪽 끝에는 우울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영적 성숙을 향한 과정으로서의 어두운 밤이 있을 뿐이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은 개인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때로는 동일한 사람에게서 두 가지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우울성향을 지닌 사람은 종교적으로 더 예민하며 종교에 깊이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우울증의 기질을 가진 사람들은 영혼의 어두운 밤의 경험을 더 잘 느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우울증적 상태 자체가 일종의 어두운 밤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울증은 영적 각성을 여는 관문이 되는 동시에 영적 여정의 필수 과정이기도 하다. 영혼의 어두운 밤을 지나는 이는 고독함 속에 거한다. 하지만 우울증 환자는 고독을 겪을 수 없고 외로움을 겪는다. 고독은 물리적으로는 홀로 있지만 사랑하는 대상이 내면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굳건한 자긍심을 가지고 자신의 창조성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외로움은 내면에 좋은 대상이 내면화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외로움에 대한 방어로서 갖가지 병리적인 증상들을 야기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울증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영혼의 어두운 밤을 통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우울증 치료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울증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영혼의 어두운 밤의 관점을 각각 이해한 후에 양자를 통합적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심각한 우울증을 겪으면서도 약물치료나 심리치료를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혼의 어두운 밤의 과정을 겪음으로써 이를 극복한 사례를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성심리치료의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I) : 병태생리적 기전

        배경열,김재민,윤진상,Bae, Kyung-Yeol,Kim, Jae-Min,Yoon, Jin-Sa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4

        본 논문에서는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주요 병태생리학적 기전으로는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혈액 응고 경향, HPA 축 기능 및 ANS 조절 이상, 상승된 염증 반응 상태 등과 더불어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이 공통된 유전적 위험 인자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 등이 있다. 혈액 응고와 관련되어서는 혈소판의 활성 및 반응성 증가, 혈관 내피 기능 이상, 혈액 응고 인자의 증가 등이 구체적인 병리 기전으로 제시 되었으며, HPA 축 및 ANS 기능 이상과 관련되어서는 혈장내 카테콜라민의 증가와 이와 연관된 심박수 증가 및 심박 변이성의 감소, 기타 혈역학적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인한 부정맥 및 죽상경화증의 촉진이 주요한 기전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CRP 등과 같은 염증 표지자 연구를 통해 우울증에서의 증가된 염증 반응이 죽상경화증이나 혈전 형성과 관계 되어있을 가능성 역시 제시되었다. 하지만 역으로 관상동맥 질환과 우울증의 동반 이환율이 높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 질환에서의 어떤 병태생리적 변화가 우울증의 발병 및 경과와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 이외에도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 외의 제3의 요인 즉, 유전적 위험 인자가 두 질환에 선행함을 제시하여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이 공통된 유전적 취약성을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들도 있다. 그 밖에도 우울증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에 기반한 연구나 ${\Omega}$-3 지방산, homocystein 수준에 주목한 일부 연구들이 존재하며,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는 뇌혈관에도 죽상경화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뇌의 특정 부위에 혈류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이것이 혈관성 우울증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한 연구들도 있다. 우울증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및 경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들은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촉진시키고 있다. 하지만 우울증이라는 대상 질환 자체의 이질성과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항응고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고 있다는 사실 등이 병태생리 규명 연구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울증과 관상동맥 질환의 병태생리적 연관성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는 향후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의 우울증의 중요성을 치료자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 예후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것이다. Depres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re both highly prevalent diseases. Many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depression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onset, course, and pro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the exact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diseases remain unclear. Pathophysiologic mechanisms that may explai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coronary artery disease include hypercoagulability,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dysregulation, altered inflammatory response. On the contrary, pathophysiologic mechanisms in coronary artery disease that affect depression are less well known. It is also suggested that both diseases may share a common genetic vulnerability.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pathophysiologic relationships of depres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 KCI등재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의 심박변이도와 혈중 지질 농도와의 연관성

        안은정,최진숙,장용이,이해우,심현보,Ahn, Eun-Jung,Choi, Jin-Sook,Jang, Yong-Lee,Lee, Hae-Woo,Sim, Hyun-Bo 대한수면의학회 2012 수면·정신생리 Vol.19 No.1

        목 적 : HRV 검사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억제 체제에 의해 조절되는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 민감하고 비침습적인 도구로 인정받고 있다. 우울증 환자들은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자율신경계 억제 기전의 교란을 받게 된다. 우울증은 또 심혈관 질환의 이환과 사망률을 예측하는 독립적 예측인자라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RV 검사를 통하여 정상인과 우울증 환자 사이에서 HRV와 lipid level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 : 2011년 7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우울증 클리닉에 내원한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만 19세 이상 65세 이하 환자(42명)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들과 나이, 성별을 일치시킨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 중 정신과 과거력과 신체 질환이 없는 사람(32명)을 대상으로, HRV, 혈중 지질 농도, HAM-A(hamilton anxiety scale), HAM-D(hamilton depression scale)를 조사하였다. 우울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을 독립표본 t-검정 및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Pearson 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우울 증상의 심각도, HRV 세부지표, 혈중 지질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p<0.05). 결 과 : 우울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에 인구학적 변인은 차이가 없었으며, 우울증 환자군에게서 HAM-D & HAM-A 점수가 높았다. 혈중 지질 농도 검사에서, 우울증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cholesterol, TG, LDL 수치가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HRV 시간영역 분석(time domain analyses)에서, 우울증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SDNN이 낮게 나왔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ApEn(approximate entrophy)이 정상군보다 우울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pEn은 LDL, HAM-D, HAM-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우울증 환자군의 HRV에서 ApEn이 정상대조군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ApEn은 최근에 개발된 비선형적 분석으로 HRV 신호가 얼마나 복잡한 지를 통계적으로 정량화한 수치이며, 데이터 양이 적고, 잡음이 많은 생리학적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pEn이 우울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으며, ApEn이 LDL, HAM-D, HAM-A와도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HRV를 임상적 상황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연구에 있어, ApEn을 새로운 평가 도구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s: The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 useful non-invasive tool to investigate the autonomic nerve functio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V and depression have been reported controversial results. Similar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lipids and depression is deba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32 age and sex-matched normal subjects who had no previous history of major medical and mental illness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 structured-interview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sychiatric illness. HRV measures were assessed by time-domain and frequency-domain analyses. Psychologic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HAM-A),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In addition, the evaluation for lipid profile was performed by blood test. Results: In serum lipid profile test, MDD group showed higher cholesterol ($197.68{\pm}42.94$ mg/dL vs. $176.85{\pm}34.68$ mg/dL, p=0.044), TG ($139.45{\pm}92.54$ mg/dL vs. $91.4{\pm}65.68$ mg/dL, p=0.018), LDL ($130.03{\pm}33.18$ vs. $106.62{\pm}27.08$, p=0.004) level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HRV time domain analyse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 (SDNN) was decreased in MDD group than normal control group, but was not significant ($32.82{\pm}14.33$ ms vs. $40.36{\pm}21.40$ms, p=0.078). ApEn (Approximate Entroph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DD group than normal control group ($1.13{\pm}0.11$ vs. $0.91{\pm}0.18$, p<0.001). ApEn was correlated with LDL level (r=0.277, p=0.028), HAM-D scores (r=0.534, p<0.001) and HAM-A scores (r=0.470, p<0.001). Conclusions: MDD patients showed increased ApEn, one of the HRV measurement. And this ApEn was correlated with LDL, HAM-D and HAM-A score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ApEn would be a useful test of MDD.

      • KCI등재

        우울의 시대: 우울의 의료화와 ‘우울증’의 자전적 서사 담론의 의미

        이정연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 on depression through autobiographical essays on depression,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It examines how medicalization of melancholia is told through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nd what social meaning it has.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bout depression show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limits of ‘diagnostic psychiatry’, but also show the limit that the consideration of depression ultimately stays in the obsession with oneself. In addition, the subjectivization that appears in medicalization lowers the boundaries of mental disorders and makes mental disorders a common disease, but at the same time makes our society no longer take issue with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Through this depression has been established as a disease that can be ‘managed' as a drug without asking the cause, and modern society has stopped considering ‘normal depression'. Uncertainty in a liquid society, where individuals cannot grasp the structural reality of pain fosters daily anxiety and medicalization has given birth to various mental disorders by naming the emotion of anxiety. In a society where pain inflicts great pain on an individual but its reality is invisible, depression has become a framework for containing the narrative of individual pain. 본 연구는 최근에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울증에 관한 자전적 에세이를 통해 우울의 시대에 만연해 있는 우울증 담론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의료화된 우울이 어떻게 자전적 서사를 통해 이야기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우울증에 관한 자전적 서사는 ‘진단 정신의학’의 한계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도 우울증에 대한 고찰이 결국 자기 자신에 대한 천착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나타낸다. 또한 의료화에서 나타나는 주체화는 정신장애에 대한 경계를 낮추고 정신장애를 일반적인 질병으로 인식하도록 만들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더 이상 우울의 만연을 문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를 통해 우울증은 원인을 묻지 않는, 약물로서 ‘관리’되는 질병으로 자리 잡았고 현대사회는 ‘정상적인 우울’에 대해 고찰하지 않게 되었다. 개인이 고통의 구조적 실체를 파악할 수 없는 액체사회의 불확실성은 일상의 불안감을 키워내고 의료화는 불안이라는 감정을 네이밍하여 다양한 정신장애 질병을 탄생시켰다. 개인에게 미치는 고통은 크지만 그것의 실체가 보이지 않는 사회에서 우울증은 개인의 고통 서사를 담는 틀이 되고 있다.

      • KCI등재

        우울-품행 장애 성향 청소년의 친한 친구의 수, 친구관계의 질 및 대인관계 문제

        이승환,김은정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close friends, close friendship qua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adolescents with depressive-conduct problem. Based on CES-D scores and K-YSR externalizing problem scores, these four groups were divided for comparison: the depression, the conduct the depressive-conduct, and control. The depressive-conduct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other groups. Rather, The depression group showed lower numbers of close friends than both the conduct group and control. In the positive quality of close friendship, the depressive-conduct group showed lower companionship, lower reliance, and lower emotional security than both the conduct group and control. Also, the depressive-conduct group showed lower intimacy than the conduct group and lower assistance than the control. In the negative quality of close friendship, the depressive-conduct group showed more conflicts than control. In interpersonal problems, the depressive-conduct group was found to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all subscale than in any other group, proving to have more difficulty of various relationships. In conclusion, low level of positive function of close friendship, interpersonal problems of depressive-conduct group are more similar to those of depression group, and as with the conduct group, showed more desire to control․domination than the depressive group and more negative function with close friend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will be the basis for support for the diagnosis of depressive-conduct disorder and appropriate and effective interpersonal intervention for depressive-conduct group. Finally, the proposal for the follow-up stud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우울과 품행 문제 성향을 동시에 갖는 청소년들이 우울 또는 품행 문제 성향을 보이는 청소년들과 친구 수, 친구관계의 질 및 대인관계 문제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고등학교 1∼3학년 423명을 대상으로 우울 점수와 외현화 문제 점수를 기준으로 우울 성향 집단, 품행 성향 집단, 우울-품행 성향 집단 및 통제 집단을 선발하였다. 이후에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변량 분석과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각한 친구의 수로 평가되는 양적 측면에서 우울-품행 성향 집단이 다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오히려 우울 성향 집단이 지각한 친구의 수가 통제 집단과 품행 성향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적었다. 친구관계 질적 측면의 긍정적 기능을 보면, 우울-품행 성향 집단에서 품행 성향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 교제의 즐거움, 신뢰, 정서적 안정이 더 낮은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우울-품행 성향 집단은 품행 성향 집단보다 친밀감을 덜 경험하였고, 통제 집단보다는 도움을 덜 경험하였다. 친구관계의 부정적 기능에서는 우울-품행 성향 집단과 품행 성향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갈등을 더 많이 일으켰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문제 영역에서 우울-품행 성향 집단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어떤 다른 한 집단의 청소년들보다 더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문제들을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종합해보면, 우울-품행 성향 집단은 친구 관계의 낮은 긍정적 기능 수준과 많은 대인관계 문제 영역이 우울 성향 집단과 유사하였고, 친구 관계의 높은 부정적 기능 수준과 타인을 통제·지배하려는 욕구가 큰 특성은 품행 성향 집단과 유사였다. 즉, 우울-품행 성향 집단은 단일 장애 성향 집단과 통제 집단 보다 친한 친구와 대인 관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울-품행 성향 집단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인관계 개입을 위한 근거와 우울-품행 장애의 진단에 대한 지지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 우울증에서 치료적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

        정현숙,임현우,조선진 한국노년학연구회 2013 한국 노년학연구 Vol.22 No.-

        우울증은 노년기에 가장 흔한 정신적 문제 중 하나이다. 노 인 우울증은 젊은 시절과 달리 신체질환이나 인지기능의 감소를 동 반하며, 치매로 오인 받기도 하며, 또 정신과 질환에 대한 편견이나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진단 및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한 실정이다. 또 노인 우울증은 자살과 더 밀접한 연관을 보이는데, 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해서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 료를 제공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노인 우울증은 간단한 선 별검사로 발견되지만, 선별검사 이후 효과적인 치료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이에 선별검사로 발견된 노인 우울증 환자가 효과적인 치료 를 받도록 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들이 시도되어 왔다. 그 중 사례 관리 중재가 포함된 협력의료 프로그램 실시는 증상의 호전 및 순 응도가 상승하는 등 치료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 효과 는 미국 등 서구 사회뿐만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 국가, 그리고 최 근 국내 연구에서도 보고되었다. 이러한 중재프로그램이 확대 보급 된다면 고령 사회의 문제 중 하나인 노인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관 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의 정서조절방략

        신아영,채정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1 인지행동치료 Vol.11 No.1

        정서조절은 어떠한 정서를 어느 시점에, 어떤 방식으로 경험하며 표현할 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다. 특히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은 지속적인 정서조절의 실패를 야기하며 이는 개인의 심리적 건강은 물론, 사회적인 기능 전반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군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방략과 불안, 우울,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우울-행복 수준과의 관계를 확인해보고, 각 변인이 대조군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전체 연구 참가자의 수는 총 111명으로 대조군 60명,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군 51명이었다. 연구 결과,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해본 결과, 정서조절방략 가운데 정서표현억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인지적 재해석은 환자군이 유의하게 낮게 사용하였다. 정서조절방략과 우울, 불안,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우울-행복 수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우울장애 환자군에서 인지적 재해석은 부정정서, 상태불안, 특성불안 및 우울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불안장애 환자 군에서는 상태불안, 특성불안, 우울이 인지적 재해석과 부적상관이 있었고 긍정정서와 우울-행복은 정적상관을 타나냈다. 정서표현억제 방략은 우울 및 불안장애 환자군 모두에서 특정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Emotion regulation is the process which influences the types of emotions people experience, as well as, when and how they express their emotions(Gross, 1998). Especially,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causes continuous failures of emotion regulation and this has an impact on one's well-be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diagnosed with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We also compare the emotion regulation process with regards to the levels o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happiness between the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 patients group and asymptomatic control group. Finally,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happiness in the patients group. There were 6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male: 15, female: 45) and 51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 patients in the patients group(male: 23, female: 28). In the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group,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was correlated to negative emotions. However,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was correlated to positive emotion, in the anxiety disorder patients group. The happiness was related to reappraisal and positive emotions. Additionally, the patients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ositive emotion, happiness, reappraisal and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pp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연구논문 : 1991∼2010년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우울증 담론의 변화와 그 문화적 함의

        이현정 ( Hyeon Jung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1

        최근 한국 사회에서 자살률 증가와 더불어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사회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한가지 시도로서 지난 20년간 한국 신문기사에서 우울증을 다루어 온 방식과 시각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본다. 연구자는 1991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한국의 다섯 개 주요 일간지(조선, 동아, 국민, 경향, 한겨레)의 전체 기사 중 제목에 ‘우울증’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검색 프로그램(KINDS)을 이용하여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총 958개의 기사를 획득하였다. 이 기사들을 정해진 유목에 따라 Excel 2007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빈도 분석한 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지난 20년간 제목에 우울증을 포함한 기사 수는 1996년과 2005년 두 번의 시기에 크게 급증하였으며, 이러한 급증의 배경에는 국가적 규모의 사고와 IMF 구조조정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1996) 및 유명 연예인의 자살사건(2005)이 주된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지난 20년간 우울증 기사는 우울증 환자의 ‘폭력적’이고 ‘비정상적’인 사건을 드러내는 ‘사건 보도’의 성격으로부터 점차 질병으로서의 우울증의 개념과 치료법 및 예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의 성격으로 변화되어 왔다. 셋째, 지난 20년간 우울증의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이 전체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별로 없었지만,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을 언급한 기사 수의 변화는 생의학적 연구결과를 포함한 기사 수나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 의견이 인용된 기사 수의 변화와 대체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자료 분석 결과로부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난 20년간 한국의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우울증은 단순히 의학적 질병을 넘어서 현대 한국인의 일상적 위험과 불안을 상징하는 사회적 은유로서 사용되고 있다. 둘째, 대중 독자의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는 매스미디어 담론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명 연예인과 관련된 우울증 기사는 특별히 집중 보도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후 매스미디어를 통한 우울증 담론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점차 ‘정보 제공’의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 우울증 기사들은 개인의 지속적인 자가진단과 관리에 의해서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거나 조기치료할 수 있다는 사고를 확산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통치 담론을 지지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우울증에 관한 기사가 점차 ‘과학’이나 ‘건강’과 같은 전문 섹션에서 다루어짐에 따라, 최신 과학적 실험 결과를 강조하는 생의학적 관점은 특히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increasing degree of social concern with depression today, this paper examines how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treated depress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KINDS(Korean Integrated Newspaper Database System), from which I selected a total of 958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from five daily newspapers between January 1, 1991 and December 31, 2010. The selected articles were cod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three main findings: Firs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the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has remarkab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wo contexts. The increase is associated with widespread socioeconomic anxiety in the mid-1990s, while it is also related to the shocking news of a celebrity`s suicide motivated by depression in the mid-2000s. Second, articles about depression have gradually focused more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and its treatment and prevention methods, rather than on recounting ``violent`` and ``exceptional`` episodes surrounding the victim of depression. Third,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have contained a consistent yet smaller proportion of biological/ genetic causes of depression every year, compared with that of the social causes. From these results, I discussed four cultural implications: First, in Korea`s mass media discours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epression is represented not merely as a medical disease but as a social metaphor that symbolizes everyday risks and anxiety among the Koreans. Second, articles about a celebrity`s illness experience tend to contribute to spreading a new type of depression discourse in Korean mass media. Third, articles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depression and its preventive methods reinforce neoliberal political discourse, particularly by spreading the idea that the risks of depression can be prevented by relevant self-diagnosis and self-management. Fourth, articles dealt with in the specialized section of health or science contribute to disseminating biomedical perspectives on depression, particularly by way of psychiatrist commentaries which highlight the results of recent scientific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