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드폰 청취환경에서의 실감 오디오 재현을 위한 음상 외재화 기법

        김용국(Yong Guk Kim),전찬준(Chan Jun Chun),김홍국(Hong Kook Kim),이용주(Yong Ju Lee),장대영(Dae Young Jang),강경옥(Kyeongok Ka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7 No.5

        본 논문에서는 헤드폰 재생 환경에서의 머리 밖 음상정위를 위한 음상 외재화(externalization)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기존의 머리전달함수(HRTF) 또는 초기 반사음 등을 이용한 외재화 기법들에서 발생하는 정위된 음성의 음색 왜곡을 줄이는 것에 그 초점을 맞춘다. 즉, 제안된 음상 외재화 기법은 모델 기반의 HRTF와 잔향 기법을 결합하고, 전방 음상 외재화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decorrelation 및 spectral notch 필터링 기법 등을 포함한다. 제안된 음상 외재화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백색잡음, 효과음, 음성 및 오디오 등 다양한 장르의 음원을 이용하여, 평가자의 주관에 의한 청취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음상 외재화 알고리즘은 성능평가 결과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더 좋은 외재화 거리 성능을 보였다. In this paper, a sound externalization method is proposed for out-of-the-head localization in a headphone listen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imbre distortion by the conventional methods using a measured a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or early reflections, the proposed method integrates a model-based HRTF with reverberation. In addition, for improving frontal externalization performance, techniques such as decorrelation and spectral notch filtering are includ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xternalization method, subjective listening tests are conduct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ound sources such as white noise, sound effects, speech, and music. It is shown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proposed externalization method can localize sound sources farther away from out of the head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 KCI등재

        이야기 치료의 문제의 외재화를 통한 자살 충동 내담자 돕기

        이효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5 No.-

        Psychological theories, including Freud’s psychoanalysis, do not fall from heaven. Instead, they need to be understood as cultural products. Support for Freud’s psychoanalysis was largely limited to upper-class and intellectual circles in Freud’s hometown of Vienna. When Freud visited Clark University in Worcester, Massachusetts, in 1909, psychoanalytic ideas were finally given an enthusiastic welcome. After that, their influence spread all over the world. Various psychological theories have been constructed through continuous challenges to and deconstructions of previous theories. The development of new theories continues in an ongoing process of innovation. Narrative therapy is one example of this ongoing effort to reconstruct prior theory. Narrative therapy was originally developed by Michael White and David Epston. White and Epston were able to invent a radically different approach for family therapy because they are from Adelaide, Australia, and Auckland, New Zealand, respectively, twoplaces virtually untouched by the Freudian revolution. Family therapists utilizing first- and second-order cybernetics used to consider a family a system. As they were beginning to think differently about systems, however, they needed a different metaphor as well as a new theory to assist them. Although the ideas of narrative therapy ha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follower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in the 1990s, by 2011, according to Stephen Madigan, narrative therapy was theoretically central for thousands of therapists worldwide. Narrative therapy does not focus on a client’s unconscious mind or inner self. It tries to uncover the relationships that clients have with their problems, which are usually rooted in the dominant stories of their culture and society. To do this, the process of externalizing the internalized problem is important. Therapists can enable clients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ir own problems through this process. Clients are able to find their own value, realizing that their identity is intact, regardless of their problems. I will describe the process of externalizing the internalized problem based on my own twenty-session counseling case with Byel, who came to see me because of her depression and overwhelming suicidal ideation. I utilized the writing of therapeutic letters to help Byel objectify and personify her own problem. For example, I encouraged Byel to write a letter to her problem. I hope to demonstrate how literary means, such as letters and certificates, enable clients to externalize their internalized problems.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부터 시작되는 다양한 상담이론들은 하늘에서 떨어진 것이 아니라, 문화적 산물로 이해해야 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그의 주류 무대였던 비엔나에서는 상류 중산층과 교육받은 사람들만 알 정도로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1909년 프로이트의 미국 방문 연설을 시작으로 미국인들의 호응을 얻으며 세계로 퍼져나가게 될 수 있었던 것처럼, 인간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발전시킨 심리학 이론들은 해체와 도전을 통해서 만들어지고, 사람들의 동의를 얻으며 수용되거나 거부되면서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사실, 그 발전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이야기 치료는 이러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노력의 증거 중에 하나이다. 이야기 치료는 1980년 오스트리아와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가족치료사였던 마이클 화이트와 데이빗 앱슨이 고안해 낸 심리치료 이론이다. 프로이트 혁명(Freudian revolution)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곳에 살았던 두 사람은 기존 정신분석과는 달리 인류학과 후기구조주의 철학을 기반으로 해서 독특한 그들만의 가족치료 이론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이들의 이론은 가족을 체계로 이해했던 미국 내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사이버네틱스 가족치료사들의 갈증을 채워주면서 호응을 얻기 시작했고, 현재 세계적으로 수 천명의 지지자를 두면서 인지도 있는 심리치료기법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야기 치료는 문제를 사람의 무의식이나 내면에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문제의 원인을 내담자들이 살아가는 사회와 문화, 더 나아가 사회와 문화가 말해주는 지배적인 이야기에서 찾으려고 하고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내면화 되어 있는 문제의 외재화(externalizing the internalized problem)’라는 기술은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상담가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와 거리를 둘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거리를 통해서, 내담자는 자신의 정체성이 문제로 인해서 공격받지 않았음을 보게 되면서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필자가 20회기 동안 상담을 했던 별이와의 상담을 통해서 문제 외재화 과정을 통해서 내담자는 무엇을 느끼고, 이러한 과정이 내담자를 어떻게 도왔는지 밝히고, 문제 외재화를 위해서 문제를 객관화(objectify) 하거나 의인화(personify)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화이트의 말이 한국적 상황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필자가 사용했던 치료적 편지(therapeutic letter)와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에게 썼던 편지의 예를 통해서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별이가 상담실을 찾은 주된 원인은 우울증과 자살 충동이었지만, 문제의 외재화 기술은 다양한 내담자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EU의 공동이민망명정책의 외재화와 그 문제점

        박선희(Sun Hee Park)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1

        본 논문은 최근 EU의 공동이민망명정책의 특징 중 하나를 외재화(Externalization) 경향으로 보고, 이러한 경향이 불법이민통제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착안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제 3국과 제 3자와의 협력을 통한 외재화 정책은 EU가 짊어져야할 책임을 EU밖으로 전가하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재입국협정(Readmission Agreement), 운송규제(Carrier Sanction) 그리고 보호입국절차(Protected Entry Procedure)와 같은 외재화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다. 1990년 이후에는 유럽개별국가 차원 뿐 아니라 EU차원에서 공히 이민망명자 유입의 위협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며 이민통제정책에 주력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대량으로 유입되는 이민망명자로 인한 위협 요소보다는 난민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발생하는 난민에 대한 보호 위기가 더 큰 문제라고 봤다. 유럽이 보호위기를 겪고 있다고 하는 것은 1951년 제네바 난민 협약을 비준한 국가들이 난민 협약의 핵심 조항인 송환금지(Non-Refoulement) 조항을 어기는 등 EU가 지금까지 내세웠던 인권존중 보호를 위한 EU 차원의 노력과 역행하는 길을 가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EU가 1999년의 템페레 프로그램(Tampere Programme) 발표 이후 추진한 이민통제정책은 불법이민과 난민의 구분을 점점 더 무의미하게 한다. 보호받아야할 대상인 난민은 이민자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이는 운송 규제원칙의 이행, 보호입국 절차와 재입국조항을 근거로 이뤄지는 강제 회항 속에서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이탈리아와 리비아와의 재입국 조항 협력 사례는 EU의 이민망명정책이 공동체화의 경향을 띄고 있지만 여전히 개별회원국 정책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recent development of externalization trends of the EU`s Common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which is essentially designed to cope effectively with the flow of illegal migration. Through observation of main instruments of externalization such as Readmission Agreement, Carrier sanction and Protected Entry Procedures, it criticizes the current EU externalization practices. It argues that the Common EU policy with tools mentioned above, aims to keep migrants and asylum seekers out of and far away from the EU, devolving its responsibilities to the third country or to a third person. This paper also argues that despite the development of a EU common response to immigration and asylum-seekers,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continue to be marked by reservations, privileging bilateral relations as has been observed in the Italy-Libya cooperation. Thus Sandra Lavenex expressed this as " Communitarization with Hesitation". The externalization of the EU`s common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also risks impacting negatively on the rights of asylum-seekers. Statistics show a continuos decrease of asylum applications in most EU Member States and these same countries are exposed to withdraw from their international commitments regarding refugee protection. Contrary to the general view, this paper argues that EU Member States are not going through a "migrant flow crisis" but rather through a "protection crisis". Frequent violation of non-refoulement principle prescribed in 1951 Geneva Convention on Refugees by intercepting boats heading to Italy and then expel to Libya, a country that has no asylum system and has not signed the Geneva Convention on Refugees is questioning the credibility of the global EU human rights policy as well as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 KCI등재

        유럽연합-터키 관계와 EU 이주∙난민정책 외재화의 문제점

        박선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1

        The policy of European Union to resolve migration and asylum issue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urkey shows the quintessence of externaliz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s of migration control policies based on the cooperation with the third countries through the EU-Turkey migration deal. Notwithstanding the past stalled relationship between the EU and Turkey due to the accession negotiation, this study shows that Turkey’s emergence as key actor regarding the EU’s irregular migrant issues worked as an impetus for its relationship with the EU. The reinforced EU-Turkey relationship through irregular migrant control policy turns into the cause of increasing complex interdependent relations that Nye and Keohane argue. If we measure the interdependent relations between the EU and Turkey by sensitivity and vulnerability which are the significant concepts to construct the relations, we can set the extent of damage from irregular migrants (the cost for external changes) as sensitivity and the extent of the cost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policy as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is typology, it seemed that EU-Turkey readmission agreement transferred the sensitivity regarding irregular migrant issues in the EU to Turkey and yielded positive results mitigating both sensitivity and vulnerability in the EU. The problem of EU-Turkey migration deal in 2016, however, is that it could change the aspect of existing conflicts due to the excessive dependent externalization on Turkey and increase the asymmetry between two countries. The EU-Turkey migration deal on March 2016 have heightened the vulnerability and sensitivity of the EU on migration issues which could lead to a lower presence of the EU in not only migrant but also other issues with Turkey. EU가 2013년 터키와 맺은 재입국협정과 2016년 3월 EU-터키의 난민합의는 EU의 이주·난민 정책의 외재화 경향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EU의 이주·난민 정책의 외재화 문제점을 EU-터키 관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EU-터키 관계가 EU가입협상으로 오랫동안 난항을 겪었지만 EU내 불법이주민 대거 유입 문제로 터키가 주요한 행위자로 부상하면서 EU-터키 관계에 추동력이 되었다. EU내 불법이주민 억제 정책으로 심화된 EU-터키 관계는 나이(Nye)와 코헤인(Keohane)이 주장하는 복합적 상호의존 관계(complex interdependent relations)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호의존적 관계를 유형화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인 민감성(sensitivity)과 취약성(vulnerability)을 기준으로 EU-터키간의 상호의존도 관계를 측정할 때 불법이주민 문제로 인한 타격(외부적 변화에 따른 대가의 정도)의 정도를 민감성으로 그리고 기존정책에 대한 대안 유무에 따른 대가의 정도를 취약성이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EU-터키의 재입국협정은 EU내 불법이주민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터키로 이전시켜 이주민에 대한 EU의 민감성과 취약성 모두 낮추는 긍정적 결과를 갖고 오는 듯 했다. 그러나 2016년 EU-터키 난민 합의는 터키에 지나치게 의존적인 외재화 경향으로 기존의 갈등관계의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양국 간의 비대칭성 문제가 점차 커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2016년 3월 EU-터키 난민합의로 난민문제에 있어 취약성과 민감성이 모두 높아진 EU는 난민문제 뿐 아니라 다른 사안에서도 터키와의 관계에서 입지가 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기억의 외재화에 대한 문화철학적 비판

        김종규 ( Jong Kyu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 Vol.0 No.49

        본 논문은 컨버전스 미디어를 통해 새롭게 조성되는 인지 환경 하에서 인간의 기억과 상상력의 의미 변화를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비판하고자 한다. 컨버전스 미디어는 점차 단순한 도구 역할에서 벗어나 인간의 인지적 조건으로 기능하고 있다. 우리는 이제 컨버전스 미디어를 통해 보고 들으며 기억하고 상상한다. 컨버전스 미디어가 새로운 인지 조건으로 부상됨에 따라 우리의 인지 과정 역시 미디어 의 구조로 이해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이해가 가장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추진 중에 있는 마이라이프비츠 프로젝트이다. 마이라이프비츠 프로젝트는 컨버전스 미디어를 이용한 ``기억의 외재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있어 인간의 기억은 컴퓨터의 파일 저장 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로 이해되고 있다. 파일이 외부 장치에 저장되듯, 인간의 기억 또한 외부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기억은 왜곡되거나 상실되기 쉽다. 그렇지만 외부 장치에 저장된 기억은 왜곡되거나 상실되지 않기 때문에, 소위 ``완전한 기억``을 실현할 수 있다. 전자 기억이 완전한 기억일 수 있다는 주장의 전제는 인간의 기억이 개인적이며 의미작용과 무관하다는 것이다. 전자 기억으로 저장될 수 있는 기억은 개인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며, 기계적 기억이기 때문에 의미작용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의 어떠한 행위도 단순한 물리적 작용이 아니다. 인간의 행위는 가장 낮은 단계의 것이라도 의미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의 미는 단순히 개인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인간의 기억은 개인적인 것일 수도 없다. 달리 말하면, 인간의 기억은 본질적으로 문화적이다. 인간의 기억을 단순히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간주하는 것은 기억이 갖던 본래적 의미의 왜곡이다. 더욱이 기억은 상상력과 별개의 인식 능력이 아니기 때문에, 기억의 왜곡은 상상력의 왜곡도 초래하게 된다. 마이라이프비츠와 같은 기억의 외재화 시도는 본래 인간과 디지털 미디어 간의 협력을 통해 인간 인지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목적을 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성취되려면, 인간의 인지 능력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cultural-philosophically the change of the human memory and imagination in the new cognitive environment constructed by convergence media. Convergence media are not simple instruments but cognitive conditions of human. Today, through convergence media we can see, listen, remember and imagine. As convergence media are emerging as new cognitive conditions, human cognitive process falls to being understood as structure of media. This understanding is clearly emerged in the Mylifebits project promoted by MS. This project aims at ``externalization of human memory``, by using convergence media. In this project, human memory is understood as computer file storage system. Computer files ar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likewise human memory can be also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Human is biological being, and his memory is apt to be distorted and lost. However, if the memory is stored in external device, it is neither distorted nor lost. Thus the research directors of Mylifebits project call this electronically stored memory ``Total Recall``. It requires two main premises which human memory is personal and unrelated to the meaning, in order that human memory could become Total Recall. Because we have digital media personally and mechanical memory cannot generate any meaning. However, any human act is neither simple physical work nor mechanical process like response to a stimulus. Even in the lowest level, human act has meaning. Meaning is not personal at all. Thus human memory is also not personal. In other words, human memory is essentially cultural. It is a distortion of original meaning to regard human memory as a mechanical process. Furthermore, memory is not different to imagination, or rather, memory is closely akin to imagination. In this sense, distorting original meaning of memory is linked directly with the distortion of imagination. The externalization of human memory like Mylifebits is originally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human and digital media in order to augment human cognitive ability. Thus, if we want to accomplish this original intention, we must start from the true understanding of that ability.

      • KCI등재

        인간-기술 네트워크에 의한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연구: 피에르 위그의 <제 3의 기억>을 중심으로

        유원준 한국영상문화학회 2022 영상문화 Vol.- No.41

        본 연구는 인간 주체의 고유한 내재적 과정으로 간주되었던 지각 및 기억의 과정이 인간과 기술의 상호 협력적 네트워크로부터 구성될 수 있음 을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피에르 위그의 1999년작 <제 3의 기억 The Third Memory>을 중심으로 근대의 이분법적 구분으로부터 수동적 객체로 인식되었던 비인간 사물이 어떠한 지점에서 적극적 행위자의 입장으로 인간의 지각 과정에 침투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브루노 라투르를 위시한 과학-철학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중심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의 네트워크를 강조하는 ANT 이론은 기술과 같은 기술적 대상을 인간처럼 행위능력을 가진 행위자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ANT가 제기한 이러한 논점들은 인간과 기술과의 관계를 혼성적 관계로 파악했던 몇몇 기술 철학자들의 논의와 연결된다. 이들 중 질베르트 시몽동과 베르나르 스티글레르의 논의는 인간과 기술 간의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을 사유하게 만드는데, 스티글레르의 경우 인간의 지각과 기억의 문제에 기술이 개입될 수 있음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며 후성적계통발생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 주체의 지각과 기억이 기술적 대상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재화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라투르를 경유하여 시몽동과 스티글레르의 논의로부터 구체화되는 인간 주체의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과정을 추적한다.

      • KCI등재

        民國시기 재난에서 민간신앙과 정치

        박정현 중국사학회 2022 中國史硏究 Vol.- No.141

        This paper analyzes the role that folk beliefs played during disasters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and how the externalization of disasters combines with political objectives.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folk beliefs were used as a means for the state to manage and control local communities. Since the modern era, the influx of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knowledge has led to an objective recognition of natural phenomena. Folk beliefs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era were criticized for superstition and unscientific practices. When a disaster occurred, it was required to respond with scientific grounds and methods, not superstition. In 1928, the Nanjing National Government abolished popular religious worship as a national policy. As a result of these measures, various deities that the people believed in lost their legal status, and traditional folk beliefs were severely withered. However, during this period, as natural disasters and war continued, the people still relied on God in various ways. The Nanjing National Government, which aimed to become a modern nation, recognized disasters as a national responsibility. The government tried to prevent and deal with disasters in a scientific way based on scientific understanding of disasters. The government has internalized disasters, recognizing that disasters are objects that humans can overcome, not genius disasters. However, due to continued disasters and lack of financial resources, the Nanjing National Government was unable to practice the internalization of disasters. Even during the period of the Nanjing National Government, disasters were still recognized as genius disasters and externalized. This allowed the government and bureaucrats to avoid responsibility, and folk beliefs still performed their former functions with the government's acquiescence. Since the modern era,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has spread,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s set the goal of establishing a Western-style modern nation-state. However, folk beliefs did not fit in with this and were cured by superstition, becoming the object of overthrow. 본 연구에서는 민국시기 재난 때 민간신앙이 했던 역할과 재난의 外在化가 정치적 목적과 어떻게 결합하는지 분석했다. 또한 미신과 과학이 재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중국 전통사회에서 민간신앙은 국가가 지역사회를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근대 이후 서구 과학지식이 보급되면서 중국정부는 서구식 근대 민족국가 수립을 목표로 설정했고, 민간신앙은 이에 부합하지 않아 미신으로 치부되어 타파 대상이 되었다. 근대 이후 국가는 민중의 불만을 완화시키고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민간신앙을 이용하고 재난을 외재화 했다. 관료들은 재난을 정치적 안정을 위해 이용했다. 중국 정부는 미신을 타파하는 것과 공동체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이중의 목적을 달성할 필요가 있었다. 근대 이후에도 민간신앙은 여전히 관료와 민중에게 일정 정도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재난 구재 과정에서 과학과 미신의 경계는 불분명했고 양자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었다.

      • KCI등재

        문화 콘텐츠의 창조,활용 프로세스 특성과 전략적 적용

        김지희,이윤철 한국경영학회 2008 經營學硏究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suggestions to apply the logic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core competence to cultural content strategically through establishing the analysis framework about the process of creating and utilizing content. The creating process for exploring new cultural content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ransformation and ‘transmutation’. While the former does not change the fundamental attributes of existing content, the latter alters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through synthesizing over two different components. ‘transformation’ can be seen in the movie ‘Tazza’ (Korean gamblers) produced based on the cartoon ‘Tazza’ while sticking to the original scenario. On the contrary, as the case of ‘transmutation’, the musical ‘Lion King’ can be seen as a creation of integration of multi-source though its synopsis is borrowed from Shakespeare’s Hamlet. This example indicates that incorporating multiple sources of content implicitly is a more effective way to create new content. The way of using cultural content is classified as direct or indirect. The direct use of contents is the ‘expansion’ way which is re-using the original content in the value-added products markets. The velocity of expansion process based on the one source multi-use is accelerated and the range of it is also broadened as the digital technology is developed. Using the exampla of SKT that They extended the usage range of cultural content rapidly by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indirect usage of cultural content is divided into two type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The former is incorporates the different values into the original content. PPL(procuct placement), indirect advertisemen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ypes of internalization’. In the case of PPL, the indirect exposure is more effective than the direct one. The ‘externalization’ is materialized as character products, theme park, movie tour. etc. When the intangible cultural contents are materialized, from the planning stage it is important to set up clear and broader area of commercialization. Given the above discussion, it can be derived the strategical implication that cultural content should be incorporated with multiple sources from creating process and be multi-used by direct or indirect to achieve more effective result. 본 연구는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 논리를 문화 콘텐츠에 적용하여 콘텐츠가 창조되는 프로세스와 활용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 틀을 정립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탐색하는 창조 프로세스는 존재하는 콘텐츠 원형의 본질적인 속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변형(transformation)방식과, 둘 이상의 콘텐츠 원형이 결합되어 기존의 속성이 변하게 되는 변성(transmutation) 방식으로 구분된다. 변형방식은 만화 ‘타짜’가 영화로 제작되는 것과 같이 기존 콘텐츠 원형의 본질은 유지되면서 외형만 재창조되는 경우이다. 이경우 콘텐츠 원형이 지닌 핵심요인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콘텐츠로 재결합될 때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변성방식은 기존원형의 속성 자체가 변하는 경우로, ‘라이언 킹’은 전체적인 줄거리는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차용했지만 다양한 원천(multi source)이 결합되어 새로운 창조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 보다 다양한 콘텐츠 원형이 암묵적으로 재결합되어 새로운 콘텐츠를 구성할수록 효과적이다. 문화 콘텐츠의 활용방식은 직접적인 활용과 간접적인 활용으로 구분된다. 직접 활용은 콘텐츠의 원형을 그대로 부가시장에서 재활용하는 확장(expansion)방식이다.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에 근거한 확장과정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할수록 활용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범위가 점차 넓어지게 된다. 이는 콘텐츠의 활용영역을 디지털 기술로 급속히 확장해 나가는 SKT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 콘텐츠의 간접 활용은 원형에다른 차원의 가치를 내재화(internalization)시키는 방식과, 원형을 오프라인으로 외재화(externalization)시키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내재화의 대표적인 유형은 PPL(product placement)과 같은 간접광고이다. 이 경우 직접적인 노출 보다는 간접적인 노출이 보다 효과적이다. 외재화는 캐릭터나 테마파크, 영화관광 등의 모습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 무형의콘텐츠를 유형화시키는 기획 단계부터 상품화시킬 영역을 명확히 설정할수록, 그리고 그 영역이 넓을수록 효과적이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면 문화 콘텐츠는 창조되는 과정에서 멀티소스를 적절히 결합해야 하고, 활용되는 과정에서는 직 간접적으로 멀티유즈(multi use) 되어야 보다 효과적이라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위탁가정 모자 이야기치료 사례 연구

        이경욱 한국가족치료학회 2007 가족과 가족치료 Vol.15 No.1

        본 연구는 친인척 위탁가정의 모자와 이야기치료 기법으로 상담한 사례 연구이다. 8회의 상담을 통해 모자는 위탁아동의 훔치기와 거짓말로 인한 위탁해지 위기를 극복하였다. 본 연구 사례에서는 이야기치료, 특히 외재화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아동이 큰엄마 식구와 한 가족이 되기를 원치 않는 ‘욕심쟁이’의 책략으로 외재화시켰다. 아동과 욕심쟁이가 분리되면서 아동과 위탁부모가 욕심쟁이를 물리치기 위하여 협력하고, 문제에 대처하는 아동의 경험이 늘었다. 또한 큰엄마는 위탁양육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태도와 아동의 대한 불신으로 엮이는 위탁입양에 대한 문제중심의 이야기를 해체하였다. 이야기치료를 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이 거의 사라졌고, 모자간의 긍정적 상호작용도 증대하였다. 그 결과 큰엄마는 아동을 위탁 양육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야기치료가 아동과 가족상담, 특히 문제가 사람과 동일시되어 갈등이 심한 가족관계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시스템 폭력’의 두 양상: 한병철과 슬라보예 지젝

        김진환(Kim, Jinhwan)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34 No.-

        인간은 ‘세계 내로 던져진 존재’다. 세계라는 공간으로 내던져진 인간은 ‘감독’이기보다 ‘배우’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이 글은 세계와 외부적 거리를 유지할 길 없는 우리가 세계 자체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을까에 대한 문제의식을 ‘폭력’이라는 키워드와의 관련 하에 풀어내 보고자 한다. 한병철의 세계는 부정성이 아니라 긍정성의 세계다. 신자유주의는 모든 선택을 가능한 것으로 제시한다. 긍정성의 논리는 자본의 논리와 결합해 ‘가능한’ 선택을 끊임없이 ‘할 수밖에’ 없도록 만든다. 성과사회의 자유는 주체의 자기 파괴적 우울을 먹고 사는 시스템 폭력과 동의어다. 반면 지젝의 세계는 여전히 부정성에 기초한다. 성과사회 내에서도 계급분화는 지속된다. 시스템 폭력은 계급적 폭력을 지속생산하는 틀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비가시적으로 도처에 존재한다. 자기착취를 ‘용인’하는 긍정성의 폭력, 계급 폭력의 토양으로 작동하는 부정성의 폭력은 오늘날 ‘세계화 사회’가 경험하는 폭력의 두 층위를 역설한다. Mankind is ‘thrown’ into the world. This condition of being ‘thrown’ makes us more of an actor/actress than a director. This article speculates on how we, who do not have access to the world from outside, are able to think of the world itself with the word; ‘violence’. Han’s world is based on positivity. Neoliberalism presents all choices as being possible. The logic of positivity unites with the logic of capitalism which leads to us having no other option than to endlessly make ‘possible’ choices. Performance society’s freedom is a synonym of systemic violence that feeds on the subject’s self-destructive depression. Žižek’s violence is still founded upon a form of negativity. Class differentiation has never disappeared. Systemic violence is everywhere but remains invisible to all. It functions as an ever-sustaining background for class violence. The violence of positivity that ‘allows’ self-exploitation and the violence of negativity that operates as a frame both stress two different aspects of the systemic violence the ‘global world’ is witn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