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복잡성 완충효과 연구 개관 및 향후 연구방향

        김성호,김완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e represent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self-concept is the buffering hypothesis of self-complexity by Linville(1987). She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whose self-aspects are diverse and heterogeneous are mentally healthier than those individuals who are not. Unlike her hypothesis, however, the following studies did not report consistent results with her study. Most of previous studies on self-complexity focuses on the empirical aspects examining the buffering effect of self-complexity, and there has been no review article that summarized self-complexity studies. This study reexamines the conflicting results from the studies on the buffering effects of self-complexity and analyzed domestic and overseas articles published up to recent with 3 categories(buffering effect, measurement, moderating variable) in order to solve such conflicts. As the methodology, this study reviewed the domestic and overseas self-complexity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hat addressed buffering effects of self-complexity, measurement and moderating effect and classified them with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proposed by Koch and Shepperd(2004).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sults on the above 3 categories, this study proposed the causes for the inconsistent results in the study on the buffering effects of self-complexity, future study directions and implications. 자기개념의 구조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Linville(1987)의 자기복잡성 완충가설을 들 수 있다. 그녀는 연구를 통해 자기상이 다양하고 이질적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정신적으로 건강함을 밝혔다. 그러나 그녀의 주장과 달리 후속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일관된 결과가 보고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 자기복잡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자기복잡성의 완충효과를 알아보는 경험연구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자기복잡성 연구들을 종합하여 개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복잡성 완충효과에 대한 상충된 연구결과들을 재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까지 발표된 국내외 논문을 세 가지 범주(완충효과, 측정, 조절변인)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자기복잡성과 관련된 국내외 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논문에서 자기복잡성의 완충효과와 측정 및 조절효과를 다룬 논문을 일차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Koch와 Shepperd(2004)가 제시한 범주화 방식을 참고하여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세 가지 범주에 관한 선행연구의 내용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기복잡성 완충효과에 관한 일관성 없는 연구결과의 원인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박미진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2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여성노인이 지각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분석하여 이들이 우울의 보호요인이 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이면서 치매와 같은 인지손상장애를 진단받지 않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18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주효과분석에서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능력이 낮을수록, 스트레스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강점지각정도가 낮을수록, 가족지지가 낮을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노인의 우울에 대한 강점과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분석에서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하지 않은 반면 스트레스와 강점지각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강점의 완충효과를 지지하였다. 이는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가 강점지각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높은 강점의 지각은 스트레스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노인의 우울관리나 예방을 위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강점의 지각과 같은 긍정적인 자기인식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적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효과에 관한 이론 및 방법론적 고찰

        김미령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1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에서 클라이언트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만장일치된 개념정의는 없지만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포괄적으로 개념정의를 할 때 방대한 사회적 지지의 다면성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수혜(receiving) 뿐 아니라 제공(giving), 또한 수혜와 제공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심리적 복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느냐 혹은 스트레스상황에서 실제로 사용하느냐에 따른 영향도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갖고 있다.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는 크게 직접효과와 완충효과로 나뉘며 사회적 지지의 유형과 범주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개념정의와 조작정의에 따라, 어떠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유념하여 사회적 지지의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기위해 연구자는 개념정의, 조작정의, 방법론상의 문제 즉 디자인, 샘플, 측정방법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the client and has been acknowledged widely as an effective component of well-being. In spite of the lack of a unanimous definition of social support,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ocial support. Not only the receiving social supportbut also the giving social support and the reciprocity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influencing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it is perceived or actually received.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is a dynamic process which connects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social support. Perceived and enacted social support are the dimensions of this social support transac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are defined as follows: the main or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ain or moderating effect depends on the type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To fin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support, especially moderating effect, the methodological issues such as designing, sampling, measurement must be considered.

      • 알코올 중독자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고찰

        이봉재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1

        1970년대 이래로 사회과학과 행동과학 분야에서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된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회적 지지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대상에 걸쳐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음이 실증적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한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 모델 및 완충효과 모델을 알코올 중독자의 건강과 삶에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주효과 모델과 완충효과 모델이 이론적으로 가정한 사실들이 다양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 모델과 완충효과 모델을 알코올 중독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적용함에 있어서 지지를 제공하는 출처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사회복지사들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사회적 체계 속에 구체적으로 개입하여 그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따라서 알코올 중독자들의 삶 가운데서 주고받는 사회적 지지의 내용과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지식은 알코올 중독자들이 처한 어려움들을 극복하도록 돕는 일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Since the 1970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have used the term social support to refer to social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health and well-being. Previous studies on the health effects of social support have consistently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enhanc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various populations.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potential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development of substance use problems.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two models of social support as it applies to the negative influences that are relevant to an individual's health and well-being.This study adds to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about the impacts of social support on individual health and well-being of alcoholics.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perceive and engage different kind of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better knowledge about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that may be critical for more effective support-based. Social workers have the potential to empower the clients to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perceive and engage different kinds of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better knowledge about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that may be critical to informing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support-based interventions.

      • KCI등재

        사회적 지원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에 대한 태도의 관계 -항공 서비스 산업에의 시사점-

        이월란 ( Yue Lan Li ),권성우 ( Seung Woo Kwon ),박지혜 ( Ji Hey Park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직무스트레스(역할갈등, 역할모호)가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사, 동료의 지원을 포함하는 조직 내부의 사회적 지원이 이들 변수들과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즉, 사회적 지원이 완충효과, 예방효과, 그리고 대처 효과 중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102명의 다양한 산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실증 결과를 토대로 결과를 도출 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내부의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직무스트레스 자체를 줄여주거나(예방효과), 직무스트레스가 존재하더라도 직무만족과 정서적 조직몰입을 높이는 역할(대처효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 내부의 사회적 지원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사이의 부정적 관계를 조절하지는 못 하였기 때문에 완충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가 항공 서비스 산업에 줄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es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employee`s job attitudes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erning the function of social supports from supervisors and co-workers in companies. We hypothesized the effects of internal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s into three ways: Buffering, preventing, and coping effects. As we expected, the perception of internal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s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es (preventing effects) and job attitudes (coping effects). However, it did have buffering effect in that i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attitudes.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for aviation service industry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ESG 명성의 책임: ESG 우수기업의 위기 대응 전략에 대한 연구

        유재미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기업의 ESG 명성이 위기 상황에서 방패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기업 대응 전략과 함께 탐색했다. 기존연구는 위기 시 나타나는 사전 명성의 효과를 탐색함에 있어 기업 대응전략에 대한 고려없이 위기 직후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기업은 위기상황에서 무대응 포함 대응을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연구는 위기 후 기업 대응이 실행되고 나서 ESG 명성으로 인한 완충 효과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기업 대응에 따라ESG 명성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탐색했다. 대응전략은 위기 책임을 수용하는 정도로 조작했다. 실험을 통해, 기업의 위기 대응 후 ESG 우수성이 기업 평가에 미치는 효과, 책임수용 대응 전략의 효과 그리고 기업의 책임수용정도에 따라 ESG 우수성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와 그 이유를 탐색했다. 연구결과, 기업 대응을 함께 고려하게 되면 사전 ESG 우수성만으로 기업 태도 하락을 완화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위기 대응 전략은 독립적으로 기업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위기 책임을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대응은 낮은 대응 대비 기업 태도 하락을 감소시켰다. ESG 우수성과 대응전략을 함께 고려했을 때, ESG 우수성의 효과는 책임수용 전략에 따라 달라졌다. ESG 우수기업이 책임을 수용하는 대응을 하면 위기 전 대비 대응 후 기업 태도는 유지되지만 책임수용이 낮은 대응을 하면 ESG 우수기업이라도 ESG 열등기업과 마찬가지로 기업 태도가 하락했다. ESG 우수기업이 책임 수용 대응으로얻는 효과는 ESG 열등기업 대비 더 작게 나타나고 책임수용이 낮은 대응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는 열등기업과 유사했다. ESG 우수기업의 책임수용 정도에 따라 기업 평가가 달라지는 이유는 사전 ESG에 대한 기대 위반 때문인것으로 나타났다. ESG 우수기업의 책임수용이 낮은 대응은 ESG 우수성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를 깨뜨려ESG 평가를 낮추게 되고 이는 기업 태도 하락을 가져온다. ESG 우수기업이 위기 충격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하고ESG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명성에 걸맞는 책임있는 대응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간의 관계 분석: 상장 제조기업 분석을 통한 외환위기 전 · 후 비교

        신선우 한국개발연구원 2006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28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the real buffer effect that reflects the effect of beginning-of-period inventory stocks effect on the demand for fixed investment, and the financial buffer effect indicates the substitution effect between end-of-period inventory stock and the source of financing for fixed investment. I use panel data of 361 Korean listed non-financial firms during 1990-2003. After the crisis, it also observ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stocks and fixed investment has altered or not. I review the theoretical connection between inventory stock and fixed investment through the paper by Bo(2004) and estimate the investment model by the method of GMM-SYS. The results show negative relation between end-of-period inventory stock and fixed investment in the whole period and each period classified, also it confirms that the relation between fixed investment and end-of-period investment is significantly negative. It can be interpreted through two aspects that firms not only use inventory stock as a buffer in response to unexpectedly high demand, but also utilize inventory stock as a source of financing for fixed investment. The results imply that firm's decision-making is much correlated with production- and-inventory stock adjustment, decision-making about fixed investment, and decision-making about financial affairs. 본 연구는 기초재고스톡이 고정투자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실질완충효과(real buffer effect)’와 기말재고스톡과 고정투자를 위한 자금조달 원천 사이의 대체효과를 반영하는 ‘재무적 완충효과(financial buffer effect)’가 존재하는가를 1990~2003년 기간 동안 361개 상장 제조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간의 관계가 외환위기 전·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아울러 살펴보았다. 먼저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간의 이론적인 연관성을 Bo(2004)의 논문을 통해 살펴본 후, Dynamic GMM-SYS 방법을 이용하여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검정하였다. 전체 기간 및 기간 구분에 따른 추정결과는 기말재고스톡이 고정투자와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기초재고스톡이 고정투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기업은 예상치 못한 높은 수요에 직면했을 때 재고스톡을 완충장치(buffer)로 이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투자를 고정투자를 위한 재원의 대비책으로 보유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기업의 의사결정은 생산 및 재고스톡 조정 그리고 고정투자에 대한 의사결정과 재무적 의사결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범죄전이효과와 이익의 확산효과 측정에 관한 소고 : 범죄전이지수(WDQ)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이윤호(Lee Yoon Ho),김연수(Kim Yeon S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2

        In making a precise evaluation of determining the criminal control strategy's success or failure, crime displacement effects and diffusion effect of crime control have been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Furthermore, It has been a very difficult problem valuating a mutually opposite effects in the same time. However, it seems that the WDQ (Weighted Displacement Quotient) formula which was designed by Bowers and Johnson in 2003 is an useful mean to assess the effects of crime control program. In this inquiry, the principle, analysis process and analytical method of WDQ formula is being introduced. In addition, through many kinds of instances which were applied to WDQ, the possibility of being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criminal control strategy was scrutinized. First, for the WDQ applied research, Bowers and Johnson's inquiry was introduced and previous researches were rearranged by the standard of analytic method of microscopic-level and macroeconomic-level. Macro-economic-level research means the level of analysis data that use an unit of a wide area like an administrative district as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area like experimental area and transitional area, and macro-level research is establishment of each area that established in a residence unit or area within less than radius of 100m. Through this standard, some limitations in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inquiry instances were pointed out, and the 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in using WDQ formula was mentioned. ① The pertinent establishing range of experimental area and buffer area should be confirmed. ② The establishing shape of an experimental area and buffer area should go through a reasonable judgment. ③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geographical analytic method should be considered. ④ For the rate of a crime which used as an analysis index, the inquiry subject should be considered. ⑤ It is useful to have an analysis about the types of a crime. ⑥ The interpretation of an analysis result from focal points of the researchers should be done precisely. The practical use of WDQ formula is not active yet, but, as an useful mean of evaluating crime control strategy, it has a very high application value, so it will be beneficial to have a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after all. 범죄통제 전략의 성패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범죄전이효과와 범죄통제이익의 확산효과는 정확한 평가를 방해하는 문제로서 주된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또한 서로 상반되는 범죄전이효과와 범죄통제 이익의 확산효과를 동시에 평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2003년 바우어스와 존슨에 의해 고안된 "범죄전이지수(WDQ: Weighted Displacement Quotient)" 공식은 범죄통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WDQ 공식의 원리와 분석과정 및 해석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를 하고 있다. 또한 WDQ가 적용된 각종 연구사례를 통해 범죄통제 전략의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검토를 해보았다. 우선, WDQ를 적용한 연구에 대해 바우어스와 존슨의 연구를 소개하고, 거시수준과 미시수준의 분석방법을 기준으로 선행연구들을 정리했다. 거시수준의 연구란 분석자료의 수준, 즉 실험지역과 전이지역 및 통제지역의 설정이 행정구역 등 광역단위를 사용한 것이고, 미시수준의 연구란 각 지역의 설정이 주택단위 또는 동심원의 반경이 200m 미만으로 설정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연구사례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하고, WDQ 공식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 언급했다. ① 실험지역과 전이지역의 설정범위의 적절성이 확보될 것, ② 실험지역과 전이지역의 설정형태는 합리적인 판단을 거칠 것, ③ 지리학적 분석기법의 응용을 고려할 것, ④ 분석지표로 사용되는 범죄율에 대해 연구대상을 고려할 것, ⑤ 범죄유형을 고려한 분석이 되도록 할 것, ⑥ 연구자의 초점에 따른 분석결과 왜곡된 해석에 주의할 것 등이 그것이다. WDQ 공식의 응용이 아직은 활발하지는 않지만 범죄통제 전략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그 활용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추후에 심층적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 KCI등재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간의 관계 분석: 상장 제조기업 분석을 통한 외환위기 전·후 비교

        신선우,Shin, Sunwoo 한국개발연구원 2006 韓國 開發 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기초재고스톡이 고정투자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실질완충효과(real buffer effect)'와 기말재고스톡과 고정투자를 위한 자금조달 원천 사이의 대체효과를 반영하는 '재무적 완충효과(financial buffer effect)'가 존재하는가를 1990~2003년 기간 동안 361개 상장 제조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간의 관계가 외환위기 전 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아울러 살펴보았다. 먼저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간의 이론적인 연관성을 Bo(2004)의 논문을 통해 살펴본 후, Dynamic GMM-SYS 방법을 이용하여 재고스톡과 고정투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검정하였다. 전체 기간 및 기간 구분에 따른 추정결과는 기말재고스톡이 고정투자와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기초재고스톡이 고정투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기업은 예상치 못한 높은 수요에 직면했을 때 재고스톡을 완충장치(buffer)로 이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투자를 고정투자를 위한 재원의 대비책으로 보유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기업의 의사결정은 생산 및 재고스톡 조정 그리고 고정투자에 대한 의사결정과 재무적 의사결정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the real buffer effect that reflects the effect of beginning-of-period inventory stocks effect on the demand for fixed investment, and the financial buffer effect indicates the substitution effect between end-of-period inventory stock and the source of financing for fixed investment. I use panel data of 361 Korean listed non-financial firms during 1990-2003. After the crisis, it also observ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stocks and fixed investment has altered or not. I review the theoretical connection between inventory stock and fixed investment through the paper by Bo(2004) and estimate the investment model by the method of GMM-SYS. The results show negative relation between end-of-period inventory stock and fixed investment in the whole period and each period classified, also it confirms that the relation between fixed investment and end-of-period investment is significantly negative. It can be interpreted through two aspects that firms not only use inventory stock as a buffer in response to unexpectedly high demand, but also utilize inventory stock as a source of financing for fixed investment. The results imply that firm's decision-making is much correlated with production-and-inventory stock adjustment, decision-making about fixed investment, and decision-making about financial affairs.

      • KCI우수등재

        노인의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개발과 완충효과 검증

        홍혜전(HongHye-je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1

        이 연구는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적용 및 완충효과 검증 단계로 서울시에 위치한 M1과 M2 노인복지관에 개설되어 있는 주간보호시설 참여 노인 총 4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들의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무작위로 M1노인복지관 노인 20명을 실험군으로, M2노인복지관 노인 20명을 통제군으로 배치하였다.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활동은 2016년 3월 14일부터 2016년 5월 30일까지 12주간, 주 2회, 60분간 수행하였다. 측정도구는 MMSE-K와 K-MBI, GDS-K를 사용하였다.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치매행동 참여 전과 참여 후 총 2회를 측정하였으며 SPSS-PC(versio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첫째, 실험군과 통제군의 동질성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둘째, MMSE-K와 K-MBI, GDS-K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대응표본 t-검증, 셋째, 사전·사후 간 변화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은 인지능력의 변화(MMSE-K), 신체능력의 변화(K-MBI), 우울수준의 변화(GDS-K)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of the Wholeness Program relevant to dementia behavior and verification of buffering effects. For the purpose of this, among those who were attending Day Care Centers belonging to Seniors Welfare Center of M1 and M2 located in Seoul. Among those who met all these requirements, 40 senior citizens were finally selected. After carrying out a preliminary test to the selected subjects, 20 elderly of Seniors Welfare Center of M1 were randomly plac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ile other 20 people of Seniors Welfare Center of M2, as a control group. The Wholeness Program relevant to dementia behavior was carried out from March 14 to May 30 of 2016, for 12 weeks, twice a week. As for the measurement tool, this study depended on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and the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 While the elderly were participating in the Wholeness Program relevant to dementia behavior, they were measured two times in total,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dementia behavior. Based on SPSS-PC (version 21.0), firstly,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ly, matched-pair t-test was carried out between preliminary test and post-test to inquire into the effects of MMSE-K, K-MBI and GDS-K. Thirdly, ANOVA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riation (change amount) between preliminary test and post-tes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Wholeness Program relevant to dementia behavior of the elderly shows overall effects in all spheres of changes of cognitive ability (MMSE-K), changes of physical capacity (K-MBI) and changes of depression level (GD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