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옐름슬레우 기호학의 학문론적 모순성에 관한 몇 가지 고찰

        임상훈 ( Sang Hoon Rim ),김신 ( Shi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5 언어와 언어학 Vol.0 No.68

        Hjelmslev`s glossematical project proposiNg algebraic rigor gave a title of autoNomous scieNce to liNguistics iN relatioN to other discipliNes such as philosophy amoNg others aNd also its autheNtic object. However iN the iroNic side, his theory of laNguage would Not give sigNificaNt allocatioN iN liNguistics after his death but it`s rather semiotics whose object goes out to the ≪NoN-liNguistic sigN≫ that its theoretical iNspiratioN bloomed. Is his glossematics Not made for a strict theory appropriated to Natural laNguage? Is there aN epistemological cohereNce betweeN the liNguistics aNd the semiotics? We propose iN this research observiNg what HjelmsleviaN coNtributioNs attributed to moderN semiotics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demoNstratiNg iN what respect moderN semiotics could Not have them as epistemological basis.

      • KCI우수등재

        들뢰즈와 시몽동

        이찬웅(Chan-Woong Lee)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들뢰즈와 과타리는 『천 개의 고원』의 「도덕의 지질학」에서 물리-화학적 수준, 유기적 수준, 문화-기술적 수준에 대해 발생론적이고 내재론적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고대 아리스토텔레스나 독일 관념론이 초월적 형상이나 이념에 호소했다면, 들뢰즈-과타리는 지구라는 새로운 자기-원인이 세 가지 지층을 어떻게 차례로 생산하는지 보여준다. 각 지층은 내용과 표현의 상호 관계를 통해 규정되는데, 상위의 지층으로 갈수록 내용과 표현 사이의 독립성이 커져서, 언어와 기술의 수준에서는 완전히 독립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들뢰즈는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이 내재론적 사유에 필요한 자연철학적 범주들과 발생론적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의 결정화 모델은 물질의 이질적인 특성과 준안정적인 에너지로부터 형태가 발생하는 장면을 생생하게 그려보여준다. 그리고 이렇게 원초적으로 발생한 형태가 다양한 유형의 환경 사이의 상호 관계 속에서 복잡성과 독립성을 획득해 가는 원리를 설명한다. 들뢰즈와 과타리는 시몽동의 이론을 자신들의 고유한 체계 안에 배치하면서 대지와 영토의 운동이 서로 다른 수준의 개체들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그것들이 근본적으로 연동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군바바』와 북한의 "역사 새로 만들기" 프로젝트

        박태상 ( Tai Sang Park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김정일이 사실상 권력의 전면에 부상한 197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역사 새로 만들기`가 진행되었다. 그중 눈에 두드러진 것만 해도 김일성의 항일혁명사 정리, 고고학적 성과와 발해사 연구, 삼포왜란에 맞선 민중들의 투쟁 역사 연구, 실학파의 실용적 사상에 대한 천착, 샤먼호를 격침한 민중들의 힘과 결집력 분석, 갑오농민전쟁 연구 및 형상화, 갑신정변에 대한 새로운 해석, 3·1운동의 성격과 실패 원인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특히 김정일 시대를 상징하는 역사적 저술로는 33권으로 편찬된 『조선전사』가 있다. 집체창작을 통해 새로운 주체적 역사인식의 기틀을 다진 다음에 북한 노동당은 인민대중들의 자주성 확보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주체적 역사를 토대로 한 문학작품과 각종 예술작품을 대량으로 창작하여 인민대중들의 계급교양을 강화해야 한다고 예술가들을 채찍질하였다. 『군바바』도 인민들의 계급교양 강화를 위해 창작된 장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조선군대를 강제로 해산하여 조선을 일제의 속국으로 떨어뜨리려고 하는 일본 통감부의 이토 히로부미 통감과 친일파 대신 이완용의 흉계를 깨닫고 조선 군대의 자존을 세우고 민족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고 한 신세대 군인들의 항일투쟁의 의병활동을 심층적으로 다룬 소설이다. 김혜성의 『군바바』에서의 종자는 주체적 인간의 자주적이고 의식적인 행동에 자리 잡고 있으며, 작품에서 민중들의 항일 무장투쟁은 결국 김일성의 항일 빨치산 투쟁을 떠올리게 하면서 형상화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그 행동은 바로 민족의 자위를 위한 항일투쟁의 실천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북한은 모든 예술창작물 사이의 `간텍스트성`을 중시하는 문화정책을 펴왔다. 그것은 집체창작의 원리이기도 하고, 인민대중에 대한 교양적 선전선동을 중시하는 수령의 영도의 원칙중 하나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사례가 『피바다』와 『꽃 파는 처녀』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군바바』에서 가장 중요한 서사적 동선은 남상덕, 권기홍 그리고 박좌수로 이어지는 연결선으로 그들이 동지적 연대감을 통해 결속하고 결국 일제의 조선군대 해산을 통한 복속공작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몸을 던져 투쟁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꽃 파는 처녀』에서는 "꽃"이 가장 중요한 핵심적 종자역할을 한다면, 『군바바』에서는 박좌수가 추는 "군바바춤"이 그 역할을 떠맡는다. 군무의 삽입은 애국심을 추동시키고 주인공들의 장렬하고 고상한 품성의 숭고미를 연출하기 위한 기법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체상 특징은 하나의 장편소설을 대본으로 하여 혁명연극과 혁명가극 그리고 주체적 예술영화를 동시에 창작해 내는 북한식 공연예술의 한 특징으로도 볼 수 있다. 『군바바』는 새롭게 역사의 주체를 이루게 된 민중계층의 힘의 원동력을 찾아가는 이야기인데, 그 촉발 매체로 "군바바춤"이라고 하는 전통춤을 삼고 있는 점이 독특한 현상이다. 따라서 『군바바』도 연극과 영화 등의 다양한 장르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작품이다. New history movement has been in the steady progress since Kim Jeong-il appeared on the front of virtual power in the middle of 70s. There are many prominent outcomes from the New History Movement : Kim Il-sung`s History of Anti-Japanese Revolution, studies on the archaeological results and history of Balhae, studies on the history of People`s anti-Japanese resistance at the Battle of Sampo, researches on the practical ideas of the Realistic School, analyses of the People`s power and cohesion with which they repulsed Ship of Sharman, studies on Agrarian Resistance of Gabo and shaping, the reinterpretation of the Kapshin coup, studies on the meaning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reason why it failed, etc. Above all, the symbolic historical work which represents the era of Kim Jeong-il is 「the War History of Josun」 which was published in 33volumes. Through the aggregatory creation the Labour Party of North Korea established a firm base for the historical concept of the new Juche ideology and then under the plausible excuse for insure the people`s independence they urged the artists to mass produce lots of creation of literature and various kinds of art on the historical basis of Juche ideology so they could consolidate the class culture of the people. 「Gunbaba」 is also created to strengthen the people`s class culture. This work deals with the in-depth stories about the anti-Japanese struggles of the new generation of loyal troops, who realized the evil plots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to Hirobumi and the pro-japanese secretary Lee Wan-Yong who dismissed Korean soldiers by force and intended to put Korean sovereignty to Japanese control, and who established the self-esteem of the Josun troops and settle the national problems by their own efforts. The main feature of "Gunbaba" of Kim Hye-sung is that it placed focus on the independent and conscious activities done by the characters with their own willingness, and the armed anti-Japanese struggles done by the people are finally shaped overlapping with the activities of Kim Il-sung`s anti-Japanese guerrilla troop. It can be also said that the activities are exactly the exercises of the anti-Japanese struggles for their national self-defense. North Korea adopted the cultural policy which took a serious view of `the intertextuality` among every work of art. It is a principle of aggregatory creation and also a leading principle of the chief who likes the cultural propaganda campaign among the people. The typical models are "Sea of Blood" and "A Girl Selling Flowers". The most important descriptive story line is the process of the struggles among connecting links of Nam Sang-duk, Kwon Ki-hong, and Park Jwa-su in which they are connected in the sense of common solidarity and finally dare to throw themselves into the anti-Japanese struggles despite of the Japanese colonialists` evil maneuvering through the dismission of the Josun troop. While "the Flower" in "A Girl Selling Flowers" is the most important core word, In "Gunbaba" "the Dance of Gunbaba", which Park the chief of the county performs, puts on its role. It seems that the insertion of the military dance assumes the role that inspires the patriotism into the hearts of people and represents the heroic and elegant loftiness of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The feature of the literature style represents the one of the North Korean art-performance styles which create the revolution-drama and revolution-musical and the independent art-picture at the same time with one scenario adapted from a long-story novel. "Gunbaba" is the story about the people who constitute the main body of the new history and finally become to find the motive power and it`s particular point that they use "the Dance of Gunbaba", the traditional dance as a catalyst. Therefore, Gunbaba is the work with great potentiality to be adapted to the other several genres such like drama and picture, etc

      • KCI등재

        들뢰즈의 영화기호론 (I): 운동-이미지 시스템의 기호학적 변용

        윤혜경 한국미학회 2023 美學 Vol.89 No.1

        This study scrupulously analyzes Gilles Deleuze's recapitulation of the semiotic system of the movement-image and proposes that his semiotics is a transformation of the established semiotic discourses of Peirce, Pasolini and Hjelmslev. Based on Bergson's ontology and Peirce's semiotics, Deleuze's semiotics of the cinema has been placed as an alternative to the linguistic semiotics of Christian Metz. Semiotic discourses of Pasolini and Peirce in the system of the movement-image have been adopted to overcome Metz's linguistic model, but ended up transforming into a model of the semiotic explanation of Bergsonian movement-image. An alternative to Metz's semiology is constituted by making a detour to Hjelmslev's concept of material (purport). Deleuze's semiotics, uniquely constructed through semiotic transformations, is established by taking the concept out of Hjelmslev's semiotic terrain as the underlying core of the sign system. 본 연구는 질 들뢰즈가 운동-이미지의 기호 시스템을 약술한 사항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의 기호론이 퍼스와 파솔리니, 옐름슬레우의 정립된 기호학적 담론을 변용한 것임을 밝힌다. 베르그손의 존재론과 퍼스의 기호학을 기반으로 한 들뢰즈의 영화기호론은 크리스티앙 메츠의 언어학적 기호학에 대한 대안으로 정초되었다. 들뢰즈의 운동-이미지 시스템 속에서 퍼스와 파솔리니의 기호 담론은 메츠의 언어 모델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베르그손적 운동-이미지의 기호론적 설명 모델로 귀착된다. 메츠의 기호학에 대한 대안은 옐름슬레우의 질료 개념을 우회하여 형성된다. 여러 기호학적 변용을 통해 독자적으로 구성된 들뢰즈의 기호론은 옐름슬레우의 기호 토양 바깥의 개념을 기호 시스템의 기저의 핵으로 도입하면서 확립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