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한국 여성비평가 연구

        서재원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The study is mainly aimed to analyze criticism published by female critics who were debut in 1990s. It is zoomed in 4 famous female critics, KIM Mi-hyun , SHIN Su-jung, CHOI Sung-shil, SHIM Jin-kyung who published the first critique book in 2000s. KIM Mi-hyun has pays attention to highlight the duality of female body compared by mermaid princess and amazonesSHIN Su-jung has an interest to focus on language of female contained duality of pain and jouissance. CHOI Sung-sil focuses on female sexuality compared to between romantic love and passionate love. SHIM Jin-kyung focuses on duality of maternity comparison by suppression and freedom. 1990s is monumental era that it was no more strange things woman become critics. As the time tended to coincide directlybetween maternity and post ideology, routine and internalization. Furthermore, women was able to step up to be a writer from a reader. The other valuable point is these female critics could newly initiate one of stream in Korean literature and criticism along with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학사에서 여성비평가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한 1990년대 한국여성비평가들의 비평담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한 김미현, 신수정, 최성실, 심진경을 그 대상으로 논의하였다. 1990년대 여성비평가의 공통점은 이들이 모두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의한 비평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고 여성의 경험과 여성의 시각을 작품화한 여성작가를 적극적으로 조망하고 있다는 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오정희, 박완서, 신경숙, 은희경 등의 작가들에게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동시에 1990년대 여성비평가들의 차이점은 그들이 관심을 쏟는 문제의식과 연관되는데 김미현이 여성의 몸에, 신수정이 여성의 언어에, 최성실이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심진경이 모성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은 여성비평가들 안에서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김미현 비평의 핵심은 여성의 몸이며, 여성의 몸이 인어공주와 아마조네스의 이중성을 갖고 있으며, 생물학적 차원을 떠나 사회문화적인 구성물로 여성문학을 사유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수정 비평의 핵심은 여성의 언어이며,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남성의 상징적 언어체계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 내부의 욕망을 ‘비명’을 통해 존재를 드러내는 것임을 분석해낸다. 그 비명은 상징계 이전의 상상계의 언어이다. 신수정은 여성의 언어인 비명이란 억압되어 있는 자신만의 신생의 언어를 갈망하는 여성인물이 돌파구를 찾아가는 모습을 드러내거나 혹은, 혼동의 언어를 몸으로 체험하는 것임을 통해, 여성의 언어가 고통과 희열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최성실 비평의 핵심은 여성의 섹슈얼리티로, 친밀성으로서의 섹슈얼리티 가운데 숭고함을 추구하는 낭만적인 사랑과 에로틱함을 추구하는 열정적인 사랑으로 구분한 후 논의를 전개한다. 낭만적인 사랑이란 정신적인 부분을 메워주는 영혼과의 만남을 가정하나 기존의 제도와 쉽게 단절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열정적인 사랑이란 관능과 유혹의 극단을 치달으면서 욕망의 극단을 추구하지만 제도와 규범과 단절한 채 필연적으로 파멸을 향해 나아가는 한계를 갖고 있다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낭만적 사랑과 열정적 사랑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심진경 비평의 핵심은 모성으로, 모성을 생물학적으로 보는 시각이 모성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다면, 모성을 사회 문화적으로 보는 시각은 모성이라는 실존적, 구체적 체험을 무시할 위험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비평가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모성과 생물학적 모성을 이분법적으로 가르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보고 있다. 비평가는 모성은 억압과 해방의 이중성을 갖고 있으며 여성작가들은 경험과 제도로서의 모성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모성적 세계에 이르는 길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한국여성비평가들은 여성들 간의 차이나 여성 내부의 분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주체성과 고유성에 관한 관심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데에는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문학사에서 1990년대 여성비평가들은 문단의 변방이 아닌 주류에서 본격적인 비평가로 활동하였다고 볼 수 있다.

      • 1930년대, 식민지 근대의 불모성과 여성-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김진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여성문학연구 Vol.7 No.-

        In the history of poetry, Oh Jang-hwan has been recognized as a poet who concretely criticized the corrupted social pathology under the colonial capitalism in 1930s with the themes of tradition and modernism, and city and culture. Accepting this evaluation, this study 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 critically viewed the life of the women who were parasitic on the then corrupted real state and urban culture and sold themselves for money for survival. He poeticized unfortunate life of the women who suffered from such condition as well as showed symbolically the actual state in the times, focused on the body of the women who became barren.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haracters of the women who appeared in his poets, discusses the actuality implied by the life of the colonial times and his way of figuration, and ultimately looks into a poetic meaning which he was to emphasize, viewing life of the ill-fated women in the times. The discussion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he emphasizes human rights of the women that are more valuable than justice by publishing the poets criticizing life of the women, who were sacrificed to the Confucian authority and morality. Second, he shows the materialized human relationship and the real life of the miserable abandoned women, seeing sex and body of the women, who were sold for money in the colonial capitalism of urban culture. Third, he roused barrenness of the Josun Dynasty from the image of the women who lost their vitality. In conclusion, Oh Jang-hwan lays emphasis on the destruction of vitality caused by the corrupted reality and the lack of outlook for the futur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viewing such life of the women. Accordingly, it is understood that he, through such poeticization, longs for the true vitality and prospect for the future, which are symbolized as the richness of women. Oh Jang-hwan suggests the exploited sex and body of women as one of the controversial facts under the Josun Dynasty of the colony in 1930s. As described in the above, the fact that the reality of women is expressed in poetry under the current of modernism and pure literature after the dissolution of KAPF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시문학사에서 오장환은 1930년대 식민자본주의 하에서 타락하고 부패해 가는 현대사회의병리현상을 전통과 현대, 도시와 문명이라는 테마를 통해 구체적으로 비판한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런 평가를 수용하면서 특히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오장환이 타락한 도시문명과 부패한 현실에 기생하면서 자신의 육체와 성을 팔며 생존을 영위해 가는 여성의 삶을 문제적으로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당대 현실을 불모화되어 가는 여성의 육체를 통해 상징적으로보여줄 뿐만 아니라, 역시 그런 현실에 놓인 여성의 불우한 삶을 시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오장환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의 인물 유형에 주목하면서, 여성의 삶이내포하는 당대의 현실과 시인의 형상화 방식을 논하면서 궁극적으로는 불우한 여성의 삶을 통해 시인이 강조하려는 시적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규명하고 있다. 그 논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장환의 시는 첫째, 유교적 권위와 도덕에 의해 희생당하는여성들의 삶에 관한 비판적인 시를 발표함으로써 명분보다 소중한 여성의 인권을 강조한다. 둘째, 식민자본주의의 도시문명 속에서 상품화되는 여성의 성과 육체를 통해 물화된 인간관계와윤락 여성의 비참한 삶의 현장을 보여준다. 셋째는 생명력을 상실한 여성의 이미지를 통해 당대 조선 현실의 불모성을 환기시킨다. 결론적으로 오장환은 이런 여성들의 삶을 통해 일제 강점하에서의 부패하고 타락한 현실과미래에 대한 전망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생명력의 소진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그는 이런 시적 작업을 통해 여성의 풍요로움이 상징하는 진정한 생명성과 미래에의 전망을 희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오장환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문제적인 현실 중 하나로 여성 육체와 성의 착취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카프(KAPF)의 해산 이후 모더니줌과 순수문학의 경향 속에서 여성이 처한문제적 현실이 시를 통해 드러난다는 것은 문학사적으로 새로이 자리매김되어야 하는 의미 있는 일이다.

      • KCI등재

        집안 여성을 기억하는 방식 – 연경재(硏經齋) 성해응(成海應)의 여성 기록을 중심으로

        강성숙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ung, Hae-eung recorded his own family women, targeting 21 records〔祭文(message of condolence), 墓誌銘(epitaph), 行狀(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etc.〕 written by Sung, Hae-eung. The important virtues for the family women are related to the role necessary for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family. I think Sung, Hae-eung has embodied the virtues of a characteristic family woman, which has played a certain role in revealing the pride of his family.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in Sung Hae-eung’s family women records. First, The image of ‘educational mother’ is described as a model woman. The great-grandmother, Jeonju Lee, devoted her energy to raising her children to support her family. She was a model for a woman in the family and a person who becomes a typical virtues of the family, but she has an attitude to say something for the right decision rather than being accomodative, and Sung, Hae-eung has highlighted this character. The second feature of Sung, Hae-eung’s family women is that they are very talented. The family women showed their natural clarity and deep academic status. Sung, Hae-eung shows that they are individuals with the value of existence, not only as members of their families. They were not only virtuous and good at women’s work, but they had excellent knowledge and reached a high academic level, and I think they played a certain role in raising the status of the Sung, Hae-eung family. The last characteristics of the Sung, Hae-eung family women is that they reveals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s the subject of emotion. There are the unique woman who is far from natural Hyo(孝), sincere Bongyang(奉養), and the gentle character in the record of Sung, Hae-eung. This is the image of a living female character raised from the depleted memory of a familiar object. Sung, Hae-eung looked at the family women with a loving gaze and tried to capture the individual who could not be generalized as one while emphasizing the active and subjective women. He remembered them in a way that revealed the individual's personality without putting the standard of exemplary. This act of remembering and evaluating the family women seems to have been a task to confirm that her family is a ‘good-noble and dignified’ family to him. The family of Sung, Hae-eung was a family that produced the great figures for generations, although it was a family of Seo-oel(庶孼, descendant of a concubine, illegitimate son in the Joseon Dynasty), and this female record would have played a certain role in forming and strengthening their own family pride. 본고는 성해응이 집안 여성에 대해 쓴 기록 21편을 대상으로 성해응이 집안 여성의 형상화에서 중요하게 드러내는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효열이라는 윤리적 가치가 집안의 여성에게 적용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집안 여성들에게 중요한 덕목은 가문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한 역할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연경재 성해응의 집안 여성 기록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부덕의 전범으로서 교육하는 어머니상을 부각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가문을 지탱하고 유지하기 위해 교육에 온힘을 쏟은 어머니 전주 이씨는 집안 여성의 전범이 되는 인물이지만 순응적 면모보다는 바른 결정을 위해서 할 말은 하는 태도가 부각된다. 성해응은 부덕의 전범으로 교육의 주체인 가문 여성을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이들이 유지해온 가문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성해응은 집안 여성의 뛰어난 재주와 행실, 특히 스스로 교육 주체가 되는 똑똑한 여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성해응은 타고난 명석함과 깊은 학문적 경지까지 보여준 집안 여성들을 통해 가문의 수준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덕의 품성이나 여공뿐 아니라 탁월한 식견을 지니고 학문적 경지를 이룬 여성은 성해응 집안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으리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성해응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개성적 개인으로 여성을 그려냈다는 점이 독특하다고 하겠다. 성해응의 기록에는 타고난 효성이나 정성스러운 봉양, 온화하고 유순한 성품과는 거리가 있는 개성적 여성의 모습이 여실히 드러난다. 이는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시선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 익숙한 대상의 핍진한 기억에서 길어낸 살아 있는 여성 인물의 형상화라 하겠다. 성해응은 집안 여성들을 애정어린 시선으로 기억하면서 이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을 부각하는 한편, 하나로 일반화할 수 없는 개성적 개인으로서의 모습을 포착하려 했다. 집안 여성을 기억하고 평가하는 이러한 행위는 성해응에게 자신의 집안이 ‘좋은’ 집안임을 확인시키는 작업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서얼이지만 대대로 훌륭한 인물을 배출해낸 가문에서 이러한 여성 기록은 나름의 가문의식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으리라 본다.

      • KCI등재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

        김은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여성문학연구 Vol.26 No.-

        This manuscript is through Park Wan Suh’s “Famine of the city”(79) showing the women’s writing is focused on escaping or breaking from the country’s dominant standard of the times around middle class families and women, and the creative activities that are classified as common ‘Female’ artists are reinterpreted. The popular novels for women were mostly about liaison, crime,violence, madness, secrets, and sexual immortality, provocative and grotesque materials which appeared to hinder the custom for the commercial interest which has been accepted as a problematic phenomenon. However, the sexually suggestive contents are not for the commercialism but the outcome of the hysterical resistance towards the paternalism country under compulsion of staying celibate and over morality. It is true that the women’s popular novels often dealt with the secretive private life in a shocking and sensual way which has considered the commercial value. However,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veil of illusion, the systems and belief of the social custom is reviewed and the matter of sexual politics is gathered. It looks particularly ideal and calm but the dissatisfaction and anger inside might lead to the crime in the homes and society which cannot ignore the cultural and social aspects and women’s literary value. As an example, Park Wan Suh’s “Famine of the City” is full of desire to expose the truth of the middle class family laden with secrets and lies. She has put the novel on the table and heartlessly and deftly dissected the Korean middle class family. The middle-class family in Korea is driving force of the modern project,and it is a significant choice by sealing many kinds of errors and cracks occurred in the process. Park Wan Suh and her literature is also an interesting case of treachery. In the age of 40, Park Wan Suh has become an epitome of female artists through publishing in women’s magazine “Women Dong A”. However, instead of straightening out the women as an enlightenment of leading the modernization of the national subject, she is showing and uncovering the subversive writing of the country’s modernization and patriarchal oppression and fraud. 이 논문은 박완서의 도시의 흉년(1979)을 통해 여성의 글쓰기가 중산층가정과 여성을 둘러싼 당대 국가의 지배적 규범을 이탈 혹은 해체하는 방식에주목함으로써 그간 통속적 “여류”로 분류된 여성작가의 창작활동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당시 여성 대중소설은 치정, 범죄, 폭력, 광기, 비밀, 성적 난잡함 등자극적이고 엽기적인 소재들을 빈번하게 등장시킨다는 점에서 상업적 이익을위해 풍속을 저해하는 문제적 현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여성대중소설의선정성을 상업주의가 아니라 순결주의, 과잉 도덕화를 강제하는 가부장적 국가에 대한 히스테릭한 저항으로 해석해야 한다. 여성대중소설은 주로 비밀스러운 사생활 영역을 충격적이고도 관능적으로 그린다는 점에서 상업적 가치를 고려하고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감추어진 비밀이 폭로되거나 환상의 베일이 벗겨지는 과정에서 사회의 관습과 제도와 믿음들이 재검토되며 성의 정치학의 문제가 대두한다. 특히 이상적이고 평온해 보이지만 그 내부 속에서는 불만과 분노가 끓어올라 범죄로까지 발전되는 가정 및 사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문화사회적, 여성문학적 가치를 무시할 수 없다. 그러한 한 사례로 박완서의 도시의 흉년은 비밀과 거짓으로 가득한 중산층 가정의 진실을 들추어내려는 욕망으로 가득한 작품이다. 그녀는 한국의 중산층 가족을 소설이라는 검시대에 올려 놓고 비정하고도 날렵하게 해부한다. 중산층 가족은 한국 근대 프로젝트의 추진 동력이자, 그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오류와 균열을 봉합하는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선택은 의미심장하다. 박완서와 그녀의 문학은 흥미로운 배반의 사례이기도 하다. 박완서는 마흔 살의 나이에 주부 잡지인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함으로써 여성 작가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여성을 국가 근대화를 주도해 나갈 계몽주체로 계도하기보다 근대화와 가부장적 국가의 허위와 억압성을 전시하고 폭로하는 전복적 글쓰기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1980년대 여성주의 성매매 반대 담론의 성격

        엄혜진(Eum Hye Jin) 한국여성연구소 2006 페미니즘 연구 Vol.- No.6

        여성운동과 페미니즘 내에서 성매매는 법적인 금지와 성판매자의 성매매 탈출이라는 방향하에서 문제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이는 1980년대에 시작된 성매매 반대 운동과 그 실천에 뿌리를 두고 큰 이론(異論)의 여지없이 통용되어 왔으며, 그 제도적 결과로 성매매방지법까지 제정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여성운동의 성매매 반대 정치학의 특징과 그 한계는 무엇인지, 1980년대 여성운동의 성매매 반대 담론을 통해 살펴본다. 1980년대 후반 확장된 시민사회 공간에는 수많은 정치ㆍ사회적인 담론들이 폭발하였는데, 사민사회운동과 여성운동 진영은 성매매를 성장 위주 정책들의 결과로 나타난 다양한 사회 문제 가운데 하나로 표면화시키면서 유례없는 성매매 반대 담론을 형성하였다. 특히 1980년대에 본격화되기 시작한 여성운동은 성매매에 대해서도 젠더적 관점을 통해 기존의 성매매 담론이 가지고 있는 이중적 성규법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페미니스트의 관점으로 해석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정치적 탄압으로 중단되었던 기생관광 반대 운동이 재개되고 정부의 성산업 정책에 대한 비판이 수행될 수 있었던 데에는 이러한 여성운동의 성장이 큰 몫을 했다. 1980년대 공론화된 성매매 담론장에서 페미니스트들은 성판매자 일방에게 부과하는 남성 중심적 윤리 의식이나, 성매매를 필요악으로 자연화하는 기존의 인식에 균열을 내기 시작했다. 특히 성매매를 정치ㆍ경제적 구조로부터 파생된 문제로 파악하고 젠더 정치학의 기반에서 분석적으로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1980년대 페미니스트의 성매매 반대 담론은 이후 여성운동의 성매매 반대 운동의 이론적ㆍ실천적 기반이 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가정폭력, 성폭력 등 여성에 대한 폭력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하면서 성매매 문제를 가부장제 사회에서 나타나는 여성 전체에 대한 폭력으로 규정하는 여성주의적 급진주의 인식의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런데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촉발된 사회민주화운동의 큰 흐름이 중산층 중심의 시민사회운동을 활성화하였듯이, 여성운동 역시 이러한 전체 사회운동의 영향력하에 존재하였다. 성매매 역시 이러한 방향에서 자유롭지 않아, 제국주의의 경제적ㆍ문화적 영향력이 중심적으로 부각되거나 반정부 투쟁의 일환으로 제기되었다. 또한 ‘산업형’ 성매매의 급속한 확산으로 나타난 성산업의 양상 변화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면서도, 그로 인해 변모된 성판매자의 조건이나 상황에 대해서는 구체적 관심이 결여되어 있었다. 성매매를 제국주의의 수탈이나 여성에 대한 폭력의 극단적 결과로 바라보았지만, 주로 대정부 반제 투쟁의 근거로 활용하거나 성매매의 잠재적 피해자의 보호에 집중해 있었기 때문이다. 성판매 여성에 대한 일차적인 관심도 성매매로부터의 구출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성매매 및 성판매 여성의 복잡한 현실을 극단적 착취의 상황으로 단일화하거나 비가시화 하였다. 성매매를 반대한다는 것은 곧 성판매 여성의 극단적 착취 상황을 인식하고 그로부터의 탈출을 지지하는 일과 동일시되었고, 이에 대해 페미니스트 내부에서 어떠한 이론(異論)조차 제기되지 않았거나 사실상 거부되어 왔다. 성매매 맟 성판매자의 현실적 상황에 대한 이러한 페미니스트의 맹목은 자신을 노동자로 주장하는 성판매 여성들에 대한 대응에 무력할 뿐만 아니라, 급진적인 성매매 반대의 정치학을 진작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숙고되어야 한다. In the women's movement and feminism, the discussion on prostitution has been centered around the issues like legal prostitution and sex sellers' escape from prostitution. These approaches, which had been based on the movement against prostitution and its practice since 1980s, have dominated the discussion on prostitution, and as a result, led to the legislation of the Anti-Prostitution Law. In this essay, I wan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imits of the politics of anti-prostitution activities by women's movement through the lenses focused on anti-prostitution discourses of women's movement in the 1980s. In the late 1980s, there was an explosion of numerous political and social discourses as result of expanded spaces of civil society, and the civil social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the prostitution to the surface as one of the social problems created by growth-centered government policies, anti-prostitution discourse, which has never been seen before. Especially, the women's movement, which come to the front in the 1980s, noting the contradiction of double standards of the existing discourses on prostitution, began to interpret them from the feminist viewpoint. This growth of women's movement helped the movement against foreigners' sex tour, which had been stopped by political suppression in the 1970s, regain its energy, and made it possible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policy on sex industry. In the newly opened space of discourses on prostitution, the feminists began to make a gap in the male-centered moral perception or the existing perception, which blamed sex sellers unilaterally or took the prostitution granted as an necessary evil. Especially, in that the feminist discourse against prostitution in the 1980s perceived it as the problem derived from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s and raised analytical questions on the basis of gender politics, it could b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of consequent anti-prostitution movement. Most of all, it had an enormous importance in that, beginning to raise questions about violences against women such as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it made basis for the radical perception that defines the problem of prostitution as violence against women as a whole in the patriarchal society. However, as the grand stream of social democracy movement in the aftermath of the 1980 Kwangju democracy movement stimulated civil social movement dominated by middle class, the women's movement also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eneral social movement. The problem prostitution was also defined in this so the economic or cultural influence of imperialism was emphasized unilaterally, or the problem was raised only as the part of anti-government struggle. And while the change of aspects in sex industry made by rapid growth of 'industrial' prostitution was focused on, the consequently changed conditions of sex sellers did not arouse specific concern. For while the prostitution was seen as the result of imperialist exploitation or extreme violence against women, it was used as the part of anti-government, anti-imperialist struggles of only the protection of victims of prostitution was highlighted, Since the concern about sex sellers was mostly centered around their escape from prostitution, the complex realities of them and the prostitution itself was either Simplified as extreme exploitation of made invisible. To oppose prostitution was identified with to perceive the sex sellers' extreme conditions of exploitation and support their escape from the conditions, and therefore, any different discussions in the feminism circle were not raised or, if anything raised, was actually dismissed. Given the feminists' blindness about the real conditions of prostitution and sex sellers being unable to respond to the women, who themselves as sex workers, and to facilitate radical politics of opposition to prostitution, there should be more serious reflections about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성과와 전망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was founded in January, 2000 with the goal of "the primary purpose of approaching and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from a feminine perspective, bu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by promoting active exchanges with other achievements“ From the start, the society has made clear its identity as a joint socie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and integrated field to discuss the issue of ‘women’ across various field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journal of the Society, planning specials have been frequently prepare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the Society, and by discovering a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academia,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has been enriched for 20 years. The ‘feminine perspective,’ the go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still seems to be valid as it needs to note the hidden voice of women. Above all, this Society is worth trying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t could also be responsibility of this Society to report how far North Korean classic women’s literature has come. In future, the Society needs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or perspective to include women's literature in East Asia, at least in the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e at similar times. It is hoped that this year,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will be a new start year for the Society.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을 여성적 시각으로 접근,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되, 여타의 연구성과들과 활발한 교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0년 1월 창립되었다. 본 학회는 출발부터 남녀 공동학회이고, 고전문학의 하위분야로서 고전문학 내 고소설, 고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등 각 분야를 포괄해서 ‘여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통합 분야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본 학회의 저널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획특집이 자주 마련되어 학회의 방향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작가, 작품들을 다수 발굴해서 20년 사이 한국고전여성문학을 풍성하게 정립했으며, 여성의 여행, 종교나 노년의 여성처럼 여성 관련 주제의 다양한 속성들을 보여주었다. 단지 기획 특집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주제들의 지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다툴 어떤 이슈나 쟁점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회창립의 목표인 ‘여성적 시각’은 고전문학 속 여성의 숨겨진 뜻과 목소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 학회는 여성문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 풍성하다는 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사의 집체적인 저술을 시도해볼 만하다. 덧붙여 북한의 고전여성문학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여성사 서술에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도 본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정리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본 학회는 연구 대상이나 시각을 유사한 시기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적어도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여성문학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학회의 다양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내 분야별로 활발하게 여성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문학회의 존재에 대한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아직도 산재해 있는 여성 작가와 작품을 찾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이것은 본 학회만이 감당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라는 점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가 새롭게 다시 출발하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의 최근 성과와 전망

        노영근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results of a review of recent five years' results of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are as follows : 1. Planed conference has a meaning that review the woman's issues in various fields. But it reveals the absence of strategy. So It needs to build a long-term strategy and form a 'neo-paradigm' 2. Summer Workshop has a meaning that theoretically training and seek an alternative to the woman issues. But it also needs to build a long-term strategy. 3. For prepare for the future based on the last 20 year's results,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need two measures : 1. strategic conference 2. reinforce the characteristic by dualization of journal. 한국고전여성문학회의 최근 5년간 성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기획 학술대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문제를 검토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전략의 부재가 노출된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서 ‘새로운 가치패러다임’을 지향할 필요가 있겠다. 2. 하계 워크숍 역시 이론적인 훈련과 여성 문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는 고전문학에 대한 여성적 이해를 심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그러나 역시 전략적 목표가 필요함도 확인하였다. 3. 지난 20년 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회는 다음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1) 전략적인 학술회의의 개최. 2) 학술지의 이원화를 통한 학회 특성의 강화.

      • 여성신학 신론에서 나타나는 독특성

        서혜정(Hye-Jeong Seo)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본고는 서구 여성신학에 나타나는 신론의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급진적 여성 신학자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가부장제와 여성 차별의 기원이 유대-기독교 전통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녀들은 성경에 표기된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호칭이 은연중에 남성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여긴다. 또한 성경의 저자가 모두 남성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이로 인해 하나님에 대한 인식도 남성 위주의 시각으로 협소하게 쓰여 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유대-기독교 전통으로 인해 일반 사회 속에서 남성 우월주의가 만연하게 되었으며, 성직에서 여성을 제한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대-기독적 전통은 여성 경시 사상과 여성 차별을 가져온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다. 급진주의적 여성 신학자들은 기독교 전통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성경을 ‘여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써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존 전통에 대한 해체이자 새로운 성경 해석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과 실천을 통해 그들은 오랫동안 상실했던 여성들의 권리와 자유를 되찾고, 가부장적인 사회 구조와 성차별을 개선하여 남녀평등을 추구하고자 한다. 문제는 이러한 여성신학자들이 주장하는 그 사상과 방법이 기독교의 기본적 가르침과 신앙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종교개혁 이후 다양한 성경 해석이 제기되고 다양한 교파와 신학 사상을 형성해 왔지만, 문제는 각기 다양한 해석과 사상들이 성경의 기본 진리라는 ‘보편성’에서 벗어나지는 않는지 살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인본주의 사상과 종교 다원주의 사상은 인간 중심의 신학과 신앙을 만들어내면서 소위 ‘인간의 종교’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 땅 가운데 하나님의 공의와 정의의 실현이라는 목표 안에서 여성에 대한 존중과 여성의 권리는 반드시 회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그 목적과 방법 또한 성경에 기초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21세기 여성신학은 젠더 신학으로 그 폭을 넓히고 있으며, 이미 신학(신앙)의 범위를 넘어가고 있는 부분도 상당히 발견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 사회의 급진적 여성신학자들이 주장하는 ‘새로운 신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f the doctrine of God in Feminist Theology. Most radical feminist theologians attribute the origins of patriarchy and femininity to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which is widespread throughout the world. They believe that the titles of Heavenly Father in the Bible implicitly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men. In addition, the Bible points out that the authors of the book are all men, and so they criticizes that the perception of God is written narrowly from a male-centered perspective. Due to this Judeo-Christian tradition, male supremacy prevailed in the general society and women were restricted from the priesthood. Consequently, they believed that Judeo-Christian tradition is the main cause of disregard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refore, radical feminist theologians look at the Christian traditio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claim that the Bible should be rewritten from a “women’s point of view.” It is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tradition an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and practice, we seek to restore the long-lost rights and freedoms of women and pursue gender equality by improving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and gender discrimination. While this goal may sound similar to that of the feminist theologians, the problem is that the ideas and methods claimed by these feminist theologians are not alike with the basic teachings and beliefs of Christianity, so we need to critically examine them. Since the Reformatio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have been raised and numerous denominations and theological thoughts have been formed. Today, humanistic ideology and religious pluralist ideology create human-centered theology and faith, birthing the so-called “human religion”. Respect for women and women’s rights must be restored within the goal of realizing God’s justice in us and this land. But the focus must be on whether the purpose and method are also based on the Bible. Feminist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is expanding its scope to gender theology, and parts that have gone beyond the breadth of theology (faith) have already been found. In this situa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what the ‘new theory of theology’ advocated by radical feminist theologians in Western society is and critically review it.

      • KCI등재

        고전소설에서 죽음을 선택한 여성의 감정과 반응들

        정선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Since women who lived in late Joseon dynasty had little freedom of expressing their opinions, their speaking to someone and the world is very meaningful in itself. Moreover, what and how they spoke in the presence of their impending death is very important.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cases of women characters in Korean classical novels who spoke about their feelings in the presence of their impending death. Those women characters are found in <The Story of Woon-Yeong>, <Samhanseubyu>, <Maiden Suk-Young>, <Jusaengjeon>, <Simsaeng jeon>, <Yussisamdaerok>. Some of them said they bore a grudge about being unloved, and some did not cling to love and resigned themselves to fate. Others placed filial duty above love and said love was futile. Each woman character had a difference reason for her determination of death, such as for expressing her will, out of desperation, being unable to overcome the grief, due to sense of guilt and shame or feeling anger.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death of those women characters by examining the emotions of family and other people who judge their death. Their reactions were different for each work. There were cases in which a lover or husband recognized the love of a woman and renounced the world while being sick together, expressed love more strongly, or regretted that they had not met in life even wanting to meet after death. In Korean classic novels, through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through what they say in the face of death, through her emotional expressions, it is highlighted what she wanted to say to the world and the issues the writer wanted to raise in the work. The reason female characters chose death was because of their natural emotions rather than ideological or ethical judgments. 본고에서는 고전소설 중에서 작품 중간에 죽음을 선택한 여성들이 죽음에 처했을 때에 어떤 말을, 어떤 감정으로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운영전>, <숙영낭자전>, <삼한습유>, <주생전>, <심생전>, <유씨삼대록>에서 이러한 여성 인물들이 발견되는데, 사랑과 자기 성취에 대한 간절함을 표출하면서 원한, 불안, 공포, 감사, 죄책감을 드러낸 경우, 정절 훼손 모해로 원통함, 당혹감, 수치심을 드러낸 경우, 자존감, 자부심, 의지로 현실에 저항하면서도 슬픔을 이기지 못하는 경우 등 적극적인 자기표현으로써 자결한 이들이 있었다. 이들보다는 소극적인 자기표현으로 죽음에 이르는 경우들에서는, 자책, 낙담, 한으로 가득하여 우울, 마음의 동요, 자기 억제 등의 감정을 겪으며 병들어 죽은 이들, 울화와 반감이 쌓여 서서히 죽어간 여성들이 있었다. 같은 애정전기소설 속 여주인공들이지만, 운영은 자존감, 감사, 죄책감을, 배도는 포기와 낙담을, 소녀는 자책과 한을 드러내면서 죽음에 이르렀다는 면에서 달랐다. 한편, 조선후기 여성들의 삶을 비교적 현실적으로 담고 있다고 하는 국문장편소설 속 여주인공인 진양공주는 삶과 죽음을 대하는 면에서도 상층여성의 심리를 대변하는 면이 있었다. 내적 분노를 침묵으로 삭이거나 발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때에 병들어 죽곤 했기 때문이다. 죽어간 여성인물에 대한 타인의 반응들도 작품마다 달랐는데, 애인이나 남편이 여성의 사랑을 알아주고 같이 아파하면서 세상을 등진 경우도 있었고, 더 강하게 사랑을 표현한 경우도 있었으며, 생전에는 만나지 못했던 것을 아쉬워하며 사후에라도 만나고 싶어 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고전소설에서는 여성 인물의 죽음을 통해, 그녀들이 죽음에 직면해서 말하는 것을 통해, 그녀의 감정 표현을 통해, 그녀가 세상을 향해 말하고 싶었던 것과 작품에서 문제제기하고 싶었던 것들을 부각시켰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인물들이 죽음을 선택한 것은 이데올로기나 윤리에 경도되고 침윤된 의식적 판단이기보다는 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들 때문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여성 정치 후보자들은 언론에 어떻게 보도되는가 : 20대, 21대 국회의원 선거 보도 비교 분석

        박지민,이자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62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2020년 21대 선거까지 강남역 살인사 건, 미투 운동, n번방 사건 등 여성 관련 이슈가 많이 일어나면서 ‘여성’은 한국 사회의 주요 담론으로 자리잡았다. 그렇다면 주요 언론의 여성 국회의 원 후보자 관련 선거 보도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본 연구는 20대와 21 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여성 후보자 관련 언론 보도를 제목, 소재, 성격, 보 도 정향, 개인적 성향 프레임, 이슈 프레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내용 분석 결과, 여성 후보자가 단순언급되는 비중이 줄고 제목에 거명되는 비중 이 증가하는 등 여성 중심적 보도가 늘어나는 등 작지만 희망적인 변화들이 발견되었다. 소재면에서도 이슈/정책과 관련된 기사에 언급되는 경우가 늘 었고, 연성 기사에 언급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여성 후보자가 거론 된 기사는 논조면에서 대체로 중립적이었고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도 늘었 다. 이슈 프레임은 남성적 이슈보다 여성적 이슈와 관련해 언급된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외국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했다. 성향 프레임에 있어서는 여성 후보자들이 대체로 중성적으로 묘사됐고, 흥미롭게도 여성적 성향보다 오히려 남성적 성향으로 설명된 경우가 많았다. 21대 선거에는 특히 ‘강인한 투사’ 프레임이 가장 많이 쓰이는 등 남성성의 수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 었다. 보수 언론과 진보 언론도 여성 후보자에 대한 보도 양태는 대체로 유 사했으며 어느 한쪽이 눈에 띄게 여성 후보들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한 보도 를 한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Betwee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2016 and the 21st election in 2020, a number of women-related issues such as the Gangnam Station murder case, the #MeToo movement, and the nth room incident occurred in South Korea, and ‘women’ became a major discourse in society. Then what about the major media outlets’ news reports on female candidates during the two elec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major newspapers’ news reports about female candidates during the 20th and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focusing on news headline, topic, type, tone, so-called “masculine/feminine trait” frame, and issue frame.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revealed some positive signs. For example, the percentage of headlines that included female candidates’ names increased while the percentage of simple mentions of names in the article decreased, indicating that women candidates became more prominent in election news reports. News about female candidates during the 21st election had more cases of hard news in a neutral or positive tone compared to news during the 20th election. Masculine trait frames such as “tough fighter” and “confidence” in descriptions of female candidates were more commonly found during the 21st election than in the 20th election. In terms of these trends, there were no consistent differences between conservative and liberal newspap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