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

        정일웅(Il-Ung Ju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article is written on the theme of “Dr. Chang Sik Hye-am Lee, the theological educator of the Korean Church,” congratulating the birthday of Dr. Chang Sik Lee, the current director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t the age of 100. In this article, I wrote based on Dr. Chang Sik Lee s faith, personality, and academic enthusiasm that I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5 years, and based on his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hich he has already written a long time ago. As a theological educator, Dr. Lee has been examined into seven topics. The sub-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education and call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second, beginn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at a Korean theological university, third, preparing qualities as a theological educator and studying abroad; New theological studies and doctoral degrees, sixth, theological educator s activities at Keimyu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and seventh, Kenya missionary and theological educator. Dr. Chang Sik Lee served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for 36 years. In addition to the four years of teaching at Keimyung University, he was entirely engaged in theological education at Hanshin University for the remaining 32 years. As soon as graduating from Hanshin University as the first graduating class, he began to teach the theology as a lecturer while working in the administration of academic affairs at the seminary. The important mind that Dr. Lee showed as a theological educator was revealed when he taught at Hanshin University. Although it was stated as a theological education goal that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ology of academic and godliness, the early Hanshin University taught only many academic knowledge of difficult theological thoughts to students, but not a practical theological knowledge regarding the godliness and pastoral practice. He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made great efforts to improve them. In particular, efforts to clarif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school as a denomination belongs to Presbyterian Church through lectur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confession of faith shows his identity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ddition, when he was in charge of the office of the Academic Affairs Office, he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academy, but also played a role in the training of godliness for students. For example, he encourag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hapel and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in the dormitory, and trained their honesty by conducting the exam without proctor supervision. Especially, studying his Ph.D. dissertation at Aquinas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a well-known Catholic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hows how broad the horizon of his scholarship in history theology is. Not only did he study Luther s theology as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but also Calvin s theology as Presbyterian theology.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he gained insights to contribute to today s so-called Ecumenic theology. Dr. Lee is a great theological educator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entire Korean Church as well as at Hanshin University. In particular, Dr. Chang Sik Lee always felt sorry fo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which wa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ves despite his age of middle 90s five years ago and founded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where he invited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heologians from the Korean church to have a theological dialogue and write a thesis through research. It is the fact that Dr. Chang Sik Lee, who has led these things, is not showing the role of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but a theological educator of the entire Korean church. 이 글은 현재 혜암신학연구소의 소장이신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생일을 축하하며, 기리는 마음으로,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라는 주제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지난 5년 동안 혜암신학연구소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이장식 박사님의 신앙과 인품과 학문적인 열정을 근거로 그리고 그가 이미 오래전에 집필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에 근거하여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 이 박사님을 일곱 가지 주제로 정리하였다. 기본적인 소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교육과 신학 교육자로서의 부르심, 둘째, 한국신학대학에서의 신학교육자로서의 시작, 셋째, 신학 교육자로서의 자질준비와 유학생활, 넷째, 한국신학대학의 교육이념실현과 신학 교수로서의 활동, 다섯째, 새로운 신학연구와 박사학위, 여섯째, 계명대학과 한신대학에서의 신학 교육자의 활동, 일곱째, 케냐의 선교사와 신학 교육자로서의 활동 등이다. 이장식 박사는 총 36년간 신학교에서 신학 교육자의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리고 계명대학에서의 교수 생활 4년을 빼고, 나머지 32년간은 전적으로 한신대학에서 신학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신대학을 제1회로 졸업하자마자, 신학대학에서 교무행정을 보며, 강사로 신학을 가르친 것에서 시작한다. 이장식 박사님이 신학교육자로서 보여준 중요한 정신은, 특히 한신대학에서 가르칠 때, 학문과 경건이란 이념으로 교육한다는 것을 신학교육 목표로 명시해 놓았지만, 초기의 한신대학은 어려운 신학 사상의 학문적인 정보를 학생들에게 많이 가르치고, 실제 경건에 관한 신학 정보와 목회 실천에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에 관한 것들을 많이 가르치지 못했던 것을 지적하였고, 그것을 개선하려고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점이다. 특히 한신대학교가 기독교장로회에 속한 교단으로서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앙고백에 관련된 강의를 통해서 장로교회의 신학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고 한 노력은 신학교육자의 모습이 분명하였던 것으로 이겨진다. 그리고 교무처장의 직분을 맡았을 때도, 교무행정만 책임진 것이 아니라, 역시 학생들의 경건 훈련에도 역할을 잘 감당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신학생들의 채플 참여와 기숙사에서 신학생들의 새벽기도회 참여를 직접 독려한 일, 그리고 무시험 감독으로 신학생들의 정직한 경건을 훈련시킨 일 등에서라고 할 것이다. 역시 이 박사님은 학위 과정에서도 교회 역사에 관한 부분을 주 전공으로 삼았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미국에 가톨릭에 속한 대학으로 이름나 있는 아퀴나스 신학교에서 공부한 것은 그의 역사신학의 학문이 얼마나 넓은 지평을 가진 것인지를 느껴보게 된다. 물론 프로테스탄트의 역사로서 루터의 신학을 공부했을 뿐 아니라, 특히 장로교회의 신학으로 칼빈의 신학을 연구하였고, 가톨릭교회의 신학까지 연구한 것은 오늘의 소위 에큐메닉의 신학에 기여하는 통찰을 갖게 되었으며, 역시 이장식 박사님은 한신대학에서의 신학교육뿐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의 자질과 능력을 가진 위대한 신학 교육자였음을 생각하게 된다. 특히 이장식 박사님은 5년 전 구순 중반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하여 대립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고, 뜻을 같이하는 진보와 보수 신학자들을 혜암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그 곳에 모으시고, 대화하며, 신학의 학문을 계속 연구하게 하며, 신학학술지(「신학과 교회」)의 출판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한국교회의 신학을 대변해 온 것은 그가 한 신학교의 신학 교육자가 아니라, 이제는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날을 기념하며, 일생을 통하여 보여준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오래 기억하게 되리라 확신한다.

      • 혜암 이장식의 화해와 일치의 신학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이 글에서 필자는 혜암 이장식(惠岩 李章植)이 추구한 화해와 일치의 신학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혜암이 제시한 화해의 역사신학적 근거를 규명하고, 그다음에 화해와 일치에 관한 혜암의 주장을 분석하고, 끝으로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 속에서 혜암이 화해와 일치의 관점을 일관성 있게 지키며 제시한 의견을 살핀다. 첫째, 화해의 역사신학적 근거에 관련하여 필자는 혜암의 논증방식이 철저하게 기독론적이라는 것을 밝힌다. 그는 성육신 사건의 해석을 통하여 하나님이 개입하는 역사의 현실성을 강조하고, 하나님이 섭리로써 다스리는 역사의 궁극적 의미가 화해에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 하나님이 펼치는 역사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을 부각시켰다. 이와 동시에 그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연합하는 방식으로부터 하나님 나라와 세상의 차이와 변증법적 긴장관계를 설득력 있게 논증했다. 둘째, 화해와 일치에 관하여 혜암은 먼저 화해의 종말론적 차원과 우주적 차원을 강조했다. 하나님 나라에서 완성될 화해의 비전을 품고서 교회는 오늘 이곳의 현실에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온 피조물 사이의 화해를 위해 일해야 한다. 그다음, 혜암은 하나님이 섭리로써 다스리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화해의 사역을 수행하는 교회는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굳게 견지했다. 그는 종교개혁 이후에 확립된 교파주의의 현실 속에서도 신학의 차이가 교회의 통일성과 일치를 깨뜨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다양성 속에서 일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다. 신앙의 차이 때문에 사랑의 친교에서 실패를 하는 교회가 세상에서 화해의 사역을 제대로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 혜암의 지론이었다. 끝으로, 혜암이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하면서 정의를 위해 투쟁하는 교회의 일치를 강조하였고,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교회의 분열을 경계하였다. 필자는 하나님의 선교를 둘러싼 가장 첨예한 논제들, 곧 개인구원과 사회구원, 교회와 국가, 선교의 자유 등에 관한 첨예한 논쟁에서 혜암이 취한 입장을 분석했다. 1)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에 관해 혜암은 둘이 불가분리적이어서 동시에 추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2)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관해서 혜암은 어거스틴과 종교개혁자들의 입장을 받아들여 하나님의 통치를 위해 세워진 두 기관의 사무적 분립과 협력을 강조하였고, 3) 선교의 자유에 대해서는 미국 헌법의 모델에 따라 국가가 교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신앙의 자유와 선교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주장했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unity of Chang Sik Lee and evaluate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I examine his historical-theological argumentation for reconciliation, then analyze his articulation of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lastly point out that he kept a consistent view of reconciliation and unity in his opinions to conflicts and debates about the missio Dei (Mission of God). First, concerning the historical-theological argumentation for reconciliation, I pay attention to that his arguments were thoroughly Christological-oriented. From the Incarnation he drew the reality of history in which God intervenes. He identified that reconciliation is the ultimate meaning of the history that God rules by providence. He emphasized that mankind as God’s image cooperate with God in history. At the same time, he convincingly inferred the difference and dialectical tension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world from the mysterious mode in which the divinity and the humanity of Christ are distinguished, but not separated, and united, but not confused. Second, regarding reconciliation and unity, he first emphasized the eschatological and cosmic dimensions of reconciliation. The church, which has her vision of reconciliation to be completed in the kingdom of God, must work now and here for reconciliation among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creation. Then, he firmly believed that the church should stay in unity in her work for reconciliation in the world according to God s will. He accepted the reality of denominationalism established after the Reformation, but he argued that the difference in theology dares not to break the unity and catholicity of the one church. In this sense the church should seek unity in diversity. His main thesis is that, if the church fails in love communion because of differences in faith, she cannot properly perform the work of reconciliation in the world. Third and lastly, he emphasized the unity of the church in the struggles for justice in the mission of God. He was wary of that the debates on the following issues related to the mission of God could lead to division and schism of the church: personal salvation and/vs. social salvation, church and state, and freedom of mission. These issues broke ou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hurches in Korea in 1970s. In such a situation he intended to maintain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o articulate prudently his opinions to the three hot issues. 1) He argued that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both must be pursued simultaneously. 2)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he accepted the position of Augustine and the Reformers Luther and Calvin. The church and the state are two institutions established for God s reign in the world. The two institutions have their own mission, one dares not to intervene in the other’s mission, but must cooperate for the reign of God. 3) Concerning the freedom of mission, he followed the model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nd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sentence should be written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the state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religion. In that way, so he claimed, the state should guarantee freedom of faith and freedom of mission, including the freedom of the church to join the mission of God.

      • 혜암 이장식의 신학사상 : 중도적 복음주의적 개혁신학

        김영한(Yung Han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혜암의 신학은 진보와 보수를 포용하는 신학으로서 한국교회와 신학에 대화의 처소를 만드는 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신학은 보수와 진보 사이에 대화의 공간을 마련한 교량의 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혜암은 개혁신학자요 중도적 복음주의 사상을 가진 교육자요, 그의 신학사상은 교회친화적이고 종교개혁 정신에 입각하여 교회를 향상 개혁하고자 한 개혁지향적이며, 종말론적이라고 특징지어진다. 혜암은 그의 노년에 특히 혜암 신학연구소를 통하여 보수와 진보 신학자들이 대화하고 상호 소통하는 대화의 공간을 마련했다. 이런 배경에는 그의 신학사상 보수와 진보를 다리놓은 중도적인 복음주의 신학이 있다. Hye-am Theology is said to be a theology providing a place of dialogue for Korean church and theology, namely a theology embracing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His theology is called to be a theology making a bridge for setting a place of dialogue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Hye-am is a Reformed theologian, an educator with a moderate evangelical thought. His theological thought is characterized to be church-oriented, Reformation-inspired, church reformation -always intended, reform-oriented, eschatological. Hye-am provided in his late years especially through Hye-am Theological Institute a forum for dialogue wher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come to encounter in open attitude. In this background is his theological thought that is a moderate evangelical theology making a forum of dialogue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 혜암 이장식 박사의 복음주의적 신앙 : 자서전 『창파에 배 띄우고』에 나타난 그의 삶을 중심으로

        오성종(Sung Jong Oh)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필자는 혜암 이장식 박사가 80세가 되는 해에 출판한 자서전 『창파에 배 띄우고』에 나타난 그의 복음주의 신앙을 살펴보고자 한다. 혜암은 한국의 대표적인 진보적 신학의 요람이라 할 수 있는 한국신학대학의 1회 졸업생이면서 졸업과 동시에 강사로 시작하여 30년 가까이 신학 교수로 후학을 가르쳤다. 그는 학문적으로 진보 신학을 받아들였다고 스스로 밝히기도 했으나, 그의 일생의 삶과 사역은 분명히 복음주의적인 신앙의 깊은 뿌리가 자라 열매 맺힌 것으로 나타난다. 혜암의 자서전에서 네 가지 방면에서 그의 복음주의 신앙을 찾아볼 수 있다: 1. 혜암은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 하나님 중심적이고 성경 중심적인 삶을 살았고 그것을 간증한다. 2. 혜암의 평생 경건은 어머니의 기도와 감화 그리고 어린 시절에 배운 신앙의 열매였다. 3. 혜암의 선교 마인드는 어렸을 때 선교사의 전기를 읽고 받은 감동으로 형성되었다. 4. 혜암의 에큐메니칼 정신은 송창근, 김재준, 한경직 같은 포용력 있는 멘토들의 감화에서 발전되었다. 신학교 교수는 학문과 신학만이 아니라 혜암처럼 복음주의적 신앙의 모범을 보여주어 인격적인 감화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의 자서전 중 복음주의 신앙에 있어서 요긴한 다른 몇 가지의 요소들이 추가적으로 언급되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느낀다. 곧 거듭남과 성령 체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에의 연합에 대한 실존적 깨달음과 일상적 삶 속에서의 실천.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신앙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내용들이 중심이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고 이해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his evangelical faith shown through the autobiography of Hye-am (pen name of Dr. Chang Sik Lee), published in the year of his age of 80 years. Hye-am was a first graduate of Korea Theological College (today Hanshin University), the cradle of Korea s progressive theology. He started as a lecturer at the same time as he graduated, and taught later as a seminary professor for nearly 30 years. Although he has professed his acceptance of progressive theology academically, his life and ministry clearly appear to have grown and bear fruit from the deep root of evangelical faith. In his autobiography, his evangelical faith can be found in four ways: 1. Hye-am lived a God-centered and Bible-centered life in a turbulent life and bears the testimony of it. 2. Hye-am s lifelong piety was the fruit of her mother s prayer, influence, and faith, which he had learned in his childhood. 3. Hye-am s mission-mindedness has been shaped by the impression he received after reading the biography of Henry Martyn when he was young. 4. Hye-am s ecumenical spiri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influence of the pious mentors with leadership of tolerance and pastorship such as Chang-geun Song, Jae Joon Kim, and Kyung Jick Han. The seminary professor should be capable to give a personal influence by showing an example of evangelical faith like Hye-am, as well as academic knowledge and theology.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it would have been nice if some another important elements of the evangelical faith had been additionally mentioned in his autobiography, that is, rebirth,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and existential realization of the union with Christ at His death on the cross and resurrection and its practice in everyday life.

      • 혜암의 통전적 교회사학 되새김

        김경재(Kyoung Jae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이 글은 한신대학교 명예교수 혜암 이장식 박사의 학술 작품에서 발견되는 통전적 특징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 보려는 시도다. 혜암이 1970-80년대에, 50-60세 학자로서 절정기에서 쓴 15편의 논문들에 기반하여 그의 교회사학이 지닌 통전적-통섭적 신학 특징을 되새김하였다. ‘통전적’(integration)이라는 단어 안에는 통합, 합병, 집대성, 완성, 융화, 조화 등의 복합적 의미가 있다. 혜암의 신학적 사고의 통전적 특징은 피상적이고 얕은 ‘중도 노선’으로 오해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혜암의 통전적 사고는 인간의 인지적, 미학적, 사회적, 정치적 관심이 통합된 진정한 기독교 신앙의 표현이다. 본 논문은 혜암 교회사학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다음 같은 몇 가지 주제를 가려 뽑아 그의 교회사학이 지닌 통전적-통섭적 신학특징을 되새김하였다. (i) 혜암의 신앙과 신학 체질형성에서 모친과 만우 송창근 목사의 영향, (ii) 교회의 직제, 예전, 교리, 신학 등의 역사 문화적 상대성, (iii) 한국교회 체질형성의 뿌리와 그 장단점, (iv) 평신도 신학과 아시아교회의 선교적 과제, (v) 한국교회 예배에서 말씀설교와 성례전 예식의 통전, (vi) 토착화신학과 교회선교의 당면과제. 혜암의 논문들을 위 주제들로 되새김화면서 필자가 새삼스럽게 재발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혜암이 100세에 이르기까지 연찬하고 연구한 교회사학의 바탕엔 건전한 교회가 되도록 한국교회를 섬기려는 초지일관의 ‘교회사랑 신학’이라는 점이다. 둘째, 혜암의 교회사학의 특징은 통전적 이해를 추구하면서, 보수신학이나 진보신학 어느 한쪽에로 치우친 극단적 입장을 경계한다. 셋째, 혜암의 폭넓고 깊이 있는 교회사학은 그가 일찍부터 개척적으로 연구한 아시아교회와 그 선교 발전사에 관한 귀중한 진실을 알려주는 학문적 공헌을 하였다. This essay is an attempt to ruminate the integrative characteristic to be found in the scholarly works of Dr. Hye-am C.S. Lee, an Emeritus Professor of Hanshin University. The term ‘integration’ represents diverse concepts like as coherence, conformation, unification, unity, harmony, merge. and so on. However, this paper is not supposed to give embracing answers to manyfold problems raised in the subject matter in terms of ‘integrative characteristic’ in theological thinking, but to confront the reader with Hye-am s point of theological view which is decisive for the ministrial formation in Korean Church of Today. The integrative feature of Hye-am s theological thinking should not be misunderstood as superficial, shallow-minded ‘middle way’. Rather, Hye-am s integrative thinking is an expression of the authentic christian faith, in which human being’s cognitive, aesthetic, social, political concerns are merged. Hye-am tries to overcome both of the inclinations toward the left-wing and right-wing deviationism. i.e. radical liberalism and radical conservatism. For our thematic development, we will concentrate our attention upon six theological issues selected from Hye-am s articles written during 1970 s-1980 s: (i) the influence of Hye-am s mother and Rev. Dr. Song regarding with Hye-am s spirituality formation (ii) the historico-cultural relativity and limitation of the church organization, doctrine, and theology (iii) the foundation of Korean church (iv) Lay-theology and mission of Asian Church (v) integration of preaching and sacraments in Korean Church (vi) On indigenous theology of Korean church.

      • 혜암 이장식의 역사 이해에서 나타나는 신관 조명 : 혜암과 본회퍼의 ‘신 이해’ 비교를 통하여

        이민애(Min Ai Lee)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paper highlights Hye-Am, Chang Sik Lee s thought of God in understanding of history. For effectivity, the attempt were made to compare with the German theologian Bonhoeffer s thought of God [Chapter 1]. Hye-am and Bonhoeffer each went through the darkest period of 20th century history in their countries. Hye-am went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War, and the Second World War. Bonhoeffer went through two world wars and Nazism [Chapter 2]. In the 20th century, when atheism and Death of God theology were extended by experience of the absence of God, these two theologians confessed God as the subject of history and further expressed God s freedom. Hye-am and Bonhoeffer rejected human-centered views in their respective field.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Hye-am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ositivist and ideological views, and called for the need of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Bonhoeffer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idealism and a priori the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nd requested ontology [Chapter 3]. Also, Hye-am and Bonhoeffer expressed the freedom of God. Hye-am said that God is the sovereign of history, and that God changes the same repetitive events meaningfully in human history. Bonhoeffer said that God s revelation was adventitious and totally free. God is facing all given and conditional things unconditionally, always subject, and man cannot possess God [Chapter 4]. This paper marks and emphasizes that the confessional theology of the two theologians was originated in the extreme experience of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Historical theologian Hye-am nevertheless emphasizes the “hope” of history. Hope from God is a supernatural hope, an absolute hope coming from outside humanity and history [Chapter 5]. 본 논문은 혜암 이장식의 역사 이해에서 나타나는 신관을 조명하였다. 효과적인 조명을 위하여 독일 신학자 본회퍼의 신관과의 비교를 시도했다(1장). 혜암과 본회퍼는 각자 고국의 20세기 역사 중 가장 암울한 시대를 겪었다.(2장) 신 부재 체험으로 무신론과 사신신학이 확장되어간 시기에 이들은 역사의 주재이신 하나님을 고백하고 하나님의 자유로우심을 피력하였다. 혜암과 본회퍼는 인간중심적인 시각을 배척하였다. 혜암은 역사 이해에서 기존의 실증주의적 역사관과 관념주의적 역사관의 한계를 지적하고 신학적 역사 이해의 필요성을 요청하였다. 본회퍼는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관념론과 선험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존재론을 요청하였다.(3장) 또한 두 신학자는 신의 자유로우심을 피력하였다. 혜암에 따르면 역사의 주재자는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은 인간 역사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는 사건들도 의미 있게 바꾸신다. 본회퍼에 따르면 하나님의 계시는 우발적이며 전적으로 자유롭고, 하나님은 모든 주어진 것과 조건적인 것들에 무조건적으로 마주서 계시며, 언제나 주체이시다.(4장) 역사신학자 혜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의 “희망”을 강조한다.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희망은 인간과 역사 밖으로부터 오는 초자연적인 희망, 절대적인 희망이다.(5장)

      •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어제와 오늘

        손승희(Seung hee Sohn) 혜암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교회 Vol.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주요경향을 개관하고 그런 경향이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미친 영향을 살피고자 하는데 있다. 한국교회에서 발견되는 많은 교육신학의 모델 혹은 유형들 가운데에서 주류를 대표하는 네 개의 모델을 선택하였다. 1) 자유주의 교육신학 모델: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이상적 목표로서 “그리스도와 같은 인격”의 형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2) 신정통주의 교육신학 모델: 학습자가 “기독교신앙을 받아들이는 결단”에 이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복음주의 교육신학 모델: 교육을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이라고 본다. 4) 해방교육신학의 모델: 기독교교육을 하나의 “정치적 행위”라는 확신을 기초로 하는 교육이며 여기에는 민중으로 하여금 “메시아적 백성”이 되게 하는 민중해방교육신학모델과 여성해방을 위한 투쟁에 여성들을 참여케 하는 여성해방교육신학 모델이 포함된다. 이들 모델들은 오늘의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 현장에 그대로 공존하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오늘의 한국교회 교육신학의 특징 중 하나는 윤리적 판단에 있어서 과격한 분열현상이다. 즉 개인구원과 사회구원 중 어느 쪽을 윤리적 지향의 목적에 두느냐에 따른 분열이다. 신앙형성과정에 대한 교육신학자들 간의 차이도 두드러진다. 한쪽에서는 학습자가 “성숙한 신앙”을 갖도록 양육되어야 한다고 확신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학습자는 신앙적 상상력을 통해 “초월적 신앙”에 도달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essay to survey the main trends of the educational theology in the Korean church, examining their influence on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Christian education. There are four models of educational theology representing the main trends of Christian education: 1) The liberal model, which emphasizes the educational efforts to build the Christ-like personality as it is the ideal aim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ults, 2) The Neo-orthodox model, which suggests the education should lead the learner to make a decision of accepting Christian faith, 3) Evangelical model, in which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work of conveying the message of salvation, 4) Liberation model, including the Minjung model and the feminist model, which asserts that Christian education is a political act. Emerging sequentially in time, all of these models still remain influential in the Korean church today, showing a grace of differenc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urch’s educational theology is the radical division between the ethical orientation toward the personal salvation and toward the social salvation. Another is an apparent conflict on the faith-building process. For instance, a group of educators assume that the learners should be nurtured to have “the mature faith” while the other group has a conviction that they should reach to “the transcendental faith” through faithful imagination.

      • 여성신학의 발전 과정을 통해서 본 성차 이해

        최순양(Soon-Yang Choi)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초창기 여성학자들은 인간에게 존재하는 성의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말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연구들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몸들을 여성과 남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성으로만 나누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생각의 발전은 급기야 인간을 남성과 여성으로만 분류하는 것은 무언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는 것을 보게 하였고, 인간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성의 차이 외에 인종적, 계급적 차이들도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성의 차이(sexual difference)가 시대가 발전하면서 어떻게 다르게 이해되었는지를 다루었다. 이러한 성의 차이를 사회학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여성 신학에서도 성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시몬 드 보부아르 등과 같은 초기 여성주의자들의 이론과 생물학적 본질주의의 입장을 소개하고, 이러한 사상을 신학적으로 전개한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와 엘리자베스 존슨(Elisabeth A. Johnson)의 신학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차이도 존재하지만, 여성과 여성 간의 인종적 차이도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한 우머니즘을 살펴보고, 이러한 우머니즘이 신학적으로는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성의 차이, 혹은 인간의 성 정체성이라는 것은 고정적으로 확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있는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비본질주의적 인간 이해를 정리해 보고, 이런 견해가 신학적으로 연결된 캐서린 켈러(Catherine Keller)의 ‘되어가는 신학’, ‘테홈 하나님’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how sexual difference began to be understood differently as the times developed. At the same time, we will not only look at these gender difference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but also examine how these gender differences developed in feminist theology ―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in women’s studi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position of biological essentialism, such as Simone Beauvoir, the theory of early feminists, and examines the theology of Sally McFague and Elizabeth Johnson, who developed these ideas theologically. In addition, we will examine Womanism, which asser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but also racial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how this Womanism developed theologically. Judith Butler’s non-essentialis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ich questions whether gender differences or human sexual identity can be fixed or not, will be summarized, and then I would like to move to Catherine Keller, whose views are theologically connected. I would like to conclude this thesis by examining the “theology of becoming” and “Tehom God”.

      • 여성신학의 역사적 배경, 그 특징과 유형들

        김균진(Kyuun-Jin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본 논문은 여성신학이 생성된 역사적 배경, 그것의 주요 특징들과 유형들 내지 입장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신학이 생성된 역사적 배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나라 운동과 처음 기독교 공동체, 초기 기독교의 소종파운동 내에서 내의 여성들의 적극적 활동으로 소급될 수 있지만, 본 논문은 중세기 수도원의 여성들과, 종교개혁 시대에 일어난 재세례파 공동체에서 일어난 여성들의 활동에서 그 배경을 추적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여성신학의 형성에 획기적 자극을 준 역사적 배경을 근대 휴머니즘, 계몽주의, 프랑스혁명기의 여성 운동과 칼 마르크스와 그의 후계자들에게서 발견한다. 본 논문은 여성신학의 대표적 특징을 교의학적 명제에서 출발하지 않고, 남성우월주의가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고난받는 여성의 삶의 구체적이고 특수한 상황에서 출발하는 일종의 “상황신학”임을 밝힌다. 신학의 역사에서 그것은 고난받는 여성들의 문제로부터 출발하는 최초의 신학적 이론이다. 그것은 하나의 이론으로 머물지 않고, 실천으로 넘어가고자 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여성신학은 실천 지향의 신학이다. 본 논문은 여성신학의 유형 내지 방향으로 1) 성서와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비판적, 개혁적 유형, 2) 탈성서적, 탈교회적 유형, 3) 고대 시대의 여신 종교 내지 여성 영성으로의 재활을 주장하는 반기독교적, 세속 종교적 유형을 기술한다. 나아가 결론에서 여성신학은 하나님 나라를 이 땅 위에 세우고자 하는 메시아적 해방신학의 한 유형으로, 단지 일부 여성들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의 미래가 달린 문제임을 드러낸다. 아울러 탈기독교적, 급진적 여성신학의 문제성을 지적하고, 여성의 사회적, 정치적 해방의 문제는 물론, 모든 인류의 기본 문제인 죄로부터의 해방의 문제도 다룰 것을 제의한다. The essay aims to describe the historical background from which the Feministic Theology began, with its characters and main trends. The historical background can be pursued in the active contributions of women in the movement of Jesus for Kingdom of God, the first chrisian community and the small sects of the Early Church. But the essay finds the more significant background in the important nuns of the Middle Ages, represented by Hildegard von Bingen, and the self sacrificial contributions of women of the Anabaptistic Communities in the period of Luther’s Reformation. Accoding to the essay, the epoch-making background for beginning of Feministic Theology lies in the modern Humanism, Enlightenment, French Revolution, Karl Marx with his follower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Feministic Theology consists in the fact that the theology does not begin from a dogmatic subject but from the concrete situation of the life of women with their suffers through the male chauvinism. Insofar the Feministic Theology is a “situation theology”. In the history of theology it is the first theological theory which begins with the probem of women in their suffers. It does not will remain as a theory but exceed into praxis. Feministic Theology is a praxis-orientated theology. The essay finds the main trends of Feministic Theology 1) in the critical, reformative viewpoint grounded on the Bible and christian faith, 2) in the entbibliccal, dechurched viewpoint, 3) in the antichristian, secular religional viewpoint which tries to actualize the ancient Woman Religion or Woman Spirituality. In the conclusion the essay comprehends the Feministic Theology as a shape of the Messianic Liberation Theology which tries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on the earth. “The problem” of the Feministic Theology is not merely a problem of “some women” in the Church, but a probem which can determine its future. With a short ciritic on the radical, antkchristian viewpoint, the essay indicates the task of the Feministic Theology not only for the social, political liberation but also for the liberation from the sin whicht is the basic problem of all human manki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