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상관과 어머니 표출감정의 매개효과

        고유빈 ( Yu Bin Ko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지각된 비난’, ‘감정적 과개입’ 등 어머니 표출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2곳의 초등학교 5, 6학년과 어머니 451쌍을 대상으로 어머니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Beck의 우울척도(BDI), 자녀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소아 우울척도(CDI)를 사용하였고, 어머니 표출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가족정서관여 및 비난 척도(FEIC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지각된 비난’이 심하였고 어머니의 ‘감정적 과개입’이 적었다. 어머니 표출감정인 ‘지각된 비난’과 ‘감정적 과개입’은 자녀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지각된 비난’이 높으면 자녀의 우울증상이 심하였고 어머니의 ‘감정적 과개입’이 높으면 자녀 우울증상이 적었다. 어머니 표출감정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보면 어머니 우울증상이 자녀 우울증상을 높일 때 어머니 표출감정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비난’과 ‘감정적 과개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연결과정에서 어머니의 ‘지각된 비난’과 가족 간의 ‘감정적과개입’ 등 표출감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xpressed Emo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The subject were 451 elementary students(212boys, 239girls) from 4th to 5th grade and their mothers in Seoul. Mothers were assessed by Beck Depression Instrument, Family Involvement and Criticism scale and the children were assessed by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 score of mothers` depression, subfactors of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Mothers` depression and EOI(emotional overinvolve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ut mothers` depression and PC (perceived critic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EOI and child`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ut PC and child`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P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orts o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but EOI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orts o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Third, PC and EOI partially mediated i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E especially PC and EOI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 KCI등재

        산후 우울 성향 어머니와 6~8개월 영아의 Still-Face 절차 상호작용 특성

        지다예 ( Da-ye Ji ),이경숙 ( Kyung-sook Lee ),신의진 ( Yee-jin Shi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어머니와 6~8개월 된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종합병원 2곳의 산부인과에서 진행중인 COCOA Study의 연구목적에 동의한 자발적 산모 중 임신 26주에서 36주 사이에 산전 진찰을 위해 방문하고 출산 후 영아가 생후 6~8개월 사이에 EPDS와 K-PSI 두 가지 설문에 모두 참여하고 실험실에 방문하여 발달평가 및 비디오 녹화로 진행된 정지된 얼굴(Still-Face) 절차)에 동의한 185쌍의 어머니와 영아가 우선적인 연구대상이었다. 그 중 어머니의 우울 성향의 점수가 높은 집단 30쌍과 어머니의 우울 성향 점수 가 낮은 집단 30쌍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정지된 얼굴(Still-Face) 절차)에서 나타난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후 우울 성향이 낮은 어머니보다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어머니에 게서 긍정적인 정서 표현이 적게 나타났고, 영아의 정서 또한 산후 우울 성향이 낮은 집단의 영아 보다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집단의 영아에게서 긍정적인 정서표현이 적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산후 우울 성향이 낮은 어머니는 정지된 얼굴 단계에서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어머니보다 오랜 시간 영아를 바라보지 못하였고, 어머니의 산후 우울 성향이 낮은 집단의 영아가 전 상호작용 단계에서는 거울 속 어머니와 자신을 제외한 다른 곳을 오랜 시간 바라보았고, 후 상호작용 단계에서 어머니의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집단의 영아가 다른 곳을 바라보는 시간이 많았으며,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집단의 어머니가 단조로운 억양을 나타냈다. The research is aimed at examining the interaction of mothers with high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ir 6~8 months old infants. Research subjects are 223 pairs of mothers and their infants that answered both EPDS and K-PSI questionnaires when the infants were 6~8 months old; they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676 women in 26-36 weeks pregnancy who lived in Seoul or Geong-gi Province, visited for checkups before delivery, and agreed voluntarily with the research purpose in two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at were participating in the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COCOA). Thirty pairs of mothers and infants that showed high postpartum depression and another 30 pairs which sowed low postpartum depression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from 185 couples who visited a laboratory and agreed with developmental assessment and video-recording (Still-face Procedure). The group of mothers with high postpartum depression showed less positive emotions than the mothers with low postpartum depression. Infants from the highly depressive mothers showed les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than their counterparts. At the still-face stage, mothers with low postpartum depression could not cast their eyes at their infants longer than the mothers with high postpartum depression. At the pre-interaction stage, the infants of mothers with low postpartum depression cast their eyes for a long time on spots other than their mothers and themselves in the mirror. At the post-interaction stage, the infants of mothers with high postpartum depression cast their eyes for a long time on spots other than their mothers and themselves in the mirror. Also, the group of highly depressive mothers showed monotonous intonations without mimicking baby talks.

      • KCI등재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우울의 관계

        유경희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depression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75 mothers of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in pediatric unit. A self 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Variables were uncertainty and depression. In data analysis, SPSSWIN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liability of instruments were found cronbach's alpha=.85~.86. Uncertain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r=.422, p<.0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ccording to birth order(F=6.58, p=.002), mothers' age(F=6.57, p=.002), education level(F=3.97,p=.021) and mothers' job(t=19.18, p<.001), monthly income(F=4.234, p=.006) and family type(t=7.49, p=.007). In multiple regression, uncertainty, mothers' job and family typ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explaining 30.9%. Conclusions: Uncertain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The strategy of nursing intervention which decrease depression in mothers must be developed by decreasing level of uncertainty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본 연구는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확실성과 우울 정도와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우울에 영향을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내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월 5일부터 3월 20일까지 2개 대학병원에서 기관장의 허락을 받아 연구에의 참여를 서면동의한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여 최종 175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연구도구는 Mishel (1983)이 개발한 불확실성 측정도구와 우울측정을 위한 CES-D도구였으며, 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각각 .85와 .86이었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가 지각하는 환아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는 도구의 만점인 108점에 대하여 평균 53점이었으며,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80점 만점에 평균 45.35점이었다. 또한 환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는 환아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특성인 연령, 학력, 직업 유무, 가족 월수입 및 가족 형태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은 어머니의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r=.422, p<.010),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에의 유의한 영향 변수들은 불확실성, 직업유무 및 가족형태(핵가족, 대가족) 등이었으며, 이들의 우울 설명력은 30.9%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불확실성은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우울에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으며, 입원한 환아에게 이루어지는 모든 검사와 치료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환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고, 궁극적으로 어머니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증상과 수면의 질이 유앙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Kim, Seon-Mi),김영희(Kim, Yeo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운 이론적 모델을 통하여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 및 수면의 질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관련된 어머니 변인을 탐색해 보고, 유아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부모교육이나 유아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C시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어머니 449명이었다. 자료는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여 SPSS 12.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남아의 수면문제에는 어머니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의 우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여아의 수면문제에는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 어머니의 수면의 질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문제행동에는 어머니의 우울과 자신들의 수면문제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우울이 높을수록, 유아 자신들의 수면문제가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부부관계는 어머니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의 신체화 증상과 어머니의 수면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신체화 증상과 수면의 질은 여아의 수면문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남아의 수면문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우울은 부부관계를 매개하고, 어머니의 신체화 증상과 수면의 질은 우울을 매개하여 여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 및 수면의 질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somatic symptom, and sleep quality on young children’s sleep and behavioral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of 449 young children who we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nd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had direct effects on boys’ sleeping problem whereas girls’ sleeping problem was influenced directly by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depression, somatic symptoms, and sleep quality.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appeared to be the most relatively influential on sleeping problem of boys whereas mother’s sleep quality did for girls. Second, mother’s depression and children’s sleeping problem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As looking into relative influence that had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it appeared that the sleeping problem was the most influential for boys, while mothers’ depress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or girls. Third,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depression, which it affected directly on mother’s somatic symptom, and quality of sleep. Mother’s depression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sleeping and behavioral problem. In addition, it showed that mothers’ somatic symptom and quality of sleep influenced on sleeping problem and problem behavior among girls, but no influence on ones among boys. In conclusion, it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depression, somatic symptom and sleep quality on children’s sleep and behavioral problem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ce of sleep had on preschoolers’ sleeping problem and problem behavi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 연구

        박애경(Park 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유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관련변인으로는 어머니 연령, 교육정도, 평균수입 및 양육스트레스로 구성되었고, 자료수집을 위해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 만 5세 125명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3달간 실시하였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 PFC 검사 설문을 통해 연구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결과 자료는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해 어머니의 연령,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우울 관계는 F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우울과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양육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력을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및 가정수입에 따른 차이는 어머니의 연령만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즉, 30대, 40대 20대 순으로 유아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 우울은 3가지 양육스트레스(부모의 고통정도, 부모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정도, 유아 기질정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각각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상 집단의 유아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우울에 대한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및 양육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 관련 유아의 기질정도가 전체변량의 34.8%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기질정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아의 우울이 증가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아 기질정도 관련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방향에 대한 교육적 모색과 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p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maternal variables of the preschool children’s depression. Such variables as the 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ve been chosen for the analysis. The sample subject were 101 children and mothers, who were 5-year-olds, at A, H and C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mother’s age.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ducation level, home income. Secondly, children’s depression according to parent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ree parenting stresses(parental pain, parental dysfunctional interaction, children temperament). children’s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groups with higher parenting stress.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mothers age, education, and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of children, temperament of parenting stress-related infant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explaining 34.8% of the total vari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ren’s temperament which is subordinate factor of mother s parenting stress forecast the children’s depression. In addition, the study will provide an educational search for directions to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related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ducing children’s depression.

      • KCI등재

        우울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정락길(Chung, Lak-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우울은 개인의 가족사, 사회적 관계, 빈곤의 문제, 논쟁중인 육체적 기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증상이기에 인문치료의 중요한 성찰대상이다. 이 논문은 프로이드의 우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우울증을 ‘죽은 어머니’라는 개념으로 확장하고 있는 프랑스 정신분석학자 앙드레 그린의 논의를 우선 살펴 본 후, 인문치료적 관점에서 우울에 대한 이론적 입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이드는 ‘우울’의 무의식적 차원을 강조하고 있는데 우울자는 대상에 대한 관심이 없다고 이야기 하지만 자아도 모르게 혹은 자신의 바람과 다르게 어떤 대상에 동일시를 행하고 있다는 이중적 상태를 주목하고 있다. 그는 우울증의 특성의 일부는 애도에서 찾을 수 있으며 좀 더 심각한 우울증의 경우에는 자기애적 대상 선택이 자기애로 퇴행하는 과정에서 병리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모자관계론에 기반한 자기애론으로부터 우울의 문제를 해명하고 있다는 점이 주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앙드레 그린은 이러한 프로이드의 논의로부터 출발해 아이가 경험하게 되는 상처를 ‘죽은 어머니 콤플렉스’라는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린은 결핍의 주제와 연관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중심의 인간 이해만이 아닌 죽은 어머니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통해 모자관계의 해명과 상실 경험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는 정신분석학적 인간 이해의 확장을 기도하는 시도이다. 죽은 어머니 콤플렉스는 어머니의 죽음 이후의 아이가 겪게 되는 현실적인 심리적 결과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 콤플렉스에서 어머니는 아이의 곁에, 아이의 지각의 장에 존재하지만 아이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어머니이다. 따라서 아이의 상처는 어머니의 부재의 결과들이 아니라 어머니의 현존의 특이한 특성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죽은 현존이기도 하다. 갑작스런 우울의 결과로 아이는 애도의 상황과 비교되는 상실과 허무, 불능, 고독이라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우울의 정신분석학적 함의로부터 우울에 대한 치유의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우울의 치유의 특이성은 상담에서 과도한 동감과 즉각적인 문제해결의 방식보다는 조용한 침묵과 듣기 그리고 글쓰기와 같은 간접적 방식을 통해 서서히 대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과정이 중요한 치료과정이라는 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인문치료의 콘텐츠는 우울과 치유를 사유할 때 가장 이상적인 도구임을 이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As a complex symptom where intervenes diverse factors such as an individual"s familial history, his social relations, problem of poverty and even his controversy bodily disposition, melancholia is an important object of reflection of Humanities therapy. This study mainly analyzes French psychoanalyst Andre Green"s thesis extending Freud"s analysis of melancholia into the notion of "Dead mother". By doing so,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proposing a theoretical explanation of melancholia from an Humanities therapy angle. Freud, insisting on "melancholia""s unconscious aspect, says that a melancholist does not have any interest in the real object but identifies himself into the unconscious object in spite of his ego or his wish. Freud claims that a particular part of melancholia can be found in the act of mourning. Yet he explains the case of a pathological melancholia with narcissism, based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ppearing when the choice of narcissist object turns into narcissism. Andre Green translates the wound that a child experiences from Freud"s theory of narcissism into a "Dead mother complex". Green"s reasoning is in fact an attempt to, through the Dead mother complex, extend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comprehension of human being by emphasizing on the elucida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experience of loss. It is in fact a reinforcement of the Oedipus comprehension of human being. Nonetheless, this Dead mother complex does not represent the psychologic effect of a child after his mother"s real death. This complex actually represents a mother existing near the child and in the field of the child"s perception, a mother psychologically absent. In other words, it is a complex occurring when a mother who is an important source of the child"s survival, due to depression fails to interact with his child. Therefore, the child"s wound is not the result of a mother"s absence but of a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her existence, and for this reason a dead existence. As an effect of sudden depression, the child gets exposed to a situation of loss, futility and solitude comparable to a situation of mourning. Finally this article seeks a therapeutic possibility of melancholia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therapeutic tactic of melancholia does not consist of an excessive empathy of the counselor, nor a proposal of an instant solution, but of indirect tactics such as a silent listening and writing. Such indirect tactics can slowly arouse the interest of the melancholist in the object. Considering this, the contents of Humanist therapy is the best instrument in terms of therapy of melancholia.

      • KCI등재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과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박찬화,이윤선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5

        본 연구는 산후 1년 이내 어머니의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이 차이 나는지와 산후 1년 이후와 2년 이후의 양육스타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추적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아동패널 2008년(산후 1년 이내), 2009년(산후 1년 이후)과 2010년(산후 2년 이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한 어머니들과 그 자녀들 1,438쌍이었다. 측정도구로 Kessler 등(2002)의 우울 척도(K6), Pearlin, Lieberman, Menaghan과 Mullan(1981)의 자아효능감 척도, Bornstein 등(1996)의 양육스타일 질문지, K-ASQ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영역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 검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 그리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양육스타일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효능감을 거쳐 양육스타일을 통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은 어머니의 자아효능감, 양육스타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산후 1년 이내 나타난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현은자 ( Eun Ja Hyun ),박은미 ( Eun Mi Park ),조메리명희 ( Myung Hee Cho Mary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논문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로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3~6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 290명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일반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70.0%, 일반사용자군 1 17.2%,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2.8%순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시에 멀티태스킹 이용하는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31~35세인 어머니와 학력과 경제수준이 낮은 어머니일수록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고 멀티태스킹을 하는 어머니가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인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인 어머니가 다른 사용자 집단보다 유아의 주의집중문제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점수가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는 어머니의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주의집중문제와 공경행동 등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는 어머니의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높았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어머니의 우울 점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수준 및 우울 점수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계있음을 인지하고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는 프로그램과 교육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ubjects were 290 mothers, each with a 3 to 6-year old child attending one of four urban child care centers in SouthKorea. The research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martphone addiction levels: 70.0% of the mothers self-assigned to group 2, infrequent general users, 17.2% assigned themselves to group 1, more frequent general users and 12.8 % assigned to the potential risk user group. The more frequently mothers used their smartphones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used them for multitasking, the higher their smartphone addiction level. 2) a) Depression was found most frequently in mothers aged 31 to 35 with low levels of education and low economic status, b) however, the highest percentage of depression was found in the potential risk group in mothers who spent the most time on their smartphones and did multitasking. 4) The children of these mothers exhibited the most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attention and aggression problems These strong correlations linking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uggest an urgent need for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nd help for addicted parents program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우울 간 관계에서 유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박애경(Park, Ae-Ky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우울 간의 관계에서 유아가 가지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 만 3세, 4세,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125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PFC, 회복탄력성척도 검사 설문을 통해 연구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결과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우울 간에 정적상관이, 유아 우울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유아회복탄력성 및 유아우울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 우울의 정적 예측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전체 유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유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우울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우울을 예측하는 부적 변인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두 변인 간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회복탄력성이 유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이해를 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pression. The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enting stress tests, and PFC and Resilience tests using the data from 125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to 5 and 125 class teacher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ested Stepwise Multi-Regression by the SPS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depression and resilience. Secondly,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resilience and child depression, a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and a negative variable that affected overall child resilience. The resilience of a child was found to be a negative predictor affecting depression. Thirdly, i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child resilience on child depression, a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of child depression, and the resilience of child was a negative predictor of child depression that hav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between the two. The results of this paper may be used as a basis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pression by help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resilience affects a child’s depression and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 KCI등재후보

        산후우울성향 어머니와 일반군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신체접촉 특성

        백혜진 ( Hye-jin Baek ),이경숙 ( Kyung-sook Lee ),홍수종 ( Soo-jong Hong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의 산후 우울 성향이 높은 집단과 일반 집단 간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 작용 시 신체접촉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 간 신체접촉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신체접촉특성 중 두 집단 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우리 나라 어머니들의 신체접촉유형을 알아보고 결과로 나타난 신체접촉유형이 어머니들의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종합병원 3곳의 산부인과에서 생후 6-8개월 된 영아의 발달평가를 진행한 후, 어머니의 산후우울(EPDS), 양육스트레스(K-PSI), 우울(CES-D), 삶의 만족도(SWLS), 결혼 만족도(K-MSI)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산후우울의 점수가 높은 집단 중 무작위로 30쌍, 각 척도에서 유의미한 어려움이 측정되지 않은 집단 중 무작위로 60쌍을 선정,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후우울성향이 높은 산후우울성향군과 일반군 간 모든 측정도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산후우울성향이 높은 집단과 일반 집단 간 측정도구 별로 다른 요인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신체접촉특성은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산후우울 정도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즉,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된 우리나라 6-8개월 영아를 둔 어머니들이 영아와의 상호작용 시 나타내는 신체접촉특성은 4개의 유형을 나타내며 이는 산후우울 정도와 유의미하게 연관이 되어있다. 특히 산후우울 정도는 어머니가 영아에게 행하는 신체접촉기능, 신체접촉특성과도 유의미하게 관련이 되어있음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actile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mothers and identify effects of tactile communication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ostnatal depression of mother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mother-child pairs who visited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s of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six to eight months after child birth. The children were checked for developmental state and mothers were examined in terms of postnatal depression by the EPDS, parenting stress by the K-PSI, depression by the CES-D, satisfaction with life by the SWLS, and 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by the K-MSI. Among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30 mother-infant pai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mothers with a higher degree of postnatal depression, and other 60 mother-infant pai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mothers who had no significant problems. The findings are: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measures between the group of mothers with a higher level of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normal group; (2) significant variables were found for each measure between the two groups; (3)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moth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actile communication, which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postnatal depression. Interactions between six- to eight-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showed four styles of physical touch, which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ostnatal depression of the mothers. In particular, the degree of postnatal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thers' touch on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